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코 스위치 종류 - siseuko seuwichi jonglyu

게으르고 불친절한 나의 포스팅... 

내겐 너무 어려운 글쓰기인거 같다.

지난번에 생각치 못하게 장비 이미지에 대해서 적는 바람에 못했던

Catalyst 라인업 및 장비명에 담긴 내용에 대해서 정리해 보자.

Catalyst 라인업이 

기존 C2960 에서 C6500까지로 대표 되었다면 

이제는 C9200, C9300, C9400, C9500, C9600 으로 탈바꿈 했다.

시스코 스위치 종류 - siseuko seuwichi jonglyu

C9200, C9300, C9500 은 박스형 스위치

C9400, C9600 은 샤시형 또는 모듈러형 스위치지다.

박스형 스위치란 

대게 Access 단에 활용 되는 스위치로 포트의 수가 고정 되어있고

1RU ~ 2RU 사이의 크기를 가진 기본적 형태의 장비이다.

물론 박스형 스위치에도 일부 업링크 포트들은 선택 가능 옵션으로 제공 되기도 한다.

샤시형 또는 모듈러형 스위치란

대체 백본으로 많이 활용이 되는 스위치로 

덩치가 크고 용도와 포트에 따라 모듈을 추가 및 교체가 가능한 형태의 장비이다.

박스형 스위치에 비해 처리 용량이 크고 RU는 크기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난다.

각 장비들을 하나하나 뜯다 보면 홈페이지를 그대로 가져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에 장비들의 네이밍 방법을 우선 체크를 해 보면

C9300L-48T-4G-E 라는 모델이 있다면 이 이름을 나누어 보겠다.

C9300L 48 T 4G E

이렇게 5개로 분류가 가능한데.

①모델명

②포트수

③포트형태

④업링크포트형태

⑤DNA라이센스

이렇게 볼 수 있다. 

①에는 C9200, C9300 같은 장비 라인업의 이름이 들어가게 되는데 L이 있는 것은

업링크 포트가 고정형이라는 뜻이고 L이 없는 것은 optional 로 필요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다.

②는 일반적으로 24 or 48 로 표기가 되는데 장비가 제공하고 있는 기본 포트의 수를 알 수있다.

③은 포트의 형태인데 아래 정도로 분류가 된다.

   T : 1GE RJ45

   P : PoE

   UXG / UX / UXM/ UN : UPoE

   S : 1GE SFP

④는 업링크 포트 형태를 나타낸다.

   G : 1GE SFP

   X : 10GE SFP+

   Q : 40GE QSFP+

⑤에는 DNA 라이센스 형태가 표기가 되며 E 와 A 두 가지 형태가 있다.

시스코 스위치 종류 - siseuko seuwichi jonglyu

이 그림은 자료들 뒤적뒤적해서 업데이트 하는건데

지난 주에 나는 왜 저렇게 힘들게 썼나 모르겠다

내 text 설명 보다는 그림이 보기 편한거 같긴하지만 

글로 된 것을 이해 했다면 그림은 바로 이해 되겠지 !

아 오늘도 너무 많이 쓴것 같다.

다음주에는 지각하지 않고 포스팅 해야지.

# 07. Cisco 장비와 종류

< Cisco Switch >

 * 매체속도(대역폭) : 포트별 속도. 10Mbps(Ethernet port), 100Mbps(FastEthernet), 1000Mbps(GigabitEthernet)

스위치간 통신(trunking) 필요성

L2 Switch

Catalyst 2940 / 2950/ 2960

Multilayer Switch

Catalyst 3550 이상

< Cisco Router >

 - 기본적으로 Broadcast Domain을 나눠줌.

 3계층 장비이므로 2계층 장비가 할 수 있는 역할 수행 가능 -> Collision Domain역시 나눠줄 수 있음.

* 고정형 라우터 : 처음에 다 조립해서 출고되는 라우터. 확장 불가능. 고정

* 확장형 라우터 : 어느 정도는 고정되어 있지만 비어있는 공간(slot)이 있다. 그 슬롯에 원하는 것으로 채울 수 있음(확장 가능).

ex) Cisco 2500 시리즈 (고정형)

Interface : 장비를 연결시키는 부분.

Ethernet AUI port(DB-15) : LAN을 구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Switch 같은 것을 연결시키는 부분.

Synchronous serial ports (DB-60) (줄여서 시리얼 포트) : WAN을 구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다른 라우터를 연결시킴.

Console : 관리용 포트. PC 연결시킬 때 쓰임. 근거리 관리용 포트. pc/router 둘다 손에 닿을 정도에 있어야 한다.(Rollover cable. 통칭 콘솔 케이블)

AUX : 관리용 포트. 원거리 관리용 포트. 그 이상의 거리에 있을 때 쓰이는 경우. 원래는 모뎀을 연결해서 썼지만 요즘은 Telnet 또는 SSH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접속

IP 최대 연결 3개(ethernet 1개 /시리얼 포트 2개). 확장하고 싶어도 늘릴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 Modular Interface >

빈공간(slot)에 모듈이라는 것을 꽂음. 필요할 때마다 모듈 교체 가능

* 모듈 이름 앞부분

NM : 크기가 큰 모듈

WIC: 크기가 작은 모듈

* 모듈 이름 뒷부분

E : ethernet 포트

T : 시리얼 포트

* 숫자는 포트 갯수를 의미.

-> 모듈의 종류는 크기에 따라 다르다.

* 연결시킬 때 구분 위해서 slot/port 명시

2/0 -> 2번 슬롯에 꽂혀있는 0번 포트 라는 의미. 

* 1841 Router ( 확장형 )

slot 2개

< Cable >

* B-To-B (WIC 1T <-> WIC 2T )

* B-To-B (WIC 1T <-> WIC 1T )

DCE : clock 주는 쪽

DTE : clock 받는 쪽

< Cisco IOS Software >

IOS : Internetworking operating system

장비 시리즈가 다르면 IOS도 다 다름. -> 즉, IOS 백업 잘 해둬야한다. (문제 생겼을 시 대비해서)

Router는 초기에 아무 설정도 되어있지 않고 모든 인터페이스가 비 활성화 상태이다.

 -> 즉, 초기구성 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해야 한다.

Switch는 초기 기본 설정은 되어 있고 기본적인 인터페이스 역시 활성화 되어 있다.

 -> 즉, Switch는 초기구성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다.

< IOS Device 구성을 위한 외부 접근 방식 >

ㅁ 근거리: 선꼽아 접속

Console port

원격 접속

Virtual Terminal으로 Telnet으로 접속 -> 장비 내에서 가상의 포트를 열어 접속하는 방법.

< IOS Command Line Interface(CLI) ><-> GUI : Graphic User Interface

* 실행모드는 크게 User mode(사용자 모드)와 priviledged Mode(관리자 모드)가 있다.

모듈 추가시키기 전에는 장비 전원을 반드시 꺼야 한다.

Ctrl + c : 질문 무시하고 나가기

* 유저모드

Router> 

* 관리자모드 (IOS의 기본 실행(EXEC) 모드 -privileged mode)

Router#

이 모드를 거쳐야만 다른 모드로 갈 수 있다.

< 자주 쓰는 관리자 모드 중요 명령어 >

* show : 해당 대상의 상태 정보 확인 명령어

* ping [ip] : 해당 ip과의 통신 상태 여부.

 - ! : 통신 원활 (Type 0)

 - U : 목적지 도달x (Type 3)

 - . : 시간 초과 (Type 11)

* copy A B : A의 내용을 B에 복사/저장하는 명령어

* IOS Image는 기본적으로 Flash Memory에 내장.

장비 부팅시 RAM으로 불러오는데 이 과정을 ################로 나타냄. (Loading 중..)

* Setup Mode : 시작했을 때 세팅하는 모드

Cisco IOS도 보안 상 목적으로 10분 동안 아무 명령어가 없으면 종료됨.

* disable : 관리자 모드 종료

* logout : 연결 종료.

* 명령어 치다가 tab키 누르면 자동 완성 기능.

< 관리자 모드 error message 종류 >

* Ambiguous command : 잘못침

* 꺽새 : 틀린 부분 나타냄

* incomplete command : 없는 명령어

* bad mask : ip 주소 잘못 입력했을 경우. ex. 대표주소 혹은 broadcast 주소

< CLI editing 기능 ( 단축키 기능 )>

* Ctrl + A : win에서 home키. 제일 앞으로 이동

* Ctrl + E : win에서 end키. 제일 뒤로 이동

* Ctrl + U : 커서를 기준으로 앞쪽 부분 모두 삭제

< Router Memory >

ROM : 비휘발성         읽기only

RAM : 휘발성            읽기/쓰기             설정 정보가 저장 됨.(자동)

NVRAM : 비휘발성     읽기/쓰기             설정 정보 저장.(수동)

running-config : RAM에 저장된 설정 정보 -> show running-config

startup-config : NVRAM에 저장된 설정 정보 -> show startup-config

* copy 명령어 이용해서 NVRAM에 저장

 ->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NVRAM과 Flash Memory 와의 차이점 >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5&dirId=5020303&docId=161757721&qb=Zmxhc2ggbWVtb3J5&enc=utf8&sect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SzrUtdoRR1VssZxqXhNssssssth-134021&sid=Lz2GZ%2B2xLaHHS/QOADgmrA%3D%3D

시스코 스위치 종류 - siseuko seuwichi jongly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