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일본어 자판 장음 - seumateupon ilbon-eo japan jang-eum

일본어 공부를 하다보면 단어를 구글에 검색해서 찾거나 파파고에 입력해서 찾는 방법을 많이 쓰게 되는데 스마트폰에서 일본어를 입력하려면 내가 쓰는 방법 중에 이게 가장 편한거 같아서 올려본다.

일단 스마트폰 키보드에서 설정을 누르고 일본어를 추가해준다.

스마트폰 일본어 자판 장음 - seumateupon ilbon-eo japan jang-eum

일본어를 추가해 주면 이제 쓰는 방법을 알아야 하는데

로마자를 써서 단어를 만드는 방법이 가장 편하다.

스마트폰 일본어 자판 장음 - seumateupon ilbon-eo japan jang-eum

예를 들면 か를 입력하려면 일본어 자판으로 바꾼뒤 ka를 쓰면 か가 입력되는 방식이다.

이런식으로 발음되는 단어를 입력하다보면 키보드 위에 그 발음에 맞는 한자가 여러가지 나오는데 맞는단어를 선택하면 한자단어로 바뀌는 방식이다.

그리고 모르는 한자가 나올경우 복사를 해서
파파고에 붙여넣어 뜻을 확인하거나, 만약 복사가 안되는 경우라면 캡처해서 파파고 이미지 번역을 하면된다. 이미지 번역도 안되는 경우 직접 써서 검색하는 방식도 있다.

스마트폰 일본어 자판 장음 - seumateupon ilbon-eo japan jang-eum

이런식으로 쓰면 비슷한 한자 목록이 위에 나온다.

이외에 파파고에서 음성입력방식도 있는데 이게 제대로 음성을 입력받지 못하는거 같아 추천은 못하겠다.

KR101216840B1 -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KR101216840B1 KR101216840B1 KR1020120035008A KR20120035008A KR101216840B1 KR 101216840 B1 KR101216840 B1 KR 101216840B1 KR 1020120035008 A KR1020120035008 A KR 1020120035008A KR 20120035008 A KR20120035008 A KR 20120035008A KR 101216840 B1 KR101216840 B1 KR 101216840B1AuthorityKRSouth KoreaPrior art keywordsselection keykeyselectionselectingbelongingPrior art date2012-04-04Application numberKR1020120035008A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허우영Original Assignee허우영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2012-04-04Filing date2012-04-04Publication date2013-01-09 2012-04-04 Application filed by 허우영 filed Critical 허우영 2012-04-04 Priority to KR1020120035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840B1/ko 2013-01-09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2013-01-09 Publication of KR101216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840B1/ko

Links

  • Espacenet
  • Global Dossier
  • Discuss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3707 sensory perception of sound Effects 0.000 description 3
  • GHIVDTCFLFLOBV-UHFFFAOYSA-N 2-(diethylamino)ethyl 2-acetyloxybenzoate Chemical compound data:image/svg+xml;base64,PD94bWwgdmVyc2lvbj0nMS4wJyBlbmNvZGluZz0naXNvLTg4NTktMSc/Pgo8c3ZnIHZlcnNpb249JzEuMScgYmFzZVByb2ZpbGU9J2Z1bGwnCiAgICAgICAgICAgICAgeG1sbnM9J2h0dHA6Ly93d3cudzMub3JnLzIwMDAvc3ZnJwogICAgICAgICAgICAgICAgICAgICAgeG1sbnM6cmRraXQ9J2h0dHA6Ly93d3cucmRraXQub3JnL3htbCcKICAgICAgICAgICAgICAgICAgICAgIHhtbG5zOnhsaW5rPSdodHRwOi8vd3d3LnczLm9yZy8xOTk5L3hsaW5rJwogICAgICAgICAgICAgICAgICB4bWw6c3BhY2U9J3ByZXNlcnZlJwp3aWR0aD0nMzAwcHgnIGhlaWdodD0nMzAwcHgnIHZpZXdCb3g9JzAgMCAzMDAgMzAwJz4KPCEtLSBFTkQgT0YgSEVBREVSIC0tPgo8cmVjdCBzdHlsZT0nb3BhY2l0eToxLjA7ZmlsbDojRkZGRkZGO3N0cm9rZTpub25lJyB3aWR0aD0nMzAwLjAnIGhlaWdodD0nMzAwLjAnIHg9JzAuMCcgeT0nMC4wJz4gPC9yZWN0Pgo8cGF0aCBjbGFzcz0nYm9uZC0wIGF0b20tMCBhdG9tLTEnIGQ9J00gMTMuNiwxNDEuNiBMIDQwLjYsMTI2LjE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zQjQxNDM7c3Ryb2tlLXdpZHRoOjI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EgYXRvbS0xIGF0b20tMicgZD0nTSA0MC42LDEyNi4xIEwgNDkuMSwxMzEuMScgc3R5bGU9J2ZpbGw6bm9uZTtmaWxsLXJ1bGU6ZXZlbm9kZDtzdHJva2U6IzNCNDE0MztzdHJva2Utd2lkdGg6Mi4wcHg7c3Ryb2tlLWxpbmVjYXA6YnV0dDtzdHJva2UtbGluZWpvaW46bWl0ZXI7c3Ryb2tlLW9wYWNpdHk6MScgLz4KPHBhdGggY2xhc3M9J2JvbmQtMSBhdG9tLTEgYXRvbS0yJyBkPSdNIDQ5LjEsMTMxLjEgTCA1Ny42LDEzNi4w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NDI4NEY0O3N0cm9rZS13aWR0aDoy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yIGF0b20tMiBhdG9tLTMnIGQ9J00gNjcuNCwxNTQuOSBMIDY3LjQsMTYzLjk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0Mjg0RjQ7c3Ryb2tlLXdpZHRoOjI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IgYXRvbS0yIGF0b20tMycgZD0nTSA2Ny40LDE2My45IEwgNjcuNCwxNzIuOCcgc3R5bGU9J2ZpbGw6bm9uZTtmaWxsLXJ1bGU6ZXZlbm9kZDtzdHJva2U6IzNCNDE0MztzdHJva2Utd2lkdGg6Mi4wcHg7c3Ryb2tlLWxpbmVjYXA6YnV0dDtzdHJva2UtbGluZWpvaW46bWl0ZXI7c3Ryb2tlLW9wYWNpdHk6MScgLz4KPHBhdGggY2xhc3M9J2JvbmQtNCBhdG9tLTIgYXRvbS01JyBkPSdNIDc3LjMsMTM2LjEgTCA4NS45LDEzMS4y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NDI4NEY0O3N0cm9rZS13aWR0aDoy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0IGF0b20tMiBhdG9tLTUnIGQ9J00gODUuOSwxMzEuMiBMIDk0LjQsMTI2LjM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zQjQxNDM7c3Ryb2tlLXdpZHRoOjI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MgYXRvbS0zIGF0b20tNCcgZD0nTSA2Ny40LDE3Mi44IEwgNDAuNCwxODguMycgc3R5bGU9J2ZpbGw6bm9uZTtmaWxsLXJ1bGU6ZXZlbm9kZDtzdHJva2U6IzNCNDE0MztzdHJva2Utd2lkdGg6Mi4wcHg7c3Ryb2tlLWxpbmVjYXA6YnV0dDtzdHJva2UtbGluZWpvaW46bWl0ZXI7c3Ryb2tlLW9wYWNpdHk6MScgLz4KPHBhdGggY2xhc3M9J2JvbmQtNSBhdG9tLTUgYXRvbS02JyBkPSdNIDk0LjQsMTI2LjMgTCAxMjEuMywxNDEuOScgc3R5bGU9J2ZpbGw6bm9uZTtmaWxsLXJ1bGU6ZXZlbm9kZDtzdHJva2U6IzNCNDE0MztzdHJva2Utd2lkdGg6Mi4wcHg7c3Ryb2tlLWxpbmVjYXA6YnV0dDtzdHJva2UtbGluZWpvaW46bWl0ZXI7c3Ryb2tlLW9wYWNpdHk6MScgLz4KPHBhdGggY2xhc3M9J2JvbmQtNiBhdG9tLTYgYXRvbS03JyBkPSdNIDEyMS4zLDE0MS45IEwgMTI5LjgsMTM3LjA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zQjQxNDM7c3Ryb2tlLXdpZHRoOjI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YgYXRvbS02IGF0b20tNycgZD0nTSAxMjkuOCwxMzcuMCBMIDEzOC4zLDEzMi4x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RTg0MjM1O3N0cm9rZS13aWR0aDoy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3IGF0b20tNyBhdG9tLTgnIGQ9J00gMTU4LjEsMTMyLjIgTCAxNjYuNiwxMzcuMScgc3R5bGU9J2ZpbGw6bm9uZTtmaWxsLXJ1bGU6ZXZlbm9kZDtzdHJva2U6I0U4NDIzNTtzdHJva2Utd2lkdGg6Mi4wcHg7c3Ryb2tlLWxpbmVjYXA6YnV0dDtzdHJva2UtbGluZWpvaW46bWl0ZXI7c3Ryb2tlLW9wYWNpdHk6MScgLz4KPHBhdGggY2xhc3M9J2JvbmQtNyBhdG9tLTcgYXRvbS04JyBkPSdNIDE2Ni42LDEzNy4xIEwgMTc1LjEsMTQyLjA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zQjQxNDM7c3Ryb2tlLXdpZHRoOjI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ggYXRvbS04IGF0b20tOScgZD0nTSAxNzIuMCwxNDIuMCBMIDE3Mi4wLDE1Mi4y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M0I0MTQzO3N0cm9rZS13aWR0aDoy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4IGF0b20tOCBhdG9tLTknIGQ9J00gMTcyLjAsMTUyLjIgTCAxNzEuOSwxNjIuNCcgc3R5bGU9J2ZpbGw6bm9uZTtmaWxsLXJ1bGU6ZXZlbm9kZDtzdHJva2U6I0U4NDIzNTtzdHJva2Utd2lkdGg6Mi4wcHg7c3Ryb2tlLWxpbmVjYXA6YnV0dDtzdHJva2UtbGluZWpvaW46bWl0ZXI7c3Ryb2tlLW9wYWNpdHk6MScgLz4KPHBhdGggY2xhc3M9J2JvbmQtOCBhdG9tLTggYXRvbS05JyBkPSdNIDE3OC4yLDE0Mi4xIEwgMTc4LjIsMTUyLjI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zQjQxNDM7c3Ryb2tlLXdpZHRoOjI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ggYXRvbS04IGF0b20tOScgZD0nTSAxNzguMiwxNTIuMiBMIDE3OC4xLDE2Mi40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RTg0MjM1O3N0cm9rZS13aWR0aDoy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5IGF0b20tOCBhdG9tLTEwJyBkPSdNIDE3NS4xLDE0Mi4wIEwgMjAyLjAsMTI2LjY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zQjQxNDM7c3Ryb2tlLXdpZHRoOjI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EwIGF0b20tMTAgYXRvbS0xMScgZD0nTSAyMDIuMCwxMjYuNiBMIDIwMi4xLDk1LjU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zQjQxNDM7c3Ryb2tlLXdpZHRoOjI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EwIGF0b20tMTAgYXRvbS0xMScgZD0nTSAyMDguMywxMjEuOSBMIDIwOC4zLDEwMC4y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M0I0MTQzO3N0cm9rZS13aWR0aDoy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OSBhdG9tLTE1IGF0b20tMTAnIGQ9J00gMjI4LjksMTQyLjIgTCAyMDIuMCwxMjYuNicgc3R5bGU9J2ZpbGw6bm9uZTtmaWxsLXJ1bGU6ZXZlbm9kZDtzdHJva2U6IzNCNDE0MztzdHJva2Utd2lkdGg6Mi4wcHg7c3Ryb2tlLWxpbmVjYXA6YnV0dDtzdHJva2UtbGluZWpvaW46bWl0ZXI7c3Ryb2tlLW9wYWNpdHk6MScgLz4KPHBhdGggY2xhc3M9J2JvbmQtMTEgYXRvbS0xMSBhdG9tLTEyJyBkPSdNIDIwMi4xLDk1LjUgTCAyMjkuMSw4MC4x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M0I0MTQzO3N0cm9rZS13aWR0aDoy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MiBhdG9tLTEyIGF0b20tMTMnIGQ9J00gMjI5LjEsODAuMSBMIDI1NS45LDk1Ljc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zQjQxNDM7c3Ryb2tlLXdpZHRoOjI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EyIGF0b20tMTIgYXRvbS0xMycgZD0nTSAyMzAuMCw4Ny44IEwgMjQ4LjgsOTguNycgc3R5bGU9J2ZpbGw6bm9uZTtmaWxsLXJ1bGU6ZXZlbm9kZDtzdHJva2U6IzNCNDE0MztzdHJva2Utd2lkdGg6Mi4wcHg7c3Ryb2tlLWxpbmVjYXA6YnV0dDtzdHJva2UtbGluZWpvaW46bWl0ZXI7c3Ryb2tlLW9wYWNpdHk6MScgLz4KPHBhdGggY2xhc3M9J2JvbmQtMTMgYXRvbS0xMyBhdG9tLTE0JyBkPSdNIDI1NS45LDk1LjcgTCAyNTUuOSwxMjYuNycgc3R5bGU9J2ZpbGw6bm9uZTtmaWxsLXJ1bGU6ZXZlbm9kZDtzdHJva2U6IzNCNDE0MztzdHJva2Utd2lkdGg6Mi4wcHg7c3Ryb2tlLWxpbmVjYXA6YnV0dDtzdHJva2UtbGluZWpvaW46bWl0ZXI7c3Ryb2tlLW9wYWNpdHk6MScgLz4KPHBhdGggY2xhc3M9J2JvbmQtMTQgYXRvbS0xNCBhdG9tLTE1JyBkPSdNIDI1NS45LDEyNi43IEwgMjI4LjksMTQyLjI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zQjQxNDM7c3Ryb2tlLXdpZHRoOjI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E0IGF0b20tMTQgYXRvbS0xNScgZD0nTSAyNDguNywxMjMuNyBMIDIyOS45LDEzNC41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M0I0MTQzO3N0cm9rZS13aWR0aDoy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NSBhdG9tLTE1IGF0b20tMTYnIGQ9J00gMjI4LjksMTQyLjIgTCAyMjguOSwxNTIuNCcgc3R5bGU9J2ZpbGw6bm9uZTtmaWxsLXJ1bGU6ZXZlbm9kZDtzdHJva2U6IzNCNDE0MztzdHJva2Utd2lkdGg6Mi4wcHg7c3Ryb2tlLWxpbmVjYXA6YnV0dDtzdHJva2UtbGluZWpvaW46bWl0ZXI7c3Ryb2tlLW9wYWNpdHk6MScgLz4KPHBhdGggY2xhc3M9J2JvbmQtMTUgYXRvbS0xNSBhdG9tLTE2JyBkPSdNIDIyOC45LDE1Mi40IEwgMjI4LjgsMTYyLjU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NFODQyMzU7c3Ryb2tlLXdpZHRoOjI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E2IGF0b20tMTYgYXRvbS0xNycgZD0nTSAyMzguNywxNzkuMCBMIDI0Ny4yLDE4My45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RTg0MjM1O3N0cm9rZS13aWR0aDoy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NiBhdG9tLTE2IGF0b20tMTcnIGQ9J00gMjQ3LjIsMTgzLjkgTCAyNTUuNywxODguOScgc3R5bGU9J2ZpbGw6bm9uZTtmaWxsLXJ1bGU6ZXZlbm9kZDtzdHJva2U6IzNCNDE0MztzdHJva2Utd2lkdGg6Mi4wcHg7c3Ryb2tlLWxpbmVjYXA6YnV0dDtzdHJva2UtbGluZWpvaW46bWl0ZXI7c3Ryb2tlLW9wYWNpdHk6MScgLz4KPHBhdGggY2xhc3M9J2JvbmQtMTcgYXRvbS0xNyBhdG9tLTE4JyBkPSdNIDI1NS43LDE4OC45IEwgMjU1LjYsMjE5Ljk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zQjQxNDM7c3Ryb2tlLXdpZHRoOjI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E4IGF0b20tMTcgYXRvbS0xOScgZD0nTSAyNTcuMiwxOTEuNiBMIDI2NS44LDE4Ni43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M0I0MTQzO3N0cm9rZS13aWR0aDoy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OCBhdG9tLTE3IGF0b20tMTknIGQ9J00gMjY1LjgsMTg2LjcgTCAyNzQuMywxODEuOCcgc3R5bGU9J2ZpbGw6bm9uZTtmaWxsLXJ1bGU6ZXZlbm9kZDtzdHJva2U6I0U4NDIzNTtzdHJva2Utd2lkdGg6Mi4wcHg7c3Ryb2tlLWxpbmVjYXA6YnV0dDtzdHJva2UtbGluZWpvaW46bWl0ZXI7c3Ryb2tlLW9wYWNpdHk6MScgLz4KPHBhdGggY2xhc3M9J2JvbmQtMTggYXRvbS0xNyBhdG9tLTE5JyBkPSdNIDI1NC4xLDE4Ni4yIEwgMjYyLjcsMTgxLjM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zQjQxNDM7c3Ryb2tlLXdpZHRoOjI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E4IGF0b20tMTcgYXRvbS0xOScgZD0nTSAyNjIuNywxODEuMyBMIDI3MS4yLDE3Ni40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RTg0MjM1O3N0cm9rZS13aWR0aDoy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dGV4dCB4PSc2My43JyB5PScxNDguMCcgY2xhc3M9J2F0b20tMicgc3R5bGU9J2ZvbnQtc2l6ZToxMnB4O2ZvbnQtc3R5bGU6bm9ybWFsO2ZvbnQtd2VpZ2h0Om5vcm1hbDtmaWxsLW9wYWNpdHk6MTtzdHJva2U6bm9uZTtmb250LWZhbWlseTpzYW5zLXNlcmlmO3RleHQtYW5jaG9yOnN0YXJ0O2ZpbGw6IzQyODRGNCcgPk48L3RleHQ+Cjx0ZXh0IHg9JzE0NC41JyB5PScxMzIuNicgY2xhc3M9J2F0b20tNycgc3R5bGU9J2ZvbnQtc2l6ZToxMnB4O2ZvbnQtc3R5bGU6bm9ybWFsO2ZvbnQtd2VpZ2h0Om5vcm1hbDtmaWxsLW9wYWNpdHk6MTtzdHJva2U6bm9uZTtmb250LWZhbWlseTpzYW5zLXNlcmlmO3RleHQtYW5jaG9yOnN0YXJ0O2ZpbGw6I0U4NDIzNScgPk88L3RleHQ+Cjx0ZXh0IHg9JzE3MS4zJyB5PScxNzkuMycgY2xhc3M9J2F0b20tOScgc3R5bGU9J2ZvbnQtc2l6ZToxMnB4O2ZvbnQtc3R5bGU6bm9ybWFsO2ZvbnQtd2VpZ2h0Om5vcm1hbDtmaWxsLW9wYWNpdHk6MTtzdHJva2U6bm9uZTtmb250LWZhbWlseTpzYW5zLXNlcmlmO3RleHQtYW5jaG9yOnN0YXJ0O2ZpbGw6I0U4NDIzNScgPk88L3RleHQ+Cjx0ZXh0IHg9JzIyNS4xJyB5PScxNzkuNScgY2xhc3M9J2F0b20tMTYnIHN0eWxlPSdmb250LXNpemU6MTJ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NFODQyMzUnID5PPC90ZXh0Pgo8dGV4dCB4PScyNzguOScgeT0nMTc5LjYnIGNsYXNzPSdhdG9tLTE5JyBzdHlsZT0nZm9udC1zaXplOjEycHg7Zm9udC1zdHlsZTpub3JtYWw7Zm9udC13ZWlnaHQ6bm9ybWFsO2ZpbGwtb3BhY2l0eToxO3N0cm9rZTpub25lO2ZvbnQtZmFtaWx5OnNhbnMtc2VyaWY7dGV4dC1hbmNob3I6c3RhcnQ7ZmlsbDojRTg0MjM1JyA+TzwvdGV4dD4KPC9zdmc+Cg== data:image/svg+xml;base64,PD94bWwgdmVyc2lvbj0nMS4wJyBlbmNvZGluZz0naXNvLTg4NTktMSc/Pgo8c3ZnIHZlcnNpb249JzEuMScgYmFzZVByb2ZpbGU9J2Z1bGwnCiAgICAgICAgICAgICAgeG1sbnM9J2h0dHA6Ly93d3cudzMub3JnLzIwMDAvc3ZnJwogICAgICAgICAgICAgICAgICAgICAgeG1sbnM6cmRraXQ9J2h0dHA6Ly93d3cucmRraXQub3JnL3htbCcKICAgICAgICAgICAgICAgICAgICAgIHhtbG5zOnhsaW5rPSdodHRwOi8vd3d3LnczLm9yZy8xOTk5L3hsaW5rJwogICAgICAgICAgICAgICAgICB4bWw6c3BhY2U9J3ByZXNlcnZlJwp3aWR0aD0nODVweCcgaGVpZ2h0PSc4NXB4JyB2aWV3Qm94PScwIDAgODUgODUnPgo8IS0tIEVORCBPRiBIRUFERVIgLS0+CjxyZWN0IHN0eWxlPSdvcGFjaXR5OjEuMDtmaWxsOiNGRkZGRkY7c3Ryb2tlOm5vbmUnIHdpZHRoPSc4NS4wJyBoZWlnaHQ9Jzg1LjAnIHg9JzAuMCcgeT0nMC4wJz4gPC9yZWN0Pgo8cGF0aCBjbGFzcz0nYm9uZC0wIGF0b20tMCBhdG9tLTEnIGQ9J00gMy40LDM5LjYgTCAxMC45LDM1LjM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zQjQxNDM7c3Ryb2tlLXdpZHRoOjE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EgYXRvbS0xIGF0b20tMicgZD0nTSAxMC45LDM1LjMgTCAxMy43LDM2Ljk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zQjQxNDM7c3Ryb2tlLXdpZHRoOjE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EgYXRvbS0xIGF0b20tMicgZD0nTSAxMy43LDM2LjkgTCAxNi41LDM4LjU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0Mjg0RjQ7c3Ryb2tlLXdpZHRoOjE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IgYXRvbS0yIGF0b20tMycgZD0nTSAxOC41LDQyLjkgTCAxOC41LDQ1Ljc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0Mjg0RjQ7c3Ryb2tlLXdpZHRoOjE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IgYXRvbS0yIGF0b20tMycgZD0nTSAxOC41LDQ1LjcgTCAxOC41LDQ4LjQ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zQjQxNDM7c3Ryb2tlLXdpZHRoOjE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QgYXRvbS0yIGF0b20tNScgZD0nTSAyMC41LDM4LjUgTCAyMy4zLDM2Ljk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0Mjg0RjQ7c3Ryb2tlLXdpZHRoOjE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QgYXRvbS0yIGF0b20tNScgZD0nTSAyMy4zLDM2LjkgTCAyNi4xLDM1LjM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zQjQxNDM7c3Ryb2tlLXdpZHRoOjE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MgYXRvbS0zIGF0b20tNCcgZD0nTSAxOC41LDQ4LjQgTCAxMC45LDUyLjg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zQjQxNDM7c3Ryb2tlLXdpZHRoOjE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UgYXRvbS01IGF0b20tNicgZD0nTSAyNi4xLDM1LjMgTCAzMy42LDM5Ljc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zQjQxNDM7c3Ryb2tlLXdpZHRoOjE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YgYXRvbS02IGF0b20tNycgZD0nTSAzMy42LDM5LjcgTCAzNi40LDM4LjE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zQjQxNDM7c3Ryb2tlLXdpZHRoOjE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YgYXRvbS02IGF0b20tNycgZD0nTSAzNi40LDM4LjEgTCAzOS4yLDM2LjU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NFODQyMzU7c3Ryb2tlLXdpZHRoOjE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cgYXRvbS03IGF0b20tOCcgZD0nTSA0My4yLDM2LjUgTCA0Ni4wLDM4LjI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NFODQyMzU7c3Ryb2tlLXdpZHRoOjE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cgYXRvbS03IGF0b20tOCcgZD0nTSA0Ni4wLDM4LjIgTCA0OC44LDM5Ljg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zQjQxNDM7c3Ryb2tlLXdpZHRoOjE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ggYXRvbS04IGF0b20tOScgZD0nTSA0Ny45LDM5LjggTCA0Ny45LDQzLjE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zQjQxNDM7c3Ryb2tlLXdpZHRoOjE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ggYXRvbS04IGF0b20tOScgZD0nTSA0Ny45LDQzLjEgTCA0Ny45LDQ2LjU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NFODQyMzU7c3Ryb2tlLXdpZHRoOjE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ggYXRvbS04IGF0b20tOScgZD0nTSA0OS42LDM5LjggTCA0OS42LDQzLjE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MzQjQxNDM7c3Ryb2tlLXdpZHRoOjE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ggYXRvbS04IGF0b20tOScgZD0nTSA0OS42LDQzLjEgTCA0OS42LDQ2LjUnIHN0eWxlPSdmaWxsOm5vbmU7ZmlsbC1ydWxlOmV2ZW5vZGQ7c3Ryb2tlOiNFODQyMzU7c3Ryb2tlLXdpZHRoOjEuMHB4O3N0cm9rZS1saW5lY2FwOmJ1dHQ7c3Ryb2tlLWxpbmVqb2luOm1pdGVyO3N0cm9rZS1vcGFjaXR5OjEnIC8+CjxwYXRoIGNsYXNzPSdib25kLTkgYXRvbS04IGF0b20tMTAnIGQ9J00gNDguOCwzOS44IEwgNTYuMywzNS40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M0I0MTQzO3N0cm9rZS13aWR0aDox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MCBhdG9tLTEwIGF0b20tMTEnIGQ9J00gNTYuMywzNS40IEwgNTYuNCwyNi43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M0I0MTQzO3N0cm9rZS13aWR0aDox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MCBhdG9tLTEwIGF0b20tMTEnIGQ9J00gNTguMSwzNC4xIEwgNTguMSwyOC4w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M0I0MTQzO3N0cm9rZS13aWR0aDox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OSBhdG9tLTE1IGF0b20tMTAnIGQ9J00gNjMuOSwzOS44IEwgNTYuMywzNS40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M0I0MTQzO3N0cm9rZS13aWR0aDox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MSBhdG9tLTExIGF0b20tMTInIGQ9J00gNTYuNCwyNi43IEwgNjMuOSwyMi4z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M0I0MTQzO3N0cm9rZS13aWR0aDox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MiBhdG9tLTEyIGF0b20tMTMnIGQ9J00gNjMuOSwyMi4zIEwgNzEuNSwyNi43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M0I0MTQzO3N0cm9rZS13aWR0aDox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MiBhdG9tLTEyIGF0b20tMTMnIGQ9J00gNjQuMiwyNC41IEwgNjkuNSwyNy42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M0I0MTQzO3N0cm9rZS13aWR0aDox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MyBhdG9tLTEzIGF0b20tMTQnIGQ9J00gNzEuNSwyNi43IEwgNzEuNSwzNS41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M0I0MTQzO3N0cm9rZS13aWR0aDox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NCBhdG9tLTE0IGF0b20tMTUnIGQ9J00gNzEuNSwzNS41IEwgNjMuOSwzOS44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M0I0MTQzO3N0cm9rZS13aWR0aDox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NCBhdG9tLTE0IGF0b20tMTUnIGQ9J00gNjkuNSwzNC42IEwgNjQuMiwzNy42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M0I0MTQzO3N0cm9rZS13aWR0aDox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NSBhdG9tLTE1IGF0b20tMTYnIGQ9J00gNjMuOSwzOS44IEwgNjMuOSw0My4y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M0I0MTQzO3N0cm9rZS13aWR0aDox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NSBhdG9tLTE1IGF0b20tMTYnIGQ9J00gNjMuOSw0My4yIEwgNjMuOSw0Ni41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RTg0MjM1O3N0cm9rZS13aWR0aDox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NiBhdG9tLTE2IGF0b20tMTcnIGQ9J00gNjUuOSw0OS43IEwgNjguNyw1MS4z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RTg0MjM1O3N0cm9rZS13aWR0aDox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NiBhdG9tLTE2IGF0b20tMTcnIGQ9J00gNjguNyw1MS4zIEwgNzEuNCw1Mi45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M0I0MTQzO3N0cm9rZS13aWR0aDox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NyBhdG9tLTE3IGF0b20tMTgnIGQ9J00gNzEuNCw1Mi45IEwgNzEuNCw2MS43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M0I0MTQzO3N0cm9rZS13aWR0aDox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OCBhdG9tLTE3IGF0b20tMTknIGQ9J00gNzEuOSw1My43IEwgNzQuNiw1Mi4x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M0I0MTQzO3N0cm9rZS13aWR0aDox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OCBhdG9tLTE3IGF0b20tMTknIGQ9J00gNzQuNiw1Mi4xIEwgNzcuNCw1MC41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RTg0MjM1O3N0cm9rZS13aWR0aDox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OCBhdG9tLTE3IGF0b20tMTknIGQ9J00gNzEuMCw1Mi4yIEwgNzMuOCw1MC42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M0I0MTQzO3N0cm9rZS13aWR0aDox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cGF0aCBjbGFzcz0nYm9uZC0xOCBhdG9tLTE3IGF0b20tMTknIGQ9J00gNzMuOCw1MC42IEwgNzYuNSw0OS4wJyBzdHlsZT0nZmlsbDpub25lO2ZpbGwtcnVsZTpldmVub2RkO3N0cm9rZTojRTg0MjM1O3N0cm9rZS13aWR0aDoxLjBweDtzdHJva2UtbGluZWNhcDpidXR0O3N0cm9rZS1saW5lam9pbjptaXRlcjtzdHJva2Utb3BhY2l0eToxJyAvPgo8dGV4dCB4PScxNi43JyB5PSc0Mi43JyBjbGFzcz0nYXRvbS0yJyBzdHlsZT0nZm9udC1zaXplOjZ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M0Mjg0RjQnID5OPC90ZXh0Pgo8dGV4dCB4PSczOS40JyB5PSczOC40JyBjbGFzcz0nYXRvbS03JyBzdHlsZT0nZm9udC1zaXplOjZ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NFODQyMzUnID5PPC90ZXh0Pgo8dGV4dCB4PSc0Ni45JyB5PSc1MS41JyBjbGFzcz0nYXRvbS05JyBzdHlsZT0nZm9udC1zaXplOjZ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NFODQyMzUnID5PPC90ZXh0Pgo8dGV4dCB4PSc2Mi4xJyB5PSc1MS41JyBjbGFzcz0nYXRvbS0xNicgc3R5bGU9J2ZvbnQtc2l6ZTo2cHg7Zm9udC1zdHlsZTpub3JtYWw7Zm9udC13ZWlnaHQ6bm9ybWFsO2ZpbGwtb3BhY2l0eToxO3N0cm9rZTpub25lO2ZvbnQtZmFtaWx5OnNhbnMtc2VyaWY7dGV4dC1hbmNob3I6c3RhcnQ7ZmlsbDojRTg0MjM1JyA+TzwvdGV4dD4KPHRleHQgeD0nNzcuMicgeT0nNTEuNicgY2xhc3M9J2F0b20tMTknIHN0eWxlPSdmb250LXNpemU6NnB4O2ZvbnQtc3R5bGU6bm9ybWFsO2ZvbnQtd2VpZ2h0Om5vcm1hbDtmaWxsLW9wYWNpdHk6MTtzdHJva2U6bm9uZTtmb250LWZhbWlseTpzYW5zLXNlcmlmO3RleHQtYW5jaG9yOnN0YXJ0O2ZpbGw6I0U4NDIzNScgPk88L3RleHQ+Cjwvc3ZnPgo= CCN(CC)CCOC(=O)C1=CC=CC=C1OC(C)=O GHIVDTCFLFLO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Abstract

본 발명은 자음부와 모음부를 포함하는 일본어 자판을 제안한다. 모음부는 あ단에 속하는 문자를 선택하는 제1선택키와, い단에 속하는 문자를 선택하는 제2선택키와, う단에 속하는 문자를 선택하는 제3선택키와, え단에 속하는 문자를 선택하는 제4선택키와, お단에 속하는 문자를 선택하는 제5선택키를 포함한다. 모음부는 제2선택키를 중심으로 제1선택키, 제3선택키, 제4선택키, 제5선택키가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자음부는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ら행에 속하는 문자를 각각 선택하는 제6선택키, 제7선택키, 제8선택키, 제9선택키, 제10선택키, 제11선택키, 제12선택키를 포함한다.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또는 모음부와 자음부에 속하는 선택키들을 조합하여 선택하면 다양한 문자를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Keyboard layout and Input system for Japanese}

본 발명은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단순화된 문자 배열과 터치 및 슬라이딩을 포함하는 동작으로 다양한 문자들을 표시할 수 있는 새로운 일본어 자판 및 입력 시스템을 제안한다.

일본어 문자는 50 음도표(五十音圖表)에 나타난 것처럼 5단(段) 10행(行)으로 이루어져 있다. 5단은 아단(あ段), 이단(い段), 우단(う段), 에단(え段), 오단(お段)으로 이루어지고, 10행은 아행(あ行), 가행(か行),사행(さ行), 다행(た行), 나행(な行), 하행(は行), 마행(ま行), 야행(や行), 라행(ら行), 와행(わ行)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일본어 문자는 상기와 같이 5단 10행에 나타난 문자 이외에도 발음(撥音:はつおん: 즉, 「ん」), 탁음(濁音,「 " 」), 반탁음(半濁音, 「 °」), 촉음(促音, 「っ」), 소문자 모음(小文字 母音), 문장 부호(文章 符號)가 존재하며, 이들과 문자들이 병합되어 장음(長音), 요음(拗音) 등이 생성된다.

컴퓨터나 휴대전화기 등의 전자기기에서 일본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많은 문자를 하나의 자판에 배열하여야 한다. 최근 스마트 기기나 휴대용 디스플레이의 경우 작은 표시 화면으로 인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자판을 표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입력하고자 하는 일본어의 문자들에 비해서 문자 입력 버튼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1개의 키에 여러 문자를 복합적으로 배열하거나 문자 표시 화면을 트리(tree) 구조로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문자 입력 버튼을 눌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휴대폰 등 표시 화면이 작은 전자기기에서는 일부 손가락만으로 일일이 키패드의 한정된 자판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문자를 잘못 입력하는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일본어의 경우 기본 문자 이외에도 기호나 다른 문자가 결합되어 새로운 음이나 의미를 가진 문자가 생성되고, 이러한 다양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터치스크린의 문자 입력부에 있는 각종 문자를 반복적으로 터치해야 한다.

그러나,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서는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글자 및 단어 구성을 위한 모든 문자를 한번에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대표문자(12)만을 표시한 기본 자판(10)을 문자 입력부로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문자 입력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이 경우, 기본 대표문자를 반복적으로 터치하여 원하는 문자 또는 문자 조합을 만들어 입력하고 있다.

이러한 문자 입력 방법 하에서는 원하는 문자나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를 터치함으로써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이고, 반복적 터치 과정에서 입력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특히 문자와 문자가 병합되어 만들어지는 장음 등의 혼합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많은 입력 회수가 요구된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가 소형화되고, 터치스크린이 평판 디스플레이의 핵심 기술로 부상함에 따라 기존의 키보드 등의 입력키나 터치스크린의 문자판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문자 입력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 크기가 작은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편리하게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는 새로운 일본어 자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본어 문자 입력 시 입력 회수를 줄이면서도 다양한 문자 및 문자 조합을 표시할 수 있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자 입력이 쉽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혼합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あ단에 속하는 문자(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를 선택하는 제1선택키와, い단에 속하는 문자(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를 선택하는 제2선택키와, う단에 속하는 문자(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る)를 선택하는 제3선택키와, え단에 속하는 문자(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를 선택하는 제4선택키와, お단에 속하는 문자(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ろ)를 선택하는 제5선택키를 포함하는 모음부; 및 か행에 속하는 문자(か き く け こ)를 선택하는 제6선택키와, さ행에 속하는 문자(さ し す せ そ)를 선택하는 제7선택키와, た행에 속하는 문자(た ち つ て と)를 선택하는 제8선택키와, な행에 속하는 문자(な に ぬ ね の)를 선택하는 제9선택키와, は행에 속하는 문자(は ひ ふ へ ほ)를 선택하는 제10선택키와, ま행에 속하는 문자(ま み む め も)를 선택하는 제11선택키와, ら행에 속하는 문자(ら り る れ ろ)를 선택하는 제12선택키를 포함하는 자음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음부는 제2선택키를 중심으로 제1선택키, 제3선택키, 제4선택키, 제5선택키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일본어 자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あ단에 속하는 문자(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를 선택하는 제1선택키와, い단에 속하는 문자(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를 선택하는 제2선택키와, う단에 속하는 문자(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る)를 선택하는 제3선택키와, え단에 속하는 문자(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를 선택하는 제4선택키와, お단에 속하는 문자(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ろ)를 선택하는 제5선택키를 포함하는 모음부; 및 か행에 속하는 문자(か き く け こ)를 선택하는 제6선택키와, さ행에 속하는 문자(さ し す せ そ)를 선택하는 제7선택키와, た행에 속하는 문자(た ち つ て と)를 선택하는 제8선택키와, な행에 속하는 문자(な に ぬ ね の)를 선택하는 제9선택키와, は행에 속하는 문자(は ひ ふ へ ほ)를 선택하는 제10선택키와, ま행에 속하는 문자(ま み む め も)를 선택하는 제11선택키와, ら행에 속하는 문자(ら り る れ ろ)를 선택하는 제12선택키를 포함하는 자음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또는 상기 모음부와 자음부에 속하는 선택키들을 조합하여 선택하면 문자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해당 문자를 표시하도록 문자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문자 체계를 가진 일본어에 대해 간단한 방식으로 다양한 문자 및 문자의 조합을 입력할 수 있다.

특히, 알파벳(alphabet)과 일본어를 대응시켜 단순화된 자판 배열을 구성할 수 있고,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간단한 문자 생성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입력 및 혼합 문자의 생성이 이해하기 쉬운 규칙에 의해 결정되므로 암기하지 않고도 여러가지 다양한 혼합 문자를 기본 원리에 입각하여 쉽게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등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작은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문자판을 확대시키거나 문자 입력부에 많은 문자를 포함시킴으로써 문자 크기가 협소해지는 단점을 제거할 수 있고, 문자의 조합에 따라 새로운 병합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 문자 입력 과정에서 터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스마트폰용 일본어 자판을 보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자판을 보인 모식도.
도 3a 및 3b는 모음부 자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모식도.
도 4는 청음의 생성 규칙을 보인 표.
도 5는 문자 생성을 위한 슬라이딩 동작을 보인 모식도.
도 6은 문자 생성을 위한 슬라이딩 동작을 보인 다른 모식도.
도 7은 탁음의 생성 규칙을 보인 표.
도 8은 반탁음의 생성 규칙을 보인 표.
도 9는 요음의 생성 규칙을 보인 표.
도 10은 촉음의 생성 규칙을 보인 표.
도 11은 문자 생성을 위한 슬라이딩 동작을 보인 또 다른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자판을 보인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자판을 보인 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자판을 보인 모식도.

본 발명은 문자 체계가 복잡한 일본어에 대하여 화면 크기가 협소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서도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키고, 다양한 문자 조합을 보다 편리하게 입력시킬 수 있으며, 입력 과정에서 오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문자 입력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일본어 자판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자판은 자음(子音, consonant)과 모음(母音, vowel)의 조합 방식을 이용하여 일본어 문자를 생성해낼 수 있도록 선택키(selection key)들이 배열된 모음부와 자음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판은 터치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상에 모음부와 자음부의 선택키들의 배열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음부는 적어도 5 개의 선택키를 포함하며, 모음부의 선택키를 선택함으로써 あ단에 속하는 문자(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 い단에 속하는 문자(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 う단에 속하는 문자(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る), え단에 속하는 문자(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 또는 お단에 속하는 문자(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ろ)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자음부는 적어도 7 개의 선택키를 포함하며, 자음부의 선택키를 선택함으로써 か행에 속하는 문자(か き く け こ), さ행에 속하는 문자(さ し す せ そ), た행에 속하는 문자(た ち つ て と), な행에 속하는 문자(な に ぬ ね の), は행에 속하는 문자(は ひ ふ へ ほ), ま행에 속하는 문자(ま み む め も), 또는 ら행에 속하는 문자(ら り る れ ろ)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또는 상기 모음부와 자음부에 속하는 선택키들을 조합하여 선택하면 문자를 생성되며, 생성된 문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이를 위하여 터치 패널이나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상의 자판에서 모음부와 자음부의 선택키 선택 정보를 입력받고 해당 문자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에 해당 문자를 표시하도록 문자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자판은 특히 모음부에 있어서 い단에 속하는 문자(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를 선택하는 선택키가 중앙에 배치되고, 나머지 선택키들이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자판 배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택키들간의 슬라이딩(sliding)이나 드래그(drag) 동작에 의해 자판에 표시되지 않은 각종 문자들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은 단순한 조어 원리에 의해 입력 횟수(또는 터치 횟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청음(淸音), 탁음(濁音), 반탁음(半濁音), 요음(拗音), 촉음(促音), 발음(撥音), 장음(長音) 등의 다양한 문자 및 혼합 문자를 생성해 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자판이 도시되어 있다. 이 자판은 모음부(100)와 자음부(200)로 구분되어 있고, 모음부에는 A키(제1선택키), I키(제2선택키), U키(제3선택키), E키(제4선택키), O키(제5선택키) 및 小키(제19선택키)가 포함되어 있으며, 자음부에는 K키(제6선택키), S키(제7선택키), T키(제8선택키), N키(제9선택키), H키(제10선택키), M키(제11선택키), R키(제12선택키), G키(제13선택키), Z키(제14선택키), D키(제15선택키), B키(제16선택키), P키(제17선택키)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모음부에서 A키를 선택하면 あ단에 속하는 문자(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가 선택되고, I키를 선택하면 い단에 속하는 문자(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가 선택되고, U키를 선택하면 う단에 속하는 문자(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る)가 선택되고, E키를 선택하면 え단에 속하는 문자(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가 선택되고, O키를 선택하면 お단에 속하는 문자(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ろ)가 선택되고, 小키를 선택하면 소문자(小文字)가 생성된다.

상기 자음부에서 K키를 선택하면 か행에 속하는 문자(か き く け こ)가 선택되고, G키를 선택하면 が행에 속하는 문자(が ぎ ぐ げ ご)가 선택되고, S키를 선택하면 さ행에 속하는 문자(さ し す せ そ)가 선택되고, Z키를 선택하면 ざ행에 속하는 문자(ざ じ ず ぜ ぞ)가 선택되고, T키를 선택하면 た행에 속하는 문자(た ち つ て と)가 선택되고, D키를 선택하면 だ행에 속하는 문자(だ ぢ づ で ど)가 선택되고, N키를 선택하면 な행에 속하는 문자(な に ぬ ね の)가 선택되고, H키를 선택하면 は행에 속하는 문자(は ひ ふ へ ほ)가 선택되고, B키를 선택하면 ば행에 속하는 문자(ば び ぶ べ ぼ)가 선택되고, P키를 선택하면 ぱ행에 속하는 문자(ぱ ぴ ぷ ぺ ぽ)가 선택되고, M키를 선택하면 ま행에 속하는 문자(ま み む め も)가 선택되고, R키를 선택하면 ら행에 속하는 문자(ら り る れ ろ)가 선택된다.

상기 모음부는 I키(제2선택키)를 중심으로 나머지 A키, U키, E키, O키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小키(제19선택키)는 A키(제1선택키)와 E키(제4선택키) 사이 또는 E키(제4선택키)와 O키(제5선택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음부의 선택키 배열은 후술하는 슬라이딩 또는 드래그 동작이 편리하도록 하며, 요음이나 장음 등의 문자 생성에 효과적이다.

도 2에 도시한 자판에서 모음부의 제2선택키는 I(Y)로 표시되어 있으나 I로만 표시될 수도 있으며, 제3선택키는 U(W) 대신 U로만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자음부는 K키(제6선택키), G키(제13선택키), S키(제7선택키), Z키(제14선택키), T키(제8선택키), D키(제15선택키), N키(제9선택키), H키(제10선택키), B키(제16선택키), P키(제17선택키), M키(제11선택키), R키(제12선택키)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순서는 일본어의 か が さ ざ た だ な は ば ぱ ま ら의 순서를 따른 것이다.

이러한 선택키 배치는 사용자가 문자 생성 원리를 이해하고 자판의 배열을 외우지 않고도 기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자판은 모음부와 자음부가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큰 경우에는 모음부와 자음부가 소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음부 오른쪽에 모음부가 배치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모음부 오른쪽에 자음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모음부와 자음부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인 사용자가 편리하게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모음부와 자음부의 위치는 좌우 전환 뿐만 아니라 상하 전환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모음부와 자음부의 배치는 디스플레이상에서 전환 버튼을 눌러 바뀔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음부는 중앙에 I키(제2선택키)가 배치되고, 상단 좌측에 A키(제1선택키), 상단 우측에 U키(제3선택키), 하단 좌측에 E키(제4선택키), 하단 우측에 O키(제5선택키)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와 달리 모음부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제2선택키가 배치되고, 상단 좌측에 제5선택키, 상단 우측에 제3선택키, 하단 좌측에 제4선택키, 하단 우측에 제1선택키가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제2선택키가 배치되고, 상단 좌측에 제3선택키, 상단 우측에 제5선택키, 하단 좌측에 제1선택키, 하단 우측에 제4선택키가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각종 문자의 생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청음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규칙에 따라 문자가 생성된다. 모음부의 A키(제1선택키), I키(제2선택키), U키(제3선택키), E키(제4선택키), 또는 O키(제5선택키)를 선택하여 あ, い, う, え, 또는 お를 표시한다.

또한, 자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ら행 중의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あ단 い단 う단 え단 お단 중의 어느 하나를 결정하여 あ, い, う, え, お 이외의 청음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음부의 K키를 선택한 후(か행 선택)하고 모음부의 I키를 선택하면(い단 선택) き(ki)가 표시된다. 또한, 자음부의 N키를 선택한 후(な행 선택)하고 모음부의 O키를 선택하면(お단 선택) の(no)가 표시된다.

や행에 속하는 문자의 경우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음부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하여 쉽게 문자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음부의 I(Y)키(제2선택키)에서 A키(제1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や를 표시하거나, I(Y)키(제2선택키)에서 U키(제3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ゆ를 표시하거나, I(Y)키(제2선택키)에서 O키(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よ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や행에 속하는 문자들의 생성 규칙은 다음과 같다.

i) y + a = ya

ii) y + u = yu

iii) y + o = yo

이들 규칙에 맞게 슬라이딩에 의하여 선택키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본어 자판의 모음부는 제2선택키가 중앙에 배치되고 나머지 선택키들이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わ와 を는 다음의 생성 규칙에 따라 문자가 생성된다.

i) w+a=wa

ii) w+o=wo

이러한 규칙에 맞게 선택키가 선택되도록 도 6에 도시한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문자가 생성된다. 즉, U(W)(제3선택키)에서 A키(제1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わ가 표시되고, U(W)(제3선택키)에서 O키(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を가 표시된다. 이러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U(W)(제3선택키)는 A키(제1선택키)와 O키(제5선택키)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ん의 경우 N키(제9선택키)를 연속하여 두 번 선택하여 생성된다.

탁음과 반탁음의 경우 각각 도 7 및 도 8의 생성 규칙에 따라 문자를 표시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앞서 청음의 경우와 동일하게 자음부의 선택키를 먼저 선택하고 모음부의 선택키를 선택하여 원하는 문자를 표시한다.

즉, 자음부에서 が행에 속하는 문자(が ぎ ぐ げ ご)를 선택하는 G키(제13선택키), ざ행에 속하는 문자(ざ じ ず ぜ ぞ)를 선택하는 Z키(제14선택키), だ행에 속하는 문자(だ ぢ づ で ど)를 선택하는 D키(제15선택키), ば행에 속하는 문자(ば び ぶ べ ぼ)를 선택하는 B키(제16선택키)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탁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자음부에서 ぱ행에 속하는 문자(ぱ ぴ ぷ ぺ ぽ)를 선택하는 P키(제17선택키)를 선택하고,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반탁음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자음부의 T키(제8선택키)를 선택한 후 모음부의 U키(제3선택키)를 선택하면 つ가 표시된다. 상기 や행에 속하는 문자들이나 つ 를 표시한 후, 小키(제19선택키)를 선택하면 소문자 ゃ, ゅ, ょ, 또는 っ가 표시된다.

요음의 경우 도 9의 규칙에 따라 문자가 생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자음부의 제6선택키, 제7선택키, 제8선택키, 제9선택키, 제10선택키, 제12선택키, 제13선택키, 제14선택키, 제16선택키, 제17선택키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의 제2선택키에서 제1선택키로 슬라이딩하거나, 제2선택키에서 제3선택키로 슬라이딩하거나, 제2선택키에서 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요음을 표시한다.

이 경우, 앞서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슬라이딩 동작이 적용된다. 이 때 자음부의 선택키를 선택하고 모음부에서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や행에 속하는 문자를 생성하면 や행에 속하는 문자는 자동적으로 소문자로 생성된다.

예를 들어, 자음부에서 K키를 선택하고(が행 선택) 모음부에서 I(Y)키에서 A키로 슬라이딩하면('y+a=ya' 규칙에 의하여 や 생성), き뒤에 소문자 ゃ가 붙은 きゃ가 한번에 생성된다. 이와 달리, 자음부에서 K키를 선택하고(が행 선택) 모음부에서 I(Y)키를 선택하여 き를 먼저 생성한 후, 모음부에서 I(Y)키에서 A키로 슬라이딩하여 대문자 や를 생성하고 小키를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소문자 ゃ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자음부에서 K키를 선택하고(が행 선택) 모음부에서 I(Y)키에서 U키로 슬라이딩하면('y+u=yu' 규칙에 의하여 ゆ 생성), き뒤에 소문자 ゅ가 붙은 きゅ가 한번에 생성된다.

촉음 っ의 경우 도 10에 도시한 규칙에 의하여 생성할 수 있다.

けってい을 입력하려면, 먼저 자음부에서 K키를 선택하고 모음부에서 E키를 선택하여 け를 생성하고, 자음부에서 T키를 두 번 선택한 후 모음부에서 E키를 선택하여 って를 생성한 후, 최종적으로 모음부에서 I키를 선택하여 い를 생성한다.

이와 달리, 자음부에서 K키를 선택하고 모음부에서 E키를 선택하여 け를 생성하고, 자음부에서 T키를 선택하고 모음부에서 U키를 선택하여 대문자 つ를 생성 후 小키를 선택하여 소문자 っ를 생성하고, 자음부에서 T키를 선택하고 모음부에서 E키를 선택하여 て를 생성한 후, 최종적으로 모음부에서 I키를 선택하여 い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복합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쉽게 장음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의 제2선택키에서 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한 후 제3선택키를 선택하거나, 제2선택키에서 제3선택키로 슬라이딩한 후 제3선택키를 선택하여 장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의 제2선택키에서 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한 후 제5선택키에서 제2선택키로 슬라이딩하거나, 제2선택키에서 제3선택키로 슬라이딩한 후 제3선택키에서 제2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장음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ちょう의 경우 T키를 선택하고(た행 선택) I(Y)키에서 O키로 슬라이딩하면('y+o=yo' 규칙에 의해 よ생성) ち뒤에 소문자 ょ가 붙은 ちょ가 한번에 생성된다. 그 다음 U키를 선택하여 う를 생성하면 ちょう가 완성된다.

이 보다 더 편리한 방법으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왕복 슬라이딩을 이용할 수 있다. ちょう의 경우 T키를 선택하고(た행 선택) I(Y)키와 O키를 왕복으로 슬라이딩하면(I키 -> O키 -I키) 한번에 ちょう가 표시된다.

ちゅう의 경우에는 T키를 선택하고(た행 선택) I(Y)키에서 U키로 슬라이딩하면('y+u=yu' 규칙에 의해 ゆ생성) ち뒤에 소문자 ゅ가 붙은 ちゅ가 한번에 생성되고, 그 다음 U키를 선택하여 う를 생성하면 ちゅう가 완성된다. 이와 달리, T키를 선택하고(た행 선택) I(Y)키와 U키를 왕복으로 슬라이딩하여(I키 -> U키 -I키) 한번에 ちゅう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장음의 생성은 다음과 같은 모음 형성 원리를 기초로 한다.

i) y+o+y = you, y+o+u = you

ii) y+u+y = yuu, y+u+u = yuu

실시예 2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자판을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모음부(100)는 앞선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A키, I키, U키, E키 및 O키의 총 5 개 키가 I키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소문자를 생성하는 小키가 빠져 있다.

반면, 자음부(200)는 K키, S키, T키, N키, H키, P키, M키, R키 및 小키를 포함하는 총 9개의 선택키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음부의 동작은 앞선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자음부와 모음부의 선택키를 조합하여 문자를 생성하는 원리는 대부분 유사하다. 즉, 청음의 생성, や행에 속하는 문자들의 생성, わ와 を의 생성, 요음의 생성 등은 동일하다.

다만, 탁음을 생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선택키가 없고 관련 선택키를 2 회 반복 선택하여 문자를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자음부에서 K키(제6선택키)를 선택하면 か행에 속하는 문자(か き く け こ)가 선택되고, K키를 두 번 선택하면 が행에 속하는 문자(が ぎ ぐ げ ご)가 선택된다. 또한, S키(제7선택키)를 선택하면 さ행에 속하는 문자(さ し す せ そ)가 선택되고, S키를 두 번 선택하면 ざ행에 속하는 문자(ざ じ ず ぜ ぞ)가 선택된다. 또한, T키(제8선택키)를 선택하면 た행에 속하는 문자(た ち つ て と)가 선택되고, T키를 두 번 선택하면 だ행에 속하는 문자(だ ぢ づ で ど)가 선택된다. 또한, H키(제10선택키)를 선택하면 は행에 속하는 문자(は ひ ふ へ ほ)가 선택되고, H키를 두 번 선택하면 ば행에 속하는 문자(ば び ぶ べ ぼ)가 선택된다.

이와 같이 자음부의 제6선택키, 제7선택키, 제8선택키, 제10선택키 중의 어느 하나를 두 번 선택하고,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탁음이 생성된다.

반탁음의 경우에는 P키(제17선택키)를 선택하고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생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음부는 K(G)키(제6선택키), S(Z)키(제7선택키), T(D)키(제8선택키), N키(제9선택키), H(B)키(제10선택키), M키(제11선택키), R키(제12선택키)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순서는 일본어의 か さ た な は ま ら 의 순서를 따른 것이다.

실시예 3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자판은 앞선 제2실시예에서와 유사한 구조의 자판 배열을 갖고 있으며, P키(제17선택키)가 빠져 있다. 그 대신 본 실시예에서는 자음부에 탁음 또는 반탁음을 생성하는 " °키(제18선택키)가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음부의 동작은 앞선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자음부와 모음부의 선택키를 조합하여 문자를 생성하는 원리, 청음의 생성, や행에 속하는 문자들의 생성, わ와 を의 생성, 요음의 생성 등은 동일하다.

탁음 및 반탁음의 경우에는 자음부에서 K키(제6선택키), S키(제7선택키), T키(제8선택키), H키(제10선택키)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상기 제18선택키를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탁음 또는 반탁음을 표시할 수 있다. 제18선택키는 한번 선택할 때 탁음(")이 두 번 선택할 때 반탁음(°)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4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자판을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자판은 앞선 제3실시예에서와 유사한 구조의 자판 배열을 갖고 있으며, 선택키의 표시 형태가 영문 알파벳이 아닌 일본어 문자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모음부는 あ단에 속하는 문자(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를 선택하는 제1선택키와, い단에 속하는 문자(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를 선택하는 제2선택키와, う단에 속하는 문자(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る)를 선택하는 제3선택키와, え단에 속하는 문자(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를 선택하는 제4선택키와, お단에 속하는 문자(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ろ)를 선택하는 제5선택키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선택키는 あ, 제2선택키는 い, 제3선택키는 う, 제4선택키는 え, 제5선택키는 お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자음부는 か행에 속하는 문자(か き く け こ)를 선택하는 제6선택키와, さ행에 속하는 문자(さ し す せ そ)를 선택하는 제7선택키와, た행에 속하는 문자(た ち つ て と)를 선택하는 제8선택키와, な행에 속하는 문자(な に ぬ ね の)를 선택하는 제9선택키와, は행에 속하는 문자(は ひ ふ へ ほ)를 선택하는 제10선택키와, ま행에 속하는 문자(ま み む め も)를 선택하는 제11선택키와, ら행에 속하는 문자(ら り る れ ろ)를 선택하는 제12선택키를 포함하며, 상기 제6선택키는 か, 제7선택키는 さ, 제8선택키는 た, 제9선택키는 な, 제10선택키는 は, 제11선택키는 ま, 제12선택키는 ら로 각각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영문 알파벳 대신 일본어 문자로 선택키를 표시하는 방식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의 자판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휴대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이 디스플레이 창의 규모가 작아 문자판에 모든 문자를 포함시키기 어려운 휴대용 단말기에 더욱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기타 태블릿 PC나 각종 전자기기의 문자 입력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00:모음부 200:자음부

Claims (34)

  1. あ단에 속하는 문자(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를 선택하는 제1선택키와,
    い단에 속하는 문자(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를 선택하는 제2선택키와,
    う단에 속하는 문자(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る)를 선택하는 제3선택키와,
    え단에 속하는 문자(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를 선택하는 제4선택키와,
    お단에 속하는 문자(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ろ)를 선택하는 제5선택키를 포함하는 모음부; 및
    か행에 속하는 문자(か き く け こ)를 선택하는 제6선택키와,
    さ행에 속하는 문자(さ し す せ そ)를 선택하는 제7선택키와,
    た행에 속하는 문자(た ち つ て と)를 선택하는 제8선택키와,
    な행에 속하는 문자(な に ぬ ね の)를 선택하는 제9선택키와,
    は행에 속하는 문자(は ひ ふ へ ほ)를 선택하는 제10선택키와,
    ま행에 속하는 문자(ま み む め も)를 선택하는 제11선택키와,
    ら행에 속하는 문자(ら り る れ ろ)를 선택하는 제12선택키를 포함하는 자음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또는 상기 모음부와 자음부에 속하는 선택키들을 조합하여 선택하면 문자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해당 문자를 표시하도록 문자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모음부의 제2선택키에서 제1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や를 표시하고, 제2선택키에서 제3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ゆ를 표시하고, 제2선택키에서 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よ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부의 제1선택키, 제2선택키, 제3선택키, 제4선택키, 제5선택키를 각각 선택하여 あ, い, う, え, お를 각각 표시하고,
    상기 자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ら행 중의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あ단 い단 う단 え단 お단 중의 어느 하나를 결정하여 あ, い, う, え, お 이외의 청음(淸音)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부의 제6선택키, 제7선택키, 제8선택키, 제10선택키 중의 어느 하나를 두 번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탁음(濁音)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부는 が행에 속하는 문자(が ぎ ぐ げ ご)를 선택하는 제13선택키와, ざ행에 속하는 문자(ざ じ ず ぜ ぞ)를 선택하는 제14선택키와, だ행에 속하는 문자(だ ぢ づ で ど)를 선택하는 제15선택키와, ば행에 속하는 문자(ば び ぶ べ ぼ)를 선택하는 제16선택키를 더 포함하며,
    제13선택키, 제14선택키, 제15선택키, 제16선택키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탁음(濁音)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부는 탁음 또는 반탁음(半濁音)을 생성하는 제18선택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음부의 제6선택키, 제7선택키, 제8선택키, 제10선택키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상기 제18선택키를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탁음 또는 반탁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부는 ぱ행에 속하는 문자(ぱ ぴ ぷ ぺ ぽ)를 선택하는 제17선택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7선택키를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반탁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7. 제22항에 있어서, 제3선택키에서 제1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わ를 표시하고, 제3선택키에서 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を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부 또는 모음부는 소문자(小文字)를 생성하는 제19선택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음부의 제2선택키에서 제1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や를 표시하거나, 제2선택키에서 제3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ゆ를 표시하거나, 제2선택키에서 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よ를 표시하거나, 자음부의 제8선택키를 선택한 후 모음부의 제3선택키를 선택하여 つ를 표시하고,
    상기 제19선택키를 선택하여 소문자 ゃ, ゅ, ょ, 또는 っ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부는 が행에 속하는 문자(が ぎ ぐ げ ご)를 선택하는 제13선택키와, ざ행에 속하는 문자(ざ じ ず ぜ ぞ)를 선택하는 제14선택키와, ば행에 속하는 문자(ば び ぶ べ ぼ)를 선택하는 제16선택키와, ぱ행에 속하는 문자(ぱ ぴ ぷ ぺ ぽ)를 선택하는 제17선택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음부의 제6선택키, 제7선택키, 제8선택키, 제9선택키, 제10선택키, 제12선택키, 제13선택키, 제14선택키, 제16선택키, 제17선택키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의 제2선택키에서 제1선택키로 슬라이딩하거나, 제2선택키에서 제3선택키로 슬라이딩하거나, 제2선택키에서 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요음(拗音)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1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부의 제9선택키를 두 번 누르면 발음(撥音) ん 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1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의 제2선택키에서 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한 후 제3선택키를 선택하거나, 제2선택키에서 제3선택키로 슬라이딩한 후 제3선택키를 선택하여 장음(長音)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1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부에 속하는 선택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모음부의 제2선택키에서 제5선택키로 슬라이딩한 후 제5선택키에서 제2선택키로 슬라이딩하거나, 제2선택키에서 제3선택키로 슬라이딩한 후 제3선택키에서 제2선택키로 슬라이딩하여 장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KR1020120035008A 2012-04-04 2012-04-04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KR101216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20035008A KR101216840B1 (ko) 2012-04-04 2012-04-04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20035008A KR101216840B1 (ko) 2012-04-04 2012-04-04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JP2012177286A JP5220217B1 (ja) 2012-04-04 2012-08-09 ディスプレー用日本語入力鍵盤
JP2013015377A JP5599909B2 (ja) 2012-04-04 2013-01-30 日本語入力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01216840B1 true KR101216840B1 (ko) 2013-01-09

Family

ID=47840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20035008A KR101216840B1 (ko) 2012-04-04 2012-04-04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Link
JP (2) JP5220217B1 (ko)
KR (1) KR1012168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904599B1 (ko) * 2015-08-13 2018-10-04 정창수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일본어(카나)의 입력자판 및 입력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6029628B2 (ja) * 2014-09-01 2016-11-24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4038999A (ja) 1996-10-15 2004-02-05 Misawa Homes Co Ltd 文字入力システム、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8131581A (ja) 2006-11-24 2008-06-05 Ikusu Un モバイル器機の日本語文字入力方法
KR20080103223A (ko) * 2007-05-23 2008-11-27 천강일 일본어 입력 방법
KR20110137679A (ko) * 2010-06-17 2011-12-23 (주)케이피에이인터내셔날 휴대단말기의 일본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4084582B2 (ja) * 2001-04-27 2008-04-30 俊司 加藤 タッチ式キー入力装置
JP3965413B2 (ja) * 2005-06-28 2007-08-29 信夫 中野 片手操作の文字入力機器
JP4981701B2 (ja) * 2007-01-30 2012-07-25 三星電子株式会社 端末機のタッチスクリーンを用いる文字入力装置及び方法
JP2009048454A (ja) * 2007-08-21 2009-03-05 Univ Of Yamanashi 日本語入力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日本語入力装置用プログラムおよび同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CN100593151C (zh) * 2008-07-04 2010-03-03 金雪松 日语输入方法和终端
JP2010102684A (ja) * 2008-09-26 2010-05-06 Nobuo Nakano 片手入力機器
JP5182304B2 (ja) * 2010-02-24 2013-04-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データ入力装置
JP2012003705A (ja) * 2010-06-21 2012-01-05 Yoshitoshi Cho 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装置
  • 2012
    • 2012-04-04 KR KR1020120035008A patent/KR10121684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8-09 JP JP2012177286A patent/JP5220217B1/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
    • 2013-01-30 JP JP2013015377A patent/JP559990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4038999A (ja) 1996-10-15 2004-02-05 Misawa Homes Co Ltd 文字入力システム、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8131581A (ja) 2006-11-24 2008-06-05 Ikusu Un モバイル器機の日本語文字入力方法
KR20080103223A (ko) * 2007-05-23 2008-11-27 천강일 일본어 입력 방법
KR20110137679A (ko) * 2010-06-17 2011-12-23 (주)케이피에이인터내셔날 휴대단말기의 일본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904599B1 (ko) * 2015-08-13 2018-10-04 정창수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일본어(카나)의 입력자판 및 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JP5220217B1 (ja) 2013-06-26
JP5599909B2 (ja) 2014-10-01
JP2013219735A (ja) 2013-10-24
JP2013219752A (ja)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6356258B1 (en) 2002-03-12 Keypad
CN101251781A (zh) 2008-08-27 通过手机横屏状态显示的虚拟键盘进行输入和功能操作
KR101512133B1 (ko) 2015-04-16 문자 입력 장치
JP2017509080A (ja) 2017-03-30 漢字入力装置と漢字入力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漢字検索方法
KR20110083293A (ko) 2011-07-20 문자 키패드
KR101216840B1 (ko) 2013-01-09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CN103946772A (zh) 2014-07-23 利用具有声调选择功能的触摸屏的中文输入方法
KR101249329B1 (ko) 2013-04-02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100045617A (ko) 2010-05-04 멀티 터치 인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1216766B1 (ko) 2012-12-28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KR20130004648A (ko) 2013-01-14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KR101053934B1 (ko) 2011-08-04 휴대용 기기에 구현되는 키 입력장치 및 방법
KR101140767B1 (ko) 2012-05-03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TWI468986B (zh) 2015-01-11 電子裝置、其輸入方法與電腦程式產品
JP5882497B2 (ja) 2016-03-09 小型日本語キーボード及び方法
KR20130081518A (ko) 2013-07-17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KR20120056581A (ko) 2012-06-04 터치스크린패널을 이용한 베트남어입력장치
KR20120038669A (ko) 2012-04-24 터치스크린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배열구조
TW201428550A (zh) 2014-07-16 螢幕軟體鍵盤之漢字輸入方法及其軟體鍵盤
KR101255801B1 (ko) 2013-04-17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JP2002229721A (ja) 2002-08-16 日本語の音節表記に基づく簡易型文字入力装置
CN103309595A (zh) 2013-09-18 一种用错别字输入汉字的显示屏软键盘
CN108376035A (zh) 2018-08-07 动态输入图文符号的方法和装置
KR100901719B1 (ko) 2009-06-08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배열구조
JPH08179868A (ja) 1996-07-12 キー入力装置
DateCodeTitleDescription
2012-04-04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2012-06-15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2012-08-23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2-11-2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2012-1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2015-11-0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4

2017-12-2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2018-12-0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