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일본 문화 - baegje ilbon munhwa

700년 역사의 숨결‘백제는 살아있다’백제 문화 재조명 운동 활발

지난 4일부터 5일, 1박 2일 일정으로 한국언론진흥재단 대전지사에서 진행한‘백제문화 현장연수’에 다녀왔다. 금강(金江)이 유유히 감싸고 흐르는 충청남도 공주시와 부여군은 고대국가 백제의 찬란하고 수준 높은 문화예술과 유적들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고대 동아시아 문화의 중심 도시다.

700여년, 백제의 오랜 역사와 문화를 이틀이라는 짧은 시간에 헤아리기란 쉽지 않았지만 문화관광해설사의 친절한 안내로 공주의 송산리고분군, 공산성과 부여의 정림사지, 국립 부여박물관, 백제문화단지 등을 돌아보고 미처 몰랐던 백제문화의 위대함과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검소하지만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은’절제와 중용을 지켜 온 백제문화의 진수를 독자들과 함께하고자 한다.<편집자 주>

백제 일본 문화 - baegje ilbon munhwa

“검이불루 화이불치(儉而不陋 華而不侈)-검소하지만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다”

백제문화를 표현하는 말 중 이보다 더 잘 어울리는 말은 없을 것 같다. 기원전 18년, 주몽의 아들 온조가 지금의 서울을 중심으로 세운 나라 백제는 660년 나당연합군에 의해 멸망할때 까지 678년 동안 한성도읍기, 웅진도읍기, 사비도읍기 등 세 차례의 천도를 거치면서 개성 있는 문화를 형성했다.

백제는 중국문화를 받아들여 창조적으로 발전시킨 독창적인 문화를 신라와 일본에 전파했다. 경주에 있는 신라의 황룡사 9층 목탑은 백제의 장인 아비지가 기술을 지원했다고 기록에 남아있으며 일본 최초의 불교문화는 백제불교가 전파되어 형성된 아스카 문화였다. 백제문화는 이처럼 신라와 가야, 일본에까지 많은 영향을 끼쳤다.

백제 일본 문화 - baegje ilbon munhwa

하지만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 했던가. 문화도 승자의 그것만을 더 많이 기억할 뿐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국보 제 78호 금동반가사유상’은 불상의 일월식 보관 형태가 서산 마애삼존불의 봉보주 보살상에서도 보이고 백제에서 건너갔을 것으로 추정되는 일본의 나가노 현 간소인 반가사유상에서도 발견되어 백제불상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지만 역사는 지금까지 국적에 대해 확실히 밝히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이번 백제문화 현장연수에서 부여박물관에 있는 일명‘미스 백제’로 불리는 국보 제 293호 금동관세음보살입상의 모습에서 금동반가사유상과 같은 모습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이렇듯 멸망한 나라‘백제’는 승자의 나라‘신라’의 화려한 문화에 가려 그 가치에 반해 빛을 발휘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무령왕릉이 있는 송산리 고분군과 절제미와 웅장함을 갖춘 정림사지 5층 석탑, 백제왕국의 고유한 건축기술의 발전과 불교 확산에 대한 증거, 탁월한 예술미를 한 눈에 확인 할 수 있는 백제문화단지 등은 700여년 백제의 역사문화를 제대로 느낄 수 있는 곳이다.

다시 살아난‘백제’

21세기 백제부흥운동 조명

백제 일본 문화 - baegje ilbon munhwa

위대하고 찬란한 백제문화가 축제로 부활한다. 공주시와 부여군은 백제의 전통성에 근거한 역사 재현형 축제‘백제문화제’를 공동으로 개최한다.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와 2개 자치단체가 함께 추진하는 축제로써 성공사례로 꼽히는‘백제문화제’는 백제의 찬란한 역사와 문화를 재조명하고 도민의 자긍심을 높이고 있다.

해방이후 영남예술제(현 개천예술제, 1949년 시작)와 함께 정체성을 고수하며 62회의 긴 역사를 자랑하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 지역축제로 알려져 있다.

백제문화제는 1955년 부여지역의 유지들이 뜻을 모아‘백제대전집행위원회’를 구성해 백제 말 사비성이 함락할 당시 성충, 흥수, 계백 등 3충신과 백제망국의 원혼을 위로하는‘백제대제’를 거행한 것이 축제의 시발점이 됐다.

1971년 제 25대 무령왕과 왕비의 무덤이 발굴됨에 따라 백제의 문화유적이 전국 곳곳에서 발견되고 다양한 학술연구를 통해 고대 동아시아 문화 매개자로써 백제의 위상이 확인되자 초기의 제례 행사와 민속, 예술, 체육대회가 섞인 종합문화예술제의 성격에서 벗어나 백제의 역사. 문화를 바탕으로 매년 100만명이 다녀가는 세계적인 역사문화축제로 거듭나고 있다.

63년 역사 백제문화제, 한류의 원조 

백제 일본 문화 - baegje ilbon munhwa

백제문화의 창조성과 백제인의 진취성과 개방성 등 문화강국 백제의 위상을 재조명하고 백제문화에 생명력을 부여하는 제 63회 백제문화제는‘한류 원조 백제를 만나다’라는 주제로 오는 28일부터 추석연휴인 다음달 5일까지 공주시와 부여군 일원에서 열린다.

이성열 (재)백제문화제추진위원회 대변인은“이번 축제는 백제문화추진위원회 6개, 공주시 61개, 부여군 56개 등 총 123개의 프로그램이 진행된다”며“이중 한화그룹이 지역사회 공헌사업으로 후원하는 4억 원 규모의 백제‘한화불꽃축제’는 개막식의 백미를 즐길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한화그룹의 기업메세나 불꽃축제를 비롯해 △지역의 역사성과 독창성을 바탕으로 하는 흥겨운 화합행렬인‘웅진성 퍼레이드’△세계유산 공산성을 배경으로 금강 위에서 펼쳐지는 영상미디어 공연‘웅진판타지아’△백제 역대 왕과 백제 여인 등의 넋을 위로하는 전통 불교의식을 재현하는‘백제 수륙대제’ △1965년 가장행렬로 시작해 백제문화제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관광객 어울림 퍼레이드’등 역사문화, 교육, 다양성, 흥미와 재미를 갖춘 행사가 진행된다.

700백여 년 백제의 역사문화를 재현하는‘재현형 축제’의 이름에 걸맞게 공주의 공산성, 송산리 고분군, 부여의 정림사지, 부소산성 및 관북리 유적지, 능산리 고분군 등 백제역사유적지구에서 펼쳐진다.

삼국(三國)중 가장 수려한 문화를 꽃피우고 삼국과 일본에 문화를 전파한 문화강국이자, 해상교류왕국, 한류의 원조였던‘백제’의“검이불루 화이불치(儉而不陋 華而不侈)”로 표현되는 백제문화를‘백제문화제’를 통해 느낄 수 있다.

저작권자 © 광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고려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6세기 백제와 일본 사이의 외교 관계를 양국 사이에 이루어진 문물교류의 양상을 통해 천착해 보았다. 사료가 보여주듯이, 일본이 군사 등의 병력과 말, 배, 활, 화살 등 군수물자를 보낸 것은 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지배하고 있었기 때문이 아니라, 백제의 요구 때문이었다. 일본의 군원 지원에 대해 백제는 선진문물을 보냈다.한반도 내에서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된 백제는 對일본 관계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6세기 일본도 5세기 후반 이후 중국과의 관계가 단절되었기 때문에, 선진문물을 받아들이는 대외창구로 한반도, 특히 4세기 이래 우호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던 백제가 중심이 되었던 것이다. 선진 문물의 안정적인 수입을 위해서 일본은 한반도 정세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을 수 없었으며, 백제 역시 고구려ㆍ신라ㆍ가야와의 역관계 속에서 중국이나 일본 관계를 유리하게 전개하여 자국의 입지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백제의 선진문물에 대한 대가로서, 일본은 백제의 對高句麗戰과 新羅戰을 위하여 군사원조를 지원하고 있었다. 그러나 562년 신라의 대가야 함락 이후 백제와 일본의 관계도 변화를 보이게 된다. 대가야 멸망을 계기로 백제―가야―일본으로 이어지는 협력라인이 붕괴되면서 일본은 백제 뿐 아니라 신라고구려에 대한 다면외교를 진행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 것이다.즉, 백제는 한반도 내에서 고구려ㆍ신라와의 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후원세력의 필요라는 정치적인 배경에서, 일본은 고대 국가 체제로 정비해 나가는 과정에서 필요한 경제적ㆍ문화적 필요성에서 적극적인 외교관계를 유지했던 것이다. 이와 같이 6세기 백제와 일본의 관계는 조공관계도 아니었으며, 영원한 동맹관계도 아니었다. 동아시아 국제 관계 속에서 자국의 발전과 이익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복잡하고도 다양한 외교관계를 펼쳐나갔던 것이다.

The resources that were sent by Backjae to Japan consisted of scholars, specialists, buddhist figures, and other cultural resources. On the other hand, the resources sent to Backjae by Japan consisted of horses, ships, worker, bows and arrows, solders, and other military goods so that soldiers were the majority. Japan chose Backjae as their means for exposure to advanced culture. It appears, that since Backjae influenced the Gaya region, Japan relied on Backjae for supplies of high quality steel and advanced culture. Japan was a firm supporter of Backjae for a long time, the reason for Japan's change in attitude towards Backjae seems to lie in the decline of Backjae's status and influence in the Korean peninsula following the loss of the Han River and Gaya regions. During the later half of the 6th century, Backjae actively pursued foreign relations with China and through these friendly relations exerted pressure on Koguryo. Thus it appears that Backjae did not completely lose its influential status as being the supplier of advanced cultural resources to Japan. Thus, while maintaining its position of being the supplier of advanced cultural resources to Japan, Backjae restored its statu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overcame alienation. In this light, 6th century foreign relations between Backjae and Japan, which were characterized by the interest's of individual nations within the international realm of East Asia, were complex and diverse.

The resources that were sent by Backjae to Japan consisted of scholars, specialists, buddhist figures, and other cultural resources. On the other hand, the resources sent to Backjae by Japan consisted of horses, ships, worker, bows and arrows, solders, and other military goods so that soldiers were the majority. Japan chose Backjae as their means for exposure to advanced culture. It appears, that since Backjae influenced the Gaya region, Japan relied on Backjae for supplies of high quality steel and advanced culture. Japan was a firm supporter of Backjae for a long time, the reason for Japan's change in attitude towards Backjae seems to lie in the decline of Backjae's status and influence in the Korean peninsula following the loss of the Han River and Gaya regions. During the later half of the 6th century, Backjae actively pursued foreign relations with China and through these friendly relations exerted pressure on Koguryo. Thus it appears that Backjae did not completely lose its influential status as being the supplier of advanced cultural resources to Japan. Thus, while maintaining its position of being the supplier of advanced cultural resources to Japan, Backjae restored its statu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overcame alienation. In this light, 6th century foreign relations between Backjae and Japan, which were characterized by the interest's of individual nations within the international realm of East Asia, were complex and diverse.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6th Century, Backjae and Japan, Foreign relations, Exchange of resources, Advanced culture

피인용 횟수

  • KCI 10회

  • 719 회 열람
  • KCI 원문 내려받기
  • 논문 인용하기
  • 서지정보 내보내기

    • txt
    • RefWorks
    • Endnote
    • XML

  • 현재 페이지 인쇄

인용현황

신라 몇년?

신라(新羅)는 기원전 57년부터 935년까지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이끌고 발해와 함께 남북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계승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다.

왜에 불교전파?

백제의 불교는 침류왕(枕流王) 1년(384) 인도 승려 마라난타(摩羅難陀)가 동진(東晋)에서 백제로 들어옴으로써 최초로 전래되었다. 침류왕이 이 외국 승려를 환영했고 궁중 있게 한 것으로 보아 이미 백제 그 이전부터 불교가 전해져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왜의 신라 침략?

삼국 시대에 (倭)가 부산 지역을 침입해 온 사건. 『삼국사기(三國史記)』 신라본기에는 시조인 박혁거세(朴赫居世) 때부터 의 침입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5세기 대에는 17차례에 걸쳐서 가 침입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