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렌지 TNS 설정 - olenji TNS seoljeong

SQL을 좀 더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Orange라는 Tool을 다운로드해서 사용하려고 합니다.

원래는 굉장히 비싼 제품이지만 30일체험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글에서 orange for oracle을 검색해서 다운로드 합니다.

orange 다운 절차는 엄청간단하여 이미지만 첨부합니다.

오렌지 TNS 설정 - olenji TNS seoljeong

'다음'클릭

'예'클릭

무난하게 표준 설치를 해줍니다.

30일 체험판이기 때문에 굳이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습니다.

그냥 넘어갑니다.

완료!

이제 오렌지 환경설정을 해줄 차례입니다.

아!

오렌지 환경설정을 하기전에

ctrl + r을 누르고 cmd를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전에 oracle 11g 설치에서 얘기했는데 

scott이라는 계정을 사용할 것입니다.

그런데 처음 시작할 때는 계정이 잠금이 되어있어서

잠금을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해제해줍니다.

C:\Users\Admin>sqlplus / as sysdba

 

** 오라클 DB내 사용자 계정(유저) 잠금(lock) 해제
SQL> alter user 유저명 account unlock;

** 오라클 DB내 사용자 계정(유저) 패스워드 변경
SQL> alter user 유저명 identified by "패스워드";

계정 scott과 hr 두 계정을 설정을 해줍니다.

그리고 나서 실행 프로그램에 Orange for ORACLE을 실행해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전역데이터베이스(orcl)에 접속하는 과정입니다.

오렌지 TNS 설정 - olenji TNS seoljeong

TNS Name이 전역데이터베이스로 ORCL을 선택

Username은 계정명으로 scott 입력

정해놨던 패스워드를 입력해줍니다.

그리고나서 Oracle Home에 위와 같이 나올 것입니다.

다 입력했으면 Connect클릭!

연결이 잘되었으면 아래와 같이 나올것입니다.

처음 실행을 위해서 노란색 박스를 누르면 처음 SQL 프로젝트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렇게요!

파일이라는 곳에서 tab을 추가하거나 sql파일을 열고 저장하는 옵션이 있습니다.

이정도는 직접해보는게 더 좋습니다.

이것으로 SQL을 공부하기 위한 설치 및 환경설정이 끝났습니다.

다음 업로드는 SQL select문 입니다.

Oracle using Orange

-      TNS NAME 설정하기

Oracle Instant Client 설치가 필요 à프로그램이 설치된 파일 경로에서 tnsname.ora file을 검색하면 일반적으로 ~||client_1|Network|Admin|Sample 폴더 안에 tnsnames.ora라는 파일이 존재한다. 이것을 다른 이름으로 하나 저장해 놓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Alias : Oracle 서버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계정이다.

Hostname : Oracle database가 설치된 서버의 IP 또는 HOSTNAME이다

Port : Oracle database가 사용하는 port이다. Oracle database 설치시 Port를 변경하였다면 변경된 Port로 수정해야 한다.

Default값은 1521이다.

Orcl : Oracle의 서비스 이름이다. Oracle Database 설치시 Service name을 변경하였다면 변경된 Service name으로 수정해야 한다. Default값은 orcl이다. Express Edition Default값이 xe이다. 이렇게 하고 tnsnames.ora file을 저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