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상륙작전 이후 - incheonsanglyugjagjeon ihu

맥아더와 인천 상륙 작전

6·25 전쟁 발발 초기에 국군과 연합군은 부산까지 퇴각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나 개전 3개월이 지나면서 국군과 연합군은 당시 적의 허점을 찌르는 기습을 감행함으로써 북한 인민군의 보급로를 차단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하였고, 1950915, 인천 상륙 작전이 개시되었습니다. 인천 상륙 작전에는 총 261척의 함대와 미 해병대 1개 사단, 육군 7개 사단 등 총 75천여 명의 병력이 투입되었습니다. 연합군은 먼저 함포사격으로 상륙할 지역의 방어망을 파괴한 다음 군대를 상륙시켰습니다.

▲인천 상륙 작전 당시 해군 함대의 지원 포격 속에 월미도에 상륙하는 미 해병 사단의 모습(출처: 우리역사넷) 

작전의 1단계는 월미도 점령이었습니다. 인천은 조수간만의 차가 평균 7m, 병력의 상륙을 위해서는 월미도 점령이 우선되어야 했습니다. 이러한 작전에 따라 연합군은 월미도를 2시간만에 점령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연합군은 7명의 경미한 피해를 입었으며, 북한 인민군은 108명이 전사하고, 106명이 포로로 잡혔습니다.

▲인천 상륙 작전을 지시하고 있는 맥아더 장군의 모습(출처: 우리역사넷)

작전의 2단계는 인천 장악이었습니다. 국군 17연대, 미군 7사단, 미군 제1해병사단 주도로 작전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어 916일 인천을 점령하였고, 인천지역에 주둔해 있던 북한군 2천 여 명은 거의 전멸하였습니다. 인천 상륙 작전으로 승기를 잡은 국군과 연합군은 928일 수도인 서울을 수복하였고, 이어 10138선을 넘어 북한 지역으로 북진하였고, 10월 말 압록강 지역까지 진격하였습니다.

인천 상륙 작전은 6·25 전쟁 당시 수세에 몰린 국군과 연합군이 전세를 역전 시킬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습니다. 당시 북한군은 인천에 연합군이 상륙할 것이라는 첩보를 알고 있었으나, 낙동강 전투로 보급로가 길어진 상황이었고, 거의 모든 병력을 낙동강 전투에 집중시켰기 때문에 연합군의 인천 상륙을 막을 수 없었습니다. 북한군은 이 작전으로 인해 인천을 빼앗긴 이후 1·4 후퇴까지 연달아 전투에 패배하였습니다그러나 중국 인민지원군이 참전하면서 전세는 다시 역전되었습니다. 

맥아더는 초기에는 중국군의 참여에도 불구하고 연합군이 승리할 것이라고 장담하였습니다그러나 연합군의 압도적 화력에도 불구하고 전세가 반대로 흐르게 되자맥아더는 중국군의 보급선인 만주를 폭격할 것핵폭탄을 만주와 북한에 사용할 것대만의 국민당 군대를 한반도 전쟁에 투입하고 동시에 중국 남부에 상륙시켜 제2전선을 열 것 등을 주장하였습니다그러나 미국 합동 참모 본부와 트루먼(Harry S. Truman, 1884~1972) 미국 대통령은 맥아더의 주장을 거부하였습니다.

전쟁 작전 수행을 둘러싸고 맥아더와 미국 합동 참모 본부 및 트루먼 미국 대통령과의 대립이 깊어졌고, 결국 19514월 맥아더는 연합군 사령관 지위에서 해임되었습니다. 맥아더는 이후 기업인과 언론인으로 활동하다가 1964년 타계하였습니다. 6·25 전쟁 참전 공로와 인천 상륙 작전 당시의 활약으로 현재 인천광역시 자유 공원에는 맥아더 동상이 건립되어 있습니다.

[자료출처: 우리역사넷]

인천상륙작전과 수도 서울 탈환! 

한국전쟁의 전세(戰勢)를 일거에 역전시키고 대한민국을 구하다…

인천상륙작전 이후 - incheonsanglyugjagjeon ihu

강문호 전 주미 해병대 무관 / 예비역 해병대 대령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27일까지 3년이 넘게 이어진 한국전쟁을 통틀어 일거에 전세(戰勢)를 역전시킨 작전을 꼽으라면 주저없이 인천상륙작전을 언급하는 분들이 많을 것이다. 한국전쟁의 대전환점이었던 인천상륙작전과 수도 서울을 탈환한 작전은 별개의 작전이 아니라 일련의 연속된 작전으로, 미국 해병대와 함께 주공 임무를 수행하였던 한국 해병대는 경인지구 작전 (1950.9.15 ~ 10.8)으로 명명하고 한국 해병대 7대 작전에 포함하고 있다. 

  가을의 초입인 9월, 인천 시민들에게 휴식을 제공하는 월미도 등 상륙지역과 서울 내외곽의 아름다운 산 능선, 그리고 시가지가 어떤 과정과 희생을 통하여 현재의 우리가 자유와 풍요로운 민주주의를 향유하고 있는지 간략히 알아보자.

인천상륙작전

  맥아더(Douglas MacArthur) 장군은 제 2차 세계대전간 해군의 니미츠(Chester William Nimitz) 제독과 더불어 태평양 전역 수행 의 양대 거목이었으며, 태평양의 섬들에 배치된 일본군을 격퇴하기 위해 적의 약한 곳으로 상륙하여 병참선을 차단함으로써 최소한의 아군 피해로 적을 격퇴하는 상륙작전을 미 해군과 함께 50여 회나 수행한 상륙전의 베테랑이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개전초기 항공기 전선 시찰을 통하여 북한군 후방으로 상륙, 적을 포위 격멸하려는 블루하 트(Blue heart)계획을 구상하고 부대를 준비시켰으나, 북한군의 예상보다 신속한 남진으로 취소하 게되었다. 이후 이 계획을 발전시켜 작전계획 100- B(인천), 100-C(군산), 100-D(주문진)의 3개안 중 100-B(인천)이 채택되어 9월 15일을 상륙돌격 D일로 예정한 크로마이트(Chromite) 계획이 수립 되었다. 

  이는 바다를 기동공간으로 사용한 기동전으로서 적의 후방 깊숙한 곳으로 상륙하여 후방병참선 차단, 낙동강 전선의 적부대에게 양면전투, 포위로 인한 전선 와해는 물론 아군의 피아간 심리적 중심인 서울을 조기 탈환하고, 인천항만 및 김포공항을 확보함으로써 북진을 위한 기동 및 작전지속지원이 가능하게 하는 탁월한 계획이었다. 

  그러나 인천의 조수간만의 차이, 좁은 수로, 낙동강 전선에서 지나치게 이격되어 상륙군 부대의 각개격파 위험성 등의 여러 이유로 미 합참과 해군, 해병대는 물론, 육군에서 조차 반대 의견을 피력하였고, 대안으로 군산일대를 상륙지점으로 제시하였다.

인천상륙작전 이후 - incheonsanglyugjagjeon ihu

  미 육군참모총장과 해군참모총장을 포함한 합동참모본부의 반대 논리를 침착하게 청취한 맥아더 장군은 “적은 후방을 무시하고 있고 병참선이 과도 하게 신장되어 있으므로 서울에서 신속히 이를 차단할 수 있으며, 낙동강 전선을 정면으로 공격하는 소모전보다 10만여명의 인명피해를 줄이고 단기간 에 전세를 역전시킬 수 있다. 전략적, 심리적, 정치 적 이유를 들어 중요한 수도 서울을 단시일 내에 탈 환하기 위해서는 인천에 상륙해야 한다”, “인천항의 지리적 난점은 해군이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믿으며, 나는 해군보다도 더 해군을 신뢰한다”라는 연설로 미 국방부 및 합참, 각군 대표단을 설득하여, 마침내 미 대통령도 이 계획을 승인하게 되었다. 

  작전보안 및 적 기만을 위하여 동서해안에 함포사격 및 공중폭격, 군산에는 상륙양동, 장사에는 상륙양공 규모의 기만작전이 수행되었으며, 인천의 해안두보를 기준으로 해안두보 외곽은 공군기가 병참선 차단 폭격을, 해안두보 내부는 미 해군 및 해병대 공격기가 적 예상 포진지, 및 참호에 대한 폭격을 실시함으로써 상륙군의 상륙돌격을 위한 여건 조성작전을 실시하였다. 

  상륙군은 미 제10군단을 창설하여 그 예하에 최초돌격 제대로 미 해병대 1사단, 한 해병대(미측 편 의상 한 해병대 1연대로 명명), 그리고 후속 양륙부 대로 미 육군 7사단, 한 육군 17연대를 편성하였고, 해군을 포함한 총상륙부대 규모는 8개국 261척의 함선과 75,000명의 병력이 인천 앞바다의 상륙해 역에 집결하였다. 

  미 해군정보장교 클라크 중위와 한 해군 정보부 대원 등 첩보부대가 팔미도에 사전침투하여 정보수집 및 팔미도 등대를 밝혀 상륙기동부대를 유도하였다. 상륙작전의 지상작전개념은 2단계로 계획되었으며, 1단계는 해안에 상륙돌격후 적의 포병으로 부터 후송 상륙의 안전을 보장하는 해안두보(육상의 교두보 개념)를 확보하고, 2단계는 내륙 지상작전을 실시하여 인천일대를 완전히 확보하여 서울방향으로 계속 공격하기 위한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다. 인천해안 상륙을 위한 상륙해안은 3개소를 선정하였으며, 적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감제고지인 월미도를 녹색해안, 그 좌측 해안을 적색해안, 이격 된 우측 해안을 청색해안으로 선정하였다. 9월 15일 새벽 06:30분, 가장 위험한 목표인 월미도(녹색해 안)에 미 해병대 1개 대대가 최초 상륙돌격을 개시 하여 목표를 점령한 후, 오후 만조까지 방어를 실시하고, 다음 만조시간인 오후 17:30분에 월미도 좌측 적색해안에 상륙돌격하는 미 해병대 연대(-) 및 한 해병대 1연대를 화력으로 엄호하였다. 이어서 수 km우측에 이격된 청색해안에 미 해병대 1개연대가 상륙돌격하여 각각 부여된 목표를 공격하여 확보하였다. 

  상륙돌격은 상륙작전에서 가장 위험한 단계로서 해군은 이를 결정적 작전이라 칭하며, 해병 대는 상륙돌격이라 부른다. ‘There is no place to retreat, thus every Marine Should be rough mentally. 후퇴할 땅이 없다, 고로 모든 해병대원은 정신적으로 강해야 한다’. 은폐 엄폐할 곳이 없는 상태에서 해상에서 해변으로 돌격하여 적을 격퇴하고 상륙목표를 달성해야 하는 상륙군의 특성을 잘 표현한 미 해병대의 문장이다. 

  맥아더 장군은 기함에서 해병대가 상륙돌격에 성공한 후 내륙으로 진격중이라는 보고를 받고나서 “해군과 해병대가 오늘과 같이 빛난 적은 없었다” 라며 감격스러워 하였다. 

  이후 미 해병대 1사단의 예하 3대 연대는 각각 김포공항 확보, 서울 수복을 위해 공격기세를 유지 하여 계속 공격을 하였고, 한 해병대는 인천 잔적을 소탕하는 한편, 미 해병대 1사단장 명의로 임시 인천시장을 임명하여 인천의 시정 회복 및 치안의 신 속한 회복을 위한 민사작전을 펼쳤다.

  미 육군 7사단과 한 육군 17연대는 9월 18일 행 정적 상륙을 통하여 인천으로 양륙된 후 수월비행장 확보 및 미 8군부대와 연결, 이후 서울수복작전을 위해 투입된다. 

서울수복작전 

  서울수복작전은 미 해병대 1사단과 이에 배속된 한 해병대 1연대가 주공으로 인천을 확보한 후 계속 공격하였으며, 주요 작전 및 전투는 김포공항 확보, 김포반도 및 강화도 적 소탕, 행주산성 강습도하, 연희고지군 등 서울 서북쪽 능선상 적격퇴 및 확보, 시가지 적 소탕, 시청 및 중앙청 확보를 통한 서울 수복을 목표로 한 일련의 작전이 이루어졌다.

   미 해병대 1사단과 한 해병대 1연대는 김포공항 확보 및 서울 수복을 위해 위에 기술된 작전을 수행 하는 동안, 미 육군 7사단과 한 육군 17연대는 수원 비행장 확보, 적 퇴로 차단 및 북상하는 미 8군과 연결작전을 수행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인천 상륙작전이 진행되면서 미군의 서울방향으로 공격이 확실해지자 북한군은 기존의 수도권 병력으로 방어선을 구축하였으며, 남쪽으로 이동 중이던 부대의 일부도 급히 서울지역으로 복귀시키는 등 방어력 강화에 집중하였다. 

  한미 해병부대는 9월 18일 김포공항을 완전히 탈취하였으며, 한 해병대 1개 대대는 김포지역 및 강화도의 북한군을 격퇴함으로써 장차 김포공항 및 행주산성 일대에 대한 도하작전시 적 위협을 경감시켰다. 9월 19일 개시된 은밀도하작전은 적의 강력한 반발로 강습도하로 전환되어 9월 20일 행주 산성을 탈환하였으며, 한·미 해병대 부대는 수색 및 연세대 일대의 104고지 등 적이 완강한 방어진지를 구축한 곳을 향하여 진격하였다. 한 해병대는 104 고지 앞 개활지에서 상당한 피해를 받는 가운데 고지를 성공적으로 점령함으로써 이를 취재하던 외신 기자 및 외국군 지휘관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주었다. 하지만 이곳은 적의 주력이 배치된 최후 방어선 성격의 격전지로서 한·미 해병대도 많은 전사상자 가 발생하였으며, 이 전투를 기려 연희104고지 전적비가 연희동 고지에 설치되어 있다. 

  미 해병대 사단은 3연대가 병진으로 서울 중심 부로 진격하기 시작하였다. 시가지의 특성상 적 진지 및 건물소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특히 우측 방을 노출한 미 해병대 5연대에 대한 위협이 증가 되어 신속한 진격에 제한이 발생하였다. 미 10군단은 미 육군 7사단 32연대 및 한 육군 17연대를 투입 하여 적을 압박하고 미 해병대 5연대 우측방을 엄호하여 공격여건을 조성하였다. 

  한 해병대 대대는 미 해병대 연대에 대대 단위로 배속되어, 미 해병항공 및 포병의 지원하에 시가지 소탕에 주력하였다. 한·미 해병대는 중앙청 방향으로 공격속도를 배가 하였으며, ‘중앙청 태극기는 한국군에 의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는 이승만 대통령의 의중을 받들어 한국 해병대 박정모 소위 등 3명이 미 해병대의 양해하에 미 해병대의 작전지역인 중앙청으로 진입, 9월 27일 새벽 06:10분에 태극기를 게양하게 되었다. 실로 90여 일만에 서울을 수복하게 되는 상징성있는 순간이라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인천상륙작전 이후 - incheonsanglyugjagjeon ihu

  9월 29일 이승만 대통령, 맥아더 장군, 한국 정부의 고위각료가 참가한 가운데 대한민국 정부의 환도식을 거행함으로써 전쟁발발 3일만에 탈취당 한 수도 서울을 93일만에 다시 되찾아 서울을 탈환 하여 국민의 사기가 올라감은 물론 한편으로는 38선을 돌파하여 헌법상 대한민국의 영토를 수복해야 한다는 움직임도 꿈틀대고 있었다.

경인지구 작전의 의의 및 에피소드 

  인천상륙작전은 대우회 기동으로서 맥아더 장군의 적시적 계획과 실행으로 비교적 적은 손실로 전세를 역전시켰으며, 성공요인은 미 해군의 해상지원 자산이 충분하고 미 해병대의 탁월한 상륙전 능력, 이후 한·미 해병대 및 육군의 유기적인 합동 및 협동작전에 기인한 것이었다. 

  반면, 중국의 등소평이 유엔군 상륙작전에 대한 장소, 시기 등 비교적 정확한 정보를 김일성에게 전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김일성은 전략적 실책을 범하였는데 인천에 대한 방어를 증강하지 않았음은 물론, 서울지구의 주력부대들도 낙동강 전선 투입을 위해 이동시키는 크나큰 우를 범하였다. 이에 대 한 자격지심인지 북한은 인천상륙작전을 대대적으로 승리한 작전으로 전사를 날조하여 북한주민에게 교육하고 있다(귀순자 증언). 

  이후 미 8군과 10군단이 연결하고 파죽지세로 북한군을 격파하자 38선 돌파문제가 대두되었다. 유엔총회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결의안이 통과되어 유엔군의 38선 돌파를 법적을 뒤받침하게 되었고 소련의 영향력 아래 반대하는 결의안 역시 제출되었으나 부결되고 말았다.

   한편, 한국 정부에서는 한국군의 작전통제권을 유엔군 사령관에게 이양한 상황이었지만 이승만 대 통령의 38선 돌파 및 북진 명령에 따라 정일권 총장은 38선 북쪽 고지의 점령이 필요함을 미 8군사령관에게 역설하여 동의를 얻었으며, 10월 1일 국군의 선두부대가 최초로 38선을 돌파할 수 있었다. 

  중국은 한국군 및 유엔군의 38선 돌파시 북한에 파병 가능성을 미국에 경고하여 왔으며, 모택동을 비롯한 수뇌부들은 참전을 논의하였고, 찬반이 엇갈리는 가운데 나온 팽덕회의 ‘미국이 중국과 국경을 마주한 상황을 묵인할 수 있겠는가’ 라는 논리로 반대론자들을 잠재웠다. 지금도 중국은 한국전쟁을 미제국주의에 승리한 전쟁이라 평가하며, ‘항미원 조전쟁’이라 기념하고 있는 바, 이를 통하여 우리 는 한미동맹에 대한 중국의 근본적인 시각과 정책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희생과 용기, 가치 동맹의 의미

  필자는 30여년의 현역 복무간 정보/작전, 인도/파키스탄 분쟁지역, 이라크 파병, 주미국 해병대 무관 등 한미연합작전, 한미동맹 업무, 국제분쟁지 역에 근무할 기회가 있었다. 전장에서의 위험, 부상당한 현지민의 아픔 공감, 한미동맹의 현장 근무를 통하여 깨달은 것은 워싱턴 D.C. 한국전 추모공원에 새겨진 문구처럼 ‘Freedom is not Free, 자유는 거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라는 점이다. 모든 것에는 그것에 합당한 ‘희생’이 따르며, 위험에도 불구하고 헌신하기 위해서는 합당한 ‘가치’를 공유해야 한다는 것이다. 

  오늘날 세계 속에 우뚝 솟은 대한민국(경제력 10위, 군사력 6위)은 인천상륙작전과 서울수복작전, 그리고 한국전쟁과 그 이후 정전기간 동안 발생 한 수많은 군인(작전간 아군 피해 참조)과 우리 국민들의 값진 희생위에 우리 국민 모두가 하나가 되어 노력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또한, 공고한 한미동맹의 바탕 위에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의 안정이 보장되었기 때문에 적정한 국방재원으로 한국의 안전을 보장한 가운데 경제발전을 비롯하여 각분야의 발전을 이룩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대한민국과 미합중국은 그간 ‘한미상호 방위조약’을 바탕으로 한 군사동맹체였으나, ‘자유 민주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가치동맹으로 발전하고 있는 바, 대한민국의 국제적 지위에 부합하는 한 미 공동의 가치와 국제적 위상에 걸맞는 동맹체로서 지속적인 안보와 경제적 풍요를 향유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자유민주주의와 한미동맹을 위해 헌신하시는 한미우호협회와 그 회원분들에게 감사 드리며, 71년전 9월의 인천상륙작전과 서울수복작전에서 몸과 마음을 바치신 참전 용사분들께 가슴 깊이 존경 의 마음을 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