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도 키드 스페셜 10 화 더빙 - goedo kideu seupesyeol 10 hwa deobing

[6] 2007년부터(5기 종영 후로 추정) 명칭이 'n기'에서 '시즌 n'으로 변경되었지만, 2022년 8월 기준 대부분 n기로 부른다. 심지어 CJ ENM을 모기업으로 하는 OTT 서비스인 티빙에서도 n기로 표시된다.[제목더빙] 7.1 7.2 7.3 7.4 7.5 7.6 7.7 7.8 7.9 7.10 한국어 더빙 방영이 된 편은 한국어 더빙판을 기준으로 써 있다.[8] 애니맥스에서 '4대의 스포츠카'라는 제목으로 방영된 이후 투니버스 자막판에서도 변경된 제목으로 방영.[13] 이때 쯤 모리 코고로의 원판 성우가 바뀌었다.[14] 해당 에피소드는 시즌10의 VOD로는 제공되지 않는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15] 검은 조직에 관한 에피소드가 방영되지 않은 유일한 시즌이다. 시즌 10의 '위기를 부르는 붉은 전조' 편과 시즌 12의 '홍장미의 비밀에 다가오는 그림자' 편의 사이에 검은 조직에 관한 에피소드가 세 편(탐정들의 야상곡, 목숨을 건 연애중계, 거품과 김과 연기)이나 있었는데 모두 불방되었다. (시즌 10의 '붉게 흔들리는 조준' 편도 불방되었지만 위기를 부르는 붉은 전조의 바로 다음 편이라서 제외. 다만 이 편도 논란이 있다.) 문제는 불방된 이유가 그리 충분하지 못하기에 논란이 있다는 것이다.[HD] HD화질 송출 시작[20] 15기와 동시 방영한 것은 아니지만 TVING에서 신작 소개 시 15기 스페셜로 표기하였고 다시보기 서비스에서도 15기로 분류하므로 15기로 분류한다. 투니버스 홈페이지를 통해 방영 사실이 발표되었다.홈페이지 배너 발표 내용에서 나온 제목은 '추석 스페셜 : 명인전'으로 기존에 쇼기 등의 왜색 문제 때문에 방송이 불방된 바 있었다.[스포일러] 시즌 사상 역대급으로 여성 범죄자 들이 많다[22] 오다 노부나가의 한자어 독음인 직전신장(織田信長)에서 직을 뺀 것.[23] 9월 13일은 추석 특집으로 인한 결방[24] 시즌 17과 마찬가지로 10월 2일은 추석연휴로 인해 휴방[25] 원래는 922~924화가 사이에 끼어들지만, 원작 에피소드인 진홍의 수학여행이 12월 3일에 극장에서 개봉할 예정이었기 때문에, 순서의 제약을 받지 않는 오리지널을 뒤로 밀어서 방송 진도를 조절한 듯했다. 하지만 개봉이 연기됨에 따라 순서 조정이 무의미해진 상황.[26] 그리고 여사님의 캐붕이 심한 에피소드중 하나다(...)[27] 시즌 16과는 대조적으로 시즌 18에서는 12월 25일과 1월 1일 각각 크리스마스와 신정 연휴로 인해 휴방. 링크[28] 극장에서 먼저 개봉한 관계로 TV방영이 늦어졌다. 또한 편성표가 당일 오후에 뒤늦게 변경되는 바람에 IPTV에서 제공하는 편성표와 일치하지 않게 되었으며, 기존에 18기 본방송 날짜인 금요일 오후 8시가 아닌 월요일 오후 7시 30분이라는 일본의 근본 방영 시간대이긴 하지만 갑작스런 애매한 시간대에 편성되어 본방송을 놓치는 경우가 많았다.[29] 티빙에서 VOD로 2021년 2월 10일에 선공개되었다.[30] 이전까지의 시즌과는 다르게 자막판으로 먼저 방영이 되었고, 자막판 종영 후 더빙판이 방영되었다.[32] 10월 22일 휴방[33] 참고로 19기 13화부터 아가사 히로시의 국내판 성우가 교체됐다.12기에서 들어봤을 목소리[K-NET] 34.1 34.2 34.3 K-NET 방영 일자[캐치온] 35.1 35.2 35.3 캐치온 방영 일자[36] 15세 이상 시청가로 제작되고 있지만 '어린이 채널'에서 방영되면 소재 특성상 심의 민원 접수 가능성이 높아서인지 투니버스에서는 방송되지 않았다. 대대적인 화면수정과 설정수정이 없는 한 세 화가 온전히 방영될 가능성은 낮아보였는데, 등장인물의 과거와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있어 TV방영은 실질적으로 포기했지만 VOD 서비스는 정상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를 위해 타 채널에서의 꼼수편성을 거쳤는데, 자막판은 투니버스 제작분 최초로 에스에스애니멘트 제작때마냥 K-NET 채널을 통해 우회방영하였고, 한국어 더빙판 역시 캐치온 채널을 통해 우회방영하였다.[티빙] VOD 공개일[42] 자막 방영 시에도 누락되었다가 특별 상영회를 거치고 VOD화가 이루어졌다.[44] 원래대로라면 9월 9일에 방영될 예정이였지만 추석 연휴 특집 때문인지 편성표에 예정되어 있지 않았다.[45] 자막판은 2021로 통칭하고, 더빙판은 시즌 21로 방영이 될 가능성이 크며, 빠르면 2023년 8~9월에, 늦어도 10~11월 안에는 방영될 가능성이 있다.[X파일]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6.10 46.11 46.12 46.13 46.14 46.15 46.16 투니버스에서 미공개 X파일로 더빙 방영했던 작품.

애니맥스에서 재더빙한 1기의 경우, 음악에 대한 선택권이 없는 건 이쪽도 마찬가지지만 투니버스처럼 오프닝/엔딩 통합 제작 영상 대신 일본판처럼 각 에피소드 오프닝 영상에 음원만 PUZZLE을 입혀 방송했다. 심지어 엔딩은 TMS 엔터테인먼트 특유의 영문 스탭롤이 적힌 영상이 그대로 쓰였다. 다만, 두 번째 오프닝과 엔딩 영상 대신 첫 번째 오프닝과 엔딩 영상을 계속 사용하였고, 세 번째 오프닝과 엔딩 영상부터는 다시 일본판 영상을 사용했다. 이후 투니버스판을 그대로 방영한 시즌 2부터는 투니버스와 동일한 주제가와 영상을 사용했지만, 시즌 5에 한해서는 기존 바람의 라라라 대신 꿈을 향해가 사용되었다. 아래 표는 재더빙의 경우나 투니버스와 주제가를 다르게 사용한 경우만 기술하였다.

시즌

제목

아티스트

원곡명

영상 원본

1

PUZZLE

쥬얼리

謎 (03번째 OP)

(OP) 胸がドキドキ (01번째 OP)
謎 (03번째 OP)
運命のルーレット廻して (04번째 OP)

(ED) Step by step (01번째 ED)
光と影のロマン (03번째 ED)
君がいない夏 (04번째 ED)
願い事ひとつだけ (05번째 ED)

5

꿈을 향해

쥬얼리

君と約束した優しいあの場所まで (13번째 OP)

風のららら (12번째 OP)

5. 북미 더빙판[편집]

영어권에서의 제목은 Case Closed. 초기에는 퍼니메이션에서 더빙을 담당했으나 배급사가 바뀐 이후로는 어느샌가 갑자기 자막판으로 방영하기 시작했다.

5.1. 여는 곡[편집]

사용 순서

제목

원곡명

01

Pounding of my Heart

胸がドキドキ (01번째 오프닝)

02

Mystery

謎 (03번째 오프닝)

03

運命のルーレット廻して[141]

運命のルーレット廻して (04번째 오프닝)

5.2. 닫는 곡[편집]

사용 순서

제목

원곡명

01

Step by step

Step by step (01번째 엔딩)

02

-[142]

光と影のロマン(03번째 엔딩)

03

-

君がいない夏 (04번째 엔딩)

6. 독일 더빙판[편집]

독일어권에서의 제목은 Detektiv Conan. 방영정보는 여기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독일판은 원본에서 영상쪽은 손을 거의 보지 않았다. 심지어 여기도 한국처럼 한 쿨이 상당히 긴 편인데도 그렇다.

순서로 봐서는 일본쪽을 착실하게 따르지만 영상쪽을손을 안대다 보니 우려먹기에 가수까지 등장하는 B'z의 6기 오프닝은 번안되지 않았다. 그리고 이유는 아무도 모르지만 2기, 3기 오프닝은 번안되지 않았다.

닫는 곡은 1기는 ZIGGY의 Step By Step을 사용했지만 영상은 여러가지를 짜깁기했다. 그 후로는 유럽답게 정말 닫는 곡이라고 하기 무색하게 짧아서 의미가 없다.

6.1. 여는 곡[편집]

사용 순서

제목

원곡명

방송 기간(화수)

01

Nur Fragen in meinem Kopf (내 머릿속의 질문들)[143]

胸がドキドキ (01번째 오프닝)

02

Laufe durch die Zeit (시간을 통해서)[144]

運命のルーレット廻して (04번째 오프닝)

03

Mit aller Kraft (모든 힘으로)

TRUTH〜A Great Detective of Love〜 (05번째 오프닝)

04

Mein Geheimnis (나의 비밀)

Mysterious Eyes (07번째 오프닝)

05

Die Liebe kann nicht warten (사랑은 기다려주지 않아)

恋はスリル、ショック、サスペンス (08번째 오프닝)

06

Schicksal (운명)

destiny (09번째 오프닝)

07

Wenn du gehts (너가 갈 때)

Winter Bells (10번째 오프닝)

08

Ich kann nichts dagegen tun (어쩔 수가 없어)

I can't stop my love for you♥ (11번째 오프닝)

09

Der Wind singt Lalala (바람의 라라라)

風のららら (12번째 오프닝)

10

Das versprochene Land (약속의 땅)

君と約束した優しいあの場所まで (13번째 오프닝)

11

-[145]

START (14번째 오프닝)

386화 ~ 427화

7. 불어판[편집]

7.1. 여는 곡[편집]

사용 순서

제목

원곡명

01

-

胸がドキドキ (01번째 오프닝)

02

-

오리지널[146] 謎 (03번째 오프닝)

이 두곡만 번안이 되었고 이후의 에피소드들은 원곡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8. 외부 링크[편집]

  • 일본어 위키백과

  • 한국어 위키백과

  • detective conan world

9. 둘러보기[편집]

괴도 키드 스페셜 10 화 더빙 - goedo kideu seupesyeol 10 hwa deobing

[ 펼치기 · 접기 ]

작가 · 등장인물 · 단행본 에피소드 · 국내판 · 명대사 · 코난이 찾은 명탐정

소재

배경 · APTX4869 · 특수장비 · 등장 차종 · 등장인물의 휴대전화 · 코고로가 빌린 렌터카 · 작중작

에피소드

검은 조직 시리즈 · 본청의 형사 시리즈 · 법정의 대결 · 나가노 현경 · 괴도 키드 스페셜

비판

추리 · 캐릭터 · 스토리 · 비현실적 요소 및 오류

미디어
믹스

애니메이션

방영 목록 · 디지털 리마스터링 · 주제가(キミがいれば · ぼくがいる) | 국내판 · 국내 방영 목록 · 기타 해외판

극장판

극장판 퀴즈 | 에피소드 원 · 별빛의 마술사 · 작열의 은하철도

기타

드라마 · 소설 · OVA · 굿즈

스핀오프 및 콜라보

범인 한자와씨 · 제로의 일상 · 경찰학교편 | 루팡 3세 VS 명탐정 코난(극장판) · 코난 실종사건

출판(쇼가쿠칸일본 · 서울미디어코믹스한국) · 방송(ytv제작 · NTV키국 · KBS한국 · 투니버스한국 · 애니맥스한국 · 애니박스한국) | 나무위키 프로젝트


[1] 애니메이션 주제가를 모은 베스트 앨범 중에서 이례적으로 대히트했다. 오리콘 차트에서 밀리언셀러로 인증했으며, 누적 판매량이 무려 160만장을 넘었다. 2020년까지 테마곡집 시리즈는 6탄까지 나왔다.[2] 국내에서는 괴도 키드 스페셜로 방영.[3] 이 멘트는 Misty Mystery와 君の涙にこんなに恋してる에서 한다.[4] 이후 전부 유니버설 뮤직 그룹쪽으로 인수되었다.[5] 워너 뮤직 재팬에서 발매하였다.[6] 비교적 빠르게 오프닝을 교체하는 배틀 애니는 20화~30화에 한 번씩, 대부분의 장편 애니는 1년에 한 번씩, 짱구나 도라에몽 같은 옴니버스 애니는 몇 년에 한 번씩 오프닝을 바꾼다. 반면 코난은 평균적으로 19화(약 5개월)에 한 번씩 오프닝을 바꾸기 때문에 1년에 두 개에서 세 개의 오프닝을 들을 수 있다.[7] 이를테면 미궁 칵테일 에피소드가 투니버스에서 방송되지 않아 956화부터 방영된 Sissy Sky나, '괴수 고메라 VS 가면 야이바' 에피소드 결방으로 새빨간 Lip과 조금씩 조금씩은 969화부터 방영했고, 월광 소나타 리메이크 에피소드 결방으로 제로부터 시작해는 1002화 부터 방영했다.[8] 약 20년 만에 명탐정 코난: 에피소드 원 - 작아진 명탐정의 오프닝으로 다시 사용되었다.[9] 1화는 특별 영상을 사용했고, 23화, 28화에는 지난 회 하이라이트 영상을 사용했다.[10] 보컬은 이나가키 료코.[11] 35화, 40화, 49화에는 지난 회 하이라이트 영상을 사용했다.[12] 현재까지 나온 오프닝 중 가장 길게 사용된 곡이다. 심지어, 2015년 인기 아티스트 유괴사건 재사용을 포함할 경우 46화[13] 62화, 69~70화, 78화, 82화, 85화, 89화, 93화에는 지난 회 하이라이트 영상을 사용했다.[14] 108화, 111화, 115화, 117화, 122화에는 지난 회 하이라이트 영상을 사용했다.[15] 코난이 파라파라 댄스를 추는 오프닝 영상이 나온다. 이 시기에 파라파라 댄스가 일본에서 대유행이었기 때문이다.[16] 219화는 특별 영상을 사용했다.[17] 마츠하시 미키가 부른 곡들 중 유일하게 명탐정 코난 OST로 쓰였다.[18] 304화는 특별 영상을 사용했다.[19] 306화는 제작 여건 상 영상이 일부 다르다.[20] 뮤직비디오를 '유라역'에서 촬영했는데, 아오야마 고쇼 고향관이 근처에 있어서 명탐정 코난 팬들이 많이 찾아간다.[21] 345화는 특별 영상을 사용했다.[22] 356화(괴도 키드 경이 공중보행편), 383화(코시엔의 기적편)는 특별 영상을 사용했다.[23] 425화는 특별 영상을 사용했다.[24] 이 오프닝부터 HD(화면비율 16:9)로 제작된다.[25] 479화는 특별 영상을 사용했다.[26] 각 에피소드의 영상이 제각각이다. 사실상 명탐정 코난에 타이업된 곡 중에서 ZARD의 마지막 곡이다. 이 곡이 발매되기 전에 이미 보컬이 사망했기 때문이다.[27] 1991년에 발매된 데뷔 싱글 Good-bye My Loneliness의 수록곡이었는데, 2절 가사 일부를 바꾸고 다시 편곡하였다. 카미키 아야가 코러스를 맡았다.[28] 505화~508화까지는 혼도 남매 장면이, 509화~514화까지는 오키야 스바루와 하이바라 아이의 장면으로 바뀌어 나온다.[29] 558화~561화는 FBI 등장 장면 대신 나가노 현경 등장 장면으로 바뀌어 나온다.[30] 재밌게도 모리 란이 걷는 해변이 링샨 섬과 흡사하다(!?)[31] 610화~612화는 중간 장면이 바뀌었다.[32] 15기 극장판 엔딩곡이기도 한 노래.[33] 마견편 613화와 홈즈의 묵시록 620화~621화는 중간 장면이 바뀌었다.[34] 매직 카이토 측 등장 인물들이 더러 보인다. 지이 코노스케, 나카모리 아오코, 코이즈미 아카코, 하쿠바 사구루 등장.[35] 705화부터 717화까지 중간 장면 'Who is he?!'가 'He is ***!!', 'Who is Bourbon?'이 'Their Purpose is ***!!'로 바뀌었다. 영상에는 버본의 철자가 'Burbon'으로 잘못 나갔다(…).[36] 상당히 K-POP의 성격을 가진 곡인데, 그도 그럴 것이 SM 계열 작곡가인 김태성과 한국의 작곡팀 코치 앤 샌도, 동방신기의 일본 활동곡을 작곡했던 카테리나 브램리가 작곡에 참여했기 때문이다.[37] 세 번째 오프닝으로 사용되었던 코마츠 미호의 '수수께끼'를 리메이크하였다.[38] 20기 극장판 엔딩곡이기도 한 노래.[39] 1990년대 오리콘을 휩쓸던 빙 계열 가수로 ZARD와 친하게 지낸 사이기도 하다. 대표작은 드라마 맛의 달인의 테마곡인 'ら・ら・ら'와 슬램덩크의 1기 엔딩 'あなただけ見つめてる'가 있다. 2010년에 자궁근종 치료를 위해 활동을 중단했다가 2016년부터 다시 활동을 재개했다.[40] 869화~870화는 제작 여건상 문제로 기존 오프닝 영상(35~44)을 편집하여 사용했다.[41] 모처럼 쿠도 신이치&에도가와 코난과 모리 란 단 두 사람만이 등장하는 오프닝.[42] 하이바라 아이의 히고 류스케 스트랩, 오키타 소지, 카자미 유우야가 등장한다. 연출에 참고한 에피소드는 제트코스터 살인사건, 사장 영애 유괴사건, 홈즈의 묵시록, 사랑과 추리의 검도 대회, 여고생 트리오 비밀의 카페, 마음이 담긴 스트랩이다. 그 외 쿠도 저택 도서실에서 다양한 에피소드 영문명이 서적으로 연출되었다.[43] 927화는 엔딩으로 사용했으며, 928화부터 사용된 정규 오프닝 영상에는 927화의 다이제스트를 사용했다.[44] 정확히는 13+1화[45] 검은 조직과 관련된 떡밥들을 여럿 연출했다. 그리고 인어는 사라져 버렸다의 명부, 검은 조직과의 접촉에서 이타쿠라 스구루의 전화 통화, 럼으로 의심받는 쿠로다 효우에&와카사 루미&와키타 카네노리, 아만다 휴즈와 하네다 코지, 아사카, 그리고 그 분의 실루엣(943화~964화).[46] 타쿠토와 미야카와군의 유닛. 56번째 엔딩곡인 神風エクスプレス를 불렀다.[47] 965화~970화는 1권 사장 영애 유괴사건, 16권 코난 vs 괴도 키드, 18권 검은 조직에서 온 여자, 대학 교수 살인사건, 971화~982화는 10권 외교관 살인사건, 24권 검은 조직과의 재회가 영상에 크게 나오며, 이외에도 수많은 단행본 장면들이 연출되었다.[48] 디지털 리마스터링 포함 시, 40화에 육박[49] 시작부터 커플 8쌍이 등장한다. 마지막에 만나는 신이치와 란까지 계산하면 총 9쌍. 곡은 9번째 엔딩 Secret of my heart의 연장선.[50] 주홍색 시리즈 디지털 리마스터링 방영 때에는 이전 영상을 편집해 사용했다. 오프닝 35~39, 41, 43, 44까지. 가사 자막이 역동적으로 변하기 시작했다.[51] 해삼 사내가 상당히 많이 등장한다[52] 1033화~1037화는 기존 영상(오프닝은 O, 엔딩은 E로 표기)을 재활용했는데, E30, E36, E32, E37, E35, E38, E31&O52, E41&O52, E49, E44, E53, E44, E56, E62, E57, E54&E51, E55, E48 순으로 편집했고, 1038화부터 1048화까지는 다시 그려낸 영상으로, O15, O9, O2, E6, O24, O9&E49, O9, O24, O9, E5, O1, O12, E3, O2&O3, O5, O3까지 연출했다.[53] 각 캐릭터의 주요 등장 신과 단행본 표지에 나왔던 코난의 복장을 결합해 연출했다. 핫토리 헤이지 : 10권 외교관 살인사건, 쿠도 유사쿠&쿠도 유키코 : 14권 궁지에 몰린 명탐정! 연속 2대 살인사건, 괴도 키드 : 16권 코난 vs 괴도 키드, 하이바라 아이 : 18권 검은 조직에서 온 여자, 대학 교수 살인사건, 스즈키 소노코&쿄고쿠 마코토 : 22권 소노코의 위험한 여름 이야기, 쿠도 신이치&모리 란 : 26권 목숨을 건 부활 제 3의 선택&흑의의 기사, 타카기 와타루&사토 미와코 : 36권 흔들리는 경시청 1200만 명의 인질, 아가사 히로시&후사에 캠벨 : 40권 은행나무 색 첫사랑, 쿠도 신이치&모리 란 : 87권 벚꽃반의 추억, 94~95권 진홍의 수학여행, 조디 센티밀리온&베르무트 : 42권 검은 조직과의 정면 승부! 만월의 밤의 더블 미스터리, 아카이 슈이치 : 58권 적과 흑의 크래쉬 침입(코난 복장)&59권 적과 흑의 크래쉬 순직(인물 장면), 오키야 스바루&하이바라 아이 : 60권 적, 백, 황색과 탐정단, 세라 마스미 : 73권 유령 호텔의 추리 대결, 아무로 토오루 : 77권~78권 하이바라의 비밀에 다가오는 그림자(인물 장면)&칠흑의 미스터리 트레인(코난 복장), 메리 세라 : 83권 붉은 여자의 참극(인물 장면)&83권 의외의 결과의 연애소설(코난 복장), 오키야 스바루&아무로 토오루 : 90권 배신의 스테이지, 와카사 루미 : 91권 신임 교사의 해골 사건 [54] 오프닝에 개근했던 모리 코고로, 메구레 쥬조, 소년 탐정단이 등장하지 않는다.[55] 52화는 특별 영상을 사용했다.[56] 여담으로, 2015년에 인기 아티스트 유괴사건 재사용을 포함할 경우 15화[57] 이 곡의 인스트루먼트 버전이 2000년대 초반 우후죽순처럼 생기던 코난 개인 홈페이지들의 단골 BGM이었다.[58] 보컬은 미요시 마미.[59] Mysterious Eyes와 이어지는 영상으로 연출했다.[60] 219화는 특별 영상을 사용했다.[61] 5기 극장판 엔딩곡이기도 한 노래.[62] 본명은 코시카와 아카네. 1984년 4월 10일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츠시 출생. 현재는 사기 사건에 연루되는 바람에 가수를 그만두고 AV 배우가 되었다.[63] 마지막 셀 애니메이션 작화인 닫는 곡이다.[64] 이 닫는 곡부터 디지털 작화로 변경되었다.[65] 304화는 특별 영상을 사용했다.[66] 345화는 특별 영상을 사용했다.[67] 이 닫는 곡부터 24번째 닫는 곡까지 요약 영상이 없다.[68] 원제를 직역하면 '잊고 피어', 의역을 섞으면 "피어날 시기를 잊고 때늦게 피어". 투니버스 6기 자막판에서 음절에 비해 의미가 길어져서인지 제목과 해당 가사를 의역해서 사용하였다. 그 외 정발된 음원에서는 '시기를 잊고 꽃을 피우는'의 번역을 사용하였다.[69] 383화는 특별 영상을 사용했다.[70] 어린 헤이지와 카즈하가 등장한다.[71] #어느 블로그 자료에 의하면 1985년 오사카부 출생. 현재는 간사이 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무대 위에서의 빈번한 수분 섭취로 목소리를 관리하고 있다고 한다. 여담으로 ZARD, B'z의 곡에도 참여하였다고 한다.[72] 425화는 특별 영상을 사용했다.[73] 본명 츠카다 아야코. 1985년 9월 10일 일본 홋카이도 출생.[74] 19번째 닫는 곡부터 없어졌던 요약 영상이 나온다. 4:3 배율로 만들어진 마지막 엔딩이며, 금비라관의 유령 편에서는 하얀색으로 나왔던 자막이 하얀 테두리가 있는 검은색으로 바뀌었으며, 배경 그림이 출력되지 않는다.[75] 이 닫는 곡부터 HD(화면비율 16:9)로 제작된다. 작화 감독의 부재로 봄인 4월까지 이 닫는 곡을 사용하여 시청자들에게 비난을 사기도 하였다. 코난 10주년 이스터에그가 숨어있다.[76] 479화는 특별 영상을 사용했다.[77] 후일담 영상 덕분에 쿠리야마 미도리와 쿠조 레이코가 처음으로 등장한다.[78] 21번째 오프닝과 마찬가지로 각 에피소드의 영상이 제각각이다. 심지어 디지털 리마스터링편까지 각각의 영상이 따로 있다.[79] 검은 조직, 아카이 슈이치, 혼도 에이스케, 미즈나시 레나가 닫는 곡 영상에 첫 등장한다.[80] OVA인 런던으로부터의 지령의 ED으로 쓰일 땐 특별히 영상을 만들었는데, 제작진들의 취향을 의심할 수밖에 없는 연출이었다.[81] 초기 방영분에는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의 영향으로 닫는 곡 영상이 초반과 마지막 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이 회상장면이였다가 추후에 앞부분 영상이 추가되었다. 616화부터 영상이 일부 바뀌었다.[82] MAGIC KAITO 방영 시에는 영상을 새로 만들었지만, 코난 방영시에는 이전 영상을 사용해 제작했다. (오프닝은 O, 엔딩은 E로 표기) O26, O24, O25, O27, O28, O29, O25, O27, O24, E31, E35, O24, O28, O27, O30, O26, E35, O30, O31.[83] 가장 짧은 기간 사용된 닫는 곡이다.[84] 에도가와 코난이 등장하지 않는 첫 닫는 곡이다.[85] GARNET CROW같은 혼성 원 보컬 밴드다.[86] 본편에 등장하지 않는 캐릭터가 등장하는 첫 닫는 곡이다.[87] 보컬은 하나자와 코우타.[88] BREAKERZ의 보컬. 본명 나이토 다이고.[89] 735화부터 다음 닫는 곡의 738화까지 요약 영상 대신 차회 예고 영상이 나온다.[90] 에도가와 코난이 마무리 스틸컷으로만 등장한다.[91] BREAKERZ의 최연장자. 본명 사토 아키히데.[92] 가장 긴 기간동안 사용된 닫는 곡이다.2015년에 방영된 모든 코난 닫는 곡은 이 곡이며, 디지털 리마스터링 회차까지 포함할 경우(2015년 8월 22/29일 방영된 인기 아티스트 유괴사건 제외)에는 3번째 여는 곡 '수수께끼'를 뛰어넘어 오프닝, 엔딩을 막론하고 코난 역사상 최장기간 사용된 주제곡이다. (46화) 화수에 포함되지 않는, 2015년 1월 3일 방영된 「근하신년 모리 코고로」 특집 방송까지 포함하면 무려 47화.[93] 네 번째 오프닝으로 사용되었던 ZARD의 '운명의 룰렛을 돌려줘'를 리메이크하였다.[94] 엔딩에 "벚꽃반의 추억"(853화~854화) 에피소드에 기반한 영상을 사용했으나, 정작 853~854화에서는 다른 엔딩을 사용했다.[95] 코난의 닫는 곡은 대부분 잔잔한 음악을 사용했는데, 이 노래는 통통 튀는 느낌이 들며, 소년 탐정단의 코지마 겐타(드럼), 츠부라야 미츠히코(베이스), 에도가와 코난(일렉트릭 기타)이 연주하고, 모리 란, 스즈키 소노코, 세라 마스미(이상 세 명은 탬버린도 친다), 요시다 아유미, 하이바라 아이가 노래를 부르는 영상이라 제법 인기가 많다. 잠깐이지만 경시청과 각 지방 현경들도 출연한다. 세라 마스미는 닫는 곡 첫 등장.[96] 21기 극장판 엔딩곡이기도 한 노래.[97] 22번째 극장판 제로의 집행인 기념 엔딩.[98] 검은 조직이 적과 흑의 크래쉬 특제 29번째 닫는 곡에 이어 두 번째로 등장하며, 아무로 토오루가 닫는 곡에 처음으로 등장한다.[99] 영상 구성은 경찰동기조, 타카사 그리고 신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무로 토오루가 신이치, 란 위주였던 닫는 곡에서 모처럼 2연속으로 출연한다.[100] 에도가와 코난이 등장하지 않는다.[101] 진홍의 수학여행 특제 닫는 곡. 덕분에 세라 마스미가 등장하고, 나카미치가 엔딩에 첫 등장한다. 에도가와 코난은 등장하지 않고 유사하게 꾸며놓은 인형이 등장한다.[102] 처음으로 하이바라 아이가 엔딩 주역이 됐다.[103] ZARD의 노래를 커버하며 데뷔한 그룹이다. 이 노래는 ZARD가 작사한 가사를 바탕으로 부른 미공개곡이다.[104] 디지털 리마스터링 포함 시, 30화.[105] 핫토리 헤이지와 토야마 카즈하, 스즈키 소노코와 쿄고쿠 마코토, 아카이 슈이치와 조디 센티밀리온, 하네다 코지와 와카사 루미가 등장한다. 조디, 하네다 코지, 와카사 루미는 닫는 곡 첫 등장.[106] 카페 포와로를 배경으로 모리 란과 코난, 고양이 타이이가 등장한다.[107] 이나바 솔로 포함.[108] 18번째 오프닝 포함.[109] 18번째 오프닝 포함.[110] 18번째 오프닝과 19번째는 노래를 부르는 보컬이 같으나, 18번째 오프닝은 아이우치 리나와 함께 불렀고 42번째 오프닝인 羽와 43번째 오프닝인 世界はあなたの色になる는 노래를 부르는 보컬은 같으나 羽는 이나바 코시의 솔로곡이고 世界はあなたの色になる는 B'z의 곡이다.[111] 근하신년 에피소드와 디지털 리마스터링(2015년 8월 22/29일 방영분 인기 아티스트 유괴사건 제외) 포함 시. 제외할 경우, 41화.[112] DR 포함 시. 정규적으로는 18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때문에 장기간 사용된 케이스다.[113] 디지털 리마스터링 재방영 및 괴도키드 스페셜 포함 시. 이를 제외하고 정규 에피소드만 계산할 경우 26화[114] 정규 에피소드만 계산할 경우 28화[115] 정규 에피소드만 계산할 경우 26화[116] 정규 에피소드만 계산할 경우 25화[117] DR 포함 시. 정규적으로는 24화(비공식적으로는 25화)[118] DR 포함 시. 정규적으로는 23화[119] DR 포함 시. 정규적으로는 12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때문에 장기간 사용된 케이스다.[120] 1기-KBS 짱!짱!만화짱! 앨범, 2기-쥬얼리의 일본 진출 싱글 Super Star :트랙4, 3기-쥬얼리의 일본 진출 싱글 Delight Sweet Life, 4기-원판 OST 1집의 온라인 한정 보너스트랙, 11기-보이프렌드의 일본 정규 앨범 SEVENTH MISSION(통상판), 그 외에는 한국에서 디지털 싱글 형태로 음원 발매.[121] 이 노래를 제외한 모든 노래들은 CJ E&M으로 소유권이 넘어갔다.[122] TV스페셜로 별도 편성된 '나니와 연쇄 살인사건(복수의 연쇄 살인 사건)'은 2기와 영상이 다르다.[123] 오프닝에서 코난이 추는 파라파라 춤을 따라 추는 사람도 왕왕 있고, 파라파라 춤이 생소한 한국에선 교통정리 춤이라고 부르기도 한다.[124] 부제는 싱글이 발매될 때인 TV판 본방 후반부에 달렸다.[125] 일본판과 국내판의 TV 버전 곡 편집이 다르다. 일본판은 곡 앞부분을, 국내판은 곡 뒷 부분을 TV판 오프닝으로 만들었다.[126] 처음으로 일본판 엔딩곡 사용이자 처음으로 남성 보컬이 부른 곡이다. 꽃보다 청춘 아프리카편에 삽입곡으로 나왔다.[127] 이후 11기 까지는 연속으로 엔딩 곡이 번안되었다.[128] 원곡 가수인 그 쿠라키 마이가 맞다. 발음도 한국인 수준으로 정확해서 화제가 되었다. 한국은 물론이요 유튜브의 외국인들 사이에서도 "이거 일본인이 한국어로 직접 부른 거 맞아? 아닌 것 같은데"라며 믿지 못하는 의견이 많았을 정도.[129] 이쪽은 우리나라 아이돌 그룹이 일본에 진출한 사례다.[130] 스타 오디션 위대한 탄생 시즌2의 준우승자다.[131] 8기 이후 한동안 엔딩만 받아왔던 터라 노래와 장면이 따로 논다는 비판을 꽤 받았는데, 이를 받아들인 건지, 아니면 단순히 우연의 일치인지 4~5기 이후 꽤나 오래간만에 원판 영상에 맞는 노래를 받아왔다. 단, 원곡의 Full ver.을 그대로 가져온 관계로 앞 부분만 살짝 다른 영상으로 편집되어 있다.[132] 한국인 가수가 부른 마지막 오프닝이다.[133] 12기 오프닝과 마찬가지로 내레이션 부분에 추가했다.[134] 방송시에는 별도 표기가 없으나, 디지털 싱글에는 제목을 PUZZLE로 표기했다. 원곡은 4분 34초짜리지만, 더빙판 디지털 싱글은 TV 사이즈다. 돈주고 사기 아깝다 게다가 이를 두 시즌 동안 사용하여서 우려먹기로 많은 비판을 받았다. 다만, 이는 한국 담당 PD측 탓보다는 코난 주제가 타이업을 담당하는 BEING측에서 결정한 것이다. 14기와 15기 사이의 짧은 기간동안 다른 곡을 번안하기 어려워서 그렇거나 아니면 이 곡이 일본판에서 사용된 방영분이어서 그런 것으로 추정된다. 아무래도 코난 주제가 하면 PUZZLE을 꼽는 사람들이 왕왕 있다 보니 오히려 예전 주제가를 다시 들어볼 수 있다고 좋아하는 사람들도 있다.[135] 가사는 일본판 41번째 오프닝 '謎'을 새롭게 번안하지 않고, 기존 한국판 2기 오프닝인 'PUZZLE'을 다시 사용했다. 그래서 TV 방영용 짧은 가사만을 다시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