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과 관련된 말 - kkochgwa gwanlyeondoen mal

안녕하세요. 러비Duck입니다! 오늘은 어감도 좋고 뜻도 좋은 순 우리말을 알아봤어요.

꽃과 관련된 말 - kkochgwa gwanlyeondoen mal

순 우리말들을 찾다 보니 평소에 들어본 적이 많이 없던 말들이 많더라구요. 평소에 제가 외래어들을 더 익숙하게 사용해왔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그럼 바로 예쁜 순 우리말들을 알아보러 갈게요. 꽃이 단어에 들어가거나 꽃과 관련된 순 우리말들입니다. 

꽃과 관련된 말 - kkochgwa gwanlyeondoen mal

꽃구름 💐

= "여러가지 빛깔을 띤 아름다운 구름"

사실 구름의 색깔은 흰색이지만 저녁노을이 질 때 빛에 의해 알록달록 예쁘게 물들어 보이는 구름을 말하는 것 같아요. 해가 질 때 즈음이면 구름이 분홍색, 보라색, 주황색, 노란색 등의 색으로 예쁘게 물든 하늘을 자주 볼 수 있어요. 그래서 하늘을 바라보며 너무 예뻐서 놀랄 때가 많은데 그런 구름들을 뜻하는 순 우리말이 있었다니! 꽃처럼 알록달록 예쁜 구름들을 나타내는 "꽃구름"이란 단어 예쁘네요.

꽃가람 💦

= "꽃이 있는 강"

꽃이 있는 강이라니.. 꽃잎이 강물따라 둥둥 떠내려오는 느낌이 드네요. 아니면 꽃이 예쁘게 피어있는 강이란 뜻인가 봐요. 여기서 "가람"은 강의 순 우리말인 것을 알 수 있어요. 강이란 단어를 우리말로 표현하니 느낌이 새롭고 단어에서부터 잔잔한 느낌이 들어요.

꽃그늘 🥀

=  "꽃나무의 그늘"

꽃이 피는 나무에 의해 생기는 그늘을 이르는 말입니다. 다 같은 나무의 그늘이라도 꽃이 핀 나무의 그늘에 있으면 향기로운 꽃향기가 은은히 나는 그늘 아래에 있는 듯한 느낌이네요. 

꽃보라 🌸

= "떨어져서 바람에 날리는 많은 꽃잎들을 이르는 말"

봄에 바람이 불면 벚꽃잎이 휘날리는 것을 말하는 것 같네요. 눈이 휘몰아쳐 내리는 것을 '눈보라'라고 한다면 꽃잎이 바람에 날리는 것은 꽃보라가 되겠네요. 순우리말은 단어를 듣기만 해도 그 상황이 상상이 되는 힘이 있는 것 같아요. 

꽃내음 🌼

= "꽃의 냄새"

내음이라는 단어는 코로 맡을 수 있는 나쁘지 않거나 향기로운 기운을 말해요. 꽃내음이라고 하면 꽃의 향기로운 냄새를 말하는 것이네요. 뭔가 시에서 자주 쓰일 것 같은 단어입니다!

그럼 여기까지 꽃과 관련된 순우리말이었습니다! 순 우리말 공부 끝!

속담 죽은 나무에 꽃이 핀다 → 죽다1

1.
구 보잘것없던 집안에 영화로운 일이 생기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구 아버지를 일찍 여읜 고아가 잘되어 집안이 번성하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구 다 망하여 버렸던 것이 다시 소생하여 활기를 띠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꽃 없는 나비 → 꽃1

구 쓸모없고 보람 없게 된 처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꽃 본 나비 (물 본 기러기) → 꽃1

1.
구 남녀 간에 정이 깊어 떨어지지 못하는 즐거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구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서 기뻐하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호박꽃도 꽃이냐 → 호박꽃

구 예쁘지 않은 여자는 여자로 볼 수 없음을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온실의 꽃 → 온실

북한어 ‘온실 속의 화초’의 북한 관용구.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꽃이 시들면 오던 나비도 안 온다 → 꽃1

구 사람이 세도가 좋을 때는 늘 찾아오다가 그 처지가 보잘것없게 되면 찾아오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장미꽃에는 가시가 있다 → 장미꽃

구 사람이 겉으로 좋고 훌륭하여 보여도 남을 해롭게 할 수 있는 요소를 가지고 있어 상대편이 해를 입을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진 꽃은 또 피지만 꺾인 꽃은 다시 피지 못한다 → 지다2

구 아무리 형편이 어렵더라도 뜻을 굳게 가지고 굽히지 아니하여야 끝내 성공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꽃 떨어진 화분 → 꽃1

북한어 한창때를 지나 쓸모없게 되어 버린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봄꽃도 한때 → 봄꽃

구 부귀영화란 일시적인 것이어서 그 한때가 지나면 그만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비단 우에 꽃 → 비단3

북한어 ‘밥 위에 떡’의 북한 속담.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피는 꽃도 한때다 → 피다1

북한어 한창 성한 것도 금방 쇠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물 본 기러기 꽃 본 나비 → 물1

1.
구 바라던 바를 이루어 득의양양함을 이르는 말.

2.
구 마음에 드는 이성에게 매우 마음이 쏠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열흘 붉은 꽃이 없다 → 열흘

구 부귀영화란 일시적인 것이어서 그 한때가 지나면 그만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꽃 본 나비 담 넘어가랴 → 꽃1

구 그리운 사람을 본 이가 그대로 지나쳐 가 버릴 리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고목에 꽃이 핀다 → 고목4

구 보잘것없던 집안에 영화로운 일이 생기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고목에 꽃이 피랴 → 고목4

구 별로 기대할 것이 없는 것에 희망을 걸고 있을 필요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꽃 본 나비 불을 헤아리랴 → 꽃1

구 남녀 간의 정이 깊으면 죽음을 무릅쓰고서라도 찾아가서 함께 사랑을 나눔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향기가 있는 꽃은 가시 돋친 나무에 핀다 → 향기1

1.
북한어 실속 있고 가치 있는 것이 겉보기에는 초라하거나 나빠 보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북한어 속이 훌륭한 것은 자신을 보호할 수단을 가지고 있다는 말.

3.
북한어 여자의 교태 속에 음흉한 계교가 숨어 있음을 경계하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꽃이 먼저 피고 열매는 나중 맺는다 → 꽃1

1.
북한어 먼저 원인이 있어야 거기에 따르는 결과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북한어 딸을 먼저 낳고 다음에 아들을 낳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고목에도 꽃을 피운다 → 고목4

구 몸은 늙었어도 계속 나라와 사회의 중요한 사람으로서 값있게 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꽃이리에 바람꽃 핀다 → 꽃이리

북한어 꽃들이 한창 피어나는 봄철에 바람이 몹시 부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마른나무에 꽃이 피랴 → 마른나무

구 별로 기대할 것이 없는 것에 희망을 걸고 있을 필요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산소 등에 꽃이 피었다 → 산소1

구 조상의 무덤 위에 꽃이 피었다는 뜻으로, 자손이 번성하고 부귀공명하게 되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가시 돋은 꽃이 더 곱다 → 가시1

북한어 그저 순하고 얌전하기만 한 여자보다도 성미가 만만찮은 여자가 더 좋게 느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듣기 좋은 꽃노래도 한두 번이지 → 듣다1

구 아무리 좋은 일이라도 여러 번 되풀이하여 대하게 되면 싫어진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열매 될 꽃은 첫 삼월부터 안다 → 열매1

구 잘될 일은 처음 그 기미부터 좋음을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병풍에 그린 꽃이 향기 나랴 → 병풍

북한어 [같은 속담] 병풍에 그린 닭이 울가.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오뉴월 장마에 호박꽃 떨어지듯 → 오뉴월

북한어 맥없이 떨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절로 죽은 고목(枯木)에 꽃 피거든 → 절로1

구 사람이 죽은 뒤 무덤 위에 소나무가 나서 노송이 된다는 뜻으로, 기약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정성이 지극하면 동지섣달에도 꽃이 핀다 → 정성11

구 정성을 다하면 어려운 일도 해낼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처가집 세배는 살구꽃 피어서 간다 → 처갓집

처갓집에 대한 인사는 자꾸 미루게 된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지성이 지극하면 돌에도 꽃이 핀다 → 지성4

북한어 무엇이나 정성을 다하면 이 세상에 못 해낼 일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잎은 잎대로 가고 꽃은 꽃대로 간다 → 잎1

북한어 모든 것은 처지나 특성이 비슷한 것끼리 모이게 마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효성이 지극하면 돌 위에 꽃이 핀다 → 효성1

구 효성이 극진하면 어떤 조건에서도 자식 된 도리를 다할 수 있다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사막에 꽃씨를 뿌린다고 꽃을 피울가 → 사막3

북한어 전혀 가능성이 없는 것을 하려고 애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장미꽃이 곱다고 함부로 다치지 말라 → 장미꽃

북한어 아름다운 얼굴에 반하여 지각없이 행동하다가는 낭패를 볼 수 있으니 조심하라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속담 꽃이라도 십일홍(十日紅)이 되면 오던 봉접도 아니 온다 → 꽃1

구 사람이 세도가 좋을 때는 늘 찾아오다가 그 처지가 보잘것없게 되면 찾아오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 꽃이 피다 → 꽃1

(일이나 현상이) 무르익거나 번영하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꽃은 꽃이라도 호박꽃이라 → 꽃1

못생긴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관용구 꽃을 피우다 → 꽃1

(일이나 현상이) 무르익게 되거나 번성하게 하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관용구 꽃을 피우다 → 꽃1

(일이나 현상이) 무르익게 되거나 번성하게 하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꽃 피자 임 오신다 → 꽃1

때를 맞추어 좋은 일이 계속된다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홍두깨에 꽃이 핀다 → 홍두깨

뜻밖에 좋은 일이 생긴 경우를 이르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꽃은 목화가 제일이다 → 꽃1

겉치레보다는 실속이 중요하다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호박꽃도 꽃이라니까 오는 나비 괄시한다 → 호박꽃

1.
못난 여자에게 구애를 했다가 오히려 거절을 당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미운 사람을 잘 대접해 주었더니 우쭐하여 남을 하찮게 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꽃이 좋아야〔고와야〕 나비가 모인다 → 꽃1

1.
상품이 좋아야 손님이 많다는 말.

2.
자신이 완전해야 좋은 상대를 구할 수 있다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절로 죽은 고목에 꽃 피거든 → 절로2

도저히 이루어질 수 없는 일이라는 말. (=금강산 상상봉에 물밀어 배 띄워 평지 되거든, 기암절벽 천층석이 눈비 맞아 썩어지거든.)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십 년 세도 없고 열흘 붉은 꽃 없다 → 십

세도나 부귀영화는 오래 지속되지 못한다는 말. (=삼대 거지 없고 삼대 부자 없다, 삼대 정승이 없고 삼대 거지가 없다, 십 년 세도 없고 오 년 권문 없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처갓집 세배는 살구꽃 피어서 간다 → 처갓집

처가에 대한 인사는 자꾸 미루게 된다는 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꽃이라도 십일홍(十日紅)이 되면 오던 봉접(蜂蝶)도 아니 온다 → 꽃1

세도가 좋을 때는 늘 찾아오던 사람도 그 세도가 다하고 나면 찾아오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꽃이 시들면 오던 나비도 안 온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담 꽃 피자 님 온다

때맞추어 반가운 일이 생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속담 봄도 한철 꽃도 한철 → 봄

청춘은 누구에게나 한때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봄꽃도 한때’

우리말샘

속담 볶은 콩에 꽃이 피랴 → 볶다

불에다 볶은 콩은 싹이 날 리가 없다는 뜻으로, 아주 가망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볶은 콩에 싹이 날까’

우리말샘

속담 남의 꽃은 붉게 보인다

북한어 ‘남의 손의 떡이 더 커 보이고 남이 잡은 일감이 더 헐어 보인다’의 북한 속담.

우리말샘

속담 꽃이 좋아야[고와야] 나비가 모인다

자기는 부족하고 불완전하면서 남의 완전한 것만을 구하는 것은 부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내 딸이 고와야 사위를 고르지’ ‘내 딸이 고와야 나비가 모인다’

우리말샘

속담 십 년 세도(勢道) 없고 열흘 붉은 꽃 없다

부귀영화가 오래 계속되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