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무선 유선 차이 - noteubug museon yuseon chai

안녕하세요 강자입니다!

요새 데스크탑을 무선인터넷으로 사용하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그래서 제 주위 몇몇 친구들은 무선인터넷 사용하는데 느리다고 해서

랜케이블을 직접 연결해 줬더니 마음에 들어 하더군요 ㅋㅋ

여기서 컴린이친구 분들이 데스크탑 유선 무선 인터넷에 관해서

궁금해 하길래 한번 포스팅해 보려고 합니다..

노트북 무선 유선 차이 - noteubug museon yuseon chai

노트북 무선 유선 차이 - noteubug museon yuseon chai

일단 #유선인터넷 의 경우는 데스크탑에 이런 식으로 랜케이블을 연결해서 사용합니다.

보통 개인 데스크탑에선 랜케이블 CAT5e 에서 CAT6을 이용해서

집안 공유기 또는 벽 랜 포트에 연결해 사용하죠

요즘 기가인터넷 규격 때문에 CAT6를 많이 사용하더라고요

물론 아니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그리고 무선으로 연결했을 경우인데요

노트북 같은 경우는 와이파이를 그대로 잡아서 사용하는 경우도 많은데

데스크탑 같은 경우는 #무선인터넷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하나밖에 없죠?

바로 무선 랜카드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요즘 많이들 사용하는 USB 무선 랜카드를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생각보다 데스크탑에 USB 무선 랜카드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더라고요

아주 간단하게 사용하는 법을 설명하자면

각 무선 랜카드 제품에 맞는 방법으로 드라이버를 설치해준 뒤

연결하면 무선으로 간편하게 인터넷 이용이 가능합니다.

먼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당연히 무선보다는 유선이 더 인터넷이 빠르고 안정적입니다.

때문에 요즘 노트북사용자 들도 랜케이블을 이용해 유선으로 연결해서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죠

한번 쉽게 볼까요?

제가 예시로 든 무선 랜카드의 경우

AC1200 이라는 규격을 지원해서

5GHz WIFI망의 867Mbps

2.5GHz WIFI망의 300Mbps의

최대 무선 링크 속도를 자랑합니다.

하지만 실제 인터넷 속도를 보면 어떨까요?

노트북 무선 유선 차이 - noteubug museon yuseon chai
노트북 무선 유선 차이 - noteubug museon yuseon chai

유선 랜케이블 무선 랜카드

일반 검색만으로도 유선이 빠른게 보입니다.

스펙상으로 무선 랜카드가 더 빠를 것 같지만

눈으로 보니 다르죠?

이유는 간단합니다.

저 무선 렌카드 스펙은 최대 링크 속도지 실측 인터넷 속도가 아닙니다.

실측 인터넷 속도는 WIFI(공유기/AP), 주파수 간섭, 거리 등에 따라서

상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주변 환경에 따라 바뀌는 불안정한 인터넷 때문에

산업현장에서는 무선인터넷을 사용하지 않죠

가정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노트북 무선 유선 차이 - noteubug museon yuseon chai
노트북 무선 유선 차이 - noteubug museon yuseon chai

한가지를 예로 들자면

바람이 많이 부는 환경에서

공을 직접 전달해주면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지만

거리가 있는 상태에서 던져서 전달한다면 바람의 영향을 받아

불안정해지겠죠?

인터넷의 유선, 무선 여부도 비슷합니다.

<결론은>

무선인터넷의 경우는 데스크탑을 자주 옮기는 경우나

환경적으로 무선이 필요할 때 사용하시는 것이 좋고 (선정리가 안되는 환경)

그 외의 경우에는 유선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게임같이 인터넷 작용을 많이 받는 작업을 할 경우엔 말이죠ㅎㅎ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하나씩 남겨주세요!

지금까지 강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