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숙 반어법인지 어떻게 - chisug ban-eobeob-inji eotteohge

1. 연구 목적 및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은 채만식의 대표 풍자소설인 「치숙」과 『태평천하』에서 풍자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된 아이러니 장치의 번역 양상을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첫째, 원천 텍스트와 목표 텍스트를 대조 분석하고 둘째, 원천 텍스트와 목표 텍스트를 대조 분석한다. 셋째, 정성적, 정량적 방법을 함께 사용한다. 분석의 기준점은 아이러니이며, 아이러니를 크게 언어적 아이러니, 자기폭로의 아이러니, 아이러니와 구어체로 구분하여 분석하겠다.

2. 연구 내용

이래우(1986: 85)에 따르면, 풍자(satire)는 “현실에 대한 부정적 비판적 태도에 근거를 두고 성립되며,” “정면으로 비판할 수 없을 경우, 측면 또는 간접적으로 공격하는 한 방법이다.” 풍자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기지, 아이러니, 냉소 등 다양한 장치가 사용되는데 특히 아이러니와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1) 언어적 아이러니
표현된 말과 그 말이 전하는 의미가 다른 언어적 아이러니는 두 소설의 제목에 두드러지게 나타나 있다. 「치숙」의 경우, 서술자인 나는 오촌 고모부를 세상을 모르는 어리석은 숙부라고 생각하는데, 사실은 서술자가 더 무지하고 어리석다. 작가는 서술자의 관점에서 제목을 어리석은 숙부 즉 치숙(痴叔)이라 했지만 전하고자 하는 의미는 일제강점기에서 일본 여성과 결혼하여 일본인처럼 살고 싶어 하는 서술자인 ‘나’의 어리석음을 풍자하는 것이다. TT1에서는 원천 텍스트의 제목 ‘어리석은 숙부’의 의미를 ‘바보’, ‘멍청이’로 해석하여 ‘Idiot Uncle’이라 번역하였다. TT2에서는 ‘Innocent Uncle’이라 번역하였다. ‘innocent’에 해당되는 ‘순진한’이라는 표현은 문맥에 따라 그 의미는 정반대일 수 있다. 즉 순진하다는 말 자체는 좋은 의미로 들릴 수 있지만, 그 내포한 의미는 세상사를 모르는 숙맥이나 어리숙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될 수 있다. TT2의 번역 전략은 TT1보다 언어적 아이러니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판단된다. 『태평천하』의 제목에서도, 일제강점기를 자신의 부를 유지하기 좋은 시절이라고 믿는 윤영감을 풍자하는 것이다. TT에서도 ST의 언어적 아이러니를 살려 Peace Under Heaven으로 번역하였다.

2) 자기 폭로의 아이러니
자만이나 자신에 찬 무지의 요소로 아이러니 효과가 커질 수 있는데, 이러한 형태의 아이러니를 자기 폭로의 아이러니라 한다. 자기 폭로의 아이러니는 두 소설의 주인공을 통해서 나타난다. 우선「치숙」의 경우, 서술자인 나는 오촌 고모부보다 더 어리석고 무지함에도 불구하고 고모부를 어리석고 숙맥이라고 생각한다. 「치숙」의 경우, 서술자인 ‘나’의 무지함은 서술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ST에서는 ‘사회주의라더냐, 막걸리라더냐’의 서술을 통해서 서술자는 학식이 부족하거나 무지한 사람이라는 점을 느낄 수 있다. TT2에서는 ‘darned socialism, or scotchalism이라고 서술되어 있다. TT2에서는 TT1과 달리 서술자가 socialism과 scotchalism을 잘 구별하지 못하는 무지한 사람이라고 느낄 수 있다.『태평천하』의 경우, 윤영감의 비속어, 사투리 사용으로 교양 없음과 무지함이 드러나서 그 풍자성은 더해진다. ST에서 윤영감은 ‘이년아’ 등 상스러운 비속어를 많이 사용하는데, TT에서도 ‘little bitch’로 번역하기는 했지만, 그 횟수가 ST에 비해 적게 나타난다.

3) 아이러니와 구어체
채만식의 풍자소설의 경우 아이러니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문체는 구어체 서술이다. 구어적 서술은 ‘입니다’ 또는 ‘이에요’ 등의 종결어미와 비속어, 방언사용에서 나타난다. 하지만 종결어미가 영어에는 없다는 것이 문제가 된다. 이러한 구어체 문장을 살려주기 위해서 TT1과 TT2에서는 ‘you know’, ‘you’를 사용하고 있지만, 빈도수가 TT2가 더 많이 사용한다는 점을 정량적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

한국의 풍자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채만식,
일제 강점기에서 해방 후까지 당대 현실의 모순을 신랄하게 비판하다!

[수록 작품]
치숙 * 저는 숙부님이 많이 부끄럽고요...
사회주의 운동을 하다가 감옥에 갔다 온 후 폐인이 되다시피한 지식인 아저씨를 철저한 황금 만능주의자이자 일본 숭배자인 젊은 조카가 조롱하고 경멸하는 이야기를 통해 당대의 현실 세태를 반어적으로 풍자한 단편
논 이야기 * 우리 민족의 오랜 생명줄이었던 논, 혼란한 시대 속에서 갈팡질팡하다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에게 판 땅을 해방이 되었으니 당연히 되찾을 수 있을 거라 기대했으나, 해방된 나라에서 그 땅을 다시 판다는 사실을 알고 ‘나라 없는 백성’을 자처하는 한덕문이라는 농민의 이야기를 그린 단편
레디메이드 인생 * 웰 메이드도 아닌 레디메이드 인생을 생산해 내는 시대의 고발!
전통적인 유교적 지식인 우대 사상이 일제의 문화 정치의 교육 만능주의와 결합된 결과로 양산된 지식인들이 직업도 갖지 못한 채 희망 없이 무기력하게 살아갈 수밖에 없는 현실을 신랄하게 비판한 단편

‘사피엔스 한국문학 중ㆍ단편소설’ 시리즈의 특징
염상섭에서 황석영까지
한국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중요 작품 총망라!
‘사피엔스 한국문학 중ㆍ단편소설’ 시리즈는 청소년들이 읽어야 하는 한국 대표 작가들의 중요 작품들을 엄선하여 모은 소설 선집입니다. 교육 환경과 교육 정책이 아무리 변화무쌍하다 해도 청소년들이 성장기에 접해야 할 한국문학의 작가와 작품들은 변하지 않습니다. 교과서에 실리는 작가와 작품 역시 변하지 않습니다. 심사숙고를 거듭하며 작가와 작품을 선정한 결과 ‘사피엔스 한국문학 중ㆍ단편소설’ 시리즈가 독자 여러분들을 찾아갑니다.

작가별 권 구성을 통해 작가의 모든 것을 한눈에!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중·단편 소설을 묶어 작가별로 권을 구성하였습니다. 작가의 중요 작품과 작품별 해설, 작가의 작품 세계와 연보까지 작가의 모든 것을 한 권에 담아냈습니다. 중학교에서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교과서에 자주 나오는 작가들에 대한 궁금증을 한 권에 집약하여, 청소년 시기에 꼭 읽어야 할 작품, 기존 선집에서 잘 다뤄지지 않은 희귀작이나 작가의 독특한 작품 세계를 드러내는 문제작까지 수록하였습니다.

작품 감상을 돕는 안정되고 정확한 텍스트 & 깔끔한 디자인, 수준 높은 삽화
문학 작품 감상의 첫 시작은 ‘작품 읽기’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작품의 텍스트가 안정되고 정확해야 합니다. 사피엔스 한국문학 시리즈는 작품의 최초 발표본과 작가 생애 최후의 판본, 그리고 가장 최근에 발간된 비판적 판본 등을 참조하여 텍스트에 최대한 정확성을 기했습니다. 또한 청소년들이 작품 읽기에 쉽게 몰입할 수 있도록 작품의 표기를 다듬고, 지금은 쓰이지 않는 낯설고 어려운 낱말이나 난해한 구절 등에는 풀이를 두어 작품 감상에 부족함이나 애매함이 없도록 하였습니다. 최대한 편리한 독서를 위해 깔끔한 디자인으로 구성하였고, 실질적인 작품 해석, 창의적인 작품 감상을 돕도록 작품의 핵심 내용을 담아 최고의 일러스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국 소설 ‘달인’들의 깊이 있는 해설
한국 대표 소설 작가들의 사상과 문제의식, 그들이 활동했던 당시의 시대 현실에 정통한 석·박사급의 한국문학 달인들이 자신의 연구 주제였던 작가를 맡아 각 작품마다 작품의 이해를 위해 가장 핵심이 되는 질문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정확하고 충실한 해설을 제시함으로써 근본적인 문학 감상을 위한 길잡이가 되고 있습니다.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춘 쉬우면서도 명쾌한 해설
청소년을 위한 맞춤형 선집으로서, 어려운 작품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중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춰 명쾌하게 해설해 놓았습니다. 이를 통해 문학 작품의 감상을 완성하고 또 더 높은 경지로 확장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 이런 분들께 권합니다
- 소설 작품을 읽어도 그 내용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학생들에게
- 중요 작가에 대해 보다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정리해 두고 싶은 학생들에게
- 소설 작품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하며 감상할 수 있는 근본적 능력을 기르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 내신, 평가원 모의평가 등의 시험이나 수행평가 과제 수행을 통해 문학 작품에 대한 평가는 단지 정보의 암기를 통해 해결될 수 없음을 절실하게 체험한 학생들에게

▶ 추천사
권영민(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문학평론가)
한 편의 소설을 읽는 것은 하나의 세계와 조우하는 일이며, 혼신의 힘으로 응축해 놓은 정신의 깊이를 체험하는 일이다. 『사피엔스 한국문학』은 한국 근대 문학이 걸어 온 한 세기의 여정을 정성껏 추리고 솜씨 있게 펼쳐 놓았다. 이제 그 노력의 결실은 독자들의 감동으로 이어질 것이다.

구자송(상암고등학교 국어교사)
문학 작품을 읽는 것만큼 근본적인 인성 교육은 없다. 문학은 살아가면서 만나게 될 다양한 문제 상황을 진솔하고 치열하게 성찰해 보도록 하기 때문이다. 문학 작품을 읽는 것보다 효과적인 국어 공부는 없다. 문학은 심미적으로나 논리적으로 가장 잘 구조화된 언어의 결정이기 때문이다. 『사피엔스 한국문학』은 그런 면에서 인생의 스승이자 좋은 국어교사가 되어 줄 것이다.

권여선(소설가, 제32회 이상문학상 수상)
선집! 어떤 작가를 선정하고 어떤 작품을 고른다는 것. 다른 한편 어떤 작가를 배제하고 어떤 작품을 버린다는 것. 그것은 영혼의 무게를 재는 것처럼 두렵고 난폭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다시, 어느 시대에나 문학 선집은 새롭게 만들어져야 하고, 만들어질 수밖에 없다. 이것이 작가로서 또 독자로서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대답이다. 선집은 움직인다. 그 움직임의 하나, 『사피엔스 한국문학』에서는 특기할 만한 안목과 열정과 박동이 느껴지니 참 기쁘다. 여름날 원두막처럼, 겨울밤 아랫목처럼, 이 시대에 꼭 어울리는 선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