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mac 주소 확인 - seumateupon mac juso hwag-in

갤럭시 핸드폰(휴대폰) 맥주소 MAC Address 알아보기


컴퓨터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랜카드가 있어야 합니다.

랜카드에 부어된 주소값이 바로 MAC ADDRESS 인데요 랜카드마다 고유한 값을 가지고 있어

공유기에서 어떤 장비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핸드폰에서도 와이파이에 연결되면 장비이기 때문에 맥어드레스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핸드폰에서 맥어드레스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폰 mac 주소 확인 - seumateupon mac juso hwag-in




갤럭시 휴대폰에서 설정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스마트폰 mac 주소 확인 - seumateupon mac juso hwag-in




설정 화면으로 진입하면 핸드폰을 설정할 수 있는 다양한 메뉴가 나옵니다.

메뉴 중 [디바이스 정보] 또는 [휴대전화 정보]를 선택해주세요.

스마트폰 mac 주소 확인 - seumateupon mac juso hwag-in






디바이스 정보 화면입니다.

배터리, 네트워크 및 기타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를 클릭합니다.

스마트폰 mac 주소 확인 - seumateupon mac juso hwag-in




휴대폰의 전화번호, 블루투스 주소, 최초 통화일 등이 보이는데요.

WI-Fi MAC 주소가 바로 맥주소 입니다.

스마트폰 mac 주소 확인 - seumateupon mac juso hwag-in

갤럭시 핸드폰(휴대폰) 맥주소 MAC Address 알아보기였습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러브파워

저작자표시

맥주소 확인 방법이 궁금하신가요? 맥주소 (MAC Address)는 각각의 컴퓨터 혹은 모바일 장치의 네트워크 어댑터에 할당되어 있는 고유주소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에는 고유한 맥주소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맥주소는 일종의 집주소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만일 맥주소를 알고 있다면 특정 장치에 대한 서비스를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도 있습니다.

맥주소는 48 비트값으로 총 12개에서 16개 진수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맥주소를 구성하고 있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은 콜론이나 하이픈 등으로 구분되어 있는 2개의 문자가 연속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고급설정 내에는 공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을 때 알려주는 네트워크 알림 기능, 패스포인트를 지원하는 AP에 자동으로 연결하는 패스포인트 연결 기능, 신호 세기와 알파벳 순으로 무선AP를 정렬시키는 정렬 방법, 절전 중에도 Wi-Fi 켜놓기 기능, Google 위치 서비스 및 다른 앱이 Wi-Fi가 꺼졌을 대도 네트워크를 검색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항상 검색 허용 기능, Wi-Fi 네트워크와 모바일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전환해 주는 네트워크 자동 전환 기능, Wi-Fi 타이머 기능, Wi-Fi 초기화 기능, 신호 약한 Wi-Fi 연결 해제 등 많은 기능들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어떤 목적이나 다른 목적으로 안드로이드 폰의 MAC 주소를 찾아야한다면 시스템 버전이나 폰 브랜드에 관계없이 비교적 쉽게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휴대 전화에는 한 번에 여러 MAC 주소가 있습니다. Wi-Fi의 경우, Bluetooth의 경우 MAC 주소, 경우에 따라 별도의 물리적 이더넷 주소입니다.

이 튜토리얼은 순수한 Android 폰에서 먼저 MAC 주소를 찾은 다음 Samsung Galaxy 스마트 폰에서 MAC 주소를 찾는 방법과 도움이 될 수있는 몇 가지 추가 정보를 자세히 설명합니다. 비슷한 주제 : Windows 10에서 MAC 주소를 찾는 방법.

색인

  • 1 깨끗한 운영 체제를 사용하는 Android 휴대폰에서 MAC 주소를 보는 방법
  • 2 Samsung Galaxy 스마트 폰의 MAC 주소

깨끗한 운영 체제를 사용하는 Android 휴대폰에서 MAC 주소를 보는 방법

먼저 최신 버전 중 하나에서 깨끗한 Android 시스템의 MAC 주소를 확인합니다. 귀하의 경우 메뉴 항목이 약간 다를 경우 유추에 따라 장치에서도 올바른 항목을 찾을 수 있습니다.

  1. 설정-휴대 전화 정보로 이동합니다.
  2. 전화 정보 페이지를 아래로 스크롤하면 Android의 Wi-Fi MAC 주소와 Bluetooth MAC 주소가 표시됩니다.

경고 : 원하는 항목에 "사용할 수 없음"이 표시되면 Wi-Fi 또는 Bluetooth 모듈이 비활성화되었음을 의미합니다.

Android에서 Wi-Fi MAC 주소를 찾는 또 다른 방법은 현재 연결되어있는 네트워크의 설정 버튼을 탭하여 설정-네트워크 및 인터넷-Wi-Fi-입니다.

당신이 관심이있을 수 :  Android 장치의 사진에 음악 오버레이

네트워크 세부 정보의 다음 화면에서 "고급"을 누르고 현재 MAC 주소를 확인해야 합니다.

Samsung Galaxy 스마트 폰의 MAC 주소

Samsung Galaxy 휴대폰에서 MAC 주소를 찾는 것은 이전 옵션과 거의 동일하지만 몇 가지 단점이 있습니다. 기본 변형에서는 다음 단계가 필요합니다.

  1. 설정-전화 세부 정보로 이동합니다.
  2. "상태"를 클릭하면 다음 화면에서 Wi-Fi MAC 주소와 Bluetooth 주소(및 특정 전화 모델의 경우 이더넷 MAC 주소)를 볼 수 있습니다. "사용할 수 없음"이 표시되면 해당 무선 모듈이 비활성화되었으며 네트워크 장치의 물리적 주소를 보려면 활성화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Samsung Galaxy에는 뉘앙스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설정 - 연결 - Wi-Fi - "MAC 주소 유형" 아래의 현재 Wi-Fi 네트워크 구성 버튼이 "임의 MAC 주소"(MAC 자동 변경 주소가 연결될 때 연결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설정의 주소가 실제 Wi-Fi MAC 주소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AirPod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이 경우 휴대폰의 실제 MAC 주소를 찾으려면 Wi-Fi 설정에서 오른쪽 상단의 메뉴 버튼을 클릭하고 "고급"을 선택한 다음 페이지 하단으로 스크롤합니다. 여기서 휴대폰의 MAC 주소 현재 있음이 나타납니다.

완료해야 할 기능이 하나 더 있습니다. Wi-Fi 라우터의 구성을 입력 할 수있는 경우 클라이언트 목록에 현재 연결된 장치 목록이 표시됩니다. 일반적으로 MAC 주소와 함께 이름이 표시됩니다. 주소가 속한 장치를 알 수 있습니다.

MAC 주소는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에서 관리하고 있는 MAC-48, EUI-48, EUI-64 규칙들 중 하나의 형식을 사용하여 만들어집니다.  총 48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소 앞쪽의 첫 24비트는 OUI(Organizational Unique Identifier)로 제조업체를 식별하는 코드입니다. OUI 코드를 이용해서 제조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나머지의 6자리 16진수는 랜카드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제조사에서 각자의 네트워크 장비에 분배되는 코드입니다.

핸드폰을 이용하다보면 자신의 안드로이드 맥주소 확인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도 있으실겁니다 물론 PC에서는 네이버에서 아이피라고 검색만 해보셔도 쉽게 찾을 수 있지만 모바일에서는 내 아이피를 어떻게 확인하는지 모르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혹시 핸드폰은 아이피가 계속 바뀐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비행기 모드를 껏다 켜주면 아이피가 바뀌지만 그전에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갤러시나 안드로이드 맥주소 및 아이피 주소 확인 방법에 대해서 아래 그림설명을 해드리오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가장먼저 안드로이드 MAC 주소를 확인하기 위해서 간단하게 몇번만 눌러주시면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아래 그림은 삼성 갤럭시 폰에서 설명한 것이니 따라해주시면 쉽게 찾으실 수 있으실 겁니다 그럼 바로 알아보도록 하죠~

공유기를 통한 인터넷을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첫번째는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해당 비밀번호를 아는 사람들은 모두 접속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방법이며 두번째는 맥 주소 인증을 통해 해당 기기가 아닌 사람들은 접속을 하지 못하게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며 두가지 모두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는데 주로 보안이 강화된 기업에서는 두가지를 모두 사용하며 제가 재직중인 회사 역시 두가지 모두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장 보안이 강화된 방법이기는 하지만 일반 가정지벵서는 사용하기 조금은 귀찮은 방법이라 할 수도 있습니다.


하여튼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본인이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휴대폰 또는 태블릿PC)의 맥 주소를 확인해야 하는데 어디 있는지 잘 모르는 분들이 있을까 싶어 이번기회에 위치가 어디있는지 확인과정을 진행해볼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