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vc 파이프 ks규격 - pvc paipeu ksgyugyeog

국가표준의 상세

표준번호KS M 3603
표준명(한글) 배수 및 하수용 비압력 매설용 구조형 폴리염화비닐(PVC) 이음관
표준명(영문)Structured-wall polyvinyl chloride(PVC) pipe fittings for non-pressure underground drainage and sewerage
KS원문보기 표준 원문보기
표준분야(M) 화학 - (M16) 플라스틱·사진재료
표준구분제품
제정일1998-12-29
최종개정확인일2021-09-24
기술심의회화학재료 기술심의회(M)
전문위원회플라스틱파이프
적용범위이 규격은 이중벽 주름관의 연결에 사용되는 하수도용 고강성 경질 염화비닐 이음관에 대하여 규정한다.
표준개발협력기관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담당부처국가기술표준원
담당부서바이오화학서비스표준과
담당자명박현영
담당자 연락처043-870-5392
국제표준 부합화

국제표준 부합화의 목록

대응국제표준부합화수준
관련 자료가 없습니다.

인용표준40 건 기술기준0 건
ICS Code
    83.080.00 (플라스틱 일반)
표준이력사항

표준이력사항

변경일자구분고시번호제정,개정,폐지 사유신구대비표
1998-12-29 제정 98389
2008-06-27 확인 2008-0327 5년 도래 검토 규격으로 확인함
2010-07-08 개정 2010-0249 1. KS M 3600 개정됨에 따라 이음관의 치수 등 호완성이 없어 개정됨 2. 장기성능시험등 내구성을 강화 하였음
2015-03-16 확인 2015-0084 5년 도래 KS표준 확인
2016-01-06 개정 2015-0687 KS M 3002 인용표준 폐지에 따라 표준에 내용 추가 및 인용표준 변경
2021-09-24 확인 2021-0386 5년도래 확인표준

인증심사기준

인증심사기준의 목록

제/개정일자구분첨부파일
2015-07-07 개정
Pvc 파이프 ks규격 - pvc paipeu ksgyugyeog


국가표준의 상세

표준번호KS M 3414
표준명(한글) 냉ㆍ온수 설비용 플라스틱 배관 시스템 — 염소화 폴리염화비닐(PVC-C) 관
표준명(영문)Plastics piping systems for hot and cold water installations —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PVC-C) pipes
KS원문보기 표준 원문보기
표준분야(M) 화학 - (M16) 플라스틱·사진재료
표준구분제품
제정일1999-12-29
최종개정확인일2020-12-30
기술심의회화학재료 기술심의회(M)
전문위원회플라스틱파이프
적용범위이 표준은 적절한 용도별 구분에 따른(KS M ISO 15877-1의 표 1 참조) 설계 압력 및 온도하에서 인간 소비용 또는 난방용으로 사용되는 물의 이송을 위한 건물 내의 냉수 및 온수 설비를 목적으로 하는 염소화 폴리염화비닐(PVC-C)로 제조한 관의 특성에 대하여 규정한다.
표준개발협력기관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담당부처국가기술표준원
담당부서바이오화학서비스표준과
담당자명박현영
담당자 연락처043-870-5392
국제표준 부합화

국제표준 부합화의 목록

대응국제표준부합화수준
ISO 15877-2:2009 MOD 부분 일치

인용표준41 건 기술기준5 건
ICS Code
    91.140.60 (용수 공급 체계) 23.040.20 (플라스틱 파이프)
표준이력사항

표준이력사항

변경일자구분고시번호제정,개정,폐지 사유신구대비표
1999-12-29 확인 99951
2003-12-29 개정 2003-1724
2009-01-20 개정 2009-0030 '08년도 확인대상 규격으로, 기술적인 수정내용 없이 인용문헌, 단위 등의 내용을 수정하여 개정함.
2014-12-31 확인 2014-0995 5년 도래표준 확인
2015-08-05 개정 2015-0348 - 표준 현실화 - 정부표준 통일화(용출시험 항목 삭제로 중복 부담 해소)
2020-12-30 개정 2020-0581 - 국제적 PVC-C 관의 일부 측정을 위한 설계 압력, 응력 등의 계수 변경에 따른 적용 검토 및 관의 바깥지름에 대한 오차 범위 축소 건으로 1차 회의에서 인증 업체의 의견수렴이 부족하여 의견을 수렴하여 재상정함. 인증업체 등 국내 해당사 및 전문가와의 논의를 통하여 계수들 변경사항은 적용하고, 바깥지름에 대한 오차범위는 기존안을 유지하는 것으로 의견이 수렴되어 이를 반영

인증심사기준

인증심사기준의 목록

제/개정일자구분첨부파일
2019-05-27 개정
Pvc 파이프 ks규격 - pvc paipeu ksgyugyeog


 PVC 파이프 규격 VG1 단위는 mm

( KS M 3404_일반용 경질 염화 비닐관) 

호칭지름 외경두께(표준) 외경두께허용차 최소두께 두께허용차 근사내경 참고중량(g/m)
10 15 0.2 2.2 0.6 10 140
13 18 0.2 2.2 0.6 13 174
16 22 0.2 2.7 0.6 16 256
20 26 0.2 2.7 0.6 20 310
25 32 0.2 3.1 0.8 25 448
30 38 0.2 3.1 0.8 31 542
35 42 0.2 3.1 0.8 35 605
40 48 0.2 3.6 0.8 40 791
50 60 0.2 4.1 0.8 51 1,122
65 76 0.3 4.1 0.8 67 1,445
75 89 0.3 5.5 0.8 77 2,202
100 114 0.4 6.6 1 100 3,409
125 140 0.5 7 1 125 4,464
150 165 0.5 8.9 1.4 146 6,701
200 216 0.7 10.3 1.4 194 10,129
250 267 0.9 12.7 1.8 240 15,481
300 318 1 15.1 2.2 286 21,962

 PVC 파이프 규격 VG2 단위는 mm

( KS M 3404_일반용경질염화비닐관) 

호칭지름 외경두께(표준) 외경두께허용차 최소두께 두께허용차 근사내경 참고중량(g/m)
35 42 0.2 1.8 0.4 38 359
40 48 0.2 1.8 0.4 44 413
50 60 0.2 1.8 0.4 56 521
65 76 0.3 2.2 0.6 71 825
75 89 0.3 2.7 0.6 83 1,159
100 114 0.4 3.1 0.8 107 1,737
125 140 0.5 4.1 0.8 131 2,739
150 165 0.5 5.1 0.8 154 3,941
200 216 0.7 6.5 1 202 6,572
250 267 0.9 7.8 1.2 250 9,758
300 318 1 9.2 1.4 298 13,701
350 355 1.2 9.5 1.4 335 15,491
400 400 1.4 9.8 1.4 379 18,364


쉽게 생각해서

VG1 = 일반관,  VG2 = 얇은관


국가 표준 규격에서 발췌함

- 이 표준은 건물 내부에 사용되는 비압력 용도의 환기, 통기, 배기, 배수용 배관 및 건물 외부에 사용되는 비압력 용도의 경질 폴리염화 비닐관(이하 관이라 한다.)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하여 규정한다.



PVC 배관의 특성

1. 가볍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합니다.
 관의 비중이 1.43으로 무게는 철관의 1/5, 연관의 1/8이며, 인장강도는 연관의 3배, PE관의 2.5배로 기계적 강도가

 강하므로 운반이 용이하고 파손되지 않습니다.

2. 무독, 무취이며 유량이 큽니다.
 관내면이 극히 치밀하고 평활하므로 유해물이 끼지 않고 냄새가 나지 않으며 수돗물이 탁해지지 않기 때문에

 

가장 위생적이며 마찰저항이 적어 유량이 동일경의 강관보다 30% 정도 큽니다.

3. 내식성, 내약품성, 내유수성이 우수합니다.
 부식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위생적이며, 산성, 알칼리성 유류 등에 전혀 침식되지 않습니다.

4. 전기 절연성이 우수합니다
 부전도체이므로 전식의 우려가 없어 전선 도관용으로 그 성능이 우수합니다.

5. 단열성이 우수합니다.
 열전도율이 낮아 열손실이 거의 없고, 강관과 같이 쉽게 동결하지 않으므로 온천용 급수, 온천용 보일러 배관 및

 

공장용 배관에 최적입니다.

6. 자기 송화성입니다.
 자기 연소성이 없으므로 불꽃이 떨어지면 저절로 꺼져 화재의 원인이 될 염려가 없습니다.

7. 가공 배관이 용이합니다.
 가열, 가공이 자유롭고, 이음관의 종류가 다양하여 접착제나 고무링에 의해 배관작업을 쉽고 신속히 할 수 있으며,

 

누수 및 침수의 염려가 전혀 없습니다.

8. 수명이 깁니다.
 내부식성이 강하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약품적 성질이 강한 곳에 유일무이 한 배관재입니다.

9. 가격이 저렴합니다.
 연관, 강관, 동관, 스테인레스관보다 가격이 극히 저렴하며, 공사비, 유지비도 금속관보다 훨씬 저렴하여

 

경제적으로 예산절감의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10. 소음방지 및 색상이 다양합니다.
 금속관에 비해 소음이 극히 적으며,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 가능함으로

 

옥외 배관 시 도색(페인트)이 필요 없습니다.

  분류 및 특성 부분에 대하여는 정확성을 위해 한국 염화 비닐관 공업 협동조합 ( KPPIC www.kppic.or.kr )에서 발췌함.

좋은 정보 공유할 수 있는 것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