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오피아 커피 맛 - etiopia keopi mas

에티오피아커피 시다모(Sidamo)는 재배 고도 1,500~2,000미터의 높은 시다모 지역에서 나는 커피를 말합니다. 높은 지대의 커피는 상대적으로 천천히 자라며 영양분을 많이 흡수하여 밀도가 높은 특성이 있습니다. 예가체프와 비슷하지만 다른 맛이 느껴지는 커피입니다. 에티오피아 커피의 특징 중 하나가 강한 신맛인데 시다모는 산미가 덜 한 커피 중 하나입니다. 또 세계의 여느 커피와도 비교할 수 없게 카페인 함량이 적어 저녁에도 부담 없이 마실 수 있는 커피입니다. 오늘은 시다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에티오피아 커피원두 시다모의 토양 특성

커피나무를 바나나 나무 사이사이에 심어 작물을 재배하는 쉐도우 기법을 사용합니다. 바나나 나무의 잎이 커피나무에 그늘을 만들어 커피가 자라는데 최고의 조건을 만들어 주기 위함입니다. 그늘을 형성하면 강한 햇빛을 막아주고, 곰팡이를 방지와 함께 토양의 침식을 막아주어 잡초의 성장을 막아 줍니다. 이렇게 비옥한 토양을 만들고 커피나무 사이의 간격을 넓혀 통풍이 잘되게 만들어 줍니다.

에티오피아 커피원두 시다모의 맛

시다모는 레드와인과 같은 농후한 산미가 나면서 적절한 단맛 함께 있어 예가체프의 산뜻한 향미와는 다른 맛을 냅니다. 예가체프의 산미가 너무 강해 마시기 힘들다는 사람들이 선택하기 좋습니다. 시다모가 남성, 예가체프가 여성으로 비유되는 데는 산미의 차이 때문입니다. 하지만 레몬의 산미도 함께 있어 와인의 씁쓸한 맛을 덜어줍니다. 바디감과 쓴맛은 중간 정도입니다. 또한 코코아의 단맛과 고소한 맛이 함께 나기도 합니다. 사람에 따라서는 시럽이나 설탕을 넣은 맛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이 모든 맛이 어우러져 풍부한 풍미를 자랑합니다.

에티오피아 커피원두 시다모의 여러 가지 추출법

블랜딩 없이 싱글 오리진으로만 마신다면 핸드드립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그러나 드리퍼가 없는 경우는 에스프레소 머신이나 모카포트를 이용해 추출합니다. 진하게 내리거나 연하게 내려도 풍부한 맛을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차갑게 마서도 뜨겁게 마셔도 꽃과 과일 향이 진하게 납니다.

에티오피아 커피원두 시다모의 배전 정도

시다모는 단맛과 산미의 적절한 조화를 위해 하이와 시티 정도로 로스팅하는데 산미를 극대화하기 위해 미디엄으로 볶기도 합니다. 특히 시다모의 농후한 산미과 레드와인과 같은 맛을 위해서는 하이 시티 정도로 볶는 것이 가장 잘 맛을 표현할 수가 있습니다. 풀 시티 이상으로 강배전일 때는 산미는 없비만 달콤한 맛이 더 납니다.

에티오피아 커피원두 시다모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꽃향기 가득한 향과 와인과 같은 쌉쌀함에 단맛까지 나는 커피입니다. 카페인으로 커피를 마시지 못하거나 저녁에 마시고 싶은데 수면 걱정인 사람들에게 어울립니다.

카라멜 시럽을 넣은 달콤한 카라멜마끼아또, 달짝지근한 크림을 얹은 아인슈페너, 향긋한 바닐라 시럽과 우유를 더한 바닐라 라떼 등 그 종류가 무척이나 다양한데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것은 역시 ‘기본템’ 아메리카노다.

잘 모르고 마시면 그냥 쓰고 검은 물이지만,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 특유의 향긋함과 고소함, 쌉싸름함에 푹 빠지게 된다.

여기서 더 나아가면 원두 별로 다른 맛의 차이가 느껴지면서 선호도가 생긴다. 예컨대 너무 쓴맛은 별로라거나, 시큼한 맛이 좋다는 식이다.

오늘 알쓸다정은 커피에 대한 애정이 샘솟는 분들에게 원두에 따른 맛을 소개해드린다.

■ 원두 맛을 결정하는 5가지            

에티오피아 커피 맛 - etiopia keopi mas
이 빨갛고 동그란 열매가 커피의 주재료인 원두를 씨앗으로 품고 잇는 커피체리다. [Pixabay / CC0 Creative Commons]

원두의 맛을 결정짓는 요소에는 향과 산도, 단맛, 쓴맛, 바디감의 5가지가 있다.

바디감은 조금 생소한 개념일 수 있겠는데, 이는 커피를 머금었을 때 입안에 느껴지는 밀도감과 중량감을 뜻한다. 치환해보면 물은 바디감이 적고 우유는 바디감이 많다고 표현할 수 있다.

커피의 주재료인 원두는 커피체리의 씨앗을 볶은 것이다. 농산물인 만큼 재배환경이나 기법, 품종에 따라 다른 맛이 날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의 쌀과 동남아의 쌀 맛에 큰 차이가 난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듯하다.

잘 보관하고 제대로 볶는다는 조건하에서, 원두는 종류별로 분명하고 고유한 매력을 지니고 있다.

쌉싸름한 맛을 좋아한다거나 가볍고 달콤한 맛을 좋아한다는 식으로 선호도가 분명하다면 원두 종류에 따른 맛과 향 차이를 숙지해 두는 것이 좋겠다.

■ 케냐 AA            

에티오피아 커피 맛 - etiopia keopi mas
케냐 원두는 '밸런스'가 뛰어나다는 게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이다. [Pixabay / CC0 Creative Commons]

해발 1500m를 훌쩍 넘어가는 케냐의 자연환경은 커피를 생산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케냐의 커피는 향이 풍부하며 전체적인 맛의 밸런스가 뛰어나기로 유명하다. 그중에서도 케냐 AA는 그 지역에서 가장 크기가 큰 최고급 원두다. 묵직한 바디감과 은근한 과일 향, 적당한 신맛이 잘 어우러져 있다.

워낙 대중적인 맛을 가지고 있어 커피 입문자들에게 주로 추천되며 카페에서 가장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원두 중 하나다.

강하게 볶으면 감미로운 향과 과일의 단맛, 쌉쌀한 맛을 조화롭게 느낄 수 있다.

■ 에티오피아 예가체프            

에티오피아 커피 맛 - etiopia keopi mas
흔히들 에티오피아 예가체프에서 군고구마 향이 난다고 하더라. [Pixabay / CC0 Creative Commons]

에티오피아 지역의 고지대에서 재배되는 예가체프는 베리류의 과일 향과 꽃향기가 나는 독특한 원두다.

달콤한 맛을 베이스로 느껴지는 강한 산도로 마니아 층에게 인기가 높다. 다만 평소 커피를 즐겨 마시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이 특유의 산미가 다소 부담스러울 수 있다.

이 원두에서만 나는 고유의 향미도 진입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는데, 흔히들 군고구마와 비슷한 향이 난다고 말한다.

카페인이 적은 편이라 늦은 오후에 부담 없이 마시기 좋다.

■ 콜롬비아 수프레모            

에티오피아 커피 맛 - etiopia keopi mas
콜롬비아 수프레모는 아주 부드러운 '마일드 커피'다. [Pixabay / CC0 Creative Commons]

이 원두의 특징을 한 마디로 정의하자면 ‘부드러움’이라고 할 수 있다.

마일드 커피의 대명사인 콜롬비아 수프레모는 무난한 맛이 가장 큰 강점이다. 케냐 AA와 함께 대중성에서 손꼽히는 원두다.

수프레모는 커피콩 크기가 17 이상인 콜롬피아 스페셜티 커피를 뜻한다. 부드러운 맛과 함께 감미로운 아로마 향과 독특한 호두 향을 가지고 있다.

산미가 적고 바디감과 향, 단맛이 풍부하므로 신맛을 싫어한다면 콜롬비아 수프레모를 선택해보자.

■ 인도네시아 만델링            

에티오피아 커피 맛 - etiopia keopi mas
인도네시아 만델링에서는 씁쓸하면서도 고소하고 단 초콜릿 향이 난다. [Pixabay / CC0 Creative Commons]

풍부한 바디감과 달콤 쌉싸름한 맛을 가진 인도네시아 만델링은 콜롬비아 수프레모와 달리 거친 느낌이 강하다.

입에 머금었을 때 묵직한 느낌을 주며 씁쓸한 목넘김과 함께 약한 산미를 남긴다. 신맛은 금방 사라지며 고소하고 달콤한 초콜릿 향이 이를 대신한다.

입안을 꽉 채우는 녹진한 농도와 오래도록 남는 뒷맛의 여운 때문에 마니아 층이 두텁다. 평소에 대중적인 맛보다 독특한 맛을 선호한다면 인도네시아 만델링에 도전해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커피원두의 종류 중 에티오피아커피(Ethiopia Coffee)? 본문

RedCoffee 2020. 1. 3. 21:08

에티오피아 커피 맛 - etiopia keopi mas

우리나라 사람들 중 여성들이 가장 좋아하는 커피 종류 중 하나 인 에티오피아 원두커피

" 에티오피아 원두커피를 알아보자 "

커피가 정확하게 어떻게 유래되었는지 기록은 없다고 한다. 

하지만 에티오피아의 카파에서 시작 되었다는 것은 증명이 되었다.

또 다른 이들은 예멘에서 시작되었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

에티오피아 커피는 화려하며 독특하다 인구 1억명이 넘는데 많은 인구가

커피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아프리카 동쪽에 위치한 

나라로 남쪽에는 또 다른 커피 유명지 케냐가 자리 잡고 있다.

에티오피아 커피 맛 - etiopia keopi mas

에티오피아는 세계적인 커피 생산국이지만 대규모 농장에서 생산 되는 것이 아니라 산속에서 자라는 커피 나무에서 

채취해서 가공하는 방식을 주로 하는데 산속이다 보니 비료도 안주고 농약도 치지 않아 자연스럽게 

유기농 커피를  생산한다. 

에티오피아 커피 맛 - etiopia keopi mas

"에티오커피 커피 종류"

에티오피아는 아라비카 커피의 원산지로 지역에 따라  8가지 종류의 커피가 있다 그중 크게

 예가체프, 시다모, 하라 지역의 커피가 대표적이며 유명하다.

한번쯤 인터넷 쇼핑몰에서 커피를 사다 보면 에티오피아 예가체프 G1 이런식으로 파는것을 

볼수 있는데 앞부분의 예가체프는 지역명이고 G1는 결점두 개수에 따른 등급표시다 

에티오피아는 Grade 1~Grade8로 나누는데 G1은 결점두가 0~3개  G8은 Over 340개다.

에티오피아 커피 맛 - etiopia keopi mas

예가체프 - 커피의 귀부인이라고 불리고 있으며 온화한 산미 부드러운 바디감을 가지고 있으며  시트러스 향과 꽃향 레몬향도 난다.

시다모 - 고지대에서 재배되는 밀도가 높은 그린빈이다 고지대다 보니 천천히 자라면서 충분한 영양분을 흡수한다

 레드와인 같은 농밀한 산미와 오렌지 레몬의 산미도 갖고 있으면 밸런스가 아주 좋은 커피다 

하라(하라르)- 에티오피아의 축복이라고 칭하며 거친듯 중후한 향미를 가지며 와인 맛과 과실이 오묘한 

산뜻한 단맛과 흙냄새 등이 어우러진 최고의 커피로 평가 받는다 건조방식은 건식으로 가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