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롤리 딜레마 찬반 - teulolli dillema chanban


2014년 MIT 미디어 랩(MIT Media Lab)의 연구원들은 모럴 머신(Moral Machine)이라는 실험을 설계했다. 자율주행 자동차가 이른바 ‘트롤리 딜레마’의 여러 상황에서 누구의 생명을 우선해야 하는지에 대한 사람들의 의견을 수집하는 플랫폼을 만드는 작업이었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문화에 따른 집단적 윤리적 우선 순위의 차이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연구원들은 세계에서 그렇게 많은 사람이 이 실험에 응하리라고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플랫폼이 가동된 후 4년 간, 233개 국가에서 수백만 명이 4000만 건의 의견을 등록했다. 이 연구는 세계인의 도덕적 선호에 대한 최대 규모의 연구 중 하나가 되었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네이처에 게재된 논문은 문화, 경제, 지리적 위치에 따라 윤리 기준이 얼마나 다양한지 보여준다.

일반적인 트롤리 딜레마는 다음과 같다. 기차가 선로를 따라 달려오고 있고, 선로에 다섯 명의 사람이 서 있다. 당신은 선로전환기를 당겨 다섯 명의 사람들을 구할 수 있지만, 그럴 경우 다른 선로에 있던 한 사람이 죽게 된다. 선로전환기를 당겨서 한 명을 희생하여 다섯 명의 사람들을 살리겠는가?

모럴 머신은 이 딜레마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9가지 비교 상황을 실험했다. 자율주행 자동차가 반려 동물보다 사람을, 보행자보다 승객을, 적은 사람보다 많은 사람을, 남자보다 여자를, 노약자보다 젊은이를, 건강하지 못한 사람보다 건강한 사람을, 사회적 지위가 낮은 사람보다 더 높은 사람을, 법을 어기는 사람보다 잘 지키는 사람을 구해야 할까? 자동차는 방향을 바꿔야 할까(take action)? 아니면 원래대로 주행해야 할까(inaction)?

트롤리 딜레마 찬반 - teulolli dillema chanban
모럴 머신 참가자들에게 제시되는 질문 예시

이 실험은 참가자들에게 일대일 비교를 하기보다는 다양한 조합을 제시했다. 이를테면, 자율주행 자동차가 주행 방향을 바꾸지 않고 길을 걷던 노약자 3명이 죽는 상황 또는 바리케이드로 방향을 바꾸어 차 안의 젊은 승객 3명이 죽는 상황 중에 선택하도록 하는 식이다.

연구원들은 사람들의 선호도가 국가마다 크게 달랐던 한편, 문화나 경제와도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중국이나 일본과 같은 집단주의 문화권의 참여자들은 젊은이보다 노약자를 살리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자들은 노약자를 존중하는 문화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고 가정했다.

개인주의 문화권의 사람들은 젊은이를 살리는 선택을 할 가능성이 더 높다

트롤리 딜레마 찬반 - teulolli dillema chanban
자율주행 자동차를 시범 운행하는 국가간 비교: 응답자들이 젊은이를 구하려는 경향이 큰 경우 그래프의 막대가 1에 가까워지고, 노약자를 구하려는 경향이 크면 -1에 가까워진다. 0은 세계 평균. Created with Data Wrapper

마찬가지로, 법규가 비교적 잘 갖춰지지 않은 빈곤국의 참가자들은 파란불에 횡단하는 보행자들에 비해 무단 횡단하는 사람들에게 더 관대하고, 경제적 불평등이 큰 국가의 참가자들은 사회적 지위의 격차에 따라 큰 차이를 보여준다.

또 연구팀은 어떤 그룹을 구할지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피해를 입는 사람들의 숫자가 항상 가장 중요한 요소는 아니라는 점을 발견했다. 영국, 미국과 같은 개인주의 문화권의 참여자들이 다른 조건들보다 많은 생명을 구하는 것을 더 중요시했는데, 이는 아마 이들 문화권에서 각 개인의 가치를 더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일 것으로 연구진은 추정했다.

개인주의 문화권의 사람들은 더 많은 생명을 구하는 선택을 할 가능성이 더 높다

트롤리 딜레마 찬반 - teulolli dillema chanban
자율주행 자동차를 시범 운행하는 국가간 비교: 응답자들이 구하는 생명의 숫자를 중요시할 경우 그래프의 막대가 1에 가까워지고, 그 반대의 경우는 -1에 가까워진다. 0은 세계 평균.
Created with Data Wrapper

연구진은 세계를 서양권, 동양권, 남부권 등 크게 세 권역으로 분류했는데, 인접한 국가들은 비슷한 도덕적 선호도를 보였다.

연구원들은 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했다. 참가자들은 스스로 참여했으므로 인터넷 접근성이 좋고, 사회적 지위가 높으며 신기술에 밝은 사람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자율주행 자동차에 관심 있는 사람들 또한 그러한 특징을 가질 경향이 높다.

이 연구는 현재 자율주행 도입을 검토하는 국가들이 자율주행 자동차를 설계하고 규제를 만드는 데 있어 흥미로운 시사점을 준다. 예를 들어, 자동차 제조사는 중국 소비자가 보행자보다 운전자를 보호하는 차를 선호하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승객보다 보행자를 구하겠다는 사람들의 나라별 비율

트롤리 딜레마 찬반 - teulolli dillema chanban
응답자는 보행자를 구하는 데 더 중점을 둘수록 막대가 1에 가까워지고, 승객을 구하는데 더 중점을 둘수록 막대가 -1에 가까워진다. 0은 세계 평균. Created with Data Wrapper

그러나 이 논문의 저자들은 연구 결과가 각 나라에 바람직한 행동 방식을 제시하려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저자들은 실제로 몇 가지 경우에서 기술자들과 정책 입안자들이 집단 여론을 무시해야 한다고 느꼈다. 이 논문 저자인 에드먼드 어워드(Edmond Award)는 사회적 지위를 사례로 언급했다. 그는 “사람들이 낮은 지위의 사람보다 높은 지위의 사람을 구해야 한다는 응답이 큰 차이로 많다는 점이 염려된다”며 “중요한 점은 이 데이터를 ‘사용해야 한다’기 보다 ‘계량화할 수 있었다’라는 점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 결과는 산업계와 정부가 서로 다른 디자인과 정책 결정의 윤리에 대해 대중이 어떻게 반응할지를 이해하는 토대로 이용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어워드는 이번 결과가 기술자들이 자율주행 자동차를 넘어 AI의 윤리에 대해서도 더 깊이 생각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 그는 “트롤리 딜레마가 이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매우 좋은 방법이기 때문에 이용했지만, 윤리에 대한 논의가 이 주제에만 머물지 않기를 바란다”며 “이 논의는 누가 죽어야 할 지를 넘어, 누가 더 혹은 덜 위험에 처해있는지 분석하는 리스크 분석, 그리고 편견은 어떻게 벌어지는지 등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가 어떻게 AI의 윤리적 설계와 규제로 전환될 수 있을지 더 연구하고자 한다.

어워드는 “지난 2-3년 동안 많은 사람이 AI의 윤리에 관해 이야기하기 시작했다”며 “사람들의 집단의 성격에 따라 AI가 서로 다른 다양한 윤리적 결과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 이런 문제를 생각하는 사람들이 나타난다는 사실 자체가 바람직한 일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