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국가고시 난이도 - uisa guggagosi nan-ido

고 의원 “의사의 질 저하와 국시 무력화” 지적

의사 국가고시 난이도 - uisa guggagosi nan-ido

치과의사, 한의사, 의사, 간호사의 국가고시 합격률이 95%를 넘는 것에 대해, 시험을 보면 무조건 합격을 시켜주는 현행 시스템은 (치과)의사 업무의 질 저하를 야기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 1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고영인(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보건인국가시험원으로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7개 종류 보건의료인 국가시험 3년 평균 합격률이 치과의사 95.3%, 한의사 95.6%, 의사 94%, 간호사 96.3%로 확인됐다.

반면 의사, 간호사 시험을 제외한 다른 모든 시험의 3년 평균 합격률은 73.5%로 나타났다.

가장 합격률이 낮은 시험은 장애인재활상담사(특례) 시험으로 29.8%였고 보건의료정보관리사와 위생사, 의지·보조기사, 보건교육사 1급 시험은 합격률이 50%를 밑돌았다.

고영인 의원은 변호사 시험의 경우 올해 합격률은 53.32%3,316명이 응시해서 1,768명이 합격했다의사시험의 합격률만 95% 수준에 난이도를 맞추는 국가시험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도 있다고 전했다.

의사시험은 지난 199671.8%대로 합격률이 낮아진 적도 있었다.

하지만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로 2일에 걸쳐 추가시험이 진행되는 등 그동안 의대생이 의사가 되지 않은 경우는 보기 힘든 것이 현실이라고 고영인 의원은 지적했다.

그는 최근에는 1일에 보는 필기시험과 달리 35일에 걸쳐 보게 되는 실기시험은 우수한 학생들이 가장 먼저 시험을 본 후 이후 시험을 보는 학생들에게 시험의 내용을 공유하는 이른바 선발대논란도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시험을 보면 무조건 합격시켜주는 지금의 시스템은 의사의 질 저하와 국가고시 무력화를 가져와 시험이 왜 필요한지 의문이 들게 할 것이라며 의대 정원은 묶고 합격률만 높이는 지금의 방식이 옳은지 정원을 늘려 전공 적합성과 학업 이수 성실도에 따라 의사를 선발하는 것이 옳은지 생각해 봐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Tag

#2020 #국감이슈 #국가고시 #합격률 #95% #업무 #질저하 #고영인의원 #국정감사 #치과의사 #95.3% #선발대 #무력화 #지적

저작권자 © 치과의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의사 국가고시 난이도 - uisa guggagosi nan-ido

덴탈iN 기자 다른기사 보기

댓글 0댓글입력

로그인

이름 비밀번호

내용
0 / 40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회원 로그인 비회원 글쓰기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확인

×

최신순 추천순


최신기사

  • [DENTEX특집] 더 강력해진 ‘치과 개원 정보’가 온다

    [DENTEX특집] 더 강력해진 ‘치과 개원 정보’가 온다
  • 충북지부, 회무 열람 구체적 목록 발표

    충북지부, 회무 열람 구체적 목록 발표
  • [인터뷰] 연세대학교치과대학 동문회 이정욱 신임회장

    [인터뷰] 연세대학교치과대학 동문회 이정욱 신임회장
  • 최근 10년간 치과대학 및 치의학전문대학원 학생 현황

    최근 10년간 치과대학 및 치의학전문대학원 학생 현황
  • DVmall “진료에서 가장 유용한 최애템은 이것”

    DVmall “진료에서 가장 유용한 최애템은 이것”
  • 치협 “비급여 진료비 보고 강행 중단하라”

    치협 “비급여 진료비 보고 강행 중단하라”
  • 치의학회, 한 해 돌아보며 화합·소통 시간 가져

    치의학회, 한 해 돌아보며 화합·소통 시간 가져

12일 더불어민주당 고영인 의원이 한국보건인국가시험원(국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평균 합격자 비율 자료'에 따르면 27개 종류의 보건의료인 국가시험 중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조산사, 간호사는 해마다 95%에 가까운 시험 합격률을 보이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3년 평균 ▲의사 94% ▲치과의사 95.3% ▲한의사 95.6% ▲조산사 98.4% ▲간호사 96.3% 등이었다.

의사, 간호사 시험을 제외한 다른 모든 시험의 3년 평균 합격률은 73.5%였다. 가장 합격률이 낮은 시험은 장애인재활상담사(특례) 시험(29.8%)이었다.

50%가 안되는 시험은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위생사, 의지·보조기사, 보건교육사 1급 등 6종이었다.

변호사시험의 올해 합격률은 53.32%로 3316명이 응시해 1768명이 합격했다.

고 의원은 "의사시험의 합격률은 지난 1996년 71.8%대로 낮아진 적도 있었지만,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로 2일에 걸쳐 추가시험이 진행되었던 바도 있어 그간 의대생이 의사가 되지 않는 경우는 보기 힘든 것이 현실이었다"고 지적했다.

하루에 다 보는 필기시험과 달리 35일에 걸쳐 보게 되는 실기시험은 우수한 학생들이 가장 먼저 시험을 본 후 이후에 시험을 보는 학생들에게 시험의 내용을 공유하는 '선발대' 논란도 최근 지적된 바 있다.

고 의원은 "시험을 보게 되면 무조건 합격시켜 주는 지금의 시스템은 의사의 질 저하와 국가고시의 무력화를 가져와 시험이 왜 필요한지 의문이 들게 한다"며 "의사에게만 손쉬운 합격의 기회를 주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의사 국가시험(醫師國家試驗/KMLE, Korean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나라에서 발급하는 서류에 나오는 정확한 공식 영문명칭은 Korean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 for Physician)은 국내 의과대학(또는 의학전문대학원) 졸업(예정)자가 응시하는 시험이다. 약칭은 '의사 국시', 더 줄여서 그냥 '국시'라고도 한다.

2. 준비시기[편집]

의사 국가시험은 일반적으로 본과 3학년부터 준비하는게 보통이나, 드물게 4학년부터 시작하기도 한다.[1] 의과대학 내신과 더불어 인지도 있는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에 인턴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고득점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정말 피터지게 공부해야 한다. (국시 자체를 피터지게 공부한다기 보단 그 전 본1,2 내신을 피터지게 공부한다.) 이 때문에 필기의 경우 합격률이 95% 내외로 매우 높다. 물론 절대평가이기에 반드시 만점을 받을 필요는 없으며 40점 이하를 받은 과목 없이 전과목 평균점수가 60점만 넘으면 된다. 과락이 존재하긴 하나 애당초 피터지게 공부한 인원들로만 시험을 보는 터라 과락으로 불합격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거의 전과목 평균 60점 미달로 불합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레지던트 지원에는 들어가지 않고 병협에서 출제한 자체 지필고사와 인턴 근무성적과 의과대학 내신을 합산한 점수가 들어간다. 그래도 좋은 병원에서 인턴생활을 해야 해당 병원의 레지던트로 들어가기 쉬우므로 국시 성적의 중요함은 이루 말할 필요가 없다.

3. 응시료[편집]

응시료는 실기까지 포함해서 907,000원으로 국내에서 시행하는 각종 시험들 중에선 가장 비싸다. 필기가 28만 7천원, 실기가 62만원이다. 실기시험은 의사와 치과의사만 보기 때문에 응시료가 매우 비싸며, 실기를 제외한 필기 응시료만으로도 변호사시험(20만원)과 치과의사, 한의사(19만 5천원)보다 비싸다.[2]

4. 일정[편집]

실기시험은 9, 10월에 걸쳐 진행된다. 그 중에 언제 응시하는지는 국시원의 추첨에 따른다.

필기시험은 이틀에 걸쳐 실시된다. 1일차에는 1교시에 보건의약관계법규 20문항과 의학총론 60문항을 보고, 2교시에 의학각론 1을 80문항 보게된다. 2일차에는 3교시에 의학각론2 80문항을 보고, 4교시에 의학각론3 80문항을 보고 시험이 종료된다.[3] 모든 교시는 105분간 본다. 총 320문항에 전 문항 5지선다형 객관식이고 문항당 1점 단일배점에 320점 만점이며 각 과목당 취득점수가 과목별 만점의 40% 이상이고, 3과목[4] 취득점수의 합이 총 만점의 60% 이상이면 필기시험에 합격할 수 있다.[5] 감독관은 2명이다. 필기시험 시험장은 중고등학교[6][7]이며, 매해 1월의 첫번째나 두번째주의 목,금요일 이틀에 걸쳐 시험을 치른다.

5. 특징[편집]

의사 국가시험은 원칙적으로는 한정된 인원을 뽑는 것이 아닌 성취 여부에 그 목적이 있다.[8] "누가 더 휼륭한 의사냐"를 가려내는 것이 아닌 "누가 의사가 될 자격이 있는가"를 가려내는 시험이기때문에 절대평가로 점수를 매기며 일정 점수(40점 이하를 받은 과목 없이 전과목 평균이 60점 이상) 이상을 달성하면 무조건 합격시켜주는게 원칙이다.[9] 이는 해외도 마찬가지로 미국은 국시합격률이 97%에 달하며 일본도 90% 초반을 유지한다. 남들이 하는 만큼만 공부하면 누구라도 합격할 수 있지만 문제는 남들이 하는 만큼의 공부량이 많다는 거다. 95%라는 합격률이 상당히 높아서 개나소나 합격한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법과대학과 사법시험이 폐지된 현재 대한민국 문이과 통틀어 가장 시험공부를 잘하는 의대생들이 5% 이상 불합격한다는 것은 결코 만만한 시험은 아니라는 뜻이다.

응시생들은 본과에서 백여 번이 넘는 시험을 보면서 훈련된 시험기계들이며 본과 4학년때 국시 대비로 완전히 무장한 정예멤버들이다. 어느 대학을 가나 전공필수 교과목을 단 하나라도 F를 맞으면 100% 유급이다. 그 과정을 본과 4학년까지 버텨낸 의대생들이 5%나 국시에서 떨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절대평가라고 믿고 공부를 조금만 하고 시험 치다간 100% 불합격당한다. 애초에 문항 수도 5과목 합계 무려 320문항이나 되며 범위 또한 장난아니게 많고 문제 난이도도 공부 조금만 한 사람들도 다 맞출 수 있는 정도의 쉬운 객관식이 절대 아니다.[10] 당장 아는 사람 중 의대에 간 사람이 있다면 학창시절에 어떤 학생이었는지를 생각해보자.. 여태까지 시행된 국가시험에서 만점 혹은 그에 근접한 점수를 받은 사람은 전무하며, 320점 만점에서 300점-310점 사이의 점수에서 수석합격자가 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다(의대생들이 실력이 부족하다기보단, 정오표를 보고 컨닝하거나 정답 번호를 모두 외우고있지 않는한 애초에 만점이 나올 수 없는 시험이다).

거의 대부분의 응시생들은 320점중에 200점 이상은 커녕 그냥 평균만 아슬아슬하게 넘겨서 합격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심지어는 시간 부족으로 문제를 다 보지 못하고 찍기를 하는 경우도 많다.[11]

하지만 상대 평가로써 의대 학생들에겐 상대적으로 쉬운 고시라는 비판도 있다. 의사 인력이 항상 만성부족이기 때문에 쉽게 고시난이도를 만들었다는 것. 이런 비판은 해외도 마찬가지이다. 게다가 한국 같은 경우는 실시시험에 일부 학생이 선발대로먼저 시험을 보고 학우들에게 알려주는 치트키 논란도 있기 때문에 실기점수는 그냥 거저주는 것이라며 타 국시에 비해 의사국시의 형평성 논란이 타선진국에 비해서 많다. 그리고 3대 국시중 합격율이 압도적으로 좋은 것도 사실이다.

2022년도 국시 필기시험부터 정식으로 CBT(Computer-based test)를 도입하였다. 2021년 1차 임상의학종합평가에서 처음으로 국시원이 CBT 소프트웨어를 도입하였고, 이에 대해 응시자들의 피드백을 받아 2022년도 국시에서 수정하여 선보였다. 문제를 한 화면에 하나만 볼 지, 두 개를 볼 지 선택할 수 있으며 글씨 크기도 조절 가능하다. 헷갈리는 문항을 체크하여 차후에 쉽게 확인할 수도 있고, 아닌 것 같은 선지에 취소선을 긋는 기능도 있다. 형광펜 기능도 있어 문제를 읽으며 체크할 수 있다.[12] 또한 손으로 계산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역학 문제들을 위해서 계산기까지 넣어주었다. 자세한 사항은 국시원 홈페이지https://www.kuksiwon.or.kr/cnt/c_3004/view.do?seq=11 에서 직접 체험해볼 수 있다. CBT를 도입하면서 새로 추가된 문항이 멀티미디어 문항으로 환자의 진료, 처치, 의료기기 활용, 각종 임상검사 과정 등의 직무내용을 담은 동영상, 환자의 심음, 호흡음 등의 소리를 제시하여 실제 환자 진료에 가까운 문제를 풀어야 한다. 2022년도 3문항을 시작으로 멀티미디어 문항은 점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또 이때부터 상반기, 하반기로 나뉘어 연 2회 시행한다.

필기시험 뿐만 아니라 실기시험도 실시하며 두 시험 모두 합격해야 의사면허를 받을 수 있다. 또한 한 번 합격해서 면허를 받으면 심각한 의료법 관련 범죄나 의료사고 등 각종 면허 취소 사유를 일으켜 이와 관련해 금고, 징역 이상의 처벌을 받는다 하더라도 죄질에 상관없이 재교부율이 95%를 넘으니 사실상 종신 면허를 받는 셈이다.[13]

실기시험은 Pass or Fail이고 명목상 절대평가이나, 사실상 상대평가로 진행되고[14] 채점기준도 공개하지 않아 이에 대해서 매년 문제 제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시원은 매년 응시생들에게 소송을 받고 있다. 결국 비판들을 수용하여 2021년에 시행하는 의사 국시 실기는 대격변 수준으로 바뀌게 되었다. 실기시험은 의사국시 실기시험센터에서 실시한다.

모든 시험의 기출문제는 비공개이며, 문제 은행 방식으로 출제된다. 일각에서는 문제 은행에 수록되어 있는 문제가 무려 10,000문제를 넘어간다는 사실이 있다.

전형적인 행정편의 주의와 '일단 하고 보자' 식의 태도가 도입 불과 10년만에 실기시험이 대격변 수준으로 바뀌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부정행위 발생시 해당 시험 무효처리, 이후 2회 응시자격이 박탈된다. 예를 들어 2010년에 부정행위를 했다면 2010년은 해당 시험이 무효가 되고 2011년과 2012년은 수험불가, 2013년이 되어야 수험이 가능하다. 총 3년간 수험제한을 받는 셈이다.

6. 교재[편집]

수능, 공시, 고시, 타 전문직 시험 등과 마찬가지로 교과서로 대비하지 않고, 시중에 나와있는 수험서로 대비한다. 기출문제 비공개 원칙에 의해 기출문제는 일절 수록되어있지 않으나 일단은 기출문제를 복원하여 편집했다고 주장은 한다. 의대의 경우 늦어도 본과 4학년 때 국시를 대비하게 되는데 이 수험서들을 대학 교재로 선정하여 국시를 공부하게 된다. 업계 1위는 퍼시픽 출판사의 교재이며 퍼시픽을 쓰는 학교 학생들 중 국시 성적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은 동화, 유니온을 따로 구매하여 풀어보기도 한다.
이제는 점점 전문의들의 해설이 담긴 유니온이 대세가 되어가는 것 같다.

필기시험 문제 유형이 객관식이기 때문에 각종 퀴즈나 쪽지시험도 객관식 유형으로 출제된다. 일부 교수는 중간, 기말고사 같은 정기고사도 객관식으로 출제하기도 한다. 다만 몇몇 문제들은 완전한 객관식은 아니고 <보기>에 정답인 단어와 정답과 관련 없는 단어 여러 개를 제시하여 문제에서 <보기>에 있는 답안을 골라 넣는 복합형 문제가 많이 나온다.[15]

6.1. 목록[편집]

  • Pacific KMLE - 퍼시픽 북스(서울대 졸업생 주축이었다)

  • 동화 KMLE - 고려의학(경북대 졸업생 주축이었다)

  • UNION 5+2패스 - 유니온북스

  • 마스터 KMLE - 바른의학연구소[절판]

  • i-KMLE - 군자출판사[절판]

7. 출제 과목[편집]

  • 바이탈/메이저 과목 : 일명 "내외산소정"

    • 내과

    • 외과

    • 산부인과

    • 소아과

    • 정신건강의학과

  • 마이너 과목 : 성적표에서는 특과로 통합되어 나온다.

    • 신경과/신경외과

    • 이비인후과

    • 안과

    • 피부과

    • 응급의학과

    • 정형외과

    • 비뇨기과

  • 예방의학

  • 의료법규


바이탈/메이저 과목들의 비중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마이너 과목들은 20% 미만으로 비중이 적어서 주로 "내외산소정"을 위주로 공부하게 된다.
예방의학과 의료법의 경우 기초 상식적인 부분이 많고 범위도 적은 편이다. 의대생이 아닌 일반인이라도 조금만 공부한다면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충분히 다 맞출 수 있지만 은근 발목 잡는 과목들이다. 다른 과목들은 의대 본과에서 계속 배운 내용이지만 법규는 본4쯤 배우는데다 어디서 어떻게 나올 지 모르기 때문

8. 통계[편집]

  • 연도별 수석자 및 수련내역 (* 표시자는 전문의 시험까지 수석이다.)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74324

  • 1997 장현하 경희대 경희대병원 내과

  • 1998 박경화 고려대 고대안암병원 내과

  • 1999 이계향 대가대 삼성서울병원 소청과

  • 2000 최영진 부산대 부산대병원 내과

  • 2001 박성신 경희대 경희대병원 소청과

  • 2002 박찬욱 연세대

  • 2003 김도영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피부과

  • 2004 이광선 중앙대 중앙대병원 내과

  • 2005 노재형 경북대 서울아산병원 내과

  • 2006 김주영 연대원주 원주기독병원 안과

  • 2007 성필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내과

  • 2008 김혜원 연세대

  • 2009 고재상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안과

  • 2010 김태형 건양대 서울아산병원 내과

  • 2011 오승헌 경희대 국립정신건강센터 정건과

  • 2012 박지명 서울대 서울대병원 내과

  • 2013 김시호 원광대 삼성서울병원 내과

  • 2014 나가혜 원광대 원광대병원 피부과

  • 2015 안연수 전남대 전남대병원 영상의학과

  • 2016 서민규 경북의전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

  • 2017 정한나 고려대 서울아산병원 내과

  • 2018 김안나 고려의전 고대구로병원 피부과

  • 2019 송지영 서울대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 2020 한진희 한양대 서울아산병원 내과

  • 2021 신정우 고려대 고대구로병원 정형외과 [18]

  • 2022 송정민 전북대 서울아산병원, 이혜윤 부산대 양산부산대병원

  • 연도별 의사 국가시험 합격률

횟수

연도

접수 인원

응시 인원

합격 인원

합격률(%)

72회

2008년

4,059

4,028

3,887

96.5

73회

2009년

3,770

3,750

3,510

93.6

74회

2010년

3,481

3,469

3,224

92.9

75회

2011년

3,391

3,376

3,095

91.7

76회

2012년

3,515

3,446

3,208

93.1

77회

2013년

3,338

3,287

3,032

92.2

78회

2014년

3,450

3,412

3,200

93.8

79회

2015년

3,310

3,302

3,125

94.6

80회

2016년

3,332

3,323

3,106

93.5

81회

2017년

3,346

3,336

3,095

92.8

82회

2018년

3,385

3,373

3,204

95.0

83회

2019년

3,318

3,307

3,115

94.2

84회

2020년

3,220

3,210

3,025

94.2

85회

2021년

446

423

365

86.3 [19]

86회 상반기[20]

2022년

--

2,709

2,643

97.6


출처: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9. 외국의 의사 국가 시험[편집]

  • 미국
    USMLE 문서 참고.

  • 영국 UKMLA: UK Medical Licensing assessment의 약자로, 2024-2025 의과대학 졸업생부터 시행 예정인 영국의사면허 시험이다.

  • 일본 JMLE : 응시자격이 외국 의과대학 및 의사 면허증 소지자이다.

  • 호주 AMC Exam


[1] 4학년 2학기때부터 준비하는 학교들도 있다. 본3때부터 준비하는 학교가 훨씬 드물다.[2] 여담으로, 전문의자격시험 응시료는 27만원이다.[3] 2022년도 국시까지는 4교시에 R형 문제(확장결합형)라고 하여 선지를 열 개 정도 제시하고서 문제에서 고르라는 갯수대로 선지를 고르는 문제가 있었으나, 2023년도 국시부터는 폐지되었다.[4] 의학각론 1~3는 한과목으로 친다.[5] 공무원 시험처럼 한 과목이라도 40점 미만으로 맞으면 과락이다.[6] 1월 초에는 대부분의 중고등학교가 방학에 들어간 시기라 평일에 시험을 치를 수 있다.[7] 2022년도 국시에서 서울 지역 응시의 경우 고등학교와 전문대에서 진행되었다. 이는 CBT 이기 때문에 컴퓨터가 많은 학교들에서 시험진행이 가능하였기 때문이다.[8] 이미 한정된 인원을 뽑아낸 평가는 의과대학 입시부터 시행되었다. 의대에서 지정된 인원만큼 선발한 뒤 국시에서는 이 사람이 의사가 될 역량이 되는지만을 평가한 뒤 면허증을 주는 식이다.[9] 비슷한 시험으로 운전면허를 비롯한 각종 자격증 시험(컴퓨터활용능력, 워드프로세서, 엑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등), 간호사 국시 등이 있다.[10] 무엇보다 자신이 가려는 진료과목과는 다른 과목들의 문제까지 모두 풀 수 있어야 한다. 예를들어 자신은 정신건강의학과를 선택하여 그쪽으로 가려고 하는데 의사 국시에서는 정신과 이외의 다른 과목(정형외과, 피부과, 소아과, 비뇨기과 등등)들도 시험에 출제된다. 다만 치과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쪽은 치과의사 국가시험이 따로 있기 때문이다.[11] 오답감점제가 없어서 직접 풀어서 틀리나 찍어서 틀리나 어차피 틀리는건 매한가지고 틀릴바에야 모르는 문제는 그냥 빠르게 찍고 넘어가 아는 문제를 확실히 맞히는게 훨씬 이득이다.[12] Lab이 많은 문항은 검사치가 열 개가 넘어가기 때문에 이상한 결과를 보이는 항목들을 체크해놓기 위하여는 필수적인 기능이다.[13] 단, 의료법, 마약류관리법 등 일부 의료관련법 위반으로 실형을 선고받거나 마약중독이나 정신질환 등의 결격사유가 생긴 경우는 면허가 취소되고, 재교부도 불가능하다.[14] 합격컷이 응시생들의 점수에 따라 매년 바뀐다. 홈페이지 상의 합격기준에 의하면 합격컷이 의과대학 교수들로 구성된 합격선 심의위원회에서 결정된다고 한다.[15] 특히 하나만 골라 넣는 경우도 있지만 모두 고르시오같은 문제도 나오는데 <보기>에는 정답과 관련 없는 단어도 있으므로 정답인 단어만 골라서 넣는 사실상 주관식이나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