리눅스 물리적 디스크 확인 - linugseu mullijeog diseukeu hwag-in

  • IT/리눅스(Linux)
  • 2020. 6. 23.

안녕하세요 

이번시간에는 리눅스에서 하드디스크 용량, 파티션, RAID 구성 등을 알 수 있는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디스크 공간 통계 표시 

-h 옵션은 보기 좋게 용량을 정리해서 보여줍니다

#df -h
리눅스 물리적 디스크 확인 - linugseu mullijeog diseukeu hwag-in
 DISK 정보 확인
# cat /proc/scsi/scs             -- scsi
리눅스 물리적 디스크 확인 - linugseu mullijeog diseukeu hwag-in
하드디스크용량정보
#fdisk -l
리눅스 물리적 디스크 확인 - linugseu mullijeog diseukeu hwag-in

sda, sdb 이렇게 있으면 두개로 유추할수있고 위의 이미지에는

sda 만 보이므로 20기가 하나만 들어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드디스크 용량 정보 Disk 만 뽑아 보기
# fdisk -l | grep Disk
리눅스 물리적 디스크 확인 - linugseu mullijeog diseukeu hwag-in

fdisk -l 로 파티션 나눠진 것을 확인하고 grep Disk 로 디스크 부분만 뽑아봅니다

하드디스크정보
#cat /proc/ide/hda/model
#cat /proc/ide/hda/
하드디스크개수확인
#cat /proc/ide/
레이드정보
#cat /proc/mdstat
리눅스 물리적 디스크 확인 - linugseu mullijeog diseukeu hwag-in

CPU나 메모리 정보를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 참조하세용

https://coconuts.tistory.com/126

리눅스 cpu 정보 확인 명령어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에서 cpu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보통 VM 가상머신에 올려서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cpu의 하드웨어는 어떤 것이 들어 갔는지는

coconuts.tistory.com

리눅스 물리적 디스크 확인 - linugseu mullijeog diseukeu hwag-in

https://coconuts.tistory.com/127

리눅스 메모리(Memory) 정보 확인 명령어

cat /proc/meminfo | grep 'MemTotal'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는 cpu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번에는 RAM, 메모리 정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 개요 메모리의 정보와 슬롯

coconuts.tistory.com

리눅스 물리적 디스크 확인 - linugseu mullijeog diseukeu hwag-in

감사합니다 ㅎㅎ

memory, 리눅스, 메모리, 확인

댓글

리눅스 환경 확인

1. OS 및 OS Bit :

uname -a
cat /etc/release

 2.  CPU 및 CPU 갯수

  • CPU 정보 : cat /proc/cpuinfo
  • CPU 갯수 : grep "physical id" /proc/cpuinfo | sort -u | wc -l

 3.  코어 수, 쓰레드 수

  • 코어 수 :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 쓰레드 수 :

4. MEMORY 

  • MEMORY : cat /proc/meminfo | grep MemTotal
  • 1024 나누기 한 다음 1000으로 또 나누기
  • kB → GB : 1e+6(1,000,000)으로 나누기

5. DISK

  • DISK : lsblk -d -o name,rota # HDD는 1, SSD는 0
  • lsblk -d
  • fdisk -l : 각각 용량 확인

CPU 관련 사항 확인

#cpu info 정리
cat /proc/cpuinfo
cat /proc/cpuinfo | more
dmesg | grep cpu

# CPU 비트 확인(x86, x64)
 arch

#cpu 물리 갯수
grep "physical id" /proc/cpuinfo | sort -u | wc -l

# cpu 코어 갯수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cpu 코어 정보
grep "cpu cores" /proc/cpuinfo | tail -1

#메모리 정보
cat /proc/meminfo | grep MemTotal
free

# 디스크 공간 통계 보기
df -h

# DISK 정보 확인
 lsblk -d -o name,rota  # HDD는 1, SSD는 0
 cat /proc/scsi/scs             -- scsi
 cat /proc/ide/hda/model    -- hda
 cat /proc/mdstat                -- raid
 /proc/ide/                         -- 아래에는 하드가 몇개인지
 /proc/ide/hda/                  -- 아래에는 그 하드에 대한 여러 정보

# DISK 용량 확인
 df -h               -- 디스크 파티션, 용량 정보 → 나오는 정보 :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fdisk -l           -- 하드디스크 확인
 du -sk             -- 현재 폴더의 사용량(kb)
 du -sk /home       -- /home 폴더의 사용량(kb)

# NETWORK 정보 확인
 cat /proc/net/netlink
 ifconfig -a

# 리눅스 버전 확인
 uname -a
 uname -r
 cat /proc/version
 rpm -qa *-release
 cat /etc/*-release 

# 리눅스 배포본 확인
 cat /etc/hedhat-release
  Red Hat Enterprise Linux Server release 4.7 (Santiago)

# rook-ceph으로 묶인 디스크 총량, 할당량, 사용량
kubectl exec -it -n rook-ceph  $(kubectl get po -n rook-ceph |grep tools | awk '{print $1}') -- /usr/bin/ceph osd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