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 민원 익명 - gundae min-won igmyeong

"믿어도 될까"…'군대판 익명 고발앱' 만든다 (종합)

입력2021-05-07 14:40:46 수정 2021.05.07 14:40:46 박신원 인턴기자

신고자 익명성 보장 위해 전문업체 위탁 운영 검토

국방부, '휴대전화 제보' 계기…병영문화 개선 추진

군대 민원 익명 - gundae min-won igmyeong
viewer

서욱 국방부 장관 /연합뉴스

익명으로 내부 고발이 가능한 '군대판 고발앱'이 개설된다.

국방부는 7일 오전 서욱 장관 주관으로 개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책 논의를 위한 전군주요지휘관 회의 결과 "신고자의 익명성이 보장되고 장병이 휴대전화 앱 기반으로 접근 가능한 별도의 신고 채널 신설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신고자의 익명성을 보장하기 위해 군과 완전히 독립된 공익신고 관련 외부 전문업체에 위탁 운영하는 방식을 검토할 계획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앱을 내려받아 나중에 진정을 할 때 굳이 자기 이름(실명인증) 필요 없이 번호를 부여받아서 처리하는 시스템이 있다"면서 "각 군과 협의해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그런 시스템을 도입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국방부는 이와 별개로 신상공유가 필요한 개인고충상담 등과 관련해서는 '국방헬프콜' 중심으로 접수를 하되, 민원 처리 시 일선 부대 뿐만 아니라 국방부와 각 군간 협업이 가능하도록 제도화해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설명했다.

군대 민원 익명 - gundae min-won igmyeong
viewer

이성용 공군참모총장이 6일 대구 기지를 방문해 격리장병에게 제공되는 도시락과 배식체계를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번 대책은 최근 병사들의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보를 통해 코로나19 과잉방역·부실급식 사태가 공론화되면서 이제는 군에서도 영내 민주화와 소통을 위해 더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달아 나온 데 따른 조처다. 실제로 기존에도 군내에 여러 가지 고충처리 통로가 존재하긴 했지만, 이번에 '외부 폭로'가 이어진 건 그만큼 그동안 군내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작년 7월 이후 복무 중인 병사들의 일과 후 휴대전화 사용이 전면 허용되면서 달라진 병영 문화도 고려한 조처로 보인다. 서욱 장관은 이날 회의 모두발언에서 "장병들의 휴대전화 사용은 사회적 고립감을 해소하고 자기계발 여건을 마련해주는 한편, 우리 군의 인권 개선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며 지휘관들에게 군내 고충처리 체계와 장병들의 처우 개선, 진정성 있는 현장 소통을 당부했다.

/박신원 인턴기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핫토픽

  • #

    기준금리 3.25%로 인상

  • #

    더 뜨겁게, the Reds

  • #

    "청담동 술자리 없었다"

  • #

    보유세 2020년 수준으로

  • #

    에어서울 성차별 논란

입력2021.05.07 10:59 수정2021.05.07 10:59

국방부, '휴대전화 제보' 계기 추진…전문업체에 위탁 검토

군대 민원 익명 - gundae min-won igmyeong

익명으로 내부 고발이 가능한 '군대판 고발앱' 개설이 추진된다.

국방부는 7일 오전 서욱 장관 주관으로 개최한 코로나19 대책 논의를 위한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 결과 "신고자의 익명성이 보장되고 장병이 휴대전화 앱 기반으로 접근 가능한 별도의 신고 채널 신설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신고자의 익명성 보장을 위해 군과 완전히 독립된 공익신고 관련 외부 전문업체에 위탁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국방부는 이와 별개로 신상공유가 필요한 개인고충상담 등과 관련해서는 '국방헬프콜' 중심으로 접수를 하되, 민원 처리 시 일선 부대뿐 아니라 국방부와 각 군간 협업이 가능하도록 제도화해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설명했다.

이번 대책은 최근 병사들의 SNS 제보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과잉방역·부실급식 사태가 공론화되면서 이제는 군에서도 영내 민주화와 소통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잇달아 나온 데 따른 조처다.

실제로 기존에도 군내에 여러 가지 고충처리 통로가 존재하긴 했지만, 이번에 '외부 폭로'가 잇따른 건 그만큼 그간 군내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작년 7월부터 복무 중인 병사들의 일과 후 휴대전화 사용이 전면 허용되면서 달라진 병영 문화도 고려한 조처로 풀이된다.

박재민 국방부 차관도 이와 관련 지난 1일 연합뉴스TV에 출연해 병사 휴대전화 제보와 관련해 "문제가 과거처럼 은폐되거나 숨겨져 곪아가는 것보다 조속히 문제가 해결되도록 하는 긍정적 측면도 있다고 생각한다"며 "자유롭게 소통하고 할 수 있는 여건을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조성해나가려고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군대에서 익명으로 내부 고발이 가능한 고발앱 개설이 추진된다.
 

군대 민원 익명 - gundae min-won igmyeong
 ▲국방부가 외부 전문업체에 위탁해 군내 문제나 고충을 익명으로 신고하도록 하는 채널 개설을 검토 중이다.(사진제공=연합뉴스)


국방부는 7일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를 진행한 결과 "신고자의 익명성이 보장되고 장병이 휴대전화 앱 기반으로 접근 가능한 별도의 신고 채널 신설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특히 신고자의 익명성 보장을 위해 군과 완전히 독립된 공익신고 관련 외부 전문업체에 위탁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이와 별개로 신상공유가 필요한 개인고충상담 등과 관련해서는 '국방헬프콜' 중심으로 접수를 하되, 민원 처리 시 일선 부대뿐 아니라 국방부와 각 군간 협업이 가능하도록 제도화해 효율성을 높일 방침이다.

이번 대책은 최근 병사들의 SNS 제보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과잉방역·부실급식 사태가 공론화되면서 군에서도 소통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 데 따른 조처다. 작년 7월부터 복무 중인 병사들의 일과 후 휴대전화 사용이 전면 허용되면서 달라진 병영 문화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김민주 기자]

국방부, '휴대전화 제보' 계기 추진…전문업체에 위탁 검토

군대 민원 익명 - gundae min-won igmyeong

휴대전화 사용하는 병사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정빛나 기자 = 익명으로 내부 고발이 가능한 '군대판 고발앱' 개설이 추진된다.

국방부는 7일 오전 서욱 장관 주관으로 개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책 논의를 위한 전군주요지휘관 회의 결과 "신고자의 익명성이 보장되고 장병이 휴대전화 앱 기반으로 접근 가능한 별도의 신고 채널 신설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신고자의 익명성 보장을 위해 군과 완전히 독립된 공익신고 관련 외부 전문업체에 위탁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앱을 내려받아 나중에 진정을 할 때 굳이 자기 이름(실명인증) 필요 없이 번호를 부여받아서 처리하는 시스템이 있다"면서 "각 군과 협의해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그런 시스템을 도입할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이와 별개로 신상공유가 필요한 개인고충상담 등과 관련해서는 '국방헬프콜' 중심으로 접수를 하되, 민원 처리 시 일선 부대뿐 아니라 국방부와 각 군간 협업이 가능하도록 제도화해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설명했다.

이번 대책은 최근 병사들의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보를 통해 코로나19 과잉방역·부실급식 사태가 공론화되면서 이제는 군에서도 영내 민주화와 소통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잇달아 나온 데 따른 조처다.

실제로 기존에도 군내에 여러 가지 고충처리 통로가 존재하긴 했지만, 이번에 '외부 폭로'가 잇따른 건 그만큼 그간 군내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작년 7월부터 복무 중인 병사들의 일과 후 휴대전화 사용이 전면 허용되면서 달라진 병영 문화도 고려한 조처로 풀이된다.

서욱 장관은 이날 회의 모두발언에서 "장병들의 휴대전화 사용은 사회적 고립감을 해소하고 자기계발 여건을 마련해주는 한편, 우리 군의 인권 개선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며 지휘관들에게 군내 고충처리 체계와 장병들의 처우 개선, 진정성 있는 현장 소통을 당부했다.

박재민 국방부 차관도 지난 1일 연합뉴스TV에 출연해 병사 휴대전화 제보와 관련해 "문제가 과거처럼 은폐되거나 숨겨져 곪아가는 것보다 조속히 문제가 해결되도록 하는 긍정적 측면도 있다고 생각한다"며 "자유롭게 소통하고 할 수 있는 여건을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조성해나가려고 한다"고 말했다.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1aoVjxQZeFw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1/05/07 14:04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