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금 차 뜻 - yang-geum cha tteus

■ 녹다운 수출 ( KNOCK DOWN ) ( 약어 : KD )  
완성차의 부품을 일부 분해하여 수출,수입하는 방식.
■ 녹다운 수출 ( KNOCK DOWN ) ( 약어 : KD ) 가(이) 사용된 다른 용어들

반제품 수출 ( SEMI KNOCK DOWN ) ( 약어 : SKD ) : 당사 완성차 조립용 부품을 현지조립공장에 반제품 형태로 수출하는 경우를 말한다. 현지공장에서 차량조립이 도장 → 의장 혹은 의장공장에 걸쳐서 이루어지는 형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차체부품의 공급단위는 조립된 상태(B.I.W) 또는 도장완료된 상태(Painted Body)이다.

완전분해 수출 ( COMPLETE KNOCK DOWN ) ( 약어 : CKD ) : 당사 완성차 조립용 부품을 현지공장에 완전 분해된 단위 (당사 납품 단위)로 수출하는 경우를 말한다. 현지공장에서 차량조립이 차체 → 도장 → 의장공장에 걸쳐서 이루어지는 형태를 의미한다. (단 End Item은 현지국가의 사정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

( DISASSEMBLY KNOCK DOWN ) ( 약어 : DKD ) : 특정국가의 완성차 고관세 정책에 대응키 위하여 완성차량을 일정수준 해체한후 수출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해체정도는 Partner사 요청에 의해 조정될수 있다. SKD형식과 유사하나 완성차를 해체,포장하는 방식으로 SKD와 구별하기 위해 용어를 제정함.

( KD QUALITY REPORT ) ( 약어 : KDQR ) : 불량품에 대한 내역 기록이며 대업체 Claim 제기 전에 해당 품질관리부문에서 작성한다.

■ 올툴 ( ALL TOOL ) 
생산에 필요한 재료, 조립설비(금형,지그)가 양산에서 사용할 것과 동일한 상태에서 제작된 부품생산.
■ 올툴 ( ALL TOOL )가(이) 사용된 다른 용어들
풀툴 ( FULL TOOL ) : 양산금형 및 양산라인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부품생산을 의미함.All Tool 조건에 추가로 작업자, 환경, 생산 공정조건 등이 양산과 동일한 상태에서 제작된 부품생산.

( P1 ) : 연구소 파일럿동에서 양산에 준하는 설비 및 금형 지그를 이용하여 처음 행하는 단계로 Main Body Ass'y의 착수 이후 의장조립 완료까지를 포함한다. 품질확보 계획에 따라 품질확인차(법규 인증차 일부 포함)를 조립하면서 품질문제, 작업성, 생산성 등을 확인하며 Body 부품과 의장부품의 Data를 수집하고 작업지도요원의 교육을 실시한다. 부품 투입조건은 양산금형(All Tool) 및 치수합격품(Dimension OK)이다.

■ 올툴 ( ALL TOOL )에 사용된 용어들
금형 ( DIE PERMANENT MOLD ) : 강제를 기계가공하여 만들며, 치수는 정확하지만 고용용합금에서는 침식되므로 주로 알미늄합금의 주형으로 이용하고 있다.

양산 ( MASS PRODUCTION ) ( 약어 : MP ) : 대량생산.

지그 ( JIG ) : 부품을 조립하는데 필요한 Tool. (주) Body 조립 Jig, 샤시 Sub Jig, 의장품 Sub Jig 등이 있다.

 개조차 ( FACE LIFT ) ( 약어 : F/L )  
기존차종의 Life Cycle내에서 차량의 이미지 및 상품성 개선을 위하여 모델 일부분(바디, 엔진, 샤시, 외장일부)을 개선 변경하여 개발하는 차종을 의미한다.
■ 개조차 ( FACE LIFT ) ( 약어 : F/L ) 가(이) 사용된 다른 용어들
상품개발표준일정 : 상품구상 단계, 상품기획 단계 및 양산준비 단계로 구분되는 상품개발 표준일정(신차/FMC, 파생차, 개조차) 및 이를 토대로 상품의 성격 및 사내 경영상황에 의하여 조정된 개발일정을 의미한다. 신차와 FMC의 개발 표준일정은 동일하며, 개조차의 경우는 변경범위에 따라 개발일정이 구분된다.

장기상품계획 ( LONG RANGE PRODUCT PLAN ) ( 약어 : LRPP ) : 장기 신제품 계획으로서, 향후 10년간의 신차종 개발 계획 및 개조차 개발 계획을 나타냄.

■ 개조차 ( FACE LIFT ) ( 약어 : F/L ) 에 사용된 용어들
상품성 : 상품성은 3가지로 분류되며 당사 상품성 척도는 10점법, Jury Rating을 적용함. 1)기본성능 : 동력성능, 제동성능, 조종안정성능, 운전성(Driveability) 2)부가기능 : 거주성, 승차감, 소음, 진동, 시인성 등 3)부가가치 : 미적향상, 품질감, 질감, 분위기, 색상, 음질 등의 Image Feeling.

차종 ( MODEL ) : 개발 목적과 개념, 기본구조가 상이한 차량의 상품 구분.

■ 선삭 ( LATHE TURNING ) 
선반을 사용해 절삭 가공하는 것을 선삭이라고 한다. 선삭에는 공구와 공작물의 배치에 따라 원통절삭, 정면절삭(홈절삭, 총형바이트절삭, 절단절삭), 테이퍼절삭, 나사절삭 등이 있어, 각종 가공이 가능하다.
■ M1 ( M1 ) 
연구소 파일럿동에서 사용한 설비 및 지그를 양산공장으로 이관하여 양산공장에서 오프라인 및 인라인 생산훈련을 통한 공정원의 작업 숙지 단계이다. 부품 투입조건은 P2 품확치 동일 수준으로 P2 품질수준을 확인하다.
■ M1 ( M1 )에 사용된 용어들
공정 ( PROCESS ) : 입력물을 출력물로 변환시키는 자원과 활동의 상호관계를 정한 것으로 부품입고에서 부터 제품생산, 출하, 서비스 까지 전분야별로 임무가 수행되는 단위 작업(구간).

양산 ( MASS PRODUCTION ) ( 약어 : MP ) : 대량생산.

지그 ( JIG ) : 부품을 조립하는데 필요한 Tool. (주) Body 조립 Jig, 샤시 Sub Jig, 의장품 Sub Jig 등이 있다.

( P2 ) : 연구소 파일럿동에서 P1에 적용한 부품 및 지그 설비의 문제점을 반영한 결과 확인과 미개선, 미완료된 문제점 개선 Data를 수집하는 단계로 작업지도요원의 반복 교육을 통해 작업자 지도 능력을 확보한다. 부품 투입조건은 양산공정(Full Tool), 치수합격품(Dimension OK), 신뢰성(ES, MS) 및 조립성(Function+FIT) 합격품이다.

 M2 ( M2 ) 
P1, P2 단계의 문제점, 대책, 조치결과를 최종 확인하는 단계로 완성차의 품질, 설비, 치구와 양산성을 최종적으로 확인함을 의미한다.
■ M2 ( M2 )가(이) 사용된 다른 용어들
! 자료가 없습니다.
■ M2 ( M2 )에 사용된 용어들
양산 ( MASS PRODUCTION ) ( 약어 : MP ) : 대량생산.

치구 : 제품의 제작에 필요한 지그와 고정구를 말하며 가공물을 고정시키고 위치를 결정해주는 역할.

( P1 ) : 연구소 파일럿동에서 양산에 준하는 설비 및 금형 지그를 이용하여 처음 행하는 단계로 Main Body Ass'y의 착수 이후 의장조립 완료까지를 포함한다. 품질확보 계획에 따라 품질확인차(법규 인증차 일부 포함)를 조립하면서 품질문제, 작업성, 생산성 등을 확인하며 Body 부품과 의장부품의 Data를 수집하고 작업지도요원의 교육을 실시한다. 부품 투입조건은 양산금형(All Tool) 및 치수합격품(Dimension OK)이다.

( P2 ) : 연구소 파일럿동에서 P1에 적용한 부품 및 지그 설비의 문제점을 반영한 결과 확인과 미개선, 미완료된 문제점 개선 Data를 수집하는 단계로 작업지도요원의 반복 교육을 통해 작업자 지도 능력을 확보한다. 부품 투입조건은 양산공정(Full Tool), 치수합격품(Dimension OK), 신뢰성(ES, MS) 및 조립성(Function+FIT) 합격품이다.

■ 마스터 카 ( MASTER CAR ) 
설계 개선안이 반영된 Proto 최종 모델. 개발 품질목표를 만족하고 실제 양산 조립 시 판매 가능한 수준으로 제작된 시작차량을 의미한다.
■ 마스터 카 ( MASTER CAR )가(이) 사용된 다른 용어들
! 자료가 없습니다.
■ 마스터 카 ( MASTER CAR )에 사용된 용어들
시작차 ( PROTO CAR ) : 생산라인을 통하지 않고 초기차량의 Installation 확인, 설계문제점 및 성능(내구성, 목표성능,법규대응 등)을 확인하기 위해 제작되는 차량을 의미한다.

양산 ( MASS PRODUCTION ) ( 약어 : MP ) : 대량생산.

품질목표 ( QUALITY INDEX ) : 설계구상 이전에 기존차 품질 및 시장의 의견을 반영하여 설정하는 신차요구 목표치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