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ich 계속적 용법 - Which gyesogjeog yongbeob

오늘 알아볼 문법은 관계대명사의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입니다. 사실 이 부분은 콤마가 없으면 제한적 용법이라고 하고 콤마가 있으면 계속적 용법이라고 많이들 알고 계시는데요. 틀린 말은 아니지만, 이것만 가지고는 너무 빈약한 설명이라고 생각하여 오늘 포스팅을 준비해 봅니다. 

 

□ 영어 문법

 

2021.10.04 - [영어 이야기] - 관계대명사 생략

 

관계대명사 생략

오늘 학습하실 내용은 바로 관계대명사의 생략에 관한 내용인데요. 관계대명사는 몇 가지 경우에 생략을 할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 생략이 가능한지 예문을 통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dream-e.tistory.com

 

■ 관계대명사의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

 

먼저 제한적 용법(restrictive)이라는 말과 계속적 용법(non-restrictive)이라는 말을 정확하게 아셔야 합니다. 대부분 제한적 용법이라면 콤마가 없고 계속적 용법이라고 하면 콤마를 붙인다. 그리고 해석의 차이도 크게 없다. 이렇게만 알고 계시면 이 두 용법을 구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의미도 상당히 달라지게 됩니다. 오늘 한 번 마스터해보도록 합니다.

 

⊙ 제한적 용법

콤마를 찍지 않고 사용하는 관계대명사의 용법이며 선행사(수식하는 명사가 앞에 있어서 선행사라고 함)가 사람이면 who나 whom을, 사물이나 동물이면 which를 사용합니다. 또는 이런 구별 없이 쓰려면 that을 사용하면 됩니다. 의미적으로는 제한적 용법이라는 말을 정확하게 이해하셔야 하는데요.

 

제한적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이유는 범위를 잡아준다라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즉, 범위를 잡아주지 않으면 범주가 너무 넓어지고 그러면 무엇을 말하는지 알 수가 없어지기 때문에 정확하게는 범위의 제약을 가해서 제한적 용법이라고 이름 붙여졌습니다. 예문을 통해 자세하게 알아봅니다. 

 

▶ The person who called yesterday wants to buy the car. 

= The person that called yesterday wants to buy the car. 

 

지금의 예문에서 콤마가 없기 때문에 일단 제한적 용법이라는 것을 알고 갑니다. 또한, 선행사는 The person이기 때문에 관계사는 who나 that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가 중요한데요. 만약에 The person(그 사람)이라고 하면 누구를 지칭하는 건지 알기가 어려워집니다. 사람은 너무 많으니까요. 그래서 이 상황에서는 The person이라는 사람이 누구인지 상대방에게 이해를 시키기 위해 범위를 잡아주게 됩니다.

 

그래서 who called yesterday를 붙여 어제 전화한 사람으로 범위를 제한시키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 상황에서 콤마를 찍어 계속적 용법으로 만들어버리면 가독성이 떨어져 버립니다. 왜냐하면 누구인지도 몰라 초점을 잡기 어려운데 계속적 용법이 주는 부연 설명을 해버리는 꼴이 되거든요. 제한적 용법의 해석은 관계사 부분이 앞의 명사를 수식하는 해석으로 하셔야 합니다. 어제 전화했던 그 사람이라고 말이죠.

 

⊙ 계속적 용법

 

관계대명사 앞에 콤마를 찍어주는 형태를 먼저 기억해주세요. 즉, , who , which 등의 형태를 보여줍니다. , that은 왜 없느냐 물어보실 수도 있겠습니다만 that은 계속적 용법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시험에 자주 나오는 이론이니 꼭 기억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다만, 어떤 곳에서는 , that은 무조건 안된다는 식으로 말하는 것을 들었는데요. , that이 관계사가 아닐 경우도 있어 , that이라고 무조건 틀린 것은 아니다고 말해드립니다. 아무튼, 계속적 용법을 사용하는 것은 제한적 용법과 달리 범위를 지정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며, 이미 알고 있는 부분이 선행사가 될 가능성이 크다라고 생각하시면 좋겠습니다. 다음의 예를 보시죠.

 

▶ Jerry, who is my friend, went to the library to read.

Jerry, that is my friend, went to the library to read. (X)

 

위의 예문에서 Jerry는 사람 이름으로 특정인을 이미 구체적으로 명시하기 때문에 범위를 잡아줄 필요가 없어집니다. 따라서, 부연 설명 정도로 , who is my friend 부분을 사용하였다고 생각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해석도 제리는 내 친구인데 도서관에 독서하러 갔다 정도의 해석을 차례대로 해주시면 됩니다. 

 

두 번째 예문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것으로 , that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려드리는 예문이니 참고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 자주 보이는 예문

다음의 두 예문은 많은 곳에서 활용되는데요.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을 가리는 목적으로 자주 활용되는 예문입니다.

 

▶I have two daughters who are doctors.

 I have two daughters who are doctors. 는 제한적 용법인데요. 두 명의 딸 다음에 범위를 설정하고자 who를 붙였습니다. 이 말은 자식이 최소 3명 이상이라는 말이겠지요. 두 명인데 범위를 제한시킬 이유가 없으니까요. 해석은 나는 의사인 딸 두 명이 있다입니다. 

 

▶I have two daughters, who are doctors.

계속적 용법인 I have two daughters, who are doctors. 예문은 딸의 수가 2명이라는 말이 되겠습니다. 범위에 제한을 둔 게 아니니까요. 해석은 나는 딸이 두 명이며 두 명의 딸은 의사이다 정도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오늘 이렇게 관계대명사의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회화체에서는 발음의 차이로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을 구별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저는 거의 본 적이 없습니다. 맥락을 보고 판단해야 합니다. 알고 보면 항상 더 보이게 마련인데요. 오늘 글로 공부하신 여러분들도 그랬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늘 감사드리고 다음에 다른 문법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관계대명사 계속적 용법에 대해 정리해 보고 관계부사 계속적 용법에 대해서도 같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관계대명사는 어떤 기능을 하느냐에 따라 한정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으로 나누어 집니다.

따라서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한정적 용법에 대한 이해도 함께 해야 합니다.

  1. 관계대명사의 한정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에 대한 이해

아래 두 예문을 보시면 이 둘의 차이점을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입니다.

1-1) I have two sons who are teachers.
1-2) I have two sons, who are teachers.

우선 형태상으로 콤마가 있냐 없느냐에 따라 한정적 용법이냐 계속적 용법이냐가 결정됩니다. 콤마가 없으면 제한적 용법이며 있으면 계속적 용법입니다. 또한 제한적 용법은 해석을 뒤에서 부터 합니다.

즉, 1-1)은 교사가 된 두 아들이 있다는 의미이므로 다른 아들이나 딸이 있을 수도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에 1-2) 는 콤마가 있죠 이것은 계속적 용법으로 쓰인 것이며 해석을 앞에서 부터 합니다. 따라서 두명의 아들이 있는데 이들은 교사다 이렇게 되므로 딱 두명의 아들만 있다는 의미를 나타내 줍니다. 그럼 계속적 용법에 대해 좀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2-1)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접속사+대명사'로 바꿔 쓸 수 있으며 접속사는 and, but 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

a) I passed the ball to Brian, who dropped it.

위 문장 내용이 볼을 건넸지만 그러나 Brian 은 공을 떨어뜨렸다는 내용이므로 who 대신 but he 로 바꿔쓸 수 있습니다. 여기서 아주 중요한 개념이 나오는데 시험에 자주 나옵니다.

관계대명사 that 은 계속적 용법으로 쓰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위 문장에서 who 대신 that 를 쓰면 잘못된 것입니다. 꼭 알아두기 바랍니다.

2-2) 계속적 용법일 경우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쓰였을지라도 생략할 수 없습니다. 예문을 보시죠.

a) My favorite book is Little Women, which I've read eight times so far.

여기서 which 가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쓰였습니다. (which 이하 read 뒤에 목적이 없죠). 제한적 용법에서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있다 라는 것은 다들 아실 겁니다. 하지만 계속적 용법에서는 생략할 수 없습니다.

2-3) 앞의 절 전체를 받을 때는 which 를 써 줍니다.

a) He was very hungry, which led him to steal the bread.

여기서 which 는 앞의 문장 전체 즉, 그가 매우 배가 고팠다는 것을 받습니다.

3 관계부사 계속적 용법

우선 관계부사에는 when, where, why, how 가 있는데 이들 중 when 과 where 만 계속적 용법으로 쓰입니다. why, how 는 계속적 용법을 쓰일 수 없다는 것도 알아두기 바랍니다. 보통 when 은 and(but) ~~~ then, where 는 and there 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 예문을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