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력 색상 깊이 10bpc - chullyeog saegsang gip-i 10bpc



뭐 엄청 거창한 것은 아니고...

PC와 모니터를 연결해 사용하면서 기본적으로 확인하고 셋팅해줘야 할 내용입니다.

게임설정은 많이 신경 쓰는데, 정작 기본 설정은 잘 모르는 분들이 많더라구요.

특히 모니터를 HDMI 케이블로 연결한 분들에게는 필수입니다.

(약간 물빠진 듯한 색감의 모니터의 원래 색을 찾아줍니다.)

DP 케이블로 연결한 경우에는 꼭 해줘야 한다는 이야기는 없지만 그래도 한 번쯤 확인해서 손해볼 건 없겠죠?!


NVIDIA 지포스 그래픽카드 사용자 위주의 내용입니다.

AMD 라데온 그래픽카드는 아직 제가 사용해본 적이 없어서 모르겠으나, 비슷한 설정이 있을 거라 생각해요.


긴 글이 읽기 부담스러운 분들은 스크린샷만 보고 그대로 따라하면 됩니다.



먼저 윈도우 바탕화면을 우클릭해서 NVIDIA 제어판을 실행합니다.

출력 색상 깊이 10bpc - chullyeog saegsang gip-i 10bpc

위 스크린샷처럼 '디스플레이' 항목의 '해상도 변경' 탭을 클릭!

자신의 모니터에 맞는 해상도와 재생 빈도를 설정하는 것은 당연하고, 

3번 '다음 설정을 적용합니다.' 부분을 바꿔줘야 합니다.

보통은 '기본 컬러 설정 사용'으로 되어있을텐데 이를 'NVIDIA 컬러 설정 사용'으로 바꿔줍니다.


그리고 스크린샷처럼

바탕 화면 색상 깊이 : 최고 (32비트)

출력 색상 깊이 : 8bpc (가장 많이 쓰이는 8비트 모니터이며 10비트, 12비트를 지원하는 모니터도 있음)

출력 색 형식 : RGB (간혹 저처럼 TV를 모니터로 쓰는 경우, YCbCr444 혹은 YCbCr422로 설정)

출력 동적 범위 : 전체 (TV를 모니터로 쓰는 경우, 제한)

설정해주고 적용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이것만 해줘도 색감이 바뀐 것을 체감할 수 있을 거에요.



다음은 '바탕 화면 컬러 설정 조정'입니다.

출력 색상 깊이 10bpc - chullyeog saegsang gip-i 10bpc

2번 '컬러 설정 방법을 선택합니다.'에서 'NVIDIA 설정 사용'으로 바꿔줍니다.

필요에 따라, 혹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밝기나 대비, 감마를 조정해도 되지만, 대부분은 그냥 그대로 사용하길 권장합니다.

(감마값을 낮추고 대비를 살짝 5~10% 올려주면 색이 진하게 보입니다. 배틀그라운드 등 게임하는 분들은 대비를 높이기도 합니다.)


3번 '다음 개선 사항을 적용합니다' 중 '디지털 바이브런스' 수치도 5~10% 정도 올려주면 화면이 개선되어 보이기도 합니다.

약간 샤프니스 효과와 비슷한 효과를 내주는 옵션입니다. 이 역시 게임하는 분들이 간혹 조정해주는 옵션.



다음은 '바탕 화면 크기 및 위치 조정' 탭인데, 큰 체감은 없는 옵션입니다.

출력 색상 깊이 10bpc - chullyeog saegsang gip-i 10bpc

대부분은 기본 설정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하며, 

일부 게임 내 해상도 설정과 관련해 '스케일링 없음', '다음에 스케일링 수행'을 GPU로 변경해 사용하기도 합니다.

모니터 비율과 인게임 해상도의 비율이 다를 경우 '종횡비' 옵션을 선택해 비율에 맞는 화면으로 만들기도 합니다.

(흔히들 고정종횡비 옵션이 있는 모니터는 이를 자동으로 수행함)



다음은 '비디오' 항목의 '비디오 컬러 설정 조정'입니다.

출력 색상 깊이 10bpc - chullyeog saegsang gip-i 10bpc

2번 컬러 조정 방법을 'NVIDIA 설정 사용'으로 바꾸고 '고급' 탭의 '동적 범위'를 '전체(0-255)'로 바꿔줍니다.

이 옵션 역시 바꾸게 되면 색감의 차이를 확연히 느낄 수 있을 겁니다.



다음은 '비디오 이미지 설정 조정' 탭으로 갑니다.

출력 색상 깊이 10bpc - chullyeog saegsang gip-i 10bpc

2번 '이 설정을 내 비디오 컨텐트에 적용'의 테두리 개선과 잡음 감소를 'NVIDIA 설정 사용'으로 바꾸고 수치를 적당히 올려줍니다.

비디오 이미지가 흐릴 경우 이를 개선해준다고 하는데, 사실 요즘 유튜브 영상만 해도 기본 FHD에서 UHD까지 지원하니...

100%까지 올려도 큰 체감은 없었습니다. 애초에 저품질의 영상을 보는 빈도가 줄어들었으니까요.

그래도 해놓으면 좋다고 해니 설정을 해둡시다.



다들 어떻게 셋팅되어 있었나요?

이 셋팅으로 효과를 좀 보셨나요?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간과하고 있는 부분이라 한 번쯤 확인하면 좋습니다.


다음은 모니터를 보면서 눈이 좀 더 편한 셋팅을 공유하겠습니다.



디아블로2 HDR에 관련된 글이 안보여서 작성해봅니다.


HDR이란?

HDR(High Dynamic Range)이란 가장 밝은 곳부터 가장 어두운 곳까지,

눈으로 직접 보는 것과 최대한 가깝게 밝기의 범위를 확장하는 기술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로 대신합니다.

https://www.samsung.com/sec/tvs/tv-buying-guide/what-is-hdr-tv/


최신 영화, 게임 등에서 HDR을 지원하면서 좀 더 현실적인 영상을 즐기게 되었는데

우리는 디아블로에서 적용해 볼겁니다.



우선 PC에서 HDR을 활성화하려면 4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1. 모니터 : HDR을 지원하는 모니터
  2. 케이블 및 포트 : 디스플레이포트 1.4 또는 HDMI 2.0a(이상)
  3.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10xx 시리즈, AMD Radeon RX400 시리즈 이상Intel UHD Grphics 600 시리즈 이상
  4. OS : Windows 10 1803 이상


4가지 항목 중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으면 HDR 기능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위 조건을 만족하면 윈도우 설정에서 HDR 활성화를 해줍니다.


  1. 우선 모니터 메뉴에서 HDR을 켜야 합니다.(각 모니터 메뉴얼 참조)
         수정: 일부 모니터는 윈도우에서 HDR을 켜면 자동으로 HDR을 인식하는 모델도 있으며

                 이런 경우 모니터 설정은 건드릴 필요가 없습니다.


                 또 일반 영상을 HDR처럼 변환 하는 기능(HDR효과)이 있는데 이건 켜시면 안됩니다.

                 

      2. 윈도우 설정에서 HDR을 켜 줍니다.

         Windows 10 : 설정 > 디스플레이 > HDR 및 WCG 켬 

         Windows 11 : 설정 > 디스플레이 > HDR 사용


윈도우 설정에서 HDR을 켤 수 있다면 HDR이 정상적으로 적용된 겁니다.


       3. Nvidia기준 모니터 설정

          


          바탕화면 > 마우스 우클릭 > NVIDIA 제어판 > 해상도 변경 > 3. 다음 설정을 적용합니다.

          출력 색 형식 : YCbCr444

          출력 색상 깊이 : 10bpc


          *dp 1.4 케이블 사용 기준 입니다.

           hmdi 연결은 2.0이라도 출력 색상 깊이가 10bpc선택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자 이제 디아블로를 실행하고

설정 > 비디오 > 화면 항목에서 밝기 > 조정을 누르면 이전에 감마 보정 화면이

HDR 보정 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밝기와 최대 휘도를변경해 줍니다.

  1. 밝기는 800이상

  2. 최대 휘도는 모니터에서 지원하는 HDR 밝기를 입력해 줍니다.(모니터 메뉴얼 참조)

    HDR 600을 지원하면 600을 HDR 1000을 지원하면 1000을 입력


설정을 변경 하셨으면 HDR이 적용된 화면을 볼 수 있을 겁니다.



"자 이제 HDR 화면에서 폐지를 주우시면 되겠습니다."




PS: HDR없찐 분들을 위한 체험 방법


핸드폰 아이폰X 이상, 겔럭시 S8이상에서 유튜브 HDR을 지원하며

아래 영상을 유튜브 앱으로 열고  화질설정에서 HDR로 변경하면 됩니다.


*HDR 글자가 보이지 않으면 HDR을 지원하지 않는 환경입니다.



디아블로 HDR영상



*혹시 HDR지원 모니터를 구입 예정이시면 HDR 1000 이상을 지원하는 모니터를 선택하세요.

HDR 400, HDR 600이랑 체감 차이가 많이 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