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박껍질 처리 방법 - subagkkeobjil cheoli bangbeob

-음식물 쓰레기는 살균 처리와 고온 건조 과정을 거쳐 동물용 사료 또는 경작용 퇴비로 재활용됩니다. 그래서 너무 단단하거나 질겨서 쉽게 분해되지 않거나 염분 등의 첨가물로 인해 사료나 퇴비로 쓰일 수 없는 음식물은 재활용이 불가능합니다.

-과일 종류별 버리는 방법 알아보기 (→ 바로가기)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기

잘못됐거나 추가할 내용이 있나요?

수정 요청

수박 껍질 음식물 쓰레기 여부. 수박, 수박 껍질, 수박 껍데기 버리는 법.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 엑스가 첫 민간 우주선을 성공적으로 띄워 보냈고 민간인의 첫 우주 여행도 조만간 실현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류가 살 수 있는 제 2의 지구를 화성에 짓겠다는 원대한 꿈도 갖고 있죠. 지금까지 그의 행보를 보면 실현 불가능한 일처럼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막대한 돈이 이 프로젝트에 투입되고 있고, 많은 이들이 그의 꿈을 응원하고 있죠. 화성을 인류가 생존 가능한 환경으로 만드는 일은 기후 변화로 위기를 겪고 있는 인류에게 대안이 될 수 있으니까요.

그의 목표와는 별개로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은 제 2의 지구를 찾아 새로운 터전을 구축하는 일보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를 다시 잘 가꿔 나가는 것, 인류가 생존할 수 있는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비용 대비 훨씬 효율적인 일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이 이를 간과하고 새로운 해결책을 찾는데만 모든 자원과 에너지를 쏟아붓고 있어요. 모두가 조금씩만 노력하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인데 말이죠. 급격한 기후 변화로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면 깨닫게 되겠지만, 그 땐 너무 늦습니다. 이 사실을 모두가 알고 있지만 누군가 먼저 행동할 때까지 움직이지 않을 뿐이죠. 먼저 행동하세요.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일부터 시작해보세요. 모두가 함께 하게 될겁니다. 우리는 이미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2020년 현재, 인류가 살 수 있는 유일한 곳은 지구 뿐입니다.

혼자 주택에 살 때 여름에 먹고 싶어도 못 먹은 과일이 바로 수박이었습니다. 통수박 하나 사서 다 제대로 먹기도 힘들었고 그 수박껍질 버리는 것 때문에 더 못 먹었습니다. 음식물쓰레기 모아둘 수도 없고 하여튼 여러가지 이유가 합쳐져서 제대로 못 먹었습니다. 

하긴 아직도 수박껍질 자체가 음식물쓰레기 인지 일반쓰레기인지 헷갈려 하는 분들이 계시기도 하고 저도 좀 찾아보니 제주도에서는 일반쓰레기로 버리라고 하는 뉴스기사도 검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딱딱하지 않은 견고하지 않은 과일껍질은 음식물쓰레기에 해당된다고 합니다. 다만 계란껍데기, 게 껍데기 등은 일반쓰레기에 해당되므로 이들은 음식물쓰레기로 분리배출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다만 수박껍질 버리는 방법에 따라서 또는 지자체에 따라서 약간씩 다른 경우도 있기 때문에 자신의 주거지에서는 어떤 식으로 구분하는지를 먼저 파악해 두어야 합니다. 

수박껍질 음식물쓰레기로 버리는 법 

가장 기본적으로는 잘게 썰어서 버려야 합니다. 우리집도 요즘은 수박 먹을 때 치실을 이용해서 솩솩 속의 빨간 부분만 골라 내어 밀폐용기에 담고 수박껍질 부분은 칼로 잘게 썰어서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에 갖다 버립니다. 

바로 갖다버리지 않으면 초파리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수박 손질 끝내자마자 바로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으로 직진해야 합니다. 그래서 귀찮아서 더 안 사먹고 싶은 것이 바로 이 수박이기도 하지만 더운 밖에서 돌아와 에어컨 밑에서 시원한 수박 먹는 이 2개월 정도의 행복한 시간도 포기하기 힘듭니다. 

수박껍질 음식물쓰레기로 버리면 된다더라 싶어서 큰 통수박으로 8등분 정도 해서 자르고 난 후 길쭉하고 큰 껍질 그대로 갖다버려도 물론 다 수거는 해갑니다. 하지만 이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데는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들게 됩니다. 

자신이 10분 정도 더 귀찮아짐으로서 다른 곳에서 1시간 정도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수박껍질 음식물쓰레기 분리수거 뿐만 아니라 모든 쓰레기 분리수거 자체에 조금만 더 신경을 써 주시면 얼마나 좋을까요? 

수박껍질 자체는 음식물쓰레기로 버리면 됩니다. 다만 버리는 법 또한 지켜야 합니다. 잘게 썰어서 깍뚜기 정도로만이라도 잘라서 버리면 될 것입니다. 

그러면 아래를 참고해서 음식물쓰레기 인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은 것들을 보시겠습니다. 채소류 중에서는 마늘과 양파 그리고 옥수수껍질, 마늘대와 고추대, 옥수수대는 음식물쓰레기 아닙니다. 그리고 동물의 뼈와 털, 조개와 소라 등의 껍질과 게껍데기,  달걀껍데기, 호두와 밤, 땅콩 등의 껍질 및 복숭아 등의 씨와 파인애플껍질, 녹차찌꺼기와 한약재찌꺼기 등은 음식물쓰레기 아닙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음식물쓰레기 자체를 퇴비나 동물과 가축의 사료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내가 버리는 이것이 음식에서 나오는 것이긴 하지만 동물이 먹을 수 없고 먹으면 안되는 것이라면 음식물쓰레기로 버려서는 안됩니다. 수박껍질 경우는 옛날부터 생채처럼 해서 먹기도 한 부분이기 때문에 음식물쓰레기 해당됩니다. 다만 버리는 법 참고하기 바랍니다. 

수박 껍질은 음식물쓰레기가 맞습니다. ... 우선 음식물쓰레기로 분류하는 기준은 '동물 사료로 사용할 수 있나' 입니다. 쉽게 말하면, 동물이 먹을 수 있는 음식물이면 음식물쓰레기, 먹을 수 없으면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수박 많이 먹게 되는 시기인데 음식물쓰레기리고 잘 배출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2021. 06. 10. 19:42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추천 3 비추천 0 좋아요 1 댓글 0


댓글 0 공유하기 신고

신고

굉장한낙타123

흔히 알고들 계신게...딱딱한 종류는 일반 쓰레기이고, 부드러운 말랑말랑한건 대부분이 음식물 쓰레기 인데요...

여기서 의견이 분분한게 수박 껍데기 이죠...

우선 수박 드시고 난 다음에 잘게 잘라서 수분을 빼고 버리시면 음식물 쓰레기로 버려도 됩니다.

근데...그냥 길게 잘려져 있는 상태 라면 일반 쓰레기로 버리는게 맞습니다.

수박도 단단한 껍질로 일반 쓰레기로 보시는 분들도 계신데 ...수박은 동물 사료나 비료, 퇴비로도 활용이 가능해서 음식물쓰레기로

분류가 되니 음식물 쓰레기로 버리셔도 됩니다.

아시겠지만 견과류 껍질, 게 소라 멍게등 갑각류 껍질, 과일 씨, 달걀 껍질, 파인애플 껍질 등 딱딱한건 일반쓰레기 입니다.

그리고 어느정도 수분이 있는 고구마, 감자, 사과, 망고, 귤, 바나나, 키위 같은 부드러운 건 음식물쓰레기로 버려도 됩니다.

단, 바나나 꼭지는 일반 쓰레기 입니다.

이상...알고 있는 상식이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2021. 06. 10. 02:40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추천 3 비추천 0 좋아요 1 댓글 0


댓글 0 공유하기 신고

신고

튼튼아범

명확히 따지자면 수박 껍데기는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됩니다.

또 아이러니한건 수박씨는 일반 쓰레기로 분류가 되구요.

수박 껍질을 음식물 쓰레기가 아닌 종량제 봉투를 이용해 버리셨을경우 과태료 부과 됩니다.

음식물 쓰레기로 버리는 방법은 무관하시지만 가급적이면 분해나 발효를 위해 잘게잘라 버려주시는게

좋습니다^^

2021. 06. 11. 11:44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추천 2 비추천 0 좋아요 1 댓글 0


댓글 0 공유하기 신고

신고

경건한굴뚝새181

음식물 쓰레기가 동물의 사료로 쓰인다고 합니다.

동물이 먹을 수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가 유무가 되는 거지요.

딱딱한 씨(복숭아씨, 망고씨 등)나 티백, 뼈(돼지,닭,소), 생선가시, 달걀껍질, 조개껍질 등은 안돼요.

수박껍질, 멜론껍질 같은 부피가 큰 것들은 잘게 잘라서 버리시면 됩니다.

2021. 06. 10. 11:19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추천 2 비추천 0 좋아요 1 댓글 0


댓글 0 공유하기 신고

신고

날씬한카멜레온184

지역마다 다를수도 있겠는데 제가 있는 지역의 경우(남부지방입니다) 음식물 쓰레기 배출 안내서 상 수박껍데기는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음식물통에 넣은 뒤 손잡이 쪽에 씰을 붙여서 지정된 날에 대문 앞에 내놓고 있습니다. 음식물 쓰레기를 전용봉투에 넣는 곳도 있다 들었는데 그 지역의 구분은 잘 모르겠습니다

2021. 06. 10. 02:15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추천 2 비추천 0 좋아요 1 댓글 0


댓글 0 공유하기 신고

신고

소탈****

결론 부터 말하자며면 수박은 음식물 쓰레기가 맞습니다.

수박 껍질을 제거 하면 수박 하얀 속살로 김치나 짠지를 담가서 먹을 수도 있습니다.

쉽게 음식물쓰레기인지 아닌지를 생각하려면

사람이 먹을 수 있느냐 없느냐로 구별합니다.

계란은 음식이지만 계람껍질은 음쓰가 아닙니다.

또한 상한 음식이나 독이 있는 음식도 음쓰로 벌릴 수 없습니다.

2021. 06. 11. 12:49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추천 1 비추천 0 좋아요 1 댓글 0


댓글 0 공유하기 신고

신고

섹시한홍여새259

안녕하세요

수박껍질은 일반쓰레기로서 종량제봉투에 담아서 버리면됩니다.

하지만 음식물 쓰레기로도 버릴수가있는데요.

음식물 쓰레기로 분리되는 기준은 동식물의 사료,비료,퇴료 등으로 쓰이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수박껍질을 음식물 쓰레기로 버리기위해서는

최대한 잘게 조각내고 수분을 제거 해야합니다.

2021. 06. 11. 12:30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추천 1 비추천 0 좋아요 1 댓글 0


댓글 0 공유하기 신고

신고

SORARE_KOREA

음식물 쓰레기가 맞습니다.

동물이 먹을수있는 그래서 사료로 만들 수 있으면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합니다.

버리실때는 잘게 쫙 말려서 버리면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만 실제로 그러시는 분이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참고로 수박과 비슷한 참외 멜론 망고 모두 음식물 쓰레기지만 파인애플이나 호두 같이 딱딱한 껍질은 일반쓰레기입니다.

2021. 06. 11. 09:55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추천 1 비추천 0 좋아요 1 댓글 0


댓글 0 공유하기 신고

신고

날개수염128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음식물쓰레기입니다.

음식물을 버릴 때 일반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 중 어디로 분류해야할지 고민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당연히 음식물 쓰레기인줄 알았는데, 의외로 일반 쓰레기에 버려야 하는 식품도 있거든요.

특히 잘못 배출할 경우 과태료가 발생할 수 있으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음식물류 폐기물 분류 기준은 '동물사료로 사용할수 있는가 없는가' 입니다.

지자체마다 일부 다를 수 있지만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하는 음식물을 적어 드리겠습니다.

양파/마늘/옥수수 껍질

-> 식물성 껍질은 얇아서 잘 분해될 것 같지만, 사실 섬유질이 많아 분쇄가 어렵습니다. 또 사료로 사용하기에도 적합하지 않아 일반쓰레기로 분류됩니다.

견과류껍질

-> 호두,밤, 땅콩 등의 견과류 껍질은 분쇄가 어려워 음식물이 아닌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고추, 마늘, 옥수숫대

-> 얘네들도 단단하기 때문에 일반 쓰레기에 버려야 합니다. 고추씨도 또한 매운맛이 나므로 일반쓰레기에 해당됩니다.

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2021. 06. 11. 09:22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추천 1 비추천 0 좋아요 1 댓글 0


댓글 0 공유하기 신고

신고

인자한땅돼지150

★수박 껍질은 음식물 쓰레기예요. 또한 부드러운 껍질을 가지고 있는 과일들은 모두 음식물 쓰레기 입니다.

사과. 귤. 바나나. 배. 등 껍질도 음식물 쓰레기 입니다. ★

★다만 파인애플. 땅꽁. 호두. 매실씨 등 딱딱한 껍질은 일반 쓰레기 입니다. 또 닭고기뼈. 소고기뼈 등 딱딱한 것은 일반 쓰레기 입니다.★

음식물 쓰레기 기준은 동물이 먹을수 있는지, 없는지에 놓고 판단 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2021. 06. 11. 07:43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추천 1 비추천 0 좋아요 1 댓글 0


댓글 0 공유하기 신고

신고

반반한돌고래37

우선 우리가 먹는 식재료에서 나오는 것 중에서 음식물쓰레기와 일반 쓰레기 차이는 사료로 만들수있느냐 없느냐의 차이입니다.

예를들어 견과류 껍질은 딱딱해서 일반쓰레기구요

매운맛인 고추씨,파뿌리는 일반쓰레기로 버려주셔야되구요.

달걀도 일반쓰레기고 딱딱한 과일껍질인 파인애플껍질은 일반쓰레기로 버리되 물기를 좀 말리셔서 버리셔야됩니다.

말랑한과일 껍질은 그냥 음식물에 버리시면되구요

예외적으로 수박은 딱딱한껍질로 일반일것같지만 음식물쓰레기로 버려주시면 됩니다.

2021. 06. 11. 02:07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추천 1 비추천 0 좋아요 1 댓글 0


댓글 0 공유하기 신고

신고

흰벌새29

수박 껍데기는 음식물 쓰레기 입니다!

음식물 쓰레기, 일반 쓰레기 잘 구분 못 하시겠으면

먹을 수 있는 것은 음식쓰레기

예를 들면 과일 껍질 같은 것

못 먹는 것은 일반쓰레기

예를 들면 치킨 뼈나 생선 가시

이런식으로 구분하면 쉬워요!!

수박 껍데기는 하얀 부분을 먹기도 하니까 일반 쓰레기겠죠!?

-------

2021. 06. 11. 00:40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추천 1 비추천 0 좋아요 1 댓글 0


댓글 0 공유하기 신고

신고

신기한사마귀24

일반쓰레기가 맞습니다 . 일반 쓰레기 버리는 종량제봉투에 같이 담아서 버리시면 됩니다 . 유튜브 찾아보시면 일반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 분류법 나와있습니다 . 재활용 쓰레기도 분류법 나와있으니 확인해보세요 . 이젠 예전처럼 잘 분류하지않고 버리면 벌금 물어야하니 유튜브나 네이버 블로그 검색해보시고 잘 확인하시고 버리세요 .

2021. 06. 11. 00:38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추천 1 비추천 0 좋아요 1 댓글 1


댓글 1 공유하기 신고

신고

고결한살모사247

예전에는 음식물쓰레기를 동물사료로 쓰다보니 먹을수 있는것과 없는것으로 구분을 했지만 지금은 비료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썩는것과 안썩는것으로 구분하시면 쉽습니다. 조개껍대기, 생선뼈 등은 일반쓰레기로 분리하시고 말씀하신 과일껍질, 다듬고 남은 야채류 등은 음식쓰레기로 분리하셔도 무난합니다.

2021. 06. 10. 23:12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추천 1 비추천 0 좋아요 1 댓글 0


댓글 0 공유하기 신고

신고

느긋한고슴도치145

수박 껍데기는 음식물 쓰레기가 맞습니다. 동물의 사료나 퇴비로 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대신 수박의 껍질은 부피가 크기 때문에 작게 잘라서 버리면 됩니다.

그러나 수박씨는 딱딱하여 동물들이 먹을 수 없기 때문에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전 분리배출이 헷갈리는 것이 있으면 분리배출 앱을 깔아 이용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더라고요!

2021. 06. 10. 21:26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추천 1 비추천 0 좋아요 1 댓글 0


댓글 0 공유하기 신고

신고

내추럴한몽구스264

수박 껍데기는 일반쓰레기가 아니라 음식물쓰레기입니다. 시간이지나며 부패하기 때문에 음식물쓰레기입니다. 갑각류 껍질이나 조개껍데기, 닭뼈, 계란껍질 등 분해가 되지 않는 주로 딱딱한 것들은 일반쓰레기입니다. 수박 껍데기는 부피가 크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해 잘게 잘라 버려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