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원 배틀물 웹툰 - hag-won baeteulmul webtun


학원 배틀물 웹툰 - hag-won baeteulmul webtun
  폭스툰의 BL웹툰에 대한 내용은 학원물(웹툰) 문서

, 웹소설의 아카데미물에 대한 내용은 아카데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나라별 학원물

3. 종류

4. 목록

1. 개요

學院物/學校物[1]

만화, 애니메이션을 비롯한 각종 매체의 장르 중 하나. 학교를 배경으로 하는 장르이다.

2. 나라별 학원물

2.1. 일본의 학원물

학원물하면 주로 떠오르는 장르. 학원(학교)를 주제로 이야기를 다룬다. 여기서 학원이란 한국에서 흔히 말하는 학교가 끝나고 가는 보습학원을 일컫는 것이 아니며, 일반적인 학교와 거의 같은 의미다. 일본에서는 사립 학교를 학원(學園,가쿠엔)이라고 부르기 때문.

참고로 한국의 사교육기관을 가리키는 학원은 學院으로, 일본에선 学院이라 쓰고 가쿠인이라 읽는다. 하지만 사실 한국에서 쓰는 의미(사교육기관)는 일본에서 통상적으로 塾(숙)이라 쓰고 주쿠라 읽는다.[2][3] 이 차이에 주의할 것.

주로 학원(학교)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에피소드로 나오는데, 학교 축제, 운동회, 수학여행, 연애, 시험에 관한 에피소드, 학생회 등이 주요 소재이다. 하지만, 학원은 공부를 하기 위해서 모이는 곳이지만 의외로 공부에 관련된 수업 내용은 거의 나오지 않는다. 나오더라도 일부의 내용만 나오지, 에피소드 전체를 수업에 할애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주 배경이 학교지만 제대로 된 이야기는 늘 학교가 끝나고 나서 전개된다... 만일 수업 내용이 정말 보고 싶으면 EBS 교육방송을 보도록 하자. 결말은 대부분 졸업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인문계가 아닌 예체능계나 농고, 공고 등의 실업계 학교를 배경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는 배경 소재가 인문계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독특한 내용이 많기 때문에 학교에서 가르치는 수업 내용만으로도 상당히 흥미 있는 에피소드 구성이 이루어지는 일이 많다.

학교의 아이돌, 붐비는 매점, 스쿨 카스트, 부활동 등도 주요 소재로 자주 쓰인다.

학원물의 배경 학교 교복이 인기를 입어 실제로 출시되는 경우도 있다. 러키☆스타의 경우 배경이 된 사이타마 현은 현내 학교 교복을 작품의 교복으로 바꾸자는 제안도 검토했다.

장르 특성상 '일상 이벤트'[4]에만 소재가 잔뜩 치중되어 있을 수밖에 없다. 때문에 아이러니하게도 현실성이 장점인 일상물이 오히려 판타지보다 비현실성을 부각시킨다. 실제로 현실에서는 이러한 '일상 이벤트'가 거의 전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본 학원물의 절반 이상은 일상물 또는 남녀 사이의 연애, 치정극을 다루는 순정만화, 러브 코미디가 대부분이다.

일상물, 러브 코미디 이외에도 학원물에 배틀물 요소를 결합한 학원 배틀물도 존재하며, 인피니트 스트라토스 이후 학원 배틀물은 일본 라이트 노벨의 인기 장르이다.

또한 학교를 배경으로 일진, 양아치, 폭주족 사이의 갈등과 액션을 다루는 크로우즈, 로쿠데나시 블루스, 도쿄 리벤저스 등의 학원액션물 역시 80년대부터 인기 장르에 속한다.

이외에도 청년만화에서는 대학이 배경인 캠퍼스물을 주요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2.2. 영미권의 하이틴

일본뿐만 아니라 영미권을 비롯한 서양에서도 꽤 인기 있는 장르다. 하이 스쿨 뮤지컬 시리즈로 유명한 미국의 고등학교 생활을 다루는 하이틴 영화, 드라마하이틴, Y2K, Teen Movies라고 부르며 하나의 장르로 취급되며, 미국에서도 인기가 많다.

사실 학교의 아이돌이나 파벌 형성, 계층화 등이 한국에서는 흔하지 않은 일이라 학원물이 판타지 취급 받지만 오히려 서양의 학교에서는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만큼 청소년 판타지 소재로 하이틴물 드라마, 영화, 소설만큼 잘나가는 것도 없다.

청소년 판타지의 클리셰를 꼬집은 심슨 가족의 한 에피소드에서는 청소년 판타지의 필수 요소로 학교와 그 학교에서 루저, 너드 취급 받다가 사실은 엄청난 능력을 가진 영웅인 주인공 등을 꼽기도 했다. 어떻게 보면 미국의 양판소 요소 수준. 이외에도 미식축구 선수, 클리크 문화, 치어리더 등 수많은 학원물 필수요소가 있다. 미국의 학교는 학년수도 더 많고 한국의 대학처럼 수업도 다들 제각각이라 수준이 비슷한 패거리끼리 파벌을 형성하는 건 어쩔 수 없다

이외에도 해리 포터 시리즈를 필두로 퍼시 잭슨 시리즈 등의 마법학교물이나 하이틴 드라마, 영화와 슈퍼히어로물이 결합된, 중고등학교를 다니는 10대 슈퍼히어로가 주인공인 미즈 마블(드라마), 샤잠!, 마블 스튜디오 스파이더맨 시리즈 등의 하이틴 히어로물도 있다.

2.3. 한국의 학원물

한국의 학원물을 기원에 따라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크게 나누면 아래의 세 가지가 존재한다.

첫 번째는 00년대의 일진물을 소재로 다루던 인소, 90년대에 유행했던 주로 80년대 일본 학원폭력물, 특히 로쿠데나시 블루스의 영향을 많이 받은 짱(만화) 등의 학원액션물이 기원인 학원물 웹툰이다. 90년대 학원액션물의 경우 대놓고 일본 교복을 입은 작품도 존재할 정도였다. 이후 이러한 90년대 학원액션 만화, 00년대 인소의 클리셰와 서사가 10년대 이후로는 일진만화를 거쳐 연애혁명, 프리드로우(웹툰), 외모지상주의(웹툰) 등으로 대표되는 학원물 웹툰으로 계승되었고, 학원물 웹툰이 2020년대 이후 현재까지 한국 학원물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한국 학원물 웹툰의 특징이라면 일상, 로맨스, 러브 코미디를 다루는 일상물보다는 학원액션물의 비중이 높은 점을 들 수 있다.

두 번째는 캠퍼스물이다. 힘든 입시와 치열한 경쟁의 학창시절, 특히 한국에선 입시 위주 교육, 주입식 교육 중고등학교가 대부분인 삭막한 현실에서는 학원물이 판타지보다 더 판타지가 되어버리기 때문이며, 80%에 달하는 한국의 대학 진학율과 등장인물이 모두 성인이기 때문에 심의도 한결 느슨하다는 이유 때문에 중고등학교 배경이 아닌 대학이 배경인 캠퍼스물도 일본, 미국보다 활성화되어있다.

세 번째는 일본의 학원 배틀물, 서구권의 마법학교 클리셰가 한국에서 웹소설 계를 중심으로 재조명된 아카데미물이다. 소설 속 엑스트라를 기점으로 활성화되었으며, 2010년대 이후 판타지, 헌터물을 배경으로 하는 아카데미물 유행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3. 종류

3.1. 마법학교물

  자세한 내용은 마법학교 문서

참고하십시오.

3.2. 청소년 드라마

  자세한 내용은 청소년 드라마 문서

참고하십시오.

3.3. 학원액션물

  자세한 내용은 학원액션물 문서

참고하십시오.

3.4. 일진물

  자세한 내용은 일진물 문서

참고하십시오.

3.5. 학원 배틀물

  자세한 내용은 학원 배틀물 문서

참고하십시오.

3.6. 아카데미물

  자세한 내용은 아카데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

3.7. 캠퍼스물

  자세한 내용은 캠퍼스물 문서

참고하십시오.

3.8. 하이틴

  자세한 내용은 하이틴 문서

참고하십시오.

4. 목록

  • 자세한 분류는 분류:학원물 참고.
  • 일본 학원물의 경우 분류:일본 학원물 참고.
    • 가브릴 드롭아웃
    • 걸☆건 시리즈
    • 걸즈 앤 판처
    • 고전부 시리즈
    • 골판지 전기 WARS
    • 그 남자 그 여자
    • 그 녀석의 순정
    • 그림자 영웅의 일상담 용사의 뒤에서 암약하고 있던 최강의 에이전트. 조직이 해체되었으므로, 정체를 숨기고 남들 만큼의 일상을 구가한다.
    • 극상학생회
    • 금빛 모자이크
    • 기숙학교의 줄리엣
    • 나는 모르는 사이에 학교 제일의 미소녀한테 구애하고 있었던 것 같다 ~아르바이트하는 곳의 상담 상대에게 내 연인의 이야기를 하면 그녀는 왠지 쑥스러워지기 시작한다~
    • 나는 친구가 적다
    • 남자 고교생의 일상
    • 내가 모르는 선배의 100가지 사실
    • 냥코이
    • 너에게 닿기를
    • 너와 나
    • 논논비요리
    • 다세포 소녀
    • 다카포 시리즈
    • 대현자의 애제자 ~방어 마법의 사용 방법~
    • 더블 플레이
    • 더위 타는 학생회장과 추위 타는 갸루가 나에게 들이닥친다
    • 도마뱀 폭발해라
    • 러키☆스타
    • 러브 라이브![5]
    • 랜덤채팅의 그녀!
    • 루머의 루머의 루머
    • 릴리 슈슈의 모든 것
    • 마녀사냥의 현대교전
    •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
    • 마법 소녀 학원의 용병 교사
    • 마사무네의 리벤지
    • 마왕이 되는 중2야
    • 만나자마자 한 방에 절정 제령!
    • 만화 연구부
    • 만혼
    • 매정할 정도로 파랗고 빈틈없을 정도로 빨갛다
    • 메르메르 온라인
    • 모모쿠리
    • 몹시 눈치 빠른 나는, 독설 쿨데레 미소녀의 작은 데레도 놓치지 않고 강하게 들이민다
    • 무정한 그녀의 독점
    • 미나미가
    • 바보와 시험과 소환수
    • 사립 저스티스 학원
    • 사샤와 반 친구 오타쿠 군
    • 사이키 쿠스오의 재난
    • 사쿠라장의 애완 그녀
    • 선배, 잠깐 괜찮으세요?
    • 선생님의 시간
    • 새빛남고 학생회, 새빛남고 학생회(웹드라마)
    • 세토의 신부
    • 소녀의 세계
    • 스카이캐슬
    • 스쿨럼블
    •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 스쿨홀릭
    • 스켓
    • 스파이럴 추리의 띠
    • 쓰레기 이능력 【온도를 바꾸는 자 《서모 오퍼레이터》】인 내가 무쌍할 때까지
    • 신비한 별의 쌍둥이 공주 Gyu!
    • 시원찮은 그녀를 위한 육성방법
    • 식극의 소마
    • 옆자리 괴물군
    • 아마가미
    • 아야메 선배는 나와 비밀계약을
    • 아오하라이드
    • 아이들의 시간
    • 아이스크림 여친
    • 아즈망가 대왕
    • 안녕, 나의 크라머
    • 애증화음
    • 야마다와 7명의 마녀
    • 어서 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
    • 에니시 군은 마성(하렘) 체질로 각성했다
    • 안녕하세요, 학원 나웰론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에비텐 공립 에비스가와 고교 천민부
    • 여기저기
    • 역도요정 김복주
    • 역시 내 청춘 러브코메디는 잘못됐다.
    • 연놈
    • 연민의 굴레
    • 연애혁명
    • 열대어
    • 옆자리가 된 미소녀가 반하게 하려고 얽혀오지만 어느샌가 역으로 반하게 하고 있었다
    • 오늘의 5학년 2반
    • 오란고교 호스트부
    • 오륜의 여신
    • 요구르팅
    • 우리는 공부를 못해
    • 우리들은 푸르다
    • 은수저 Silver Spoon
    • 이것도 친구라고
    • 이대로 멈출 순 없다
    • 인피니트 스트라토스
    • 일기당천
    • 일진에게 회초리
    • 일진에게 찍혔을 때 - 일진에게 찍혔을 때(웹드라마)
    • 일진에게 찍혔을 때 시즌2
    • 입시명문 사립 정글고등학교
    • 있잖아, 우리 차라리 사귈까?
    • 장난을 잘 치는 타카기 양
    • 전학 간 곳의 청초 가련 미소녀가, 옛날에 남자라고 생각하고 함께 놀던 소꿉친구였던 건에 대하여
    • 정령사의 검무
    • 제로의 사역마
    • 제자에게 협박당하는 것은 범죄인가요?
    • 죽은 시인의 사회
    • 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
    • 중고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
    • 지금 우리 학교는, 지금 우리 학교는(드라마)
    • 청춘 돼지 시리즈
    • 카구하라 양의 페티시 노트
    • 캐릭캐릭 체인지
    • 케이온!
    • 쿠로모리 양은 스마트폰을 쓸 수 없다
    • 쿠로코의 농구
    • 키스해주지 않으면 죽어버려
    • 토라도라!
    • 프로젝트 딜라이트
    • 프린세스 러버
    • 플리즈 트윈즈
    • 플리즈 티쳐
    • 하나야마타
    • 하이 스쿨 뮤지컬 시리즈
    • 하이큐!!
    • 하트 커넥트
    • 학교 시리즈
    • 학생회의 일존
    • 학생회 임원들
    • 학원 기사의 레벨 업! ~레벨 1000을 넘는 전생자, 낙오 클래스에 입학. 그리고,
    • 학원 라이벌전
    • 학원 앨리스
    • 학전도시 애스터리스크
    • 헌티드 스쿨 시리즈
    • 호리미야
    • 후지와라 군은 대체로 옳다
  • 라틴어, 숫자
    • Charlotte
    • BE-BOP 카무이군
    • Free!
    • MM!
    • 4월은 너의 거짓말[6]
    • GTO
    • ReLIFE
    • 4000배의 남자

4.1. 관련 작품

  • 1리터의 눈물
  • 가면라이더 포제
  • 가십걸
  • 감금왕
  • 갓 오브 하이스쿨
  • 궤변학파 요츠야 선배의 괴담
  • 검볼(애니메이션)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노부타를 프로듀스
  • 노블레스
  • 단간론파 시리즈
  • 대나무숲에서 알립니다
  • 도쿄 재너두
  • 디지캐럿뇨 - 4쿨부터의 프린세스 스쿨 편
  • 메이플스토리 - 프렌즈스토리
  • 무장소녀 마키아벨리즘
  • 모브사이코 100
  • 섬란 카구라 시리즈
  • 슈퍼전대 시리즈
    • 고속전대 터보레인저
    • 전자전대 메가레인저
  • 스파이더맨: 홈커밍
  •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 신도림
  • 악역 영애의 집사님 ~파멸 플래그는 제가 해치우겠습니다~
  • 암살교실
  •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
  • 연애 플롭스
  • 요리GO
  • 용자지령 다그온
  • 유희왕 GX
  • 이나즈마 일레븐
  • 일렉시드
  • 엘드란 시리즈
  • 절대무적 라이징오
  • 원기폭발 간바루가(로봇전사 감마)
  • 열혈최강 고자우라(무적캡틴 사우루스)
  • 장난감상자 나라의 앨리스
  • 전생 따위로 도망칠 수 있을 줄 알았나요, 오빠?
  • 젤다의 전설 스카이워드 소드 - 첫 프롤로그에 해당되는 부분만 학원물적인 요소를 차용했다.
  • 좀비고등학교
  • 주문은 토끼입니까? - 초기에는 학교생활모습이 주인공도 학생이다 수준으로 비중이 낮았으나 뒤로갈수록 점점 늘고 있다. 다만 주연7명이 3개학교로 쪼개져 있으니 학교생활도 쪼개지게 된다..(7권기준)
  • 최강왕따
  • 칼가는 소녀[7]
  • 티어문 제국 이야기 ~단두대에서 시작하는 황녀님의 전생 역전 스토리~
  • 파이널 판타지 8 - 용병 학원인 발람 가덴이 주인공들의 거점이자 중요 배경이고 셀피 틸밋이 책임자인 학원제, SeeD가 되기 위한 실전 시험 등등 초반엔 학원물적인 요소가 꽤 나오지만 마녀를 무찌르기 위한 여행을 떠난 후로는 그런 색채는 많이 퇴색되고 전쟁물, 판타지 및 SF 모험물, 로맨스 등의 색채가 훨씬 짙어진다.
  • 파이어 엠블렘 풍화설월
  • 퍼시 잭슨과 올림포스의 신
    • 퍼시 잭슨 실사영화 시리즈
  • 올림포스 영웅전
  • 페르소나 시리즈[8]
  • 펜트하우스 시리즈 -학원물의 탈을 쓴 개막장 종합 장르물.[9]
  • 포켓몬스터 썬&문(애니메이션)
  • 프리큐어 시리즈
  • 하나의 하루
  • 하이 스쿨 플릿 - 작중에 등장하는 교육함[10]에 승선한 인원은 모두 학생이다. 또한 지칭할때도 하레카제반등으로 학급임을 강조하고, 학생이 배를 운영한다는 것을 작중에서 여러번 명시적으로 언급한다. 다만 옆반이 무슨 바이러스에 걸려서 문제지...
  • 하트스토퍼
  • 학교괴담 애니메이션 - 유명 요괴가 등장하는 것이 주가 되어 학교의 비중이 적은 편이다. 그래서 사실 이쪽에 해당한다.
  • 학교생활! - 학원물의 탈을 쓴 좀비 아포칼립스.
  • Angel Beats!
  • Caligula -칼리굴라-
  • Caligula -칼리굴라- 2
  • CLANNAD
  • RWBY


[1] 학원=학교[2] 한국으로 치면 이화학당, 배재학당 할 때 '학당'.[3] 대입 재수학원 같은 경우 예비교란 표현을 쓰기도 한다.[4] 문화제, 별장, 여름축제, 발렌타인데이, 이웃집, 장보고 요리하기, 유학, 학생회장, 학생회, 부활동, 크리스마스 등.[5] 이 쪽은 흔히 아이돌물이라고 보기 쉽지만, 중간 중간 뮤지컬식으로 노래가 삽입되는걸 제외하면 그냥 학원물이다. 주 소재도, 학생회, 시험, 수학여행, 동아리, 졸업 등을 다루고 있다.[6] 예체능 학생들의(바이올리니스트, 피아니스트 소프트볼 부인 츠바키와 카시와기, 축구부인 와타리.) 이야기를 다루고 있어 교실에서 수업듣는 씬은 23화 전체 통틀어서 총 10분도 안나온다.[7] 정확히는 주조연 사이의 내적갈등과 가정사 등을 중심으로 스토리가 진행되지만 주조연 대다수가 학생이고 특히 2부는 학교 중심으로 진행되는 편이니 학원물 요소가 도입되었다 할 수 있다.[8] 페르소나 3 이후부터는 완전한 학원물이라고 봐도 무방하다.[9] 시즌 1부터 시즌 3 7화까지 한정.[10] 2차대전기 군함이다 야마토급 전함 카게로급 구축함 등 반면 교사들이 탑승하는 함선은 교원함 현대식 함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