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휴대폰 분실보험 - lg hyudaepon bunsilboheom

Lg 휴대폰 분실보험 - lg hyudaepon bunsilboheom

엘지유플러스 핸드폰 분실신고 하는 방법과 고객센터 전화번호를 확인해보았습니다. LG U+ 통신사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핸드폰 분실을 했다면 빨리 분실신고를 해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엘지유플러스 핸드폰 분실신고

분실신고를 하는 방법은 총 3가지입니다. LG유플러스 홈페이지에서 인터넷신고, LG유플러스 매장을 통한 방문신고, 엘지유플러스 고객센터를 통한 전화신고입니다. 하나씩 방법을 알아봅니다.

1. LG 유플러스 홈페이지에서 신고하기

엘지유플러스 홈페이지에 접속해 로그인을 한 후 [고객지원 – 휴대폰 분실처리 – 분실접수하기] 의 경로로 이동해 분실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Lg 휴대폰 분실보험 - lg hyudaepon bunsilboheom

2. LG유플러스 매장에 방문해서 신고하기

가까운 LG유플러스 매장에 방문해 분실신고를 접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본인 신분증을 지참해 LG유플러스 매장을 방문하세요.

3. 고객센터를 통해 신고하기

LG유플러스 고객센터에 분실/파손 전담센터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24시간, 365일 언제든 핸드폰을 분실하거나 파손된 경우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 LG유플러스 핸드폰 분실신고 전화번호: 1644-5108
  • 24시간, 365일 상담 가능

엘지유플러스 핸드폰 분실/파손 보험 보상받기

만약 엘지유플러스 휴대폰 분실/파손 보험에 가입되어있다면 보험 보상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휴대폰 분실/파손 보험 어플 또는 홈페이지, 휴대폰 분실/파손 보험보상센터 고객센터를 이용하세요.

분실보상 신청시에는 보험청구서와 개인정보처리동의서가 필요합니다. 어플, 홈페이지를 이용할 때에는 서류제출이 따로 필요 없습니다. 신청 후 보상심사를 진행한 후 결과가 통보됩니다.

보상금액은 가입상품에 따라 보상금액, 고객부담금이 달라지며, 분실 보상시 가입한 휴대폰과 동일한 모델로 보상됩니다. 즉 현금으로 보상되지 않습니다.

  • LG유플러스 휴대폰 분실/파손 보상센터 전화번호: 1544-1110
  • 상담사 연결 시간: 평일 9시 ~ 18시, 토요일 9시 ~ 13시

추가로 LG유플러스 고객센터 전화번호는 휴대폰에서 114를 누르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Last Updated on 2022-11-09 by 정보마스터

블록체인 기반 보험 청구 서류 연동, 오후 4시까지 심사 끝나면 당일 지금
LG전자·삼성전자 서비스센터 수리 고객 ‘U+휴대폰 보험’ 앱에서 이용 가능

Lg 휴대폰 분실보험 - lg hyudaepon bunsilboheom
LG유플러스는 U+휴대폰 보험 앱에서 블록체인기반 모바일 전자증명서비스인 이니셜(Initial) 앱과 연동해 휴대폰 분실/파손보험금 청구 절차를 간소화했다/ 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는 U+휴대폰 보험 앱에서 블록체인기반 모바일 전자증명서비스인 이니셜(Initial) 앱과 연동해 휴대폰 분실/파손보험금 청구 절차를 간소화했다.

그간 휴대폰 파손의 경우에는 단말 제조사의 서비스센터를 방문해 수리를 받고 수리영수증과 견적서를 발급받은 뒤 파손 보상 신청서를 작성해 함께 보험사의 보상센터에 제출해야 했다.

앞서 LG유플러스는 지난해 7월부터 LG전자 휴대폰을 이용하는 고객에 한해 U+휴대폰 보험 앱에서 블록체인 분산원장 기술로 제조사의 수리비 정보를 연동해 별도의 서류 제출 없이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게 절차를 간소화했다. 이를 통해 수리영수증과 견적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보상처리가 가능해졌다.

LG유플러스는 삼성전자 휴대폰을 이용하는 고객에게까지 서비스를 확대했다. 고객이 U+휴대폰 보험 앱에서 ‘서류 자동 연동’ 버튼을 누르면 전자증명서비스인 이니셜 앱이 연동돼 삼성전자 수리비 정보를 연동하는 방식. LG유플러스는 보험사와도 실시간으로 수리비 정보를 연동했는데, 오후 4시까지 심사가 완료되면 신청 당일에 보험금이 입금된다.

이니셜 앱은 LG유플러스 비롯한 통신, 금융, 카드, 제조 등 14개사가 참여한 모바일 전자증명 서비스다.

이종서 LG유플러스 고객유지담당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더 빠르고 간편하게 휴대폰 분실/파손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는 서비스가 확대됐다”며 “더 많은 고객이 간소화된 보험금 청구를 이용해 휴대폰 분실, 파손 걱정 없이 사용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7월 1일부터 휴대폰 보험 가입기한을 개통 후 60일까지 늘리고 월 이용요금 부담을 낮춰 고객의 혜택을 늘리는 방향으로 휴대폰 보험 상품을 개편했다.

저작권자 © Korea IT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인천투데이=박소영 기자│휴대폰이 분실‧파손됐을 때 보험금을 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사 휴대폰 보험이 자기부담금을 떼고 나면 '무용지물'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인천 구월동에서 일하는 김 씨는 지난 1월 20일 갤럭시Z폴드2 액정이 깨져 삼성 수리센터를찾았다. 김 씨는 수리비용 9만5000원을 냈다. 

김 씨는 지난해 7월 휴대폰을 구입할 때 함께 들어놓은 KT 휴대폰 보험이 떠올라 KT에 보험금을 청구했다.

하지만 보험금을 청구하기 위해 찾아간 KT 대리점에서 ‘수리비가 최소 자기부담금인 14만원을 넘지 않아 보상하기 어렵다’라는 답변을 들었다. 김 씨는 휴대폰 액정이 깨지면 높은 수리비용을 물까 우려해 휴대폰 보험을 들었지만 단 한푼도 돌려받지 못했다.

김 씨가 들어놓은 보험은 ‘갤럭시케어 200’ 상품이었다. 월 이용료는 1만1140원이다. 하지만 자기부담금이 14만원 상당으로 높아 보험금을 수령할 수 없거나 적어 무의미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김 씨가 가입한 휴대폰 보험의 경우 자기부담금이 14만원을 넘어야 넘는 금액만큼만 보상금을 받을 수 있다. 예를들어 14만5000원 수리비용이 발생하면 자기부담금 14만원을 내고, 통신사가 5000원을 부담한다.

Lg 휴대폰 분실보험 - lg hyudaepon bunsilboheom
SK‧KT‧LG U플러스 휴대폰 보험 비교.

높은 자기부담금 설정해 놓고 통신사가 일방적 이득

SKT‧KT‧LG U플러스는 각각 휴대폰 보험 사업을 하고 있다. 몇몇 보험 상품을 제외하고 대부분 보험의 자기부담금은 수리비용의 23~30%, 최소 3만원이다. 예를들어 휴대폰 액정을 수리해 27만원 수리비용이 발생했을 경우 내야하는 자기부담금은 8만1000원이다.

휴대폰의 경우 자동차와 비교해보면 소액 수리비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높은 자기부담금을 설정해 놓으면 통신사가 일방적인 이득을 취할 수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공식 통계는 없지만 휴대폰 보험과 관련한 민원이 종종 들어온다”면서 “주로 휴대폰 판매점에서 ‘고장나면 수리비용을 전부 보장 받을 수 있다’는 안내를 듣고 계약을 했는데 자기부담금이 높아 보험금을 수령받지 못한 소비자들이 많이 문의한다”고 말했다.

Lg 휴대폰 분실보험 - lg hyudaepon bunsilboheom
휴대폰 이미지.(사진출처 pixabay)

이동통신사들 손해율 100% 웃돌자 자기부담금 높여

2018년 한국금융연구원 금융브리프 ‘휴대폰 보험의 소비자 보호 이슈’를 보면, 휴대폰 가입자는 2013년 501만명에서 2014년 613만명, 2015년 774만명으로 지속 증가하고 있다. 이후 최근 통계는 발표된 게 없다.

4000~6000원대 휴대폰 보험은 연간으로 환산하면 수만원대로, 수백만명이 가입하면 이동통신업체에 상당한 수익을 안겨다 줄 것으로 예상된다.

당초 이동통신사들은 휴대폰 보험 손해율(보험 가입고객에게 받은 보험료 대비 지급한 보험금의 비율)이 100%를 웃돌며 손해가 커지자, 보상한도를 줄이고 동시에 자기부담금을 늘렸다. 

이에 따라 2018년 2월 말 단말기 보험의 손해율은 업체에 따라 최저 70%까지 내려간 것으로 연구원은 분석했다.

연구보고서를 발표한 서병호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휴대폰 보험과 관련한 민원은 주로 ▲자기부담금 과다에 따른 보험이익 상실 ▲상품판매 시 설명 부족 ▲계약기간 중 주요변동사항 미고시 등이라고 지적했다.

또, 휴대폰 보험은 손해보험협회가 기초적인 통계조차 발표하지 않고 있는데 자동차보험이나 화재보험과 마찬가지로 수입보험료, 지급보험료, 손해율, 사업비 등을 주기적으로 공시하게 조치해야 한다고 했다.

이와 관련 자료요청과 설명을 듣기 위해 KT‧LG U플러스에 수차례 연락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

SKT 관계자만 유일하게 답변이 왔는데, 이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고의로 분실, 파손하는 일을 막기 위해 자기부담금 설정은 불가피하다. SKT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라며 "보험업계가 휴대폰 보험 상품을 설계하고 그걸 이동통신사에 넘겨줬는데, 그때 당시 협의를 해 적절한 자기부담금을 설정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