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T 접지 방식 - TT jeobji bangsig

Q&A게시판

[ 2598 ] 우리나라 배전방식(TN-C, TT)에 대해서 문의 드립니다.
작성자rlawhdtjd 조회5,370
파일첨부 등록일17-05-29

수고 많습니다.

궁금한점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보통 우리가 알기로 배전방식은 KS C IEC 60364를 적용했을때 한전은 TN-C 방식, 수용가는 TT 방식으로 알고 있고, 많은 책에서도 그렇게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한전이 TN-C 방식이라는건 이해가 가는데 수용가가 TT 방식이라는 것에 이해가 안갑니다.

왜냐하면, 전기실이 있는 건물에서 변압기 2차측 중성점을 접지하므로 첫번째 문자 T는 맞는거 같은데 두번째 문자 T는 전기설비 외함을 별도로 접지해야만 T인데 예전에는 1,2,3종 접지를 별도로 해서 TT 가 맞다고 하더라도 요즘에는 공통 및 통합접지를 해서 주접지단자함에서 접지선을 모두 묶어버리는 추세인데 TN-S가 맞는게 아닐런지요?

그래서 수용가는 TT가 아니고  TN-S가 맞는게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설명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글  담당부서 기술기준처

1. 귀하의 전기협회 방문을 환영합니다.

2. 질의하신 TT, TN-C, TN-S 방식은 계통 접지와 전기설비 외함 접지의 여부에 따라 구분이 됩니다. 즉 중선선과 PE도체가 수용가의 전기설비 외함의 연결 여부에 따라 TN-C, TN-S로 구분이 됩니다. 종별접지와 공통·통합접지(판단기준 제18조6항, 7항)는 접지극을 개별 또는 공용 여부에 따라 구분합니다. 

 

TN,TT,IT접지 방식

TT 접지 방식 - TT jeobji bangsig

 1)TN 방식

 *전력공급측을  게통접지하고 설비측은 PE로 연접시키는 시스템

* 과전류 차다기로 간접접촉보호가 가능하며 누전차단기가 필요 없당.

*전위상승이 적어 저압간선에 사용된다..

*TN-S 방식

계통전체를  중성선과 접지선 (PE)로 분리하는 방식이당.

불평형 전류가 N상만 흐른당..

설비가 고가로 미국에서 사용하며 약전및 통신기기 사용시 유리하다.

전산센터나 병원등 접시방식 사용 유리하다.

*TN-C 방식

계통전체에 걸쳐 중성선과 보호도체를 하나의 도선으로 결합시킨 방식이다..

불평형 전류가 접지잋 보호도체용 도선에 흐른당....

약전계통에 사용시 노이즈 문제가 생길수잇당..

고조파 계통에선 고조파로 인한 노이즈문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통신에 구애 받지 않은 전력계통에 적합하다.

*TN-C-S 방식

게통이 일부분은 C 방식 일부눈 S방식을 말한당..

누전차단기 사용시 TN-C는 TN-S 뒤에 사용할수 없당.

2)TT방식

*전력공급측을 계통접지하여 설비의 노출도전성 부분을 계통접지와 전기적으로 독립접지 하눈 방식이다.

*단상 삼상을 모두 사용시 N상과 별로로 접지를 설치하는 방법..

*기기 프레임의 전위 상승을 막아 접촉전압을 낮추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국내의 경우 부하측 접지의 경우 400미만 100오옴 이하 400이상은 10오옴 이하로 접지값결정

3)IT 방식

*충전부 전체를 대지로  절연하고 한점에 임피던스를 삽입하여 대지에 접속시키고 노출도전성 부분을 단독 또눈 일괄

  접지하눈 방식

*대형 플랜트에 사용한다

*고압간선라인 또눈 송전선로에 사용한다.

*정전용량이 큰 154KV 또는 345KV계통에서 사용한다.

올해부터 전기법규가 바뀌었죠? IEC규정을 한국식으로 맞춘 KEC규정이 공식적으로 시행되었습니다. 그에 따라 기존에 종별접지였던 접지규정도 KEC규정을 따라 가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이 내용을 한번 쭉~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예전에는 특고압, 고압, 저압 및 기기나 계통등으로 분류하여 1종이냐 2종이냐 등으로 종별로 나누어 최소 접지케이블 굵기 및 최대 접지저항 값을 지정 해 두고 설계를 했었습니다. 그렇지만 이제 KEC로 변경되면서 내용이 약간 바뀌었습니다.

먼저 접지시스템을 계통접지, 보호접지, 피뢰시스템접지로 구분을 합니다. 그리고 접지시스템에는 단독접지, 공통접지, 통합접지가 있습니다. 응??? 이게 무슨 말인가요?? 라고 생각하실 수 도 있습니다. 그래서 간단히 정리를 해보면 먼저 계통접지냐 보호접지냐 피뢰시스템접지냐로 구분을 한것은 접지시스템의 목적에 의한 구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단독접지냐 공통접지냐 통합접지냐로 나누어 놓은 것은 시스템 구성방법에 따라 나눈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직 조금 아리송 한가요? 그럼 차근차근 알아보시지요.

먼저 접지시스템을 목적에 의해 구분한 내용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목적에 의해 구분하면 위에서 이야기 했던것과 같이 계통접지, 보호접지, 피뢰시스템접지로 구분할 수있습니다.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1. 계통접지

계통접지는 전력계통에 발생하는 돌발적인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설치하는 접지를 이야기 합니다. 접지의 방법은 중성점을 대지에 연결하는 중성점 접지방식입니다. 또한 계통의 종류에는 TN계통, TT계통, IT계통이 있습니다. 그럼 간단하게 TN, TT, IT계통은 어떤것을 이야기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T는 Terre(Earth)의 이니셜로 접지를 의미합니다. N은 Neutral의 이니셜로 중성점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I는 Isolated의 이니셜로 절연, 분리를 의미하죠. TN, TT, IT에서 첫번째 문자는 전원, 두번째 문자는 부하를 의미합니다. 그럼 하나씩 직접 그림을 보며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TN계통

TN계통은 TN-S계통과 TN-C계통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TN-S계통을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TT 접지 방식 - TT jeobji bangsig

회로도 오른쪽에 보면 L1, L2, L3, N, PE라고 Cable명이 적혀 있습니다. L1, L2, L3는 각 상을 의미하며, N은 중성선 N상을 의미하고 PE는 접지 케이블을 의미합니다. 먼저 TN에서 전원측을 의미하는 첫번째 자리에 T가 들어 있으니 전원측이 접지되어 있고, 부하(노출도전부)측을 의미하는 두번째 자리에 N이 들어 있으니 부하가 N상에 연결되고 전원측 접지와 합쳐져 있습니다. 그리고 N상과 접지케이블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Separate의 이니셜인 S를 써서 TN-S계통이 되는 것입니다.

TT 접지 방식 - TT jeobji bangsig

그리고 TN-C의 경우에는 N상과 PE(접지케이블)이 통합되어 PEN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TN-C계통이라고 합니다.

TT 접지 방식 - TT jeobji bangsig

그리고 TN-S와 TN-C를 부분적으로 섞어서 사용하는 TN-C-S계통이 있습니다. 이는 위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어렵지 않죠??

TT계통

TT 접지 방식 - TT jeobji bangsig

다음은 TT계통입니다. 전원측 문자자리에 T가 들어있으니 전원측 접지가 있고, 부하측 문자자리에 T가 들어 있으니 노출도전부(부하)에 별도의 설비의 보호접지라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IT계통

TT 접지 방식 - TT jeobji bangsig

마지막으로 IT계통에서는 전원측 문자자리에 Isolator의 이니셜인 I가 들어 있으니 접지케이블 중간에 임피던스가 추가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부하측 문자자리에 T가 들어 있으니 부하용 접지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어렵지 않습니다.

2. 보호접지

보호접지는 고장시 감전에 대한 보호를 목적으로 하며 접지 방법은 기기의 한점 또는 여러 점을 접지합니다.

3. 피뢰스시템접지

수뢰부에 떨어진 낙뢰를 안전하게 대지로 흘려보내기 위하여 시설하는 접지로 대지와 수뢰부 시스템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시설하며, 시설 시에 뇌전류의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다음으로는 접지시스템 구성방법으로 분류한 단독접지, 공통접지, 통합접지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1. 단독접지

TT 접지 방식 - TT jeobji bangsig

단독접지는 말 그대로 단독으로 접지를 한 시스템을 이야기 합니다. 고압, 특고압계통과 저압계통이 각각 독립적으로 접지시스템을 구성하여 서로 영향이 받지 않으며 이를 위하여 접지극간 이격거리가 충분히 고려되어야 합니다.

2. 공통접지

TT 접지 방식 - TT jeobji bangsig

공통접지는 계통상 등전위가 형성되도록 고압, 특고압계통과 저압계통이 공통으로 접지시스템을 구성하는 방식을 이야기 합니다.

3. 통합접지

TT 접지 방식 - TT jeobji bangsig

통합접지는 전기설비의 모든 시설물 및 계통을 같은 접지극으로 통합하여 접지하는 방식으로 설비간 전위차를 해소하여 등전위를 형성하는 접지 방식입니다.

그럼 여기서 한가지 의문이 발생합니다. 어떤 때 어떤 접지를 사용해야 하는가? 당연히 어떤 시설물인가? 어떤 목적을 가지는 가에 따라서 구성방법이 달라집니다. 이건 다음 포스팅에서 예시를 들어보며 이야기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최신 KEC규정에 따라 접지규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설계 예시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제 블로그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좋아요) 부탁드리고,

댓글은 다른분들께도 좋은 정보일 수 있으니

공개로 부탁드립니다.

여러분의 작은 정성이 좋은 포스팅을 생산하는

힘이 된답니다. :)

감사합니다.

관련글

  • TT 접지 방식 - TT jeobji bangsig
    전기설비기술기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KEC(한국전기설비규정), 내선규정 개념 및 관계 정리
  • 접지의 종류 (1종접지, 2종접지, 3종접지, 특별3종접지)
  • 전압을 높여서 송전하는 이유
  • 전기의 개념 (전압, 전류, 전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