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사상충 약 부작용 - simjangsasangchung yag bujag-yong

심장사상충은 실처럼 생긴 유충이 개나 고양이 폐동맥에 기생하는 질병으로 주로 모기에 의해 전염되고 고양이보다 강아지에게 매우 치명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심하면 사망에 이르고 치료가 되더라도 후유증이 있어 예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심장사상충 약 부작용 - simjangsasangchung yag bujag-yong

심장사상충에 걸리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일반적으로 사상충의 성충이 있다고 해서 바로 증상이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한두 마리의 성충으로는 무증상으로 지낼 경우가 많은데요. 주로 증상은 시기적으로 자충이 대량 번식되는 때인 다음해 봄과 초여름에 발병합니다(4월~7월). 이때는 이미 감염이 충분히 되었기 때문에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는데요,  이런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해마다 4월에는 심장사상충 검사를 꼭 해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심장사상충의 증상은 시기별로 4단계로 나누며 다음과 같습니다.

1단계

 증상이 없다.

2단계

 약간의 호흡곤란과 기침, 

 운동 시에 눈에 띄게 지침, 

 식욕부진,

  기타 장기 이상에 따른 가벼운 신부전과 간장이상이 나타남.

3단계

 호흡곤란

 헐떡거림이 심함

 식욕절폐와 혈전증으로 머리를 흔듬

 간부전, 신부전으로 핍뇨/ 다뇨 증상

 복수가 차오름

 심한 기침

4단계

 꽤 심각한 상태

 보행곤란

 간장과 신장 회복 곤란상태

 호흡곤란에 의한 쓰러짐

 복수

 청색증 

 쇼크에 의해 사망에 이를 수 있음

심장사상충 진단 검사 어떻게 하나요?

개가 자꾸 기침을 하거나 운동할 때 헐떡인다면 심장사상충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가급적 진단이 빨리 되어야 하는 질병 중 하나인 이유는 증상이 4기로까지 이어지면 이미 사망할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기생충 감염은 대변 검사를 통해 알 수 있지만, 심장사상충은 알 대신 미세사상충(microfilaria)이라는 아주 작은 유충을 낳습니다. 그 유충은 혈류를 따라 이동하다 모기가 개의 혈액을 빨 때 모기의 몸으로 들어간 뒤 다른 희생자를 찾게 되는데요, 따라서 혈액을 뽑아 미세사상충이 있는지 검사하는 게 가장 확실한 방법이지만, 암컷이나 수컷만 들어 있거나 암컷이 나이가 들었을 때는 음성으로 나올 수도 있다고 해요. X레이에서 오른쪽 심장이 커졌다면 의심할 수 있지만 이것 역시 확진은 아니라서 요즘 제일 널리 쓰이는 진단법은 심장 초음파라고 합니다. 

이 경우 벌레가 어디 있으며 마릿수는 얼마나 되는지 알 수 있고, 치료방침을 정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하는데요, 문제는 치료입니다. 이미 심장사상충에 걸리면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합니다. 심장사상충이 기생충 중 유일하게 예방약을 써야 하는 건 이 때문인데요, 먹이는 약에 반려견이 민감하다면 바르는 약도 괜찮습니다. 

수의사들은 겨울에도 모기가 있는 현실을 고려해 1년 내내 예방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때문에 효과가 1년간 지속되는 주사제를 추천하기도 하는데요, 일부 보호자들은 훤히 들여다보이는 장삿속 아니냐 하는데, 예방약 비용보다 치료비나 수술비가 훨씬 많이 들어간다는 사실은 기억해야할 거 같아요.

심장사상충 약 부작용 - simjangsasangchung yag bujag-yong

심장 사상충 예방 어떻게 할까?

공원이나 야외로 산책을 나갈때는 모기가 많아 더욱 위험합니다. 벌레 퇴치를 위해 바르는 약을 사용하시고 밖에서 키우는 강아지라면 모기 퇴치약을 매일 발라주세요. 좀 더 간편하게 약을 복용하고자 할때는 한 달에 한 번씩 꼭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한달 건너뛰어도 괜찮겠지 생각하시는 보호자가 많은데요, 약효는 한달정도만 가기때문에 복용하지 않은 달에 모기에 물리면 심장사상충에 걸릴 수 있다고 해요. 그러니까, 심장 사상충 예방약은 용법에 따라 정확하게 투여하는 것이 좋고 해마다 12개월동안 먹이는 것이 권장된다고 합니다. 특히 모기 활동이 왕성해지는 4월부터 10월까지는 집중적으로 예방약을 투여해야 합니다.

심상사상충 진단을 받게 되면 증상에 따라 성충구제약을 쓰게 됩니다. 성충구제약은 고가의 약이기때문에 치료보다 예방을 더 강조하는 이유중의 하나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고가인만큼 사상충 치료에 필수적이며 약효 또한 좋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성충 치료 3주에서 4주후 자충 치료를 합니다. 완전히 치료가 끝나면 예방약을 먹이고 4개월 후 혈액면역검사를 통해 성충의 유무를 판단하게 되는데요, 이때 완전히 치료가 되었다면 계속 예방약을 투여하고 성충이 남아 있으면 다시 치료를 하게 됩니다. 이렇듯 치료는 매우 지난하고 수개월 지속되기때문에 치료 비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따라서, 심장사상충은 꼭! 미리미리 예방해주세요!

심장사상충 약 부작용 - simjangsasangchung yag bujag-yong

사람이나 다른 강아지에게도 옮길 수 있나요?

기생충의 일종이라 혹시 사람이나 다른 동물에게 전염되는 건 아닌지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사람- 동물간의 전염, 동물과 동물간의 전염도 확인된 바가 없으니 안심하셔도 됩니다.

심장사상충 예방약, 독하다고 하던데...

심장사상충 약 역시 독성을 가지고 있어 잘못 쓰게 되면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일반적으로 알려진 부작용에는 구토, 식욕부진, 국소적인 피부반응 (외용제)가 있습니다. 또, 바르는 제제를 잘못해서 강아지가 핥아먹으면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사람이 복용하는 약도 독성이 있어 약은 반드시 의사의 처방이 있어야 하는 것처럼 반려견에게 처방되는 약 역시 어느정도 독성을 내재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수의사 처방이 필요합니다. 간혹 일부 동물약국에서 사서 자가복용 시키는 분들도 계신데요, 나의 소중한 반려견인만큼 약간 비용이 싸다고 해서 수의사 처방없이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으니 여러 약 성분을 고려해 반려견에 맞는 처방과 복용법을 지키시는 게 좋습니다.

위에서 기술했듯 MDR-1 변이가 고양이는 개보다 덜하며, 시판되는 약은 안전역에 비해 낮은 용량이다. 처음 입양할 때 흔히 감염되어 있는 귀진드기 치료할 때도 쓰는 게 심장사상충 예방약이다.

[1] 심장사상충의 유충은 모기의 침을 뚫고 나와서 식육목 포유류의 피부에 떨어진다. 이후 모기가 동물의 피를 빨아서 피부에 상처가 나면 그 상처를 통해서 체내로 들어가게 된다.[2] 개의 감염률은 100%이고 성충 성장률은 60%인 반면, 고양이는 감염률이 75%이고 3~10마리 정도만 성충이 된다.[3] 이 경우가 가장 답답한 경우인데, 흔히 고양이 천식, 기관지염으로 오진하는 경우가 많다. 항원검사, 항체검사, 방사선검사, 초음파검사상에서도 음성으로 나왔는데 부검 후에 사상충 감염으로 인한 HARD(heartworm associated respiratory disease: 심장사상충에 의한 호흡기질환)로 밝혀지는 경우가 있다. 이걸 배제하는 유일한 방법이 어릴 때부터 꾸준한 예방을 했는지의 유무 뿐이다.[4] 개와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고 생각한다면 천만의 말씀이다. 그래서 개에서처럼 질병정도의 stage를 나누지도 않는다.[5] 이것은 개보다 감염된 마리수가 적고, 개와는 달리 감염 양상이 약간 다르며, 항원 발현을 안하는 경우가 존재하고, 항체검사도 정확도가 좀 더 높을 뿐이지 100%가 아니며, 유충이 혈액 속에 돌아다니는 걸 확인하기가 개보다 더 어렵기 때문이다.[6] 항원검사, 항체검사, 방사선검사, 심초음파검사에서도 사상충이 아니라고 나왔는데, 부검해보니 사상충 감염인 경우도 있다.[7] 증거를 잘 제시 못하는데 무조건 예방만 하라고 하니 보호자들이 믿지 않지만, 무조건 예방하라고 하는 게 절대 틀린 말이 아니다.[8] 위에서 말한 anaphylatic reaction도 있지만, 개보다 좁은 폐혈관에서 고양이 특유의 숙주면역반응으로 인해 소수의 유충, 성충만으로 심한 염증반응을 유발하여, 혈관의 리모델링, 폐혈관 협착, 폐조직 손상, 색전증 등등을 유발하여 심폐구조에 영향을 크게 미친다.[9] american heartworm societyhttps://www.heartwormsociety.org의 공식적인 견해는 개와는 달리 고양이에서 적극적인 immiticide 성충치료를 권하지 않고 있다. 치료 자체도 힘들기 때문이다.[10] 2017년 1월 말에 사망했다고 한다.[11] 원래 고양이용도 경구용이 판매되었으나, 판매가 중단된 상태다. 국내 동물병원 중에서 파는 곳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12] 심장사상충 치료를 일반 회충 치료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면 천만의 말씀이다. 체내 즉 혈액내의 사상충을 사멸시켜야 하기 때문에 치료의 위험성(혈전증, 색전증)이 아주 크며, 치료하더라도 사상충 감염 정도에 따라서 치료 후 후유증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13] 사상충예방약이 nematode(선충)에 듣는 약이기 때문에 일부 구충제거 효과가 있기도 하거니와, 어떤 약에는 구충제를 같이 합제해놓는 경우가 있다.[14] 단, 이 주장을 처음 퍼뜨린 수의사는 다소 유사의학으로 의심되는 생식 건강법과 유기농 치료법(?)을 주장하고 있으며, 자연 상태에서의 심장사상충 감염률이 거의 희박하다는 등, 사실과 다르거나 교묘한 어조로 자기 제품을 살 것을 주장하고 있어 신중한 판단이 요구된다.[15] 한 번 먹으면 하늘이 노래지고 입맛이 떨어질 뿐 아니라, 용변시에 항문에서 까꿍하고 회충이 튀어나오는 회충약을 상상이나 할 수 있겠는가? 예전에는 실제로 그랬다! 심장사상충도 마찬가지. 연구가 부족한 초기에는 심장사상충의 독성이 높았을지 몰라도 요즘은 많이 안정화된 편이다.[16] 이 방법은 수의사들이나 약품제조회사에서 권장하는 방법은 아니다. 다만 일반적으론 1년 내내 투약을 권장하나, 한정된 기간내 투약을 한다면 그래도 모기 활동기간인 초봄부터 늦가을까지 하는 것이 맞다.[17] 늦가을 사이에만 먹이는 이유는 모기 내 심장사상충이 감염성을 가지려면 최소 14일 이상 최저온도 14도 이상 유지되었을 때 발육하기 때문이다. 늦가을시 최저온도가 14도가 넘는 일이 별로 없어서 그런 식으로 투약하는 거지 모순이 아니다. 실제 수의사들도 이렇게 투약하라고 권고하는 마당에... 다만 요즘 건물에서만 사는 모기가 있을 수 있으니, 그리고 서양의 경우 지역에 따라 최저 온도가 달라서 1년 내내 하라고 하는 것 뿐이다.[18] 이것은 유충의 성숙단계 중 L4단계부터는 예방약에 의한 사멸 효과가 좀 떨어지기때문에 가급적 30일 간격 투약을 권장하며, 정말 정말 어떤 이유로든 1년내내 투약하기 싫다면 모기가 나타나는 달보다 1달 먼저 투약, 모기가 없어지고 나서 3개월정도 투약 즉 우리나라로 치면 4월부터 11월까지이다. 이 경우 제약회사에서 약의 유효성에 대해 보증하지 않는다. 사실상 도심내 열섬 현상, 그리고 일시적으로 기온이 14도 이상으로 따뜻해진 경우 유충은 빠르게 성숙단계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연중 투약을 권장한다. 연 1회 검사는 현재 미국에서 대두되는 내성문제와 LOE(lack of efficacy: 약효능 문제) 때문이다. 사실상 내성문제와 LOE문제를 해결하려면 모든 개, 고양이의 전수검사 및 전체 투약이 필요한 상황이나 미국에서도 이걸 해결 못한다.[19] 병원에서 귀진드기, 옴진드기, 모낭충, 안충을 치료할때 사상충 예방 여부를 묻거나 사상충 검사를 하자고 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때문이다. 사상충 자충은 현재까지는 macrocyclc lactone 제제에 쉽게 없어지기 때문에, 귀진드기, 옴진드기, 모낭충, 안충 치료를 위해 사상충 감염개체에 투여하는 경우 위험소지가 있다.[20] 진드기, 회충, 모낭충은 예방 및 치료에 적극적이지만, 사상충 예방약에 독성을 크게 염려하는 것은 이치에 맞는 상황이 아니다. 진드기, 모낭충, 안충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더 고용량이거나 더 자주 약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사상충 예방약이 그렇게 독한 약이라면 귀, 옴진드기, 모낭충, 안충은 걸려도 치료를 안 해야하는 거다.[21] 고양이는 MDR-1(multidrug resistance) 즉 p-glycoprotein deficiency와 관련된 특이적 독성이 보고된 바가 없다. 즉 macrocyclic lactone에 더 안전하다.[22] 실제로 사상충 예방 용량은 일반적 다른 용도의 치료 용량보다 낮은 용량이다. FDA를 호구로 보면 안된다. 그렇게 쉽게 허가를 내주는 곳이 아니다. 간혹 사상충 예방약을 쓰는 개체에서 독성을 보인다라는 경우가 있는데, 드물게 나타나는 사용된 약에 대한 과민반응이거나, p-glycoprotein을 억제하는 병용 약물을 사용하고 있는지부터 확인하는 게 좋다. p-glycoprotein을 억제하는 약물은 아주 다양하다. 항생제의 일부, 진균제의 일부, 피부치료제의 일부, 다른 약들, 포도쥬스 등등...또한 어떤 회사의 약인지 확인을 먼저 하는게 필요하다.그럼에도 콜리라면 일단 조심해보는 게 낫다[23] class 4로 넘어가기 직전인 개는 유충 구제에도 신중을 기해야 하는데, 이 경우 혈관 확장제를 며칠 먹이다가 예방약을 먹여 유충을 잡는 경우가 있다. 유충이 많이 돌아다니는 경우, 사멸한 유충 때문에 죽을 수도 있다.[24] 사상충은 감염 단계가 높아질수록 간이나 신장 상태를 악화시킨다.[25] class 4 환축으로, 카데터를 통해 사상충을 전부 끄집어낸 경우에는 그나마 낫다. 혈전을 일으킬 수 있는 성충들을 끄집어냈기 때문에 혈전 위험은 낮은 편이기 때문이다. 다만 class 4 정도면 개의 몸상태가 아주 나쁘기 때문에 수술 후 깨어나지 못할 위험이 크다.[26] american heartworm society 권장사항[27] 확정된 정확한 사항이 아니지만, 어떤 연구에서는 치료제인 melasormine이 개의 반정도 용량에서 독성을 보인다 카드라 라는 말이 있다.[28] 아스피린 XXXX를 꼭 먹이라고 하는데, 이 약은 특별한게 아니라 아스피린의 함량을 1/5가량 낮춰놓은 약이다. 그럼에도 개에서는 용량이 많은 편이며, 아스피린 투약시 가장 조심해야하는게 장기투약이다. 위장관출혈이나 신장기능이상, 더 재수없으면 신경계이상도 유발한다. 미국에서는 대형견이 많아서 진통제로 동물용 아스피린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동물용 아스피린도 일시투약이지 장기투약은 금기이다.[29] 즉 slow-kill 방법도 그나마 FM으로 하자면, 초기 특정사상충약을 짧은 간격으로 투여, 이와 함께 wolbachia를 제거하기위한 약을 장기간 투여, 혈전을 막기 위한 약물을 pulse형태로 장기투여...그나마 약의 부작용을 막기위해 pulse 투약을 한다고 하더라도, 주기적 검사, 약값, 이에따른 부대비용, 그리고 심장병이 진행되었을 경우 투약하는 심장약을 고려하면 비용이 더 들어간다. 그만큼 해당 개체의 고통도 증가하는거다.[30] 경악스러운게 어떤거냐면, 중등도의 grade 3이상 grade 4이상이면 immiticide를 권하지 않고, 강한 치료를 원치 않으면, 나이 증상에 따라서 연명치료 혹은 더 소프트한 slow-kill 방법을 대부분 병원에서 권하는데도, 자가치료방법에서는 치료방법을 시전한다. 죽든 말든이다.[31] slow-kill 방법이 효과가 비용대비 효과가 월등하다면, 제약회사들이 이걸 가만있지 않는다. 심장사상충 예방약은 여러 회사가 생산하지만, 성충구제제는 딱 한 회사만 생산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american heartworm society는 제약회사의 스폰서를 받는 입장이라, slow-kill 방법을 더 홍보해야하는데, 오히려 제약회사들이 slow-kill 방법을 추천하지 않는다. 심지어 특정사상충 예방약을 생산하는 회사마저도 추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