팰리세이드 오토스탑 - paelliseideu otoseutab

오토스탑은 차량이 신호대기중이거나 정차시 엔진을 일시정지해 연비를 향상시키고 배출가스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입니다. 주행도중 브레이크를 밟으면 시동이 꺼지고,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면 다시 시동이 걸리는 방식으로 작동되는데요.

오토스탑(Auto Stop) 외에도 스탑앤고(Stop&Go), 스탑앤스타트(Stop&Start),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 등 자동차 제조사마다 불리는 이름은 다르지만, 동일한 기능입니다.

팰리세이드 오토스탑 - paelliseideu otoseutab

제 차는 올뉴쏘렌토 2017년식으로 오토스탑 기능도 탑재되어있는데요. 어떨때는 귀찮을 정도로 오토스탑 기능이 작동되지만, 어떨때는 아예 기능이 동작하지않을때도 있습니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조건을 충족해야만 해당기능이 작동되기때문인데요. 그 조건은 자동차 브랜드마다 매뉴얼이 다르고, 작동 조건 또한 조금씩 차이가 발생하기때문에 명확히 단정짓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국내자동차 브랜드별 오토스탑의 작동조건에 대해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우선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에서 말하는 오토스탑/ 공회전 제한 시스템(Idle Stop & Go)의 작동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대기아차 스탑앤고 작동 조건

- 운전석 안전벨트가 채워진 상태일 때 

- 운전석 도어(엔진후드 포함)가 닫힌 상태일 때 

- 배터리 충전상태 및 배터리 액의 온도가 적절할 때 

- 브레이크 부압이 적절할 때 

- 차량 속도가 8km/h를 넘었을 때 

- 키로 시동을 건 후 냉각수 온도가 30도 이상일 때 

- 바깥 온도가 -10℃~35℃일 때 

- ECU 내 ISG 조건이 만족할 때 

- 공조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 도로 경사로가 상향 12%, 하향 5% 이하로 완만할 때 

- DPF(배출가스 후처리 장치) 비 재생구간일 때   

적용차종: 펠리세이드, 싼타페, 쏘렌토, 그랜저, 소나타 등 

연식이나 옵션, 배기량에 따라 해당기능이 없을 수 도 있습니다.

한국지엠(쉐보레)의 메뉴얼에 표기된 오토스탑의 작동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쉐보레 스탑앤고 작동 조건

- 차량이 일정속도에 도달한 후 정차한 경우

- 외기온도 조건에 따라 엔진 및 변속기 온도가 적정한 온도범위에 있는 경우

- 엔진 후드가 닫힌 경우

- 배터리 충전상태가 양호하고, 최근에 배터리가 분리된적이 없는 경우

- 브레이크 부스터 진공압력이 적절한 경우

- 오토스탑 관련 부품에 고장이 없는 경우

- 변속 레버가 주행(D) 위치에 있는 경우

- 외부온도가 너무 낮거나 너무 높지않은 경우

- 온도조절 시스템으로부터 A/C 컴프레셔 작동이 요청되지 않은 경우

- 앞 유리 서리제거 모드가 아닌 경우

적용차종: 임팔라, 말리부, 크루즈, 더넥스트 스파크 등

연식이나 옵션, 배기량에 따라 해당기능이 없을 수 도 있습니다.

그 외 수입차 등 완성차 제조사마다 매뉴얼은 다르겠지만, 일반적인 기준에서 위와 같은 경우에 작동된다고 보면 됩니다. 

오토스탑 기능의 작동여부는 차량 배터리상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지않을까 생각되는데요. 따라서 배터리 방전이 쉽게 일어나는 겨울철에는 오토스탑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않을 확률이 높습니다. 그 외에도 위에 표기된 여러조건 중 하나의 조건이라도 미달되면 기능이 작동되지않습니다.

그리고 쏘렌토의 경우 오토스탑 기능을 ON/OFF 할 수 있지만, 쉐보레 말리부는 해당 기능을 끌 수 없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팰리세이드 오토스탑 - paelliseideu otoseutab

팰리세이드 오토스탑 - paelliseideu otoseutab

환경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고민하는 것 중 하나다. 특히 자동차에서 나오는 배출 가스는 대기오염과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손꼽히고 있어 이를 줄이기 위해 정부와 자동차 회사가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내연기관차에서 나오는 배출가스를 줄이기 위해 몇 년 전부터 ISG라는 장치를 자동차에 탑재하기 시작했다. 예전에는 디젤차 위주로 많이 장착되었지만 환경 규제가 강화된 요즘에는 가솔린 차에도 많이 탑재하고 있다. 하지만 차주들은 ISG 장치 때문에 불편하다고 호소하며, 시동 걸자마자 대부분 끈다고 한다. 오늘 오토포스트 이슈플러스에서는 차주들 사이에서 가장 쓸모없는 옵션이라는 ISG에 대해 한걸음 더 들어가 본다.

이진웅 에디터

팰리세이드 오토스탑 - paelliseideu otoseutab
팰리세이드 오토스탑 - paelliseideu otoseutab

정차 시 잠시 시동을 꺼주고
출발 시 다시 시동을 걸어주는 장치
ISG는 Idling Stop and Go의 줄임말로, 한글로 공회전 제한 장치라고 부른다. 출퇴근 길처럼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곳에서는 불필요한 공회전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ISG시스템은 차가 멈췄을 때, 자동으로 엔진을 꺼준다. 그리고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거나 가속 페달을 밟아 차를 출발시키면 다시 시동을 켜준다. 이 장치가 대대적으로 보급되기 전에는 수동으로 시동을 끄고 다시 켜는 운전자가 많았는데, 그것을 자동으로 해주는 것이 ISG다.

팰리세이드 오토스탑 - paelliseideu otoseutab
(사진=조선일보)

연비 향상과
배출가스 감소
이 장치는 생각보다 오래전에 개발되었다. 무려 1974년에 토요타 크라운에 처음 장착되었다. 당시 오일쇼크로 유가가 크게 인상되자 연료 소비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해당 장치를 장착한 것이다. ISG에 의해 엔진이 멈추면 연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연비가 향상된다.

또한 엔진 연소도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배출가스도 나오지 않는다. 최근에는 배출가스 규제가 강해지다 보니 이를 통과하기 위해 대부분의 자동차에 ISG 장치를 탑재한다. 몇 년 전에는 디젤 차량 위주로 장착되었다면 요즘에는 가솔린 차량에도 많이 장착한다.

팰리세이드 오토스탑 - paelliseideu otoseutab
팰리세이드 오토스탑 - paelliseideu otoseutab

ISG 장치 작동으로
위화감이 상당하다
하지만 차주들 사이에서는 ISG 장치를 빼고 싶은 옵션 1순위로 지목한다. 오죽하면 시동을 켜자마자 가장 먼저 하는 행동이 ISG 기능을 끄는 것이라고 말할 정도다. 차가 멈추면 시동이 자동으로 꺼지는데 이것이 왠지 모를 위화감을 조성한다고 한다. 그리고 엔진이 꺼지면 에어컨도 자동으로 꺼지기 때문에 여름에는 찬바람이 안 나와 불편하다.(에어컨이 그대로 작동되는 차도 일부 있다)

재출발할 때도 위화감을 느낀다. 원래 신호 대기로 차가 정지하더라도 엔진이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최소한의 RPM은 유지하고 있으며, 다시 출발할 때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도움을 준다. 하지만 ISG 장치가 장착된 차는 출발할 때 시동을 켜는 과정이 있기 때문에 차가 한 박자 더 느리게 반응하며, 이때 진동도 더 크게 느껴진다. 신속한 출발을 하지 못해 가끔 뒤차에 본의 아니게 민폐를 끼칠 수도 있다. 간혹 주차를 하기 위해 각을 잡고 후진 기어를 넣는 와중에도 시동이 정지되는 경우도 있다.

팰리세이드 오토스탑 - paelliseideu otoseutab

비싼 부품값
차 값 상승의 원인
시동을 너무 자주 껐다 켰다 하면 엔진과 배터리, 스타트 모터 등 관련 부품에 무리를 줄 수 있다. 전등을 자주 껐다 켰다 하면 수명이 단축되는 것과 동일한 이치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따라서 ISG가 장착된 차는 내구력을 높인 부품을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AGM 배터리가 있는데, 일반 배터리보다 2~3배가량 비싸다. 스타트 모터 역시 연속 시동을 버틸 수 있는 비싼 부품을 사용하게 되며, 엔진에는 고온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가 추가로 적용된다. 여기에 ISG 장치 가격까지 있다. 일반 차에 비해 차 값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팰리세이드 오토스탑 - paelliseideu otoseutab

ISG에 의한 연비 향상
미미한 수준이다?
제조사에서는 ISG 장착으로 최대 10%가량 연비가 높아진다고 말한다. 이론적으로는 맞는 말이다. 시동 정지 시간이 길수록 그만큼 연료를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300만 대의 차량이 하루 공회전 5분만 줄여도 연료비는 789억 원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차량의 운행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멈춘 직후 바로 다시 출발하는 경우도 잦다. 거기다가 정지 상태에서 출발할 때 연료 소비가 많아지는데, 엔진까지 정지되어 있으면 연료 소비가 더 많아진다. ISG로 아낀 연료, 시동 걸고 다시 출발하는데 더 사용하니 사실상 오십보백보이며, 엔진이 정지된 지 몇 초도 지나지 않았다면 오히려 ISG 작동이 연료 소모가 더 클 수도 있다.

팰리세이드 오토스탑 - paelliseideu otoseutab

또한 ISG가 차가 멈출 때마다 무조건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조건이 꽤 까다롭다. 일정한 속도를 넘은 후 다시 정지할 때, 배터리 충전상태가 양호할 때, 브레이크 페달 압력이 적절할 때 등 대략 10가지 이상 조건이 있다. 즉 작동할 때도 있고 아닐 때도 있다는 것이다. 대략 2~3분 정도 시동 정지를 유지한 후에는 배터리 보호를 위해 시동이 강제로 다시 걸린다.

운행 환경이 다르고 까다로운 조건까지 만족해야 하다 보니 이론과 달리 실제로 ISG에 의한 연비 향상은 미미하며, 운전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연비 향상에 더욱 도움이 된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다.

팰리세이드 오토스탑 - paelliseideu otoseutab

ISG 기능을
강제한다는 점도 문제
거기다가 ISG 기능을 강제한다는 점도 문제다. ISG 옵션이 있는 거의 모든 차가 옵션 제공이 아닌 기본 제공이라서 해당 사양을 아예 제외할 수 없다.

센터패시아나 센터 콘솔 등을 잘 살펴보면 ISG OFF 버튼이 존재한다. 이를 누르면 ISG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시적인 것으로, 시동을 껐다가 다시 켜면 다시 ISG가 강제로 활성화된다. 거기다가 ISG OFF 버튼이 없는 차도 존재한다.

팰리세이드 오토스탑 - paelliseideu otoseutab

배출가스 규제를
통과하기 위한 꼼수라는 비판
일부에서는 ISG 장착이 배출가스 규제를 통과하기 위한 제조사들의 꼼수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배출가스 규제가 대폭 강화된 유로 6부터 장착되는 사례가 늘어난 점, 차주들이 체감하는 효과는 적고 불편한 점이 늘어난 점, ISG 사용을 강제한다는 점을 근거로 들고 있다.

거기다가 소모품인 배터리를 더 비싼 돈을 주고 교체해야 된다는 점 때문에 배터리사의 비싼 배터리를 팔기 위한 고도의 협력 전략이라는 말도 나오고 있으며, 차 값 인상을 위해 차주들에게 쓸모없는 ISG를 장착했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팰리세이드 오토스탑 - paelliseideu otoseutab

반면 하이브리드 차에 있는
ISG 기능은 효과가 뛰어나다
앞에서 따로 하이브리드차의 ISG에 대해 언급은 하지 않았지만 하이브리드차는 ISG 시스템을 기본으로 한다. 저속에서 엔진을 멈추고, 고속에서 다시 엔진을 가동할 때 ISG 시스템이 관여하기 때문이다.

내연기관차의 ISG와 달리 하이브리드차의 ISG 기능은 연비 향상과 배출가스 감소 효과가 높다. 내연기관차는 정차 상태에서만 작동하지만 하이브리드 차는 저속에서도 ISG가 어느 정도 유지되기 때문이다. 특히 엔진 정지가 유지되는 저속 주행이 반복된다면(정체 등) 배터리 충전량이 받쳐주는 한도 안에서 엔진 정지가 계속 유지된다.

팰리세이드 오토스탑 - paelliseideu otoseutab

엔진 정지 시간이 내연기관차보다 훨씬 길기 때문에 ISG 장점이 극대화된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단거리 주행에서는 아예 엔진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내연기관차보다 가격은 비싸지만 장기간 운전할 경우 그 값어치는 충분히 해낸다.

이 때문에 연료 소모 감소와 배출가스를 잡으려면 내연기관에 ISG를 장착하는 것보다 하이브리드 차 보급을 늘리는 것이 훨씬 낫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물론 내연기관 ISG도 아이디어 자체는 좋지만 불편함을 느끼는 차주들이 많은 만큼 개선은 필요해 보인다. 오토포스트 이슈플러스였다.

[email protected]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