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과 일본의 교류 - samguggwa ilbon-ui gyolyu

한반도와 일본열도간의 교류는 선사시대 이래 오늘날까지 단절되지 않고 활발히 이루어졌다. 그 유규한 교류 중 문물과 사람의 상호왕래가 가장 활발했던 시기는 삼국시대이지만, 이제까지 4세기 이후 한일교섭사는 백제와 왜를 중심으로 서술되어 왔으며 신라와 왜는 항 ...

한반도와 일본열도간의 교류는 선사시대 이래 오늘날까지 단절되지 않고 활발히 이루어졌다. 그 유규한 교류 중 문물과 사람의 상호왕래가 가장 활발했던 시기는 삼국시대이지만, 이제까지 4세기 이후 한일교섭사는 백제와 왜를 중심으로 서술되어 왔으며 신라와 왜는 항상 적대적인 관계로 해석되어 왔다.
그러나 일본열도 및 신라지역에서 확인되는 고고자료로 볼 때 삼국시대에 걸쳐서 교류가 지속되었을 뿐만 아니라 5세기전반과 6세기후반에는 그 교섭의 중심으로까지 부상한 점에서 문헌사 중심의 한일교섭사의 한계를 지적할 수 있다. 즉 고대 한일교섭사가 백제와 왜 중심으로 기술된 것은 일본서기 편찬에 백제측 사료가 바탕이 되었고 신라에 적대적인 백제유민들이 관여하였기 때문이다.
일본 고고학계에서는 이제까지 왜왕권이 한반도 진출 또는 군사적 활동을 기반으로 선진 문물과 필수 물자의 도입함으로써 일본열도에서 고대 국가가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왔다. 왜왕권의 군사적 활동은 광개토왕비 등으로 볼 때 그 자체를 부정할 수는 없으나, 그 활동이 일본학계에서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처럼 外征과 같은 독자적인 것으로 볼 수 없다. 이는 적대세력으로 묘사되고 있는 신라의 철정, 금동제 장신구, 마구 등이 가야와 백제지역과의 교섭이 어렵거나 두절된 시기와 兩者간 정치적인 교섭이 이루어지는 5세기전반과 6세기후반 일본열도에 집중 이입되고, 이 시기 일본열도산 硬玉제 曲玉이 신라에 이입되기 때문이다. 이는 일본열도의 한반도산 이입문물과 한반도의 일본열도산 이입문물이 일본연구자들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침략에 의한 것이 아니라 양 지역간의 정치적인 교섭과 교역에 의해 각각 이입된 것임을 웅변하는 것이다.
현재 한반도와 일본열도는 대한해협을 사이에 두고 명확한 국경을 형성하고 있다. 고대의 그 경계는 지금처럼 뚜렷한 것으로 볼 수 없으나 문헌기록뿐만 아니라 장제와 생활양식으로 볼 때 해협을 사이에 두고 하나의 경계가 있었음은 분명하다. 그와 함께 당시 한반도 내의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사이에는 국경이 있었으며, 오히려 한반도와 일본열도간의 경계가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사이의 국경보다 넘기가 쉬웠다는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즉 국가간의 관계에 따라 한반도 내 국가의 국경선 보다 해협이 더욱더 열려 있었고, 역으로 한반도 내의 국경이 닫혀있었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제까지 중세, 근세의 倭寇에 대한 기억과 더불어 신라와 왜의 관계에서 戰場으로 만 인식되어온 東海가 실은 신라와 왜를 연결하는 열려있는 바다였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독도 문제를 둘러싸고 경직되어있는 한일 양국간의 관계를 고대의 東海를 통한 신라와 왜의 교섭을 통하여 되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신청자는 이제까지 적대적으로 파악되어온 신라와 왜의 관계를 통하여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대 한반도와 일본열도로의 상호 관계가 어느 한쪽의 일방적이 아닌 상호적임을 강조하고자한다. 이러한 고대의 한일 관계를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야 말로 현재와 미래의 한일 관계에 설정에 기여할 것임을 환기시키고자한다.

Title중학교 백제와 일본과의 문화교류 수업 방안Other TitlesInstruction plan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Baekje and Japan in middle school curriculumAuthorsIssue Date2017Department/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DegreeMasterAdvisorsAbstractUntil now, the history education focused on the nation's history to instill national consciousness necessary in the time. This naturally developed sense of superiority to own history and as for the view toward relationship with Japan, it was limited to emphasizing on how much positive influence Korea had on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ancient Japanese country. In modern history education, there is a need to stop only focusing on national history and have objective and balanced historical awareness in order to harmonize with the worl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ducate students the attitude of respecting the value of other cultures based on correct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foreign diplomacy with Japan during the era of the Three States in middle school history class. This will lead students to learn foreign diplomacy is not a one-way propagation, but is mutual influential relationship. It will ultimately lead students to have open-minded and cooperative attitude in society.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several aspects. Frist, the study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n 2 2009 revision middle school history text book which were most popular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2009 education curriculum analysis regarding the exchange with Japan in the era of Three Kingdoms. Second, by apprehending the limits of text book, the study aims to propose specific improvement plan concentrating on cultural exchange between Baekje and Japan which was the most active exchange in the era. Third, by designing cultural exchange between Baekje and Japan class to be easier and more interesting for students to create a balanced history education dealing with mutual exchange.;지금까지의 역사교육은 당대 시대적 상황에 필요한 민족의식 고취 함양을 위해서 자국사를 강조하였다. 이는 자연스럽게 자국의 역사에 대한 우월의식을 가지도록 하였고, 특히 일본과의 대외관계에 대한 관점은 우리나라가 고대 일본의 국가 성립과 발전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지 강조하는 한계를 가졌다. 현재의 역사 교육에서는 자국사에 집중된 시선을 거두고 세계 속에서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 객관적이고 균형 있는 역사의식을 갖추려는 노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역사의 삼국시대에 일본과의 대외관계사를 올바른 지식 및 이해 학습을 기반으로 타문화의 가치를 존중하는 태도까지 학습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 이를 통해 외국과의 교류가 한쪽으로 치우쳐서 일방적으로 전파하는 것이 아닌, 서로 상호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학생들이 깨달을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학생들이 사회에서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한다. 본 연구와 기존의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차별된다. 첫째, 삼국시대의 일본과의 교류에 대한 선행연구 및 2009 교육과정 분석을 기반으로 가장 채택률이 높은 2009개정 중학교 역사 교과서 2종을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교과서의 한계를 파악하여 삼국시대 중에 가장 일본과 교류가 활발하였던 백제와 일본과의 문화교류에 집중한 구체적인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백제와 일본과의 문화교류 수업을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고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균형 있게 상호 교류를 다룬 역사교육을 이루고자 한다.FulltextShow the fulltextAppears in Collections: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RIS (EndNote)XLS (Excel)XML

이 글은 삼국~통일기 고대 한국의 중국·일본과 의약기술 교류 양상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고구려는 침술, 각기병 치료법, 최면술 등에서 일정하게 중국의학에 영향을 끼쳤다. 삼국 중에서 고구려가 중국과의 약재교역을 주도적으로 수행하였다. 일본은 고구려 의학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백제는 북위의 제도를 참고하여 의박사를 두는 등 의학체계를 정비하였다. 백제는 일본의 군사지원에 대한 반대급부로 의료진을 파견하면서 일본의학에 영향을 끼쳤다. 중국의서에 수록된 威靈仙 처방은 신라와 당의 의술교류 양상을 잘 보여준다. 통일 이후 신라는 당의 제도를 받아들여 의료체계를 정비하였다. 이후 신라는 『新羅法師方』과 같은 의서를 편찬하는 단계까지 이르렀다. 나당전쟁이 끝나고 신라와 당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신라산 약재가 당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신라의 대일교역에서 약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일본은 삼국 유민을 대거 받아들였는데 그중에는 의료인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이 일본 의료계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medical exchanges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from the Three Kingdoms to the Unified Silla periods. Goguryeo, which led the trade of medicines with China among the Korean Three Kingdoms, influenced Chinese medicine in acupuncture, beriberi treatment, and hypnotherapy. Japan embraced Goguryeo’s medicine with enthusiasm. While Baekje reformed its high-ranking medical offices by adopting the Chinese official posts, such as Erudite of Medicine (yiboshi 醫博士) of the Northern Wei 北魏, it, in its turn, influenced Japanese medicine by dispatching the medical staffs to Japan in return for the latter’s military support. On the other hand, the Clematis patens (wiryeongseon 威靈仙) prescriptions found in Chinese medical treatises attests to the medical exchange between Tang and Silla. Silla’s dispatch of physicians like Kim Mu 金武 to Japan also resulted in the inclusion of Korean prescriptions in the Categorized Formulas of the Daidō Era (Daidōruijuhō 大同類聚方). Although Silla reorganized its medical system based on the Tang institutions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 had soon reached the level of compiling its own medical treatise like the Formulas of the Silla Dharma Masters (Silla beopsa bang 新羅法師方). As active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facilitated with the end of the Silla-Tang war, many of Silla’s indigenous medicinal herbs were introduced to Tang. Silla’s medicinal substances accounted for a large portion of its trade with Japan, too. Japan also accepted a large number of refugees from Baekje and Goguryeo, including many with medical knowledge. These émigré physicians from the Korean Three Kingdoms influenced early Japanese medicine, leaving many Korean prescriptions in the Categorized Formulas of the Daidō Era.

신라 몇년?

서기전 57년(혁거세거서간 1)부터 935년(경순왕 9)까지 56대 992년간 존속했던 고대 왕조. 신라는 고대 삼국의 하나로서, 7세기 중엽에 백제·고구려를 평정하였으며, 698년 발해의 건국과 더불어 한국 역사상 이른바 남북국시대를 열었다.

왜의 신라 침략?

기록으로 보이지 않지만 이 시기에 신라는 가야 지역으로도 세력을 뻗치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가 경주 지역에 침입한 것은 신라의 영역 확장이라는 위기에 직면한 가야가 철 등의 선진 문물을 공여하는 대가로 신라를 공격하도록 하였기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왜백제관계?

백제의 멸망기에도 백제에 대한 우호적 관계는 변함이 없었다. 이러한 사실은 백제가 나당연합군에 의해 멸망될 때 에서는 대군을 파견하여 백제군을 지원하고자 한 것에서 알 수 있다. ≪日本書紀≫권 27, 天智天皇 원년 8월. 백제관계는 부흥운동기에도 계속 유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