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자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쎄 뜻 - nalasmalssami dyung-gwig-e dal-a munjawalo seoleu samasdi anihalsse tteus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자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쎄" 

10월 9일은 567돌 한글날입니다!

세계적으로 그 우수성을 인정받은 우리의 한글!

다가오는 오는 10월 9일은 오늘의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입니다. TONG과 함께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자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쎄 뜻 - nalasmalssami dyung-gwig-e dal-a munjawalo seoleu samasdi anihalsse tteus

훈민정음은 세종대왕 25년 곧 서기 1443년에 완성하여 3년 동안의 시험 기간을 거쳐 세종 28년인 서기 1446년에 세상에 반포되었습니다. 한글은 자연발생적으로 생긴 것이 아니라 세종대왕이 주도하여 창의적으로 만든 문자인데 지극히 과학적이고 합리적이어서 세계 문자 역사상 그 짝을 찾을 수가 없으며, 한글만큼 우수한 문자가 또 없다는 것을 세계가 모두 인정하고 있답니다. 

이러한 한글의 창제로 말미암아 우리는 문자가 없어서 남의 글자인 한자를 빌어다가 우리말을 중국말 문법에 맞추어 쓰던 불편을 벗어버리고 자유롭게 표현을 할 수 있게 되었고 따라서 오늘날과 같은 문화, 경제, 정치 등 각 분야에 걸친 발전을 이루어 세계 유수한 나라들과 어깨를 겨루게 되었습니다.

한글날을 처음 제정한 것은 우리가 일제강점기에 있던 1926년, 조선어연구회(朝鮮語硏究會) 곧 오늘의 한글학회가 음력 9월 29일(양력으로 11월 4일)을 가갸날이라 하고, 그날 서울 식도원(食道園)에서 처음으로 기념식을 거행한 것이 시초라고 합니다. 이 해는 한글이 반포된 지 8회갑인 480년이 되던 해였으며, 당시는 우리가 일제에 국권을 빼앗기고 억압에 눌려서 위축되어 있던 때라 민족정신을 되살리고 북돋우기 위하여 한글날을 제정하여 기념하기로 했던 것입니다. 오늘날에 이어 한글날은 이러한 한글의 창제와 반포를 기념하고 한글의 우수성과 공로를 기리는 날이 되었답니다.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하여 반포하기까지 우리에게 말은 있었으나 그것을 적을 글자는 없었던 그 시절 말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았었습니다. 말은 말을 하는 그 시간, 그 자리에 있지 않으면 그것을 들을 수가 없으며,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 글자였습니다. 

이러한 장애를 걷어내기 위하여 세종대왕 같은 성군(聖君)이 훈민정음을 창제하여 일반 백성이 쓰도록 하였으나 문화를 주도하는 조선의 사대부 계층이 오랜 한자, 한문 생활에 젖어 한글 쓰기를 거부한 데 이어, 연산군(燕山君) 때의 한글 탄압 이후로 한글은 아녀자들이나 쓰는 글자로 전락하였었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조선조 후기의 실학자들이 한글에 관한 연구를 하기 시작했고, 개화기에 이르러 황제의 칙명으로 한글에 국문(國文)으로서의 지위를 주었다고 합니다. 

이때부터 박영효, 윤치호, 서재필, 이승만과 같은 선각자들, 주시경과 같은 계몽적 국어학자들의 노력으로 한글은 공문서를 비롯한 각종 문서, 신문, 잡지에 널리 쓰게 되고, 이어서 일제강점기에도 민중 계몽 운동의 일환으로 한글을 가르치고 한글맞춤법을 만들었으며 국어 문법을 깊이 있게 연구하였다고 합니다. 일제강점기 말기에 우리말의 말살 정책으로 큰 위기를 맞았었으나 광복과 더불어 우리말과 한글을 마음 놓고 가르치고 배우게 되어 오늘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원래 한글날은 2006년부터는 법정 공휴일이 아닌 국경일로 지정되었다가, 2013년 법정 공휴일로 재지정되었답니다. 올해 10월 9일이 공휴일이 맞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가진 분들이 많으신데, 올해 한글날 공휴일 맞습니다! 더불어 한글날을 전후한 주간에 정부·학교·민간단체 등에서 세종대왕의 높은 뜻과 업적을 기리고 한글날을 경축하는 각종 기념행사들이 열립니다. 그 중 대표적인 행사하나 안내해드릴게요!

- 한글문화큰잔치 한글아 놀자 (10월 7일 ~ 10월 13일) ,광화문광장, 홈페이지 바로가기)

- 출처 :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세시풍속사전, 서강대학교 로올라도서관소장, 문화재청(네이버 한글)

나라사랑하는 마음으로 10월 9일에는 태극기 게양 하는 것 잊으시면 안된답니다!

꼭 태극기 게양해요~!!

훈민정음 서문 내용을 들여다 보자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자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쎄 뜻 - nalasmalssami dyung-gwig-e dal-a munjawalo seoleu samasdi anihalsse tteus
훈민정음 서문

분명 같은 한글인데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한글의 뿌리인데 읽기가 힘들고 뜻의 전달이 잘 안되요
당시 사람들이 사용하던 말과 지금의 말이 많이 달라져서 그럴 수도 있겠죠?

본론으로 들어가서

본문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자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쎄

 이런 전차로 어린 백셩이 니르고져 홀베이셔도

 마참네 제 뜨들 시러펴디 몯할 노미하니아

 내 이랄 윙하야 어엿비너겨 새로 스믈 여들 짜랄 맹가노니

 사람마다 해여 수비니겨 날로 쑤메 뻔한킈 하고져 할따라미니라

해석

나랏말씀이 중국과 달라 문자끼리 서로 맞지 아니하다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이르고자 할 바가 있어도

 마침내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으니라.

 내 이를 위하여 가엾게 여겨 새로 스믈 여덟 자를 만드노니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쉽게 익혀 날마다 쓰기에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10월 9일은 한글날 입니다
세종대왕께서 한글을 만들지 않았다면 아마도 대부분의 국민들이 아직 한자를 배우고 있을 것이고
문맹률 또한 상당 했을 것입니다

한글날 하루라도 한글을 만든 목적과 그 마음을 되세겨 보는 하루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567�ֳ� �ѱ۳��� �¾�

��â ���� �ܿ������� "�������ι� ��ο� �޾� ��"�� �ǻ��� ���ϴ�.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자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쎄 뜻 - nalasmalssami dyung-gwig-e dal-a munjawalo seoleu samasdi anihalsse tteus
 

�� �ƹ������� �����Դϴ�.
�������ι� ��ο� �޾� �� �� �ƴϳ׿�!
���� �ƹ������� �ѹ����� �Ⱓ�Ǿ��µ�,
�̸� �ƹ��������ʺ��̶� �մϴ�.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자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쎄 뜻 - nalasmalssami dyung-gwig-e dal-a munjawalo seoleu samasdi anihalsse tteus
 

�� ���� �ѹ��� �𸣴� ����� ���Ͽ� ����.
�ƹ��������غ��Դϴ�.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자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쎄 뜻 - nalasmalssami dyung-gwig-e dal-a munjawalo seoleu samasdi anihalsse tteus
  

�� �ƹ��������غ��� ���� �� ������ �ƹ��������θ�
������ �۸� ���� �����ϸ� ���� �����ϴ�.
���� "�������ι� ��ο� �޾� ��"

 ��������
�ƹ�����
�������� ������� ����� ����׵��
�������� ��ȣ�߱� ������ �һ����
ͺ ���� ������ ��������������� ����
�� ��� ���ҿ�� �����ҵ�ű����� ����
�� ������� ��������� ������� �� ���������
�� ����ο� �����̽����� ������� �̽� �����Ͽ���



"�������ι� ��ο� �޾� ���ڿͷ� ���� ����� �ƴ��ҽ�
�̷� ������ � ����� �ϸ����� Ȧ �� �̼ŵ�
������ �� �ߵ� �÷���� 몯 �� ��� �ϴ϶�
�� �̶� ���Ͼ� ��� �ʰ� ���� ���� ��듧 ¥�� �Ͱ����
������� �ؿ� ���� �ϰ� ���� ���� 뼌��킈 �ϰ��� �ҵ���̴϶� " 
 


�ƹ��������غ� ���к��� http://hangeul.naver.com/unhaebonViewer.nhn 

���̹����� ������ �ƹ��������غ� �������� pdf ������ ÷���մ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