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불안척도 해석 - sangtaebul-ancheogdo haeseog

상태 불안 척도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X-1)

척도내용

1) 상태불안의 측정. 상태 불안과 특성 불안을 측정하기 위한 STAI 중 상태불안을 측정하는 STAI-X1. 20문항.

2) 원래 정상인의 불안 증상을 측정하는 도구로 개발되었으나, 임상집단의 불안 측정에도 유용한 것으로 밝혀짐.

실시방법

자기보고식. 각 문항을 경험하는 정도를 4점 척도로 평가.

채점방법

1) 각 문항의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 구함.

전혀 그렇지 않다 = 1

조금 그렇다 = 2

보통으로 그렇다 = 3

대단히 그렇다 = 4

2) 역방향 채점 문항 : 1, 2, 5, 8, 10, 11, 15, 16, 19, 20

해석지침

1) 점수의 범위 : 20 - 80

2) 한국판 연구

- 고등학생 집단(816) : 평균점수 45.89(표준편차 10.93)

- 대학생 집단(816) : 평균점수 42.50(표준편차 9.99)

3) 상기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평가할 수 있음.

(대학생 집단 기준)

52- 56: 상태불안 수준이 약간 높음.

57- 61: 상태불안 수준이 상당히 높음.

62점 이상 : 상태불안 수준이 매우 높음.

척도의 출처

1) 한국판 : 김정택(1978). 특성불안과 사회성과의 관계 : Spielberger

STAI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원판 : Spielberger, C. D.(1970).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

S T A I - X-1

이름 : 연령 : 세 성별 : / 작성일 : 년 월 일

질 문 사 항

전혀

그렇지

않다

조금

그렇다

보통으로

그렇다

대단히

그렇다

*1

나는 마음이 차분하다.

1

2

3

4

*2

나는 마음이 든든하다.

1

2

3

4

3

나는 긴장되어 있다.

1

2

3

4

4

나는 후회스럽고 서운하다.

1

2

3

4

*5

나는 마음이 편하다.

1

2

3

4

6

나는 당황해서 어찌할 바를 모르겠다.

1

2

3

4

7

나는 앞으로 불행이 있을까 걱정하고 있다.

1

2

3

4

*8

나는 마음이 놓인다.

1

2

3

4

9

나는 불안하다.

1

2

3

4

*10

나는 편안하게 느낀다.

1

2

3

4

*11

나는 자신감이 있다.

1

2

3

4

12

나는 짜증스럽다.

1

2

3

4

13

나는 마음이 조마조마하다.

1

2

3

4

14

나는 극도로 긴장되어 있다.

1

2

3

4

*15

내 마음은 긴장이 풀려 푸근하다.

1

2

3

4

*16

나는 만족스럽다.

1

2

3

4

17

나는 걱정하고 있다.

1

2

3

4

18

나는 흥분되어 어쩔 줄 모른다.

1

2

3

4

*19

나는 즐겁다.

1

2

3

4

*20

나는 기분이 좋다.

1

2

3

4

다음 문장들은 사람들이 자신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것들입니다. 각 문장을 잘 읽으시고 각 문장의 오른편에 있는 네 개의 항목 중에서 당신이 지금 이 순간에 바로 느끼고 있는 상태를 가장 잘 나타내주는 문항 하나에 동그라미 하여 주십시오.

1 2 3 4

전혀 그렇지 않다. 조금 그렇다. 보통으로 그렇다. 대단히 그렇다.

* : Reversal Scoring Items

본 연구에 사용한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pielberger(1970)가 정신장애가 없는 정상 성인의 불안 상태를 측정하는 도구로 제작하였다. 김정택(1978)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상태불안척도'는 특수한 상황을 바로 그 순간에 어떻게 느끼는가를 묻는 2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성불안척도'는 개인이 선천적으로 타고난 정서적 불안 특성을 묻는 2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불안 척도의 채점결과는 최하 20점에서 최고 80점까지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참고문헌

1) 한국판 : 김정택(1978). 특성불안과 사회성과의 관계 : SpielbergerSTAI룰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원판 : Spielberger, C. D.(1970).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