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중소기업 비율 - daegieob jungsogieob biyul

대기업 중소기업 비율 - daegieob jungsogieob biyul

[사진=중기부]

국내 기업의 99.9%, 기업 종사자의 82% 이상이 중소기업인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 10곳 중 9곳 정도는 개인기업이고, 전체 중소기업의 절반 이상은 수도권(서울‧인천‧경기)에 소재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28일 공표한 2019년 기준 중소기업 기본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688만8000개, 중소기업 종사자는 1744만명, 매출액은 2732조1000억원으로 파악됐다.

중소기업 수는 국내 기업의 99.9%, 종사자는 82.9%, 매출은 48.7%를 차지했다.

중소기업 수는 전년(2018년)과 비교해 3.8% 증가했고, 종사자와 매출액도 각각 2%, 2.6% 늘었다.

관련기사

  • ​정부, 'SW제값 받기' 환경 조성 주력한다
  • ​중기부, 미래차 경쟁력 강화 위해 업계와 머리 맞대

업종별로 도‧소매업이 166만1000개로 전체의 24.1%를 차지해 가장 높았다. 부동산업(116만7000개, 비중 16.9%)과 숙박‧음식점업(81만5000개, 11.8%)이 뒤를 이었다.

종사자는 제조업이 339만4000명(19.5%)으로 가장 많았다. 도‧소매업은 328만7000명(18.8%), 숙박‧음식점업은 183만1000명(10.5%)이다. 세 업종이 전체 종사자의 절반 가량인 48.8%를 차지한다.

매출액은 도‧소매업 910조1000억원(33.3%), 제조업 750조3000억원(27.5%), 건설업 307조6000억원(11.3%) 순이다.

수도권 소재 중소기업 수는 353만4000개로 전체 기업의 51.3%다. 전년보다 0.3%포인트 증가했다. 수도권 소재 중소기업 종사자는 940만6000명으로 전체 기업의 53.9%이지만, 전년과 비교하면 0.1%포인트 줄었다.

수도권에 있는 중소기업의 매출액은 1590조3000억원으로 전체 기업의 58.2%를 차지했다. 전년 대비 0.1%포인트 감소했다.

중소기업 10곳 중 9곳(88.3%) 정도는 개인기업이고, 나머지는 법인기업 형태다. 종사자 수는 개인기업이 57.1%, 매출액은 34%다.

7년 이상인 기업은 276만6000개(40.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3년 미만 창업기업이 249만2000개로 두 번째(36.2%)로 높았다.

강호정 중기부 통계분석과장은 “앞으로도 중소기업 기본통계가 정책 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사항을 발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추천해요0

대기업 중소기업 비율 - daegieob jungsogieob biyul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중소기업 근로자 가운데 비정규직 비중이 40%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종사자 300명 미만인 중소기업의 올해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767만 9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전체 중소기업 근로자에서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41.1%로 2년 연속 40%를 웃돌았습니다.

반면 대기업은 15.6%로,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비정규직 비중 격차는 25.5%포인트였습니다.

격차는 관련 통계를 작성한 지난 2003년 이후 가장 컸습니다.

최근 경기 둔화가 본격화하면서 경영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중소기업들이 정규직보단 비정규직 채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YTN 조태현 ()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소상공인 93.7% 소기업 4.8% 중기업 1.5% …국내 中企 630만 4313개 1599만명 종사

대기업 중소기업 비율 - daegieob jungsogieob biyul

대기업 중소기업 비율 - daegieob jungsogieob biyul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630만개로 전체 기업의 99.9%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소기업 종사자 수는 1599만명으로 전체 기업 종사자의 82.9%나 됐다.

12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처음 내놓은 ‘기업 단위 중소기업 기본통계’에 따르면 중소기업이 한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여전히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업 단위 통계의 경우 기존 ‘사업체 단위’ 통계와 달리 물리적 사업장이 없다는 이유로 통계표에서 빠졌던 전자상거래업, 부동산업을 포함하는 한편 대기업 소속 중소 사업장들을 제외해 현장 상황을 더 정확하게 반영한다.

새 통계에 따르면 국내 중소기업 수는 630만 4313개로 기존 통계로 알려진 373만개보다 크게 늘었다. 중소기업 종사자 수는 2017년 기준 1599만명으로 전체 기업 종사자 1929만명의 82.9%로 파악됐다. 소상공인·자영업자 비중이 해외 선진국보다 훨씬 높은 상황이 통계에 그대로 반영된 셈이다. 중소기업 종사자 비중에 대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DC) 통계를 보면 프랑스, 독일, 영국 등 유럽 국가의 경우 60%대에 형성돼 있고, 일본(53.5%), 미국(42.4%)은 더 낮은 수치를 보인다.

기업 규모별로는 소상공인이 590만 5338개(93.7%)로 가장 많고, 소기업 30만 1143개(4.8%), 중기업이 9만 3031개(1.5%) 순이었다. 일자리 기여도의 잣대가 되는 규모별 종사자를 봐도 소상공인이 역시 852만 9844명(44.2%)로 거의 절반을 차지했고, 소기업 386만 2526명(20.0%), 중기업이 359만 9040명(18.7%)으로 뒤를 따랐다. 소기업은 매출 규모가 10억~120억원 이하, 소상공인은 소기업에서 상시근로자수(제조업 기준)가 10명 미만인 곳이다.

업종별 종사자 수는 역시 제조업이 318만 1166명(19.9%)으로 가장 많았다. 이 밖에 도소매업(310만명), 건설업(170만명), 숙박·음식업(162만명)에 종사자들이 몰려 있었다. 정연호 중기부 통계분석과장은 “기존 통계와 달리 납세 자료 등을 통해 간판 없이 이뤄지는 부동산임대업, 가구 내 생산활동을 모두 포함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한 통계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세종 조용철 기자

전산업 기준(전체)

전산업기준(전체) 통계 그래프 - 기업체수 기준으로 중소기업, 기타

대기업 중소기업 비율 - daegieob jungsogieob biyul

전산업기준(전체) 통계 그래프 - 종사자수(단위:천) 기준으로 대기업, 중소기업

대기업 중소기업 비율 - daegieob jungsogieob biyul

연도별

엑셀 내려받기

주1) 통계청 전국기업체조사(경제총조사) 재편·가공

주2) 2015년부터 중소기업 기준변경(종사자 → 매출액)

전산업 기준(소상공인)

전산업기준(소상공인) 통계 그래프 - 기업체수 기준으로 전체, 소상공인

대기업 중소기업 비율 - daegieob jungsogieob biyul

전산업기준(소상공인) 통계 그래프 - 종사자수 기준으로 전체, 소상공인

대기업 중소기업 비율 - daegieob jungsogieob biyul

연도별

엑셀 내려받기

주1) 통계청 전국기업체조사(경제총조사) 재편·가공

주2) 2015년부터 중소기업 기준변경(종사자 → 매출액)

중소 제조업 기준

중소제조업기준 통계 그래프 - 기업체수 기준으로 중소기업, 대기업

대기업 중소기업 비율 - daegieob jungsogieob biyul

중소제조업기준 통계 그래프 - 종사자수 기준으로 중소기업, 대기업

대기업 중소기업 비율 - daegieob jungsogieob biyul

중소제조업기준 통계 그래프 - 생산액 기준으로 중소기업, 대기업

대기업 중소기업 비율 - daegieob jungsogieob biyul

중소제조업기준 통계 그래프 - 부가가치 기준으로 중소기업, 대기업

대기업 중소기업 비율 - daegieob jungsogieob biyul

연도별

엑셀 내려받기

주1) 통계청 전국기업체조사(경제총조사) 재편·가공

주2) 2015년부터 중소기업 기준변경(종사자 → 매출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