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 못하는데 공대 - mulli moshaneunde gongdae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학종이라면

    '20.8.9 11:41 PM (110.70.xxx.103)

    물리 안했다는건 못해서 피했다는건데
    공대의 기본인 물리를 못하는 학생을 교수가 뽑고 싶을까요
    소인수과목이라도 선택하고 도전하는 학생을 당연 높이 쳐줄 수밖에 없지 않겠어요. 특히 상위권대학이라면 더.

    원서는 쓸 수 있고 중하위권 이하 대학이라면 상관 없을수도.

  • 2. ..

    '20.8.9 11:42 PM (118.216.xxx.58)

    공대교수들은 아무래도 기하나 물리 잘하는 애들 뽑고 싶어한대요.
    기본이 되는 애들 뽑아놔야 자기가 덜 힘들거니까요. ㅎㅎ
    공대 진학할 생각인데 투과목도 아니고 원과목을 물리를 안하는건 아무래도 많이 이상하긴 하네요.

  • 3. 학종이라면

    '20.8.9 11:43 PM (110.70.xxx.103)

    저희 아이는 학종으로 갔는데, 고3때 물리2를 선택해서 소인수과목이 되었어요. 내신 좋을 수가 없죠.
    그리고...물리를 못하면 공대가는것 다시 고려해보세요. 학교 들어가서도 힘들 수있어요.

  • 4. ..

    '20.8.9 11:44 PM (211.199.xxx.190)

    저의 아이 작년에 학종으로 컴공 갔습니다.
    학교마다 다를수도 있겠지만 저의 아이는
    면접 때 수학, 물리 했는지 확인하고 수학, 물리 중 등급이 낮은 과목을 집중해서 질문했다고 합니다.
    학종으로 컴공 갈 생각이면 물리하는게 좋을거 같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 5. 무엇보다

    '20.8.9 11:48 PM (58.120.xxx.107)

    물리를 싫어하면
    아니 물리 아예 안 배우고 공대가면 붙어도 대학에서 힘들지 않나요?
    남편이 화공과인데 딸 진로 때문에 물어보니
    화학보다 물리 더 많이 배운다고 해요.

  • 6. 공대

    '20.8.9 11:48 PM (14.33.xxx.17)

    공대가려면 물리 해야해요. 특히 물2도 한지 본다네요. 그런데 일반고라면 애들 물리 실력이 정말 안좋아서 수학 좀 하는애라면 물리 잘할수 있을거에요

  • 7. 물리 싫으면

    '20.8.9 11:49 PM (211.219.xxx.63)

    딴과 찾아보세요

    4년이 괴롭고 그 뒤도 괴로울겁니다

  • 8. 무엇보다

    '20.8.9 11:49 PM (58.120.xxx.107)

    갠적으로는 계열간 교차지원도 늘리면서
    전공적합성은 왜 보나 싶긴 해요,
    도대체 일관성이 없어서.

  • 9. ..

    '20.8.10 12:02 AM (183.98.xxx.7)

    울 애가 고2때 물1하곤 물리 자신없어서 고3때 생2.지2 선택해서 수시쓸때 생물.자연쪽으로만 한정되더라구요. 담임샘도 물리2 안했다고 공대인 생공대신 자연대 생과로지원..그쪽으로 뜻이 있는게 아니면 물리 해야 수시로 공대 써요. 의.치아니면 자연대밖에 쓸 곳이 없더라구요 ㅠ

  • 10.

    '20.8.10 12:04 AM (180.224.xxx.210)

    제 아이는 과중이어서 2과목까지 어쩔 수 없이 다 했는데요.

    이게 학교마다 차이가 있을 수는 있겠지만...
    기피하는 과목이라고 내신에 반드시 불리하고 하진 않더군요.

    제 아이도 끝까지 물리2 선택 안하려 했어요.
    하지만 이공계 가려면 그래도 하는 게 낫지 않겠냐 권유했더니 고민끝에 선택했어요.
    그런데 1등급 나왔어요.
    내신 염려로 다들 기피해 버리는 바람에 어부지리로 얻은 성적이라 어떨떨했어요.

    아무튼 이공계 갔는데 1학년 1학기부터 전공물리가 바로 있어서 물리2 하기 잘했다 생각하는 듯 보였어요.

    하지만 원글님 자녀는 단지 좋은 내신을 받기 위함이 아니라 너무 싫어한다니 섣불리 선택하기에는 모험인 듯은 해요.

  • 11. ~~

    '20.8.10 12:10 AM (14.4.xxx.98)

    학종에선 내신등급 불리해도 전공별로 꼭 해야하는 과목들이 있더라구요.. 특히 윗학교로 갈수록 더욱이요. .저희집 고2 아이는 전체인원 7명인 과목도 있어요. 그것도 다 상위권으로. 등급이 이번 지필평가 5명이 같은갯수 틀리고 서술형만점이어서 누가 배점적은거 틀렸느냐로 2.3.4.5.6 등급이네요 ..그래도 아이들도 당연히 해야하는걸로 알고, 컨설팅갔더니 선택 당연히 해야하는거니 등급 신경쓰지말라 하더라구요.

  • 12. ..

    '20.8.10 12:47 AM (114.205.xxx.142)

    대학이 다라고 생각하지 마시고요
    진정 물리가 지금부터 힘들다면 공대는 피하는게 나을수 있어요 물리2까지 해도 물리가 힘들어서 쩔쩔매요
    공대 그만두거나 휴학하거나 하는 애들도 많아요
    적성이 아니라며.. 생명이나 화공쪽 생각하세요
    컴공과 전기전자공 엄마입니다.

  • 13. 저는

    '20.8.10 2:08 AM (69.209.xxx.40)

    제가 고등때 화랑 생만 했거든요.
    물리 싫어해서.
    공대 가서 졸업 잘 했어요. 대학가서 물리를 시작한 건데.
    할만했어요. ^^

    전공은 화공이에요. 근데 화공은 물리 수학이 중심이 과에요. 화학이 중심인 과가 아닙니다.
    물리 싫어해서 화학이 메인인줄 알고 골랐는데, 잘못 고른 거죠.

  • 14. 화공과

    '20.8.10 3:31 AM (39.7.xxx.45)

    나오면 무슨 직업갖나요?

  • 15. ...

    '20.8.10 3:34 AM (61.253.xxx.240)

    보통 의대도 생물 화학하는데 서울대에서도 물리를 하는 학생이 좋고 잘하는 학생을 좋아한다고 하던걸요.

    서울대가 그러면 다른 대학도 비슷하다고 보는게 좋다고.
    그럼 공대는 당연히 물리가 포함이겠죠.

    화학은 안해도 물리는 해야하는 분위기에요.

  • 16. ...

    '20.8.10 7:07 AM (116.121.xxx.161)

    학원 설명회에서 말했어요
    공대 가려면 이제 물리는 꼭 선택해야 된답니다.

  • 17. 대학생맘

    '20.8.10 8:44 AM (175.213.xxx.82)

    물리1 물리2 고급물리 까지 했는데 고등때 내신은 힘들었지만 그 덕에 논술로 대학 잘가고 대학 가서도 학점도 좋아요. 고등때 힘들게 물리 공부 한거 참 잘했다 싶어요.

  • 18. 물2

    '20.8.10 8:47 AM (112.148.xxx.92)

    까지 하고 수능도 물리까지 본 딸아이 최상위권 공대 컴공 갔는데 너무 힘들어했어요. 수물은 과고,영재고생 못이긴다고...일반고인데 물1도 선택안했다면 공대 교수들이 좋아할리 없어요. 공대는 수학 물리가 다에요.

  • 19.

    '20.8.10 9:01 AM (210.217.xxx.103)

    화공 가려면 무조건 물리 해야 해요.
    화공 나와 갈 곳 많아요.
    근데 물2 같은 거 선택하는 애들 적으면 절대평가 되는 인원수 있을텐데

  • 20. dlfjs

    '20.8.10 11:50 AM (125.177.xxx.43)

    들어가는건 되는데 가서ㅜ힘들어요
    미리 공부해야죠

  • 컴퓨터공...
    심지어 문과대학에 편성하는 대학도 많으니. 이름에서 원래는 하드웨어도 아우를 것 같지만, 대부분(사실상 학국 대학은 전부)은 소프트웨어만 하니까요.
    하드웨어하는 경우는 전자전기컴퓨터공학 등 전자나 전기란 이름이 들어가고 이건 저 아래 설명할 전자전기 계열에서 다시 얘기하겠습니다.

    1차 벽 등장
    학교마다 다르지만 여기서부터 1학년 두 학기 일반수학, 일반물리, 2학년 두 학기 공업수학을 기본적으로 깔고 갑니다. ^^;
    1학년 두 학기 일반수학이란 고교 미적분학의 심화라고 보면 되고, 1학년 두 학기 일반물리는 고교 물리 2의 심화라고 이해하시면 될 거고, 공업수학은 수학 전반에서 공학 분야에 쓰일만한 것들이 나옵니다.

    생명공학> 환경공학 > 산업공학... 이 정도가 그나마 관련도가 낮은 것이고,
    생명공학은 1학년 때 일반수학[보통 미적분학], 일반물리를 기본으로 배우지만 잘 피해다니면 그 후 많이 필요치는 않음.
    환경공학 또한 잘 피해다니면 비슷함. 그러나 제대로 배우면 결코 만만치 않지만요.
    산업공학은 기본적으로야 생명공학, 환경공학보다도 더 물리, 수학과 관련도가 낮지만 문제는 이 분야가 상당한 통계, 즉 확률과 통계를 기초로 하는 분야라는 것이고 그게 바로 이 분야 출신자를 기업에서 쓰려고 하는 이유임. 어찌보면 경영경제의 수학적인 부분과 통하는 부분이 있고, 이 확률 분야는 전자전기 분야에서 통신공학의 기초일 정도로 좀 난이도가 있음.

    2차 벽 등장

    화학공학은 다른 공학 쪽에서 좀 덜 배우는 물리화학, 유체역학, 열역학을 배우지만 비교적(?) 낮은 편이고,
    (제대로 배우려면 물리학과 못지 않지만, 피해다니면 1학년 때 일반수학, 일반물리 이후에는 물리화학 정도가 피치못할 정도가 유체역학과 열역학을 추가로 배운다는 것 정도에서 그칩(?)니다.)
    학과명에 재료, 소재 들어가면 거의 화학공학의 방계 학과입니다.

    건축공학은 생각보다 물리, 수학이 많지만 버틸 수 있을 여지는 있고, (하하하... 이것은 광인의 웃음)
    토목공, 조경학과는 건축공학의 방계 학과예요.

    자, 여기서 3차 마의 벽이 등장

    기계로 오면 아무리 과목을 피해다녀도 힘들 것이고, (여기서부턴 물리나 수학 싫어하면서 버틸 수 있는 수준이 결코 아님. 결코 선반으로 금속 깍는 것 같은 거 배우는 학과가 아님.)
    선박공, 조선공은 기계공학의 방계학과라고 보면 되고요.

    원자핵공, 원자력공
    물리학과에서 꼭 배워야 하는 전자기학과 현대물리를 베이스로 깔고 갑니다.
    물리학과의 핵물리 분야가 독립한 거라고 해도 좋을만큼 더 물리적이고 어려울 수도 있는 학과이긴 하나, 실무적인 쪽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니 물리학과보다는 덜 물리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공대에서 공학으로 포장할 뿐, 다른 공학과 물리학과와의 사이에서 차라리 물리학과에 더 가까운 공학이 있으니...
    아니, 물리학과와 뭐가 다른지를 찾는 게 더 빠른 학과가 있는데...
    마지막 벽인지도 헷갈리는... 끝판왕 등장

    전자전기 계열로 오면 그냥 물리학과와 같은 수준.
    전자제품, 휴대폰, 컴퓨터, TV 이런 거 생각하지만, 이 학과는 그냥 그 자체가 물리와 수학임.
    물론 전자전기에서도 수학, 물리를 못해도 별 문제없는, 교수가 한숨쉬며 교사 수준으로 가르칠 수 밖에 없는 몇 몇 하위권 대학이 있긴 합니다만...

    전자, 전기, 통신, 반도체, 제어, 계측, 전파, 디스플레이, 전력 중에서 전자전기 또는 비슷한 이름 없다고, 꽤 많이 보이는 학과인데도 통신, 반도체, 제어 또는 제어계측이 전자전기가 아닌 줄 아는 사람도 있던데, 이들은 모두 그냥 같은 학과임.
    또한 전자전기컴퓨터 같은 이름에서 컴퓨터가 들어간다고 나는 소프트웨어를 위주로 하고 하드웨어도 약간 같이 배우고 싶다는 생각으로 선택하면 안 됩니다.
    실제로 전자전기 계열에서 소프트웨어로 진출하는 사람도 있지만, 커리큘럼의 90% 이상 하드웨어를 배우므로 학부 성적이 망하게 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에 관심이 있다면 전자전기란 이름이 붙지 않는 그냥 컴퓨터공학을 가야 합니다.
    전자전기컴퓨터 학부 같은 이름은 전자전기 계열에서 있어보이려고 컴퓨터를 학과 이름에 넣었을 뿐입니다.
    물론 컴퓨터 하드웨어를 만드는 사람들이야 당연히 전자전기 계열 전공한 사람들이고 전자전기 계열에서도 소프트웨어 전공한 교수나 소프트웨어만 하는 연구실이나 대학원생도 많습니다.

    사람들이 글쓴이에게 너무 겁을 준 것 같지만, 경험적으로 보면 화학공학, 건축공학까지는 수학, 물리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학생도 적응하는 경우를 꽤 보았습니다.
    그러나 기계부터는 적극 뜯어말리겠습니다.

    위에 언급은 안 했지만 소방방재학과가 공대에 편성되는 경우가 드물게 있는데, 여긴 거의 기사 자격 취득을 위한 학과이고(일부 대학에서 현직 소방관 위탁 교육을 위한 학과로 일반인 입학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공대라기 보단 시설관리와 관련된 학과입니다.

    또한 하위권 대학에서 많은, 기사 취득하여 그 자격증 위주로 취업하는 정도가 중요한 분야에서는 공대라고 해도 학과와 크게 상관없이 할만 합니다.
    대표적으로 건축, 화공, 전자전기 계열에서 기사 자격증 취득해서 회사 취업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대학은 아예 교수들이 쉽게 가르치고, 고교 수학도 힘들어하던 사람도 괜찮은 학점으로 졸업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