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성장률 7%대로 하향 전망, 반도체 시장 다운사이클 진입하나

2022년 전 세계 반도체 매출 성장률은 7.4%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가트너(Gartner)가 발표한 2022년 전 세계 반도체 매출 전망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은 26.3%였던 2021년도 성장률에서 비해 크게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난 분기에 발표된 2022년 성장률 전망치인 13.6%에서서 하향 조정된 수치다.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소비자 지출 부문, 약세 확인

가트너의 프랙티스 부사장(Practice VP)인 리차드 고든(Richard Gordon)은 “반도체 부족 현상은 완화되고 있지만, 전 세계 반도체는 약세장에 접어들고 있다”며, “2023년까지 약세가 지속되면서 2023년 반도체 매출은 전년대비 2.5% 감소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이미 반도체 최종 유통 시장(end market), 특히 소비자 지출과 밀접하게 닿아 있는 부문에서 약세가 확인됐다. 인플레이션, 세금, 금리 상승과 더불어 에너지 및 연료 비용 증가로 인해 소비자의 가처분 소득은 압박을 받고 있다. 이는 PC, 스마트폰 등의 전자 제품에 대한 지출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전반적으로, 경제 상황이 연중 내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가트너는 2022년 전 세계 반도체 매출 전망을 전 분기에 발표했던 예상치보다 367억 달러 낮춘 6,392억 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특히, PC와 스마트폰과 같은 소비자 관련 부문에서 메모리 반도체 수요 및 가격이 안정되면서 성장세가 더욱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용 반도체, 3.1%에 그쳐

한편, PC 출하량은 2020년과 2021년에 성장세를 기록했으나 2022년 PC 출하량은 13.1% 감소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가트너는 2022년 PC용 반도체 매출도 5.4%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2022년 스마트폰용 반도체 매출 성장률은 3.1%에 그칠 것으로 보이며, 이는 2021년 성장률이었던 24.5%에서 크게 낮아진 수준이다.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고든 부사장은 “반도체 시장이 다운사이클에 진입하고 있다. 이는 새로운 것이 아니며 이전에도 여러 번 발생한 바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소비자 시장은 둔화될 것으로 보이지만, 데이터 센터 시장의 반도체 매출은 지속적인 클라우드 인프라 투자에 힘입어 보다 장기간 탄탄한 성장세를 유지하며 2022년에도 20%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나아가, 전기 및 자율주행차 전환으로 차량 1대당 반도체 탑재량이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 전장 부문은 향후 3년간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아이티데일리] 가트너(Gartner)는 2022년 전 세계 반도체 매출 성장률이 7.4%에 그칠 것으로 예상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26.3%였던 2021년도 성장률에서 크게 낮아진 수준이며, 지난 분기에 발표된 2022년 성장률 전망치인 13.6%에서 하향 조정된 수치다.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가트너의 리차드 고든(Richard Gordon) 프랙티스 부사장(Practice VP)은 “반도체 부족 현상은 완화되고 있지만, 전 세계 반도체는 약세장에 접어들고 있다”며 “2023년까지 약세가 지속되면서 2023년 반도체 매출은 전년대비 2.5% 감소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어 리차드 고든 부사장은 “이미 반도체 최종 유통 시장(end market), 특히 소비자 지출과 밀접하게 닿아 있는 부문에서 약세가 확인됐다. 인플레이션, 세금, 금리 상승과 더불어 에너지 및 연료 비용 증가로 인해 소비자의 가처분소득은 압박을 받고 있다. 이는 PC, 스마트폰 등의 전자 제품에 대한 지출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전반적으로 경제 상황이 연중 내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가트너는 2022년 전 세계 반도체 매출 전망을 전분기에 발표했던 예상치보다 367억 달러 낮춘 6,392억 달러로 하향 조정했다(표1 참고). 특히 PC와 스마트폰과 같은 소비자 관련 부문에서 메모리 반도체 수요 및 가격이 안정되면서 성장세가 더욱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표1. 전 세계 반도체 매출 전망 2021~2023 (단위: 백만 달러)

한편 PC 출하량은 2020년과 2021년에 성장세를 기록했으나 2022년 PC 출하량은 13.1% 감소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가트너는 2022년 PC용 반도체 매출도 5.4%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2022년 스마트폰용 반도체 매출 성장률은 3.1%에 그칠 것으로 보이며, 이는 2021년 성장률이었던 24.5%에서 크게 낮아진 수준이다.

고든 부사장은 “반도체 시장이 다운사이클에 진입하고 있다. 이는 새로운 것이 아니며 이전에도 여러 번 발생한 바 있다”고 말했다. 고든 부사장은 또 “소비자 시장은 둔화될 것으로 보이지만, 데이터센터 시장의 반도체 매출은 지속적인 클라우드 인프라 투자에 힘입어 보다 장기간 탄탄한 성장세를 유지하며 2022년에도 20%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나아가, 전기 및 자율주행차량 전환으로 차량 1대당 반도체 탑재량이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 전장 부문은 향후 3년간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입력 2022-11-14 14:30 | 수정 2022-11-14 14:31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 ⓒ연합뉴스

글로벌 반도체 업계가 수요 침체 영향으로 내년 2분기까지 부진한 모습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14일 시장조사기관 IC인사이츠에 따르면 메모리반도체용 매출은 내년 2분기 이후에나 반등이 이뤄질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3분기 매출은 전 분기 대비 9%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한 4분기에도 8% 감소하며 3분기 연속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관측됐다. 이는 지난 2018년 4분기부터 2019년 2분기까지 이뤄진 하락 이후 처음이다. 

이런 부진은 글로벌 경기 악화 속 IT 수요 침체가 이어지고 있어서다. 

신한투자증권 보고서에 의하면 실제로 IT세트의 판매 전망치는 빠르게 하향 조정되고 있다. 스마트폰, TV, 태블릿, 데스크탑, 노트북의 2022년 출하량 전망치는 당초 예상대비 7~17% 낮아졌다. 

팬데믹 동안에도 부진했던 스마트폰의 경우 포스트 코로나 환경에서도 출하량이 줄고 있다. 글로벌 최대 스마트폰 시장인 중국의 본격적인 반등 조짐은 감지되지 않고 있다. 중국 모바일 기업들은 지난해 중순부터 수요 부진으로 재고조정에 돌입했다.

TV 출하량은 급증했던 하이엔드 제품군을 중심으로 매년 1000만대씩 줄고 있다. 언택트(Non-Contact) 환경에서 각광받았던 노트북과 태블릿도 당초 예상대비 부진하다. 하반기 들어서는 가전시장도 판매 둔화가 뚜렷하다.

이에 따라 반도체 가격도 크게 낮아진 상황이다. PC용 D램 범용제품(DDR4 8Gb)의 10월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지난달(2.85달러)보다 22.46% 하락한 평균 2.21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7월 이후 가장 큰 낙폭이다. 이로써 D램 가격은 지난 상반기 3 달러 수준에서 2달러 초반까지 밀리게 됐다. D램 가격은 올해 7월 14.03% 급락했으며 8월에는 1.04% 하락했다. 9월에는 보합세를 유지했으나 이달 들어 20% 이상 급락했다.

낸드플래시 범용제품(128Gb 16Gx8 MLC)의 고정거래가격은 4.14달러로 지난달(4.30달러)보다 3.73% 내렸다. 낸드플래시 가격은 지난 6월 3.01% 떨어진 이후 5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를 제외한 반도체 업계는 감산 등을 통해 대응에 나선 상태다. 

SK하이닉스는 지난 3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메모리반도체 시장 불황이 계속돼 투자 축소와 생산량 감산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마이크론은 내년 설비투자를 기존 대비 30% 줄이기로 했고, 전 세계 낸드 3위 업체인 키옥시아도 칩 생산을 위한 웨이퍼 투입량을 30% 감축했다.

반면 삼성전자는 기존 생산량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는 "인위적인 감산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기본적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며 "내년에는 데이터센터 증설도 확대되고 신규 CPU(중앙처리장치)를 위한 DDR5 채용도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 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생생

헤드라인 뉴스 이 시각 주요뉴스와 만나보세요.

자동차

  •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현대차그룹, 자율주행 노하우 활용 '배송로봇 실증사업' 돌입..

  •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잘 나가는 전기차, 제각각 보조금에 소비자 '혼란'..

  •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한국지엠, 창원공장 재배치에 반발 확산… 절반 이상 강제발령..

크리에이티비티

  •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칸 라이언즈 2022, 엔터테인먼트 그랑프리 심사 기준을 밝히다..

  •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배민은 왜 '삐뚤빼뚤' 이상한 글꼴을 만들까요?"… 우아한형제들 한명수 CC..

  •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2023 스파이크스 아시아 심사위원단 발표… 韓 제일기획·이노션·LG CNS·..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금융·산업

  •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현대차그룹, 자율주행 노하우 활용 '배송로봇 실증사업' 돌입..

  •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中 하늘길 드디어 열리나… 비중 높은 아시아나, 반등 기회 모색..

  •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LS전선, 올들어 해저케이블 1.2조 수주… KT서브마린 시너지도 기대..

IT·과학

  •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위메이드, 위믹스 총 발행량 '축소'…'수축 토큰경제' 구현 나서..

  •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네이버 메일, 발송주소 미표기 ‘보안 취약’ 지적..

  •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구현모 KT 대표 '연임 적격' 판정, 복수 후보 심사 요청..

오피니언

  •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취재수첩] TV 넘어 LED·유튜브… 24시간 돌아가는 주류 광고 '규제 사각지대'

  • [신희강의 IT썰풀이] 위메이드는 왜 업비트를 '슈퍼갑'이라 칭했나

  • [취재수첩] 안전 관리 '합격점'… 내실 챙긴 '지스타 2022'

  • [신희강의 IT썰풀이] 물 건너간 '찐 5G', 정부 책임 인정해야

  • [기자수첩]정쟁에 가로막힌 조세소위…국민들은 아랑곳 않나

부동산

  •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부동산원, 소비자중심경영 인증 획득..

  •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LH-우리銀-적십자사, 자립준비청년에 주택청약저축액 지원..

  • 반도체 시장 전망 2022 - bandoche sijang jeonmang 2022

    해건협, 해외건설정책자문위 개최…거시적 진출전략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