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런 가래가 생기는 이유 - nuleon galaega saeng-gineun iyu

누런 가래가 생기는 이유 - nuleon galaega saeng-gineun iyu

안녕하세요. 한국건강관리협회입니다. 가래는 기관지나 폐에서 만들어지는 끈적끈적한 점액으로 95%의 수분과 5%의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하루에 100ml 정도 분비되지만, 무의식적으로 삼켜 인지하지 못할 뿐인데요. 가래는 기관지를 항상 촉촉하게 유지해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고, 면역 세포를 포함하고 있어 여러 바이러스를 방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여러 질환으로 인해 가래의 양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게 됩니다.

가래 생기는 이유

누런 가래가 생기는 이유 - nuleon galaega saeng-gineun iyu

우리 몸은 건강에 적신호가 켜지면 여러 변화를 통해 알립니다. 가래 역시 몸이 보내는 신호 중에 하나인데요. 갑자기 인지할 정도로 가래가 많이 생긴다면 농도나 색을 확인해 원인 질환을 추측해봐야 합니다.

건강한 사람의 가래는 하얗거나 살짝 불투명한 맑은 색을 띱니다. 그런데 가래의 양이 많고 유독 누런 황색을 띤다면 만성 기관지염이나 천식일 수 있는데요. 발열 증상이 나타난다면 세균 감염에 의한 폐렴, 폐농양, 기관지 확장증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붉은빛의 가래는 심한 폐렴, 폐암의 우려가 있고, 피가 섞여 나오는 객혈은 결핵, 후두염, 폐렴, 폐암 등에서 관찰됩니다. 녹색의 가래는 녹농균 감염, 인플루엔자 간균 감염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비정상적인 기침과 가래나 2달 이상 계속된다면 기관지에 문제가 생기지 않았는지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방치하다 만성 기관지염이나 만성 폐쇄성 폐질환으로 악화하면 완치가 힘들어집니다.

가래 없애는 방법

누런 가래가 생기는 이유 - nuleon galaega saeng-gineun iyu

원인 질환이 없는 일반적인 가래는 위장의 면역 기능으로 인해 세균을 사멸됩니다. 그래서 굳이 뱉어내지 않고 삼켜도 문제가 없는데요. 결핵에 감염됐을 경우에는 가래 속 결핵균이 위장의 문제를 유발하므로 삼키지 않아야 합니다. 원인 질환이 있는 가래는 해당 질환을 치료해야 가래가 줄어들며, 가래의 양이 너무 많거나 원인 질환의 완치가 힘들다면 약물 처방으로 가래를 없앨 수 있습니다. 흡연량이 하루 한 갑 이상이라면 금연이 필수인데, 끊은 후 2~3달간은 그동안 기관지에 쌓였던 노폐물이 빠져나오는 시기로 일시적으로 가래의 양이 늘어나며, 이 시기만 버티면 가래가 사라집니다.

비염이나 축농증이 있는 경우 목 뒤로 넘어간 분비물을 가래로 오인하기도 합니다. 분비물을 뱉었을 때 거품이 많으면 타액, 거품이 없으면 가래로 생각하시면 구분하기 쉽습니다. 코로나19와 별개로 먼지가 심한 실내에서 혼자 작업하는 경우에도 마스크를 착용해 가래를 예방하세요.

누런 가래가 생기는 이유 - nuleon galaega saeng-gineun iyu

누런 가래가 생기는 이유 - nuleon galaega saeng-gineun iyu

누런 가래가 생기는 이유 - nuleon galaega saeng-gineun iyu

누런 가래가 생기는 이유 - nuleon galaega saeng-gineun iyu

누런 가래가 생기는 이유 - nuleon galaega saeng-gineun iyu

본 게시글의 내용은 일반적인 의학정보를 재구성한 것으로 한국건강관리협회의 공식적인 의견은 아닙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확진자 17,665명 (266명 추가 확인)

20년 8월 24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58명이 확인되었고, 해외유입 사례는 8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수는 17,665명(해외유입 2,734명)입니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9명으로 총 14,219명(80.49%)이 격리해제 되어, 현재 3,137명이 격리 중입니다. 위·중증 환자는 32명이며, 사망자는 0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09명(치명률 1.75%)입니다.

구분

총계**

결과 양성

검사 중

결과 음성

확진자

격리해제

격리 중

사망

8.23.(일)

0시 기준

1,791,186

17,399

14,200

2,890

309

47,564

1,726,223

8.24.(월)

0시 기준

1,804,422

17,665

14,219

3,137

309

47,995

1,738,762

변동

13,236

266

19

247

0

431

12,539

새롭게 확진된 266명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 중앙방역대책본부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8.24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258

97

3

0

20

1

10

1

1

84

6

10

7

4

7

6

1

0

누계

14,931

2,608

218

6,912

458

238

193

45

51

2,132

116

86

220

44

56

1,405

136

13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8.24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

(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

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8

0

5

2

1

0

0

4

4

3

5

누계

2,734

19

1,253

546

843

68

5

1,322

1,412

1,754

980

(0.7%)

(45.8%)

(20.0%)

(30.8%)

(2.5%)

(0.2%)

(48.4%)

(51.6%)

(64.2%)

(35.8%)

가래는 어떻게 생기나요?

흔히 가래는 인체에 필요 없는 불순물로 생각하기 쉽지만, 기도로 들어오는 불순물을 잡아 기관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가래(sputum, 객담) 일반적으로 기관지나 폐에서 나오는 끈적끈적한 점액으로 95%의 수분과 단백질과 지질, 무기질 등으로 이루어졌다.

가래가 뭐야?

가래는 기도로부터 배출되어 뱉어 내는 담(痰)을 말한다. 객담(喀痰)이라고도 한다. 가래는 종종 폐렴을 포함한 폐, 기관지, 상기도 등의 질환과 관련이 있다. 결핵과 같은 만성적인 기침에서는 피를 포함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