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는 어떻게 만들어 질까 - bineun eotteohge mandeul-eo jilkka

비의 원리 비는 어떻게 오는걸까?

비의 원리는 무엇일까? 비와 눈의 생성과정 정확히 짚어 보기.

요즘 과학교육이 많이 발달해서 초등학교때 부터 비와 눈이 어떻게 만들어지며

어떤 원리로 지구와 상호 작용하는지를 배운다. 하지만 우리도 배웠고 다 아는 사실인데

정확히 기억하는것까진 무리임을 안다. 만약 아들이나 딸이 우리에게

아빠? 혹은 엄마? 있잖아있잖아요! 비는 왜내리는거에요??????????????????

라고 질문한다면 아이들의 창의력과 사고력을 키워줄수있고 하지만 어린 내 아가들이

잘 알아 들을수 있도록 재치있고 유머있게 가르쳐 줄 수있을까?

아마 당황스러워서 어버버버하다 대충 눈에보이는 몇가지만 대답하게되거나

인터넷을뒤적거리게 될 것이다.

그래서 준비한, (딱히 아침에 비가와서 그런건아니야..)

비와 눈의 생성과정 !

잘 배워두면 언젠간 써먹을일이 있을지어다

구름이 물방울로 이룰어져있다면 구름입자느는 어떻게 공중에 떠 있을수 있을까?

구름입자의 크기는 0.001mm정도로 매우 작다. 1mm크기의 빗방울이 되려면

약 100만개의 구름입자가 모여야 한다 이처럼 입자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상공에 머무를수있는 거이며

하늘에 구름이 있어도 비가오지 않을 때가 더 많은 것이다.

따라서 구름에서 비나 눈이 만들어지려면 구름속의 알갱이, 즉 구름입자가 빗방울 크기로 성장하여야한다

성장한 구름의 상층부는 기온이 낮아서 구름입자가 얼음 알갱이로 존재한다. 비가내리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크게

두가지로 구분된다 !

먼저 우리나라와같이 중의도에 위치한 지역에서 형성되는 구름은 기온이 낮다.

따라서 구름 내에 작은 얼음알갱이들이 존재하는데, 이 얼음 알갱이에 수증기가 게속 달라붙어서 커지면

얼음 알갱이는 무거워져서 아래로 떨어진다. 이때 얼음 알갱이가 떨어지다 녹아서 비가 된다.

이와같이 형성되는 비를 '찬비'라고 한다.


기온이 높은 저위도 지역의 구름에서는 얼음알갱이가 만들어지기 어려운데,

작은 구름입자들이 서로 충돌하는동안 성장한 물방울이 떨어져 비가되기도 한다.이러한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비를 '따듯한 비'라 한다. 한편 눈은 지표면 부근의 기온이 낮아서 구름에서 성장한 얼음알갱이가

녹지않고 그대로 떨어진 것이다. 얼음알갱이가 형성된 곳의 수증기 양 이나 기온차에 따라 눈의 결정은 매우 다양하게

성장한다.

또한 상승기류가 강한 구름에서는 성장한얼음알갱이가 상승운동과 하강운동을 반복하면서 성장하여 커다란 얼음

덩어리인 우박을 만들기도 한다. 구름에서 형성되는 비나 눈을 비롯하여 우박 안개 이슬 서리와 같은현상등은

강수현상에 속한다.강수현상에 의해 지표로 내려온 물은 생명활동에 이용되며 지하수를 형성하거나 지표를따라

다시 바다로 흘러간다 그리고 태양 복사 에너지에 의해 지표에서 증발해 수증기로 변하면서 다시 대기중으로 들어가는

순환과정을 계속한다. 이러한 전 과정을 물의 순환이라 하며, 이 때 지표에서 대기로 에너지가 이동한다. 결국 물의 순환과정을 통해 지구의 열적 균형이 이루어 지며 그 과정에서 여러가지 기상현상이 일어나는것이다.

이래저래 말이길어도 읽다보면 시간가는줄모르는 기초과학! 재밌다 ^^

비의 원리 비는 어떻게 오는걸까?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했다.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중이다. 옮긴 책으로 『로켓 걸스』, 『아토믹 걸스』, 『모리스』, 『순수의 시대』, 『하워즈 엔드』, 『전망 좋은 방』, 『오만과 편견』, 『히든 피겨스』 등이 있다. 2012년 조이스 캐럴 오츠의 『천국의 작은 새』로 유영번역상을 수상했다. 어린이, 청소년 도서 번역에도 활발히 힘써 『세상을 바꾼 놀라운 십 대들』, 『엘 데포』, 『초등학생이 알아야 ...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했다.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중이다. 옮긴 책으로 『로켓 걸스』, 『아토믹 걸스』, 『모리스』, 『순수의 시대』, 『하워즈 엔드』, 『전망 좋은 방』, 『오만과 편견』, 『히든 피겨스』 등이 있다. 2012년 조이스 캐럴 오츠의 『천국의 작은 새』로 유영번역상을 수상했다. 어린이, 청소년 도서 번역에도 활발히 힘써 『세상을 바꾼 놀라운 십 대들』, 『엘 데포』, 『초등학생이 알아야 할 참 쉬운 비즈니스』, 『클래식 음악의 괴짜들』, 『손힐』, 『진짜 친구』, 『비클의 모험』, 『머니 트리』, 『스핀들러』, [바다탐험대 옥토넛] 시리즈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2012년 6월 〈유영번역상〉을 받았다.

비는 어떻게 만들어 질까 - bineun eotteohge mandeul-eo jilkka

친구들! 이제 날씨가 제법 덥습니다이번 달에는 비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떻게 땅으로 떨어지게 되는지, 또 땅에 내려진 비는 어디로 흘러가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이번 호를 읽으면 구름이 만들어지는 과정, 하늘에 구름이 떠있는 이유, 구름이 비구름이 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구름이 만들어지기까지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우리들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환경에는 무수히 많은 수증기가 존재하고 있어요. 태양의 열이 땅이나, , 바다로 전달되면, 물이 증발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수증기가 되고 공기 중으로 하나둘씩 얼굴을 내밀어요. 그렇게 증발된 수증기들이 상승하여 차가운 공기를 만나면 응결하여 물방울이 만들어져요. 그 물방울들이 하나둘씩 짝을 이루어 모여 하늘에 떠있는 것을 구름이라고 해요. 여기서 증발과 응결이 무엇인지 쉽게 설명해볼게요. 예를 들어 빨래를 널었을 때 젖은 빨래 속의 물방울들이 증발해서 수증기가 되어 빨래가 마르는 거예요. 응결의 예로는 우리가 차가운 물병을 상온에 두었을 때 공기 중에 있던 수증기들이 차가운 물병 바깥에 모여서 응결되어 물방울이 생기는 것이랍니다.

구름이 떠 있으면 무조건 비가 내릴까요?

구름이 형성되어 공기 중에 떠다닌다고 무조건 비가 오는 것은 아니랍니다. 왜냐하면 구름이 비가 되어 떨어질 수 있을 만큼 응결된 물방울들이 많이 모여야 하기 때문이지요. 물방울들이 옹기종기 구름 속에서 떠 있다가 물방울들이 많이 모여서 무게를 견디지 못하면 그때 비로 내리게 된답니다.

비가 될 때까지 구름속에서는 어떤 일들이 벌어질까?

증발된 수증기들이 공기와 함께 상승하여 차가워지면 응결과정을 거쳐 작은 물방울이 되고, 이 작은 물방울들이 다른 물방울들과 결합해서 드디어 비가 되어 내려올 수 있는 크기로 성장하게 된답니다. 성장한 물방울들이 더 높은 하늘, 더 기온이 낮은 곳으로 올라가면 눈의 결정이 되기도 하지요. 기온이 높은 날의 경우 태양열의 힘이 커서 공기가 더 높은 하늘로 올라가면 얼음덩어리를 만들기도 해요.

땅에 떨어진 비는 어디로 갈까요?

비가 되어 떨어진 물방울들은 땅속으로 흡수되는데, 그 비는 어떤 경우에는 산 위에 내릴 수도 있고, 평평한 땅에 내릴 수도 있어요. 비는 그 자리에 흡수되기도 하지만, 산에 내린 비는 산비탈을 흘러내려서 도랑으로 흐르게 되고 작은 개울을 만나게 되죠. 개울은 다시 흘러서 시냇물이 되고, 시냇물은 흘러서 큰 강으로 큰 강물은 바다까지 흐르게 된답니다.

여러분이 흔히 들어보았던 동요가 생각나지 않나요?

키즈 퀴즈 (Kids Quiz)

친구들~ 함께 퀴즈를 풀어 보아요!

Q) 태양열이 우리가 생활하는 땅, , 바다에 닿으면 물이 수증기들로 변하여 하늘로 올라가 구름을 만든다고 했어요. 그렇다면 젖은 빨래가 마르는 것처럼 물방울들이 수증기로 변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증발 전도 복사 대류

정답과 함께 이름, 학교, 학년, 반을 적어 이메일() 또는 담당(010-4384-4791)에게 보내면 됩니다. 정답자 중 추첨을 통해 춘천기상대에서 제공하는 상품을 보내드립니다.

지난번 정답자:  고도아 (남부초교 5-5), 홍진원 (서상초 4-1) 

이지훈 주무관 (강원지방기상청 춘천기상대)

저작권자 © 어린이강원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