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분 사냥꾼 펫 - libun sanyangkkun pes

PC

와우가 흥했던 리치킹 시절 냥꾼PVP 최강자 영상

L13 존트라블타

IP

레이어 닫기

IP

175.xxx.250.84

메모최대열글자입니다

2017.05.13. 16:39:21

조회 수5781공감 수4댓글 수8

관심글 설정 더보기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 카카오톡
  • 라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이메일

https://dpg.danawa.com/bbs/view?boardSeq=190&listSeq=3382137&past=Y 복사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프린트 글씨 크게글씨 작게

80만렙 시절

75레벨로 80유저들 다구리로 이기는 냥꾼 유저 영상입니다.


당시 와우 해보신분들은 플레이가 얼마나 뛰어난지 이해가 되실 겁니다.

영상 중간에 오그리마로 가서 펫으로 깃전하는 거 막타치는 영상은 정말

지금도 상상할 수 없는 수준이네요.





Danaik 3 Tripple D

와우를 해보셨다면 한번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공감/비공감

공감4 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레이어 닫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포인트 제도 안내

태그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

신고

은밀한 저격수이자 목표물을 절대로 놓치지 않는 전투의 프로페셔널, 사냥꾼은 그가 원하는 한 정글과 초원, 어디에서든 몸을 숨기고 목표물을 사냥합니다. 사냥꾼은 들판에서 발견한 대부분의 동물을 길들여 소환수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여러 종류의 종족을 추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매우 긴 사정거리와 강력한 공격력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덫을 사용하여 다수의 적을 상대할 수 있는 직업입니다. 

리분 사냥꾼 펫 - libun sanyangkkun pes
 

< 목차 >

1. 캐릭터 생성에서 80레벨 까지 육성 가이드
 ◆ 선택할 수 있는 종족과 특징
 ◆ 1~9레벨
 ◆ 10~60레벨
 ◆ 61~80레벨

2. 순간 폭딜의 강자!! 사격 특성
 ◆ 사격 특성의 특징
 ◆ 아이템 세팅 방법
 ◆ 스킬 사용 방법
 ◆ 특성과 문양

3. 마법형 공격의 궁극. 생존 특성
 ◆ 생존 특성의 특징
 ◆ 아이템 세팅 방법
 ◆ 스킬 사용 방법
 ◆ 특성과 문양

4. 야수는 내 친구. 야수 특성
 ◆ 야수 특성의 특징
 ◆ 아이템 세팅 방법
 ◆ 스킬 사용 방법
 ◆ 특성과 문양

 

   캐릭터 생성에서 80레벨까지 육성 가이드

    선택할 수 있는 종족과 특징 [접기]

 

<얼라이언스>

<호드>

드워프: 모든 독, 질병, 출혈 효과를 제거하고 일정 시간 동안 방어도를 상승시켜주는 `석화` 스킬을 가지고 있는 종족입니다. 냉기 저항력을 가지고 있으며 총기류 사용 시 치명타 적중도가 증가하는 이점이 있습니다.
 

나이트엘프 : 뛰어난 외모를 가지고 있어, 인기 있는 종족 중 하나입니다. 캐릭터가 사망하여 영혼이 되었을 때 이동 속도가 75% 상승 하며, 그림자 숨기라는 종족 스킬을 이용하여 전투 상태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
 

드레나이 : 용맹의 기운(파티 원의 적중도가 1%만큼 상승)이라는 시너지 특성 덕분에 파티에서 환영 받는 종족이며, 암흑 사제를 플레이 할 경우 적중도를 낮추는 대신, 다른 능력치를 상승 시킬 수 있어 PVE에 강력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오크: 일정 시간 동안 전투력이 상승하는 `피의 격노` 스킬을 가지고 있으며, 기절 효과의 지속시간이 줄어들고, 도끼류를 착용하고 있을 때, 숙련이 상승하는 종족입니다. 기절 효과 지속시간 감소는 대 도적전에서 유리하게 작용됩니다. 

타우렌: 주위에 있는 적 대상을 기절시킬 수 있는 `전투 발구르기` 스킬을 가지고 있어 적의 근접 시 빠르게 이탈할 수 있으며, 모든 종족 중 가장 높은 생명력을 가진 종족입니다.

트롤: 공격 속도를 생명력에 따라 최대 30%까지 상승 시킬 수 있는 `광폭화` 스킬을 가지고 있으며, 활 숙련도 증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블러드엘프 : 드레나이와 더불어 불타는 성전에서 추가된 종족입니다. 얼라이언스와 호드를 통틀어 뛰어난 외모를 가지고 있어 가장 인기 있는 종족이라 할 수 있습니다. 주위의 적들을 침묵시키거나, 마나를 회복할 수 있는 비전 격류 스킬을 가지고 있어 PVP와 PVE 모두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는 종족입니다.

 

    1~9레벨 [접기]

 

사냥꾼의 특징인 소환수도 없으며, 착용하고 있는 아이템도 좋지가 않기 때문에 사냥꾼을 육성할 때의 가장 힘든 기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초반에는 자동 사격과 `랩터의 일격`으로 근접한 적들을 사냥하며 4렙 부터는 `독사 쐐기`, 6렙 부터는 `신비한 사격`으로 좀 더 수월한 사냥이 가능해집니다. 대신에, 초반의 부족한 마나 덕분에 저렙용 물은 잊지 않고 사 들고 다니는 것이 좋습니다.

8레벨에 배울 수 있는 `충격포` 스킬은 대상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몬스터와의 거리를 벌릴 때 유용한 스킬입니다. 사냥꾼은 근접보다 원거리 공격이 주가 되는 직업이기 때문에 몹을 잡거나 혹은 PvP를 할 경우에도 항상 적과의 거리를 벌리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10~70레벨 [접기]

 

10레벨이 되면 동물을 길들일 수 있는 방법을 배우게 되며, 이 동물들을 소환수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동물의 종류마다 특별한 스킬을 가지고 있으며, 각 특징을 아래의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 `특수 펫`의 경우 야수 계열의 궁극 특성인 `야수 숙련`을 배워야 길들이거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박쥐

원거리에서 대상을 기절 시키는 스킬을 사용함. 단, 재사용 대기시간이 1분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음.

천둥매

자연 피해를 입히는 스킬을 사용함.

용매

즉시 화염 피해와 함께 2초 동안 추가 피해를 입히는 스킬을 사용함.

황천의 가오리

대상에게 일정량의 암흑 피해를 입히며, 주문 시전을 차단하고 같은 계열의 주문을 2초간 사용하지 못하게 만드는 스킬을 사용함. 40초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가지고 있으며, 캐스터 직업과의 PVP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줌.

올빼미&독수리

기본 피해와 함께 6초동안 대상의 무장을 해제시키는 스킬을 사용함. 무기 위주의 공격을 하는 직업과의 PVP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줌.

갈퀴 발톱

일정량의 피해와 함께 대상을 2초동안 기절 시키는 스킬을 사용함. 박쥐에 비해 재사용 대기시간이 짧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근접 기술이라는 단점도 가지고 있음.

살무사

자연 속성의 지속 피해와 함께 8초 동안 주문 시전 속도를 25% 느리게 만들어 버리는 스킬을 사용함. 화산심장부 사냥개 보다는 낮은 성능을 보여주지만, 일반 펫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캐스터 직업과의 PVP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줌.

거미

원거리에서 대상을 4초간 이동 불가상태로 만드는 스킬을 사용함. 실리더스와 같은 스킬이지만, 피해를 주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음.

포자날개

주위에 있는 모든 적에게 지속 피해를 입히며, 방어도를 3%감소 시키는 스킬을 사용함. 피해량도 낮고 방어도 감소가 낮지만, 광역 스킬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음.

키메라

특수 펫. 냉기&자연 속성 피해를 입히며 5초간 이동속도를 절반으로 만들어 버리는 스킬을 사용함. 근접 직업과의 PVP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여줌.

실리시드

특수 펫. 거미의 특수 스킬과 같은 거미줄 뿌리기를 사용하며, 일반적인 거미와는 다르게 피해를 입힘.











늑대

20초 동안 사냥꾼과 야수의 전투력을 상승시키는 스킬을 사용함. 40초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버프와 겹치지 않아 사격 또는 생존 계열 사냥꾼에게 필수시 되는 펫.

반딧불이(말벌)

약간의 피해와 함께 대상의 방어도를 5% 하락시키며 지속시간 동안 은신이나 투명화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스킬을 사용함. 드루이드의 `요정의 불꽃`, `무모함의 저주` 등과 겹쳐짐.

대머리 독수리

대상에게 즉시 피해를 입히고, 대상과 대상 주위의 모든 적의 전투력을 감소시키는 스킬을 사용함. 전사의 `사기의 외침`, 드루이드의 `위협의 포효`, 흑마법사의 `무력화의 저주` 스킬과 겹쳐짐.

타조

주위의 모든 적에게 디버프를 걸어 다음 근접 공격은 무조건 빗나가게 만드는 스킬을 사용함. 나름 독특한 스킬을 가지고 있으며, 타조에게 죽은 대상은 정신적인 타격을 입게 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음.

랩터

즉시 피해와 함께 15초 동안 지속적인 피해를 입히며, 이 스킬이 치명타로 발동 되었을 때에는 30초동안 공격력이 10% 증가함. 높은 DPS를 뽑아내는 펫 중 하나.

나방

약간의 생명력 회복과 함께, 15초 동안 자신의 전투력을 10%증가 시키는 스킬을 사용함. DPS가 높은 펫 중 하나이지만, 나방의 생명력이 10%미만이 아닐 때에는 유저가 직접 스킬을 사용해 주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음.

하이에나

일반펫 중에서 유일하게 이동속도 감소 스킬을 사용함. 단, 특수 펫인 키메라보다 월등히 떨어지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음.

살퀭이

은신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은신 상태에서는 다음 공격 스킬의 피해량을 증가시킴. 그리고 즉시 피해와 함께 출혈 피해를 입히는 스킬을 사용함. 오리지널 때부터 많은 사랑을 받아오고 있는 인기 펫 중 하나.

화산심장부
사냥개

특수 펫. 화염 속성 피해를 입히며 10초 동안 시전 속도를 25% 느리게 만들어 버리는 스킬을 사용함. 재사용 대기시간과 지속시간이 똑같이 10초로 캐스터 직업과의 PVP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여줌.

데빌사우르스

특수 펫. 즉시 피해와 함께 12초 동안 자신의 피해량을 3%씩(3중첩 가능) 증가시키는 디버프를 사용함. 때문에 가장 높은 DPS를 뽑아내는 펫 중 하나.

야수 정령

특수 펫. 살퀭이와 같은 은신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드루이드의 `달빛 섬광`과 비슷한 스킬을 사용함. 높은 DPS를 뽑아내는 펫 중 하나.











전방에 있는 모든 적에게 피해를 입히는 스킬과 높은 생명력을 가지고 있음. 레벨업시에 광역 탱킹용으로 가장 뛰어난 모습을 보여줌. 처음부터 `휘둘러치기`(5초마다 집중20소모로 주변의 적들을 공격합니다)를 가지고 있음

차원의 추적자

30M를 순간 이동하며, 스킬 시전 후 40초 동안 3번의 근접 공격을 50%확률로 회피할 수 있는 버프가 생기는 스킬을 사용함. 돌진과 재사용 대기시간을 공유하지만, `공간 이동`의 재사용 대기시간은 15초로 돌진보다 빠름. (돌진=25초)

거북이

전사의 `방패의 벽`과 같은 스킬을 사용함. 정예몬스터를 상대할 때, 좋은 모습을 보여줌.

전갈

대상에게 지속적으로 자연 피해를 입히는 독을 사용함. 중첩되지 않도록 패치되면서 전갈을 사용하는 유저가 크게 감소함.

멧돼지

들이받기(10초마다 집중20소모. 적을 들이받아 일정 피해 줌. 돌진 후 6초이내 사용하면 2배피해)를 가지고 있어, 사냥용이나 레벨업 용으로 사용하기 좋다.

고릴라

대상이 주문을 시전할 때 `손등치기`를 사용하여 적의 시전을 끊어 버리고 2초간 같은 계열 시전 불가상태로 만듬. 30초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가지고 있으며, 캐스터 직업과의 PVP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줌,

악어

45초 동안 자신(악어)을 공격하는 적에게 높은 피해를 입힘. 단 재사용 대기시간이 2분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음.

거미 또는 실리더스와 같이 대상에게 일정량의 피해와 함께 이동 불가 상태로 만들어 버리는 스킬을 사용함. 단, 40초라는 긴 재사용 대기시간과 근접 발동 기술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음.

코뿔소

특수 펫. 넉백과 함께 출혈의 피해량을 25% 증가시키는 디버프를 사용함. 대상이 캐스팅 중이라면 넉백으로 취소 시킬 수 있음.

벌레

특수 펫. 자연 피해와 함께 1중첩당 10%씩 총 20%의 방어력을 감소시키는 원거리 공격 스킬을 사용함. (전사의 `방어구 가르기` 같은 스킬과 겹쳐짐)

 

또한 10레벨은 특성을 배울 수 있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저 레벨의 경우 특히 야수 쪽 특성에 투자한다면 플레이어 못지 않게 강력한 펫으로 인해 보다 쉬운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야수 특성은 특히 야수의 강화에 치중된 것이 많으며, 야수의 어그로 및 방어도 관련 특성이 많습니다.

특성 투자하는 기본적인 순서
지구력 훈련 > 매의 상 연마 > 화력 집중 > 두꺼운 가죽 > 상 숙련 > 격노 폭발 > 야수의 본성 > 위협 > 동물 조련사 > 광기 > 야성의 감응 > 야수의 격노 > 독사의 신속함 > 끈질긴 수명 > 내면의 야수 > 코브라의 일격 > 동족의 영혼 > 야수 숙련

그 후 사격트리의 정밀한 사격 > 신중한 조준 > 죽음의 사격 > 숨통 조르기 등을 찍어주게 됩니다.

동물을 길들이고 난 후에는 먼저 몬스터에게 야수(펫, 소환수)를 보낸 뒤, `신비한 사격` 또는 `독사 쐐기`와 같은 공격스킬과 자동 사격으로 엄호해 주는 방식으로 사냥을 하게 됩니다.

초반에는 야수가 약하기 때문에 어그로 획득에 있어 약간 부족한 느낌을 받을 수 있지만, 야수와 관련된 특성을 투자하게 되면서 점차 강력한 방패 역할을 하게 됩니다. 또한 야수가 죽게 되면 사냥이 극도로 어려워 지게 되므로 야수의 생명력을 주시하고 있다가 위급하다 느껴질 때, `동물 치료`(12레벨에 배울 수 있는 스킬)를 사용해 주어야 합니다.

20레벨이 되면 `얼음의 덫` 스킬을 배울 수 있게 됩니다. 이 스킬은 강력한 메즈기로써 다수의 몬스터를 처치해야 할 때, 아주 좋은 스킬입니다. 사냥 또는 던전을 가게 되었을 때 자주 사용하는 스킬이므로 어느 상황에서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

리분 사냥꾼 펫 - libun sanyangkkun pes

 

 

또한 야수의 레벨이 20이 되면 야수의 특성을 투자할 수 있게 됩니다. `신속` 과 `멧돼지의 속도`, 그리고 `돌진` 등 몬스터에게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특성과 자동으로 만족도를 회복할 수 있는 특성들을 위주로 투자해 주는 것이 좀더 편리합니다.

62레벨이 되어 `고정 사격` 스킬을 배우게 되면 더욱 빠른 사냥이 가능해 집니다. 고정 사격은 고효율의 마나 효율을 보여주는 스킬로써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안정적인 대미지를 보여주는 야수 냥꾼의 주력 스킬 중 하나입니다. 그 후 64레벨이 되어 `독사의 상`을 배우게 된다면 이전까지 부족했던 마나 수급량이 좀 더 원활해 져, 보다 빠른 사냥속도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독사의 상`은 빠른 속도로 마나를 채워준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전체 공격력이 절반으로 감소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독사의 상`을 활성화 시킨 상태에서 사냥하는 것은 비 효율적이며, 전투력을 상승시켜주는 `매의 상`과의 적절한 스위칭이 필요합니다. 즉, 몬스터를 공격할 때에는 `매의 상`을 활성화 시키고, 몬스터를 처치한 후에는 바로 `독사의 상`을 활성화 시켜주는 것입니다. `매의 상`과 `독사의 상`을 자주 변경해 주는 것은 80레벨이 된 후 인스턴스 던젼이나 공격대 던젼을 갈 때 필수적인 기술 중 하나이므로 렙업중에도 수시로 상을 변경해 주는 연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71~80레벨 [접기]

 

71레벨 이후에는 2가지의 선택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야수 계열에 계속하여 투자해 주며, 이전과 같은 방식의 사냥을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 방법은 특성을 초기화한 뒤, 사격 특성으로 갈아 타는 것입니다. 야수 계열이 안전한 사냥을 보장해 준다면, 사격 계열은 `신속한 회복력` 특성으로 무한에 가까운 마나 수급을 얻을 수 있으며 보다 강력한 스킬로 인해 빠른 사냥이 가능합니다.

특성을 투자하는 순서

사격 계열의 궁극 스킬인 `키메라 사격`을 최우선으로 투자해야 하며, 이후에는 자신의 스타일에 따라 투자해 주어야 합니다.

1. 야수 계열의 `매의 상 연마` > `화력 집중`까지
2. 생존 계열의 `추적 연마` > `생존 본능`까지
3. 사격 계열에 더욱 투자

사격 계열 특성을 투자한 뒤, 몬스터를 사냥할 때에는 [독사 쐐기 > 고정 사격 > 키메라 사격 > 조준 사격 > 신비한 사격] 순서로 스킬을 사용한 뒤, 대상의 생명력이 20%보다 높다면 `고정 사격`을 한번 더 사용해야 하며, 20%미만이라면 `마무리 사격`을 사용해야 합니다.

사격 특성의 높은 대미지로 보아 보통의 경우, 적들은 접근하기 전에 이미 빈사상태가 되어있거나 죽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적이 접근해 왔을 경우에도 `랩터의 일격`으로 깔끔한 마무리가 가능한 것이 사격 특성의 특징입니다.

또한 `신속한 회복력`으로 인해 마나 수급이 나아졌다고는 해도, 야수와 마찬가지로 `독사의 상`을 사용하지 않는 다면 마나가 부족해 지는 일은 여전히 있으므로, `매의 상`과 `독사의 상`의 적절한 교환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리분 사냥꾼 펫 - libun sanyangkkun pes

   강력한 순간 폭딜의 사격트리!!

 

    사격 특성의 특징

 

야수의 격노를 제외한 모든 기술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초기화 시켜주는 `만반의 준비` 특성으로 2연속 `속사`와 다양한 공격 스킬의 몰아치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3가지 특성 중에서 순간 화력이 가장 좋으며, `사격술`과 `신속한 회복력` 특성으로 인하여 마나 효율이 좋아진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다른 특성에 비해 아이템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이템 세팅 방법 [접기]

 

능력치

추천 수치

설명

적중도

264 (집중력 특성 3포인트 투자시164)

공격의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수치중 하나인 적중도 입니다. 냥꾼의 경우 집중력 3% 특성을 찍을 경우 164만 세팅하면 되며, 드레 냥꾼의 경우 1%의 이득이 있으므로 132의 세팅을 하면 되겠습니다.

민첩

2000 이상

민첩은 대미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부분으로써 높을 수록 좋습니다. 보통 방어도 관통력과 연관지어 생각되어지는 개념으로써 초중반에는 민첩의 비중이 높으나 만방관에 가까워 질수록 방관보다는 그 효용성이 떨어진다 하겠습니다.

치명타 확률

40% 이상

민첩과 방관 때문에 자칫 소홀히 여겨질 수 있는 치명타 적중도지만 사격냥꾼의 특성상 치명타가 터졌을 경우 발동되는 스킬 등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치명타 적중률입니다.

방어구 관통력

90% 이상 (1100)

역시 민첩과 연관지어서 생각해야 하는 방어구 관통력 입니다. 아이템과 특성 등으로 올라가는 방어구 관통의 경우 모두 합 연산이 적용됩니다.

이후에는 `민첩성`과 `방어구 관통력`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되며, `어떤 스텟이 더 좋다`라고 말하기가 힘듭니다. 다만, `방어구 관통력`의 경우 400~500이상이 되었을 때 효율이 상승하게 되며, 900~1000 가량이 된다면 확실한 효율을 발휘하게 된다는 점입니다. 즉, 아이템의 성능이 좋지 않은 초반에는 `방어구 관통력`을 선택하는 것 보다는 `민첩성` 위주의 세팅이 좋으며, 나중에 아이템이 좋아졌을 때에 고려해볼 사항입니다.

 

    스킬 사용 방법 [접기]

 

사격 사냥꾼은 `민첩성`과 `방어구 관통력` 중 어떤 스텟을 위주로 세팅하였는가에 따라 2가지의 딜 사이클이 있습니다.  

※ 키메라 사격=키 , 신비한 사격=신 , 조준 사격=조 , 고정 사격=고, 침묵의 사격=침

먼저, `민첩성` 세팅을 했을 때에는 [독 >키 >조 >고 >고] 방식의 반복된 딜 순서가 가능하며, `방어구 관통력` 세팅을 하였을 때에는  [독>속>침>키>조>고] 의 순으로 스킬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속사`와 `침묵사격`은 같이 사용 할 수 있으며  바로 `키메라 사격`까지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2가지의 딜 사이클 모두 `독사 쐐기`는 따로 사용하지 않아도 `키메라 사격`으로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이클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또한 대상의 생명력이 20% 이하가 된다면, `고정 사격` 대신 `마무리 사격`을 끼워 넣으시면 됩니다.

 

    특성과 문양 [접기]

 

리분 사냥꾼 펫 - libun sanyangkkun pes

위 특성은 `예제` 이므로 자신의 무기와 플레이 스타일, 아이템 세팅에 따라 조율해 주어야 합니다.

< 주 문양 >

키메라 사격의 문양

키메라 사격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1초만큼 감소합니다.

마무리 사격의 문양

마무리 사격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6초만큼 감소합니다.

고정 사격의 문양

독사 쐐기에 걸려 있는 대상 공격 시 고정 사격의 공격력이 10%만큼 증가합니다.

독사 쐐기의 문양

독사 쐐기의 지속시간이 6초만큼 증가합니다.

 

   마법형 공격은 이런 것이다!! 생존 특성

 

    생존 특성의 특징

생존 특성의 사냥꾼은 `사냥꾼과 야성`, `결점 노출`특성과 같이 캐릭터의 스텟을 상승시켜주는 특성을 다수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야수 특성과 사격 특성에 비해 매우 높은 스펙을 자랑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사격 특성의 순간 폭딜을 따라가기는 힘들지만, 특히 광역구간에서의 DPS는 사격 냥꾼을 넘어서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또한 주요 공격 스킬인 `폭발 사격`과 `검은 화살`은 기본적인 피해도 좋지만, 마법형으로 분류되어 있어 일부 구간에서는 더욱 뛰어난 성능을 발휘합니다. 그리고 PvP 상황 시, 생존 냥꾼의 스킬들은 더욱 빛을 발휘하게 됩니다.

 

    아이템 세팅 방법 [접기]

 

아이템의 세팅은 각자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의 표는 25인 `십자군의 시험장(일반)`을 플레이하기 위한 최소한의 수치로 작성하였으며, 이를 참고하여 우선 만적중을 맞춘 후, 자신의 스타일대로 꾸미시는 것이 좋습니다.

능력치

추천 수치

설명

적중도

264 (8%)

가장 중요한 수치 중 하나인 적중도 입니다. 생존냥꾼의 경우 특성에서 적중을 줄 여유가 별로 없습니다. 그러므로 순수하게 템으로 8%를 맞춰야 합니다. 물론 드레나이 사냥꾼의 경우 7%를 맞추면 됩니다.

민첩

2200이상

생존냥꾼의 경우 방어구 관통보다는 민첩으로 세팅을 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민첩+치명타 보석 및 세팅을 주로 하게 됩니다.

치명타 확률

45% 이상

민첩과 전투력 때문에 자칫 소홀히 여겨질 수 있는 치명타 적중도지만 생존냥꾼의 경우도 치명타 확률은 중요합니다. 때문에, 보석 세팅의 경우 민첩+치명타 세팅을 하게 됩니다.

방어구 관통력

다다익선, 일부로 맞출 필요는 없음

자민첩 세팅을 하게 될 경우 도외시 되는 것이 방어구 관통력이지만 방어구 관통력 또한 생존 냥꾼 대미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며, 템에 방어구 관통이 붙은 경우도 있습니다. 다만 방어구 관통을 일부로 세팅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통념입니다.

 

    스킬 사용 방법 [접기]

 

생존 사냥꾼의 딜 사이클은 복잡한 편에 속하기 때문에 사이클을 외우는 것보다는 스킬별 우선 순위를 파악한 뒤, 재사용 대기시간이 돌아올 때마다 사용해 주는 것이 더 편리합니다.

초보를 위한 딜 사이클 간단 정리.

조준 사격`은 특성 포인트를 소모해야 하지만, 잘 활용한다면 아주 좋은 스킬 입니다. 그러나 `조준 사격`을 사용하기가 어렵다면, `조준 사격`을 배제한 딜사이클을 선택하는 게 오히려 좋을 수 있습니다.

또한 전투가 시작되었을 때, 가장 먼저 사용해야 하는 스킬이 `검은 화살이냐? 폭발사격이냐?`에 대하여 끊이지 않고 많은 논의가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결국 상황에 따라 좀 더 효율적인 스킬을 사용하게 되며 이것은 수많은 경험이 쌓인 후에야 알게 되는 부분이 되겠습니다.

※ 키메라 사격=키 , 신비한 사격=신 , 조준 사격=조 , 고정 사격=고, 폭발 사격=폭, 독사 쐐기 = 독, 검은 화살 = 검

상황을 배제한 채, 사용되는 생존냥꾼의 딜 사이클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폭 >독 >검 >조 >폭 > 고 > 고 >고 >폭

 

    특성과 문양 [접기]

 

리분 사냥꾼 펫 - libun sanyangkkun pes

 ▲15 - 56의 예제 특성

위 특성은 `예제` 이므로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과 아이템 세팅 등에 따라 조율해 주어야 합니다.

< 주 문양 >

마무리 사격의 문양

마무리 사격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6초만큼 감소합니다.

폭발 사격의 문양

폭발 사격으로 치명타를 적중시킬 확률이 4%만큼 증가합니다.

독사 쐐기의 문양

독사 쐐기의 지속시간이 6초만큼 증가합니다.

고정 사격의 문양

독사 쐐기에 걸려 있는 대상 공격 시 고정 사격의 공격력이 10%만큼 증가합니다.

매의 문양

매의 상 연마의 가속 보너스 효과가 추가로 6%만큼 증가합니다.

`마무리 사격의 문양`과 `독사 쐐기의 문양`의 경우 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외에 `매의 문양` 과 `폭발 사격`의 문양 등 여러 문양들이 스왑하여 쓰이게 됩니다.

 

   야수는 내 친구! 야수 특성

 

    야수 특성의 특징

 

야수 특성은 말 그대로 야수에 관한 특성을 다수 가지고 있어, 전체 딜량의 절반 가량을 야수가 만들어 낸다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단점 또한 가지고 있습니다. 장점을 보자면 잦은 무빙으로 인해 본체(사냥꾼 캐릭터)가 제대로 공격을 하지 못하더라도 야수가 그 부족한 부분을 채워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야수가 전투 중 죽게 된다면 DPS가 큰 폭으로 감소된다는 단점 또한 가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야수 사냥꾼에게는 야수가 아주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야수 트리의 궁극 특성인 `야수 숙련`을 통하여 사격 또는 생존 트리로는 길들일 수 없는 독특하고 강력한 몬스터를 테이밍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또한 하나의 장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아이템 세팅 방법 [접기]

 

아이템의 세팅은 각자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의 표는 25인 `십자군의 시험장(일반)`을 플레이하기 위한 최소한의 수치로 작성하였으며, 이를 참고하여 우선 만적중을 맞춘 후, 자신의 스타일대로 꾸미시는 것이 좋습니다.

능력치

추천 수치

설명

적중도

264 (특성 투자 시 164)

가장 중요한 수치 중 하나인 적중도 입니다. 드레나이 사냥꾼의 경우 7% (집중 특성 투자 시 4%)를 맞추면 됩니다.

전투력

5000

야수 냥꾼의 경우 사격냥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방어구 관통 세팅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외에는 야수냥꾼은 민첩 세팅 대신 전투력 세팅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야수의 공격력이 냥꾼의 전투력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치명타 적중도

40%

적중과 방어구 관통에 치중하게 되는 야수 냥꾼의 세팅 상 치명타 적중도까지 높이는 것은 쉽지 않은 선택입니다. 때문에 제일 마지막으로 신경 쓰게 되는 것이 바로 치명타 적중도 입니다.

방어구 관통

500~1200 이상

방어구 관통은 만방관이 되느냐? 안되느냐에 따라 극명하게 대미지 딜링이 나뉘게 됩니다. 민첩 세팅을 하게 될 경우라도 방어구 관통력은 500 내외를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보석 세팅 포함, 방어구 관통이 90%를 넘어섰을 경우, 바로 세팅을 방어구 관통으로 교체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스킬 사용 방법 [접기]

 

야수 사냥꾼의 딜 사이클은 비교적 간단한 편입니다. 바로 `일제 사격`을 재사용 대기시간이 돌아올 때마다 사용해주며 `독사 쐐기`를 꾸준히 리필하고, 틈이 날 때마다 `고정 사격`을 사용해 주는 것입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했듯이 전체 딜량의 절반 가량을 야수가 하기 때문에 야수 관리에 가장 신경 써 주어야 합니다.

딜링에 대한 몇 가지 팁을 적어보자면, 먼저 단일 대상으로 딜을 할 때에 마나가 절반 이하로 떨어지면 `일제 사격`을 딜 사이클에서 빼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마나 소비가 가장 크지만 피해량은 생각보다 낮기 때문입니다. 또한 `일제 사격`의 경우 방어구 관통 효과를 받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두 번째 팁은 `야수의 격노`는 재사용 대기시간이 돌아올 때마다 사용하는 것과 `속사`는 극딜 타이밍에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 이유를 설명하자면 `야수의 격노`의 경우 문양을 사용하는 상태에서는 재사용 대기시간이 70초로 매우 짧으면서 공격력을 크게 상승시켜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자주자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속사`의 경우 재사용 대기시간이 매우 길기 때문에 전투 중에 2번 사용하기가 힘든 스킬 입니다. 때문에 아끼고 아껴 두었다가 `영웅심(피의 욕망)` 등의 극딜 타이밍에 같이 사용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은 `상`에 대한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냥꾼은 `용매의 상`을 활성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상황, 예를 들어 아무런 `상`을 활성화 하지 않은 노버프 상태에서 전투력이 약 5000가량이 되는 스펙을 갖추고 있다면, 25인 레이드의 풀버프를 받고 각종 도핑 물약을 사용한 상태에서는 `용매의 상`보다 `문양`을 사용한 `야수의 상`을 활성화 하는 것이 더 좋을 수 있습니다.


    특성과 문양 [접기]

 

리분 사냥꾼 펫 - libun sanyangkkun pes

▲ 56 - 15 예제특성

위 특성은 `예제` 이므로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과 아이템 세팅, 공격대 상황 등에 따라 조율해 주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야수 사냥꾼이 사용하는 특성이지만, 개인의 플레이 스타일, 아이템 세팅 등의 다양한 상황에 따라 다양한 특성 트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야수 사냥꾼에게는 사냥꾼의 특성 외에도 야수의 특성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우측의 예제 특성을 보시고 자신의 스타일에 맞게 조절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야수 트리의 궁극 특성인 `야수 숙련`을 통한 추가 특성 포인트까지 투자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리분 사냥꾼 펫 - libun sanyangkkun pes

 

< 주 문양 >

야수의 격노의 문양

야수의 격노 주문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20초만큼 감소합니다.

고정 사격의 문양

독사 쐐기에 걸려 있는 대상 공격 시 고정 사격의 공격력이 10%만큼 증가합니다

독사 쐐기의 문양

독사 쐐기의 지속시간이 6초만큼 증가합니다.

야수의 문양

야수의 상으로 인한 사냥꾼과 야수의 전투력 보너스가 추가로 2%만큼 증가합니다.

야수 트리를 선택하는 사냥꾼 유저의 대부분의 경우 `야수의 격노의 문양`과 `고정 사격의 문양`을 필수로 사용하며, `독사 쐐기의 문양` 또는 `야수의 상의 문양`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