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 먹으면 증상 - nong-yag meog-eumyeon jeungsang

농약중독의 진단

노출력(history of exposure) : 농약중독의 진단시 가장 중요한것은 약물 중독의 가능성에 대한
의심이다. 급성 중독의 경우 환자 자신 혹은 보호자가 이에 합당한 증언을 해주므로 별 문제가
없으나 살포후나 반복적인 노출에 의해 중독 증세를 보일때에는 의사가 중독의 가능성을 판단해
야 한다. 농약 살포후에 두통, 무력증, 오심, 구토 등의 증세가 발생하였다고 하면 단순한 감기
몸살이나 렙토스피로시스증, 쭈쭈가무쉬증, 유행성 출혈열 등의 가능성과 함께 농약 중독증을 의
심해볼 필요가 있다. 환자가 과거에도 여러번 같은 약을 별 문제 없이 사용한 일이 있는 경우에
도 중독증세가 발생할수 있음을 설명해야 한다. 약의 살포 후에 중독증세가 발생한 경우 사용중
이었던 약병, 혹은 음독한 경우 남은 약병을 조사하면 약의 성분 확인에 결정적 도움이 된다. 의
복이나 피부에 묻은 약물의 냄새나 색갈로 흔히 사용되는 농약을 추측할수 있는 경우도 있다. 제
초제 paraquat의 경우 자살목적으로 마시는 많은 환자에서 손톱 가장자리등 신체의 일부에 푸른
색을 띠는 원액을 발견할수있다.
전형적인 임상증세 : 노출력과 함께 전형적인 임상 증세가 나타나면 진단에 어려움이 없으나 노
출력이 불명한 상태로 전형적인 증세를 보일때 일단은 약물중독을 의심하면서 다른 질환을 감별
해야한다. 전형적인 anticholinesterase 중독증세를 보이는경우 atropine혹은 2-PAM을 사용하여
극적인 임상적인 호전을 보이면 이것만으로도 유기인제 중독의 진단을 내릴수 있다.
검사실 소견 : 약물 자체 혹은 이의 중간대사물을 증명하거나 독극물에 의해 특이적으로 변하는
효소를 측정하는것이 가장 확실한 진단법이 될수있다. 중금속제제, chlorinated hydrocarbon, 유
기인제, phenol제제, 2,4-D 나 diquat, paraquat등의 제초제, hexachlorobenzene등은 정상 건강
인(general population)의 참고치가 알려져있어 의심되는 환자에서 진단에 도움이 된다. 유기인
제나 카바메이트계 중독의 경우 적혈구 혹은 혈장내 cholinesterase 를 측정하는것이 유용하다.
그러나 이들 검사법은 복잡하고 어려워 실제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노출
력이 확실치 않고 확진이 꼭 필요한 경우에는 혈액, 소변, 지방(fat tissue)등을 채취하여 적절
한 검사를 시행하는것이 원칙이다.

농약중독의 치료

독극물의 제거
A. 피부 세척 : 신체로부터 아직 흡수되지 않은 약물을 제거하는것은 소홀히 하기 쉽지만 아주
중요하다. 비록 증세가 약하거나 중독이 확실치 않아도 의심스러운 경우에는 피부를 포함한 신체
의 모든 부분에서 약물을 씻어내야 한다. 간혹 옷에 약물이 젖어있는 경우도 있어 응급실에서 모
든 옷을 벗기고 의심되는 부위는 비누로 빨리 씻어내야한다.

B. 안구 세척 : 독극물은 대게 각막을 자극하고 염증을 유발할뿐 아니라 쉽게 흡수될수도 있어
어떤종의 독극물도 눈에 묻었을때에는 많은 물 혹은 주사용 생리적 식염수로 씻어야한다. 수돗
물이 있을때는 흐르는 물에 우선 얼굴과 눈응 씻은다음 위 아래 눈껍질을 교대로 깐 상태로 물
을 흘러내린다.

C. 구토(emesis) : 대부분의 약제는 음독후 즉시 토하는것이 좋다. 단 의식이 명료치 않거나 신
경학적인 장애로 구토중 위 내용물이 기도에 들어갈 가망이 있을때에는 구토를 유도해서는 안된
다. 구토를 유발시키는 방법으로는 환자 자신으로 하여금 구역질을 하도롯 하는 방법이 있으나
여의치 않을때는 소금을 한 숫갈 먹여 위 벽을 자극할수도 있다.

D. 위세척 (lavage) : 약제에 따라 위에 머무는 시간이 약간씩 다를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2 시간
이 경과하면 위세척의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환자의 머리를 뒤로 젖혀 입이 기도(trachea)보
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다. Tube에 윤활제(lubricate)를 바르고 식도에 넣은다음 성인의 경우
50 cm정도 진행시킨다음 청진기를 위장 부위에 대고 tube끝에서 주사기로 빠른 속도로 공기를
주입하여 꼬로록 소리를 들어 tube가 위장 내에 적절히 위치한것을 확인한다. 물이나 생리적 식
염수를 주입한후 다시 배설시키거나 빨아내기를 반복하는데 한번에 300 ml 이상의 물이나 식염수
를 주입하면 소장으로 배출되는 양이 많아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위새척을 위한 tube는 직경
이 16 mm 이상으로 둥글면서 끝이 약간 딱딱하고 옆에 큰 구멍이 하나 이상 있어야 한다.

E. 장 세척 : 많은 약물이 위에서 장으로 내려가 상당시간에 걸쳐 머무르면서 흡수된다. 약물 중
독환자의 대변에 상당량의 독극물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약물을 음독한 경우에는 적절
한 하제(athratics)의 사용이 필요하다. 장운동을 촉진하거나 내용물을 묽게 하는 다양한 종류
의 하제가 있지만 효과가 빠르면서 복통을 유발하지않고 불쾌감이 적은 cathartics가 선호되고
있다.

1). Stimulant cathartics

a). Mineral oil emulsion : 장의 emptying time 에는 큰 영향을 주지못하며 수분의 재흡수를 막
고 장내에서 lubrication작용을 촉진할뿐이다. 지용성(fat soluble)약물을 용해시킬 가능성 때문
에 이들 종류의 약물 치료에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보통 30 ml(Oil 15 ml )의 emulsion이 사용
된다.

b). Caster oil : Ricinoleic acid의 triglyceride로 장내에서 intestinal lipase에 의해 자극성
이 강한 ricinoleic acid로 분해되어 주로 소장의 장운동이 촉진된다. 보통 15 ml를 투여하며 투
여후 2-6시간후에 장 세척효과가 완료된다.

c). Osmotic cathartics : 위세척이 완료되면 즉시 Magnesium sulfate(15g), Magnesium oxide(4
g), Magnesium carbonate(8g), Magnesium hydroxide(milk of magnesia tablets 0.3g), Sodium
sulfate(15g), Sodium phosphate(4g) 등을 300 ml의 물에 녹여 위세척을 실시했던 tube를 통하
여 주입한다. 이들은 흡수가 느려 osmotic action에 의해 위내용물이 많아지고 이 결과 장이 자
극된다(bulk stimulates peristalsis). 빠르면 30분에 효과가 시작되나 수 시간이 경과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Magnesium제를 사용할경우 이들의 일부가 흡수되어 신장을 통하여 배설되며 이때
이뇨작용이 일어날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보존적 치료(supportive Treatment)
A. 기도확보(maintenance of air way) : 환자를 눕히고 고개를 뒤로 젖힌다음 입을 벌려 입안에
있는 이물을 손가락이나 설합자로 깨끗이 제거한다.
B. 인공호흡(artificial respiration) : 약제에 따라 특히 organic phosphorus제의 경우 기관지
수축이나 분비물 증가로 인해 위세척 등의 처치보다도 선행하여 인공호흡이 필요한경우가 있다.
장비가 없을때는 mouth to mouth 호흡법이 도움이 된다.

C. 산소 공급 : PaO2가 60mmHg 이하이거나 PaCO2가 50 mmHg 이상이면 산소주입이 필요하다. 약물
중독에서 특히 산소주입이 필요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폐부종, 폐렴
2). 기도 폐색, 기도 과다 분비
3). 호흡근 마비
4). Hemoglobin기능의 이상(용혈, methemoglobinemia)
5). 쇽, 저혈압, 심부전증

산소 주입시에는 항상 O2 toxicity 발생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100% O2를 사용할때는 하루에 4
번씩 1 시간 가량 실내 공기로 대체해야 한다. Tent, face tent, mask등 어떤것을 사용할수 있으
나 주입시에 기도 점막이 마르지 않도록 가습(humidify)해야 한다.

D.수액 욧법, 수혈(Infusion, Transfusion).

1). Infusion : 많은 약제들이 구토, 설사, 분비물 과다, 체내 수액 분포의 불균형 등을 초래하
여 수액의 투여가 필요하나 폐부종이 있을때에는 극히 조심하여야 하며 이떼에는 초기 12시간 내
에는 수액의 투여를 피하는것이 좋다. 수액은 sodium, potassium, magnesium, bicarbonate등이
포괄적으로 함유된 balanced electrolyte solution이 좋으며 수액의 형태는 혈장의 보충을 위한
경우에는 isotonic solution을, 일반적으로는 성인의 경우 체표면적당 1500ml/m2의 hypotonic
solution이 필요하다.

2). 수혈(Whole blood exchange transfusion) : 약물중독에서 교환 수혈의 의미는 phenol이나
mercury등의 중독처럼 혈액내의 약물 농도가 다른 조직에 비하여 높을때 용하다. 85%의 피를 교
환하기 위해서는 체중당 85ml/kg의 두배를 수혈해야 한다[2 x (85 ml/kg)].

약물 중독의 혈액투석 치료 :
농약중독환자에서 혈액투석의 목적은 급성 신부전으로 뇨독증이 심할때, 폐 울혈, 산 염기 불균
형, 전해질 이상 등이 있을때 적응이 되지만 이외에 약물의 체외 배설을 촉진하기 의한 방법으
로도 고려될수 있다. 뇨독증, 폐 울혈, 산 염기이상, 전해질 이상의 경우 혈액 투석의 적응증
및 술은 급, 만성 신부전 환자에 대한 투석과 차이가 없으며 본란에서 자세한 기술은 생략하고
약물의 제거를 위한 투석치료에 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농약중독환자에서 약물배설에 관련된 pharmacokinetic data를 얻기가 쉽지 않은데 그 이유는 일
반적으로 약물의 음독시간 및 음독양의 정확한 산정이 불가능하고 혈중 농도와 중독증가 일치하
지 않으며 신장이나 간장처럼 주요 배설기관이 처음부터 손상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
서 모든 약물중독의 치료에서 가능한 한 빨리 독극물을 체외로 배설시키는것이 치료의 기본임을
고려할때 혈액투석은 경우에 따라서 유용한 방법이 될수 있다. 약물의 투석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대별하여 다음과 같이 dalysis-related factor 와 drug-
related factor로 나눌수 있다.
A. Dalysis-related factor

1). Dialyzer membrane characteristics
2). Surface area
3). Blood and dialysat flow
4). Degree of ultrafiltration
5). Duration of dialysis

B. Drug-related factor

1). Size(M.W. <500) 2). Water solubility 3). Distribution volume 4). Rate of rom tissue to blood 5). Protein binding Distribution volume이 방대하여 수십 litter 이상이 되면 어떠한 형태의 투석도 효과적이지 못 하다. 또한 수용성이 아니거나 단백과 결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투석에 효과가 없다. Dalysis의 종류에는 일반적인 혈액투석과 High-flux HD 혹은 hemoperfusion, 그리고 복막투석 이 있으나 약물 제거목적으로는 High-flux HD 혹은 hemoperfusion이 사용될수 있다. 대부분의 농 약이 투석과 연관된 " Drug-related factor" 에 대한 정보가 없어 투석의 유용성을 결정하기 가 어렵다. 필자는 급성 중독의 경우 그 약제의 독성이 WHO 2급 이하 일때에는 High-flux HD 혹은 hemoperfusion을 이용한 투석을 선호하고 있다. Hemoperfusion은 약물이 지용성이거나 단백과 결합하는 경우는 물론이고 분자량 이 비교적 큰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수 있다. Hemoperfusion은 혈액응고나 알러지 반응의 발생이 높아 신장내과 의사와 긴밀한 협조하에서만 시행되어야 한다. Hemoperfusion에 의해 제거가능한 약물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Barbiturates Herbicides Hypnotics diquat Sedatives paraquat Tranquilizers Analgesics Insectcides Antidepressants parathion Antimicrobials organophosphates Anticancer Cardiovascular Solvents, gases digoxin carbon tetrachloride diltiazem ethylene oxide procainamide trichloroethanol quinidine 안정제(sedative) 사용 : 많은 종류의 농약들이 경련을 일으킨다. Chlorinated hydrocarbon처럼 약물이 직접적으로 신경계 통을 자극하는 경우에는 항 경련제의 투여가 선호되지만 organic phosphorus제 처럼 저산소증에 의한 경우에는 조심스럽게 안정제를 고려해볼수 있다. 각성제의 사용(stimulants ): 쇽이 동반되거나 신경계 억압, 호흡중추 억제 의 경우에 사용된 다. a). Epinephrine(0.5mg intramuscularly or subcutaneously), b). Dopamin(2.5ug/kg/min), c). Analeptics : Nikethamide(500mg) intravenous 진토제 사용(antiemetics ): 오심, 구토가 심한경우 scopolamine hydrobromide, antihistamine 등의 antiemetics를 사용할수 있다. Barbiturate 나 phenothiazine(25-50mg every 4 hour) 등도 사용할수 있는데 후자의 경우 는 organic phosphorus환자에서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Steroid : 부신피질 홀몬은 약물중독 자체를 치유하는 작용은 없지만 다음의 경우에 사용될수 있 다. 1). 쇽 이 심할때 2). 저 체온 상태 3). 폐부종 항생제 : 예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이차감염증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선별적으로 사 용한다. 농약중독환자의 간호 : A. Vital sign의 감시 : 호흡, 맥박, 혈압, 체온, 의식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해야 한다. 특히 호흡부전이 갑자기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를 해야한다. B. 의식불명환자의 기도관리 : 30분마다 기도 혹은 endotracheal tube를 suction해야 한다. 수 시로 모통을 굴려 욕창과 폐의 염증 발생을 예방한다. C. 체온조절 : 체온(rectal temperature)이 29.5oC 이하로 내려가면 heating pad를 대주고 담요 를 덮어서 몸을 덮혀야 한다. Antidotes : Detoxifying or Neutralizing Antidotes, Pharmacological antidote, Specific antidote등으로 대별할수 있다. 1). 제독 및 독성의 중화를 위한 약물 (Detoxifying or Neutralizing Antidotes) 대게 흡수가 되지 않으며 독극물을 흡착하여 배설을 촉진하게 된다. 중독 초기에 사용되는게 보 통이나 enterohepatic circulation을 하는 약물은 cholestyramine을 투여하여 대변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A. Activated Charcoal : 도극물을 표면으로부터 흡수한다. Charcoal이 그 역할을 잘 하기위해서 는 우선 신선한 charcoal을 사용해야 한다. 포장이 안된 상태로 오래 보관된 경우에는 수증기가 포화상태로 흡수되어 효과가 감소한다. 약물에 따라 흡착되는 양이 다른데 mercury, strychnine, nicotine, arsenic, phosphorus, parathion-등이 특히 효과가 우수하다. 많은 독극 물에 대해서 흡착정도에 대한 연구가 없지만 의심이 되는 환자에서는 사용을 망설일 필요가 없 다. 그러나 독극물의 antidote와 함께 구강내 투여는 금기이다. pH의 변화는 이온화된 화학물질 의 흡착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독극물의 dissociation을 감소시키는 pH에서는 흡착은 항진 된다. 불행히도 charcoal의 흡착력은 위액이나 장액게 노출되면 반감된다. 임상에서 charcoal 의 적정양을 추측하기는 쉽지 않으나 charcoal은 해가 없으므로 많은 양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실험동물을 대상으로한 연구에서는 약제에 따라 다르나 4-6gm이상이 추천되고있다. B. Cholestyramine : 농약중에서 Cholestyramine이 치료에 도움이 되는경우는 Chlordecone 에 의 한 경우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이 계통의 농약이 사용되지 않는다. C. Universal Antidote : Activated charcoal : magnesium oxide : tannic acid = 2 : 1 : 1 로 혼합되어있다. Charcoal은 위에서 언급한바와 같이 general adsorbent이고 magnesium oxide는 acid를 중화하면서 cathartic의 역할을 하며 tannic acid는 metal이나 alkaloid를 침착시킨다. D. 계란 흰자와 우유(Egg White and Milk) : Protein은 metal과 반응한다. 또한 산과 알카리를 중화하는 작용도 있다. 농약중독의 응급처리로 농촌에서 흔히 소금을 먹이고 토하게 하는 경우 가 있는데 위를 자극하여 구토를 유발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장으로 유입되는 약물의 양이 증가 할 위험이 있다. 우유나 계란 흰자를 마시게하고 손가락을 목에 넣어 구토를 유발하는것이 좋은 방법이다. E. Acid and Alkaly : Acid는 alkaly를, 또한 alkaly는 acid를 중화한다. 산을 먹은경우에는 magnesium이 첨가된 우유(3-4 숫갈)나 magnesium oxide(20gm)을 먹인다. Baking soda나 carbonate는 사용해서는 안되는데 이들은 carbon dioxide를 생성하여 복부 팽만을 야기하고 심하 면 파 장파열이 올수도 있다. 눈이나 피부에 acidsk alkaly 가 묻었을때도 즉시 중하시키는것이 필요하다. F. Iodine Tincture : 물 반컵에 15 방울을 가하여 마시면 alkaloid를 침착시킨다. G. Potassium Permanganate : 이는 강력한 산화제로 alkaloid, glycoside, cyanide, 기타 약간 의 organic poison을 중화시킬수 있다. 불행히도 위액과 혼합된상태에서는 그 효과가 반감된다. 따라서 구토를 한 후에나 위 세척이 완료된 시점에서 1 : 2000 solution을 구강내로 주입하는것 이 효과적이다. H. Prussian Blue : Hydrated ferric ferrocyanide로 thallium poisoning에 특히 유효하다. 2). Pharmacological Antidotes : 직접적으로 독극물과는 작용을 하지는 않으면서 독극물에 반대 의 작용을 나타내는 약제들이 이 범위에 속하게 된다. A. Atropine Sulfate : Organic phosphorus제나 carbamate제 등의 anticholinesterase의 pharmacological effect를 block한다. 자세한 내용은 Organic phosphorus제의 치료 난에서 기술 한다. B. 항경련제 : 농약 중독에서 항경련제, 특히 barbiturate는 항 경련 작용 이외에 microsomal enzyme을 활성화 한다. 1). Pentobarbital sodium : Short-acting barbiturate로 chlorinated hydrocarbon insecticide 의 치료에 효과적이다. 50mg/ml solution을 사용하며 혈관내주입은 어른에서 100mg, 어린이의 경 우 50 mg을 사용한다. 수분내에 효과가 없으면 반복하여 주사할수 있는데 총 양이 7 mg/kg of body weight 를 넘지 않도록 한다. 2). Phenobarbital : Long acting barbiturate로 sedation이나 enzyme induction을 위해 수일에 서 수주동안에 걸쳐 사용할수 있다. liver enzyme induction을 위해서는 1 mg/kg/day이면 충분 한것으로 알려져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6 mg/kg of body weight 를 넘지 않는게 좋다. 3). Diazepam : 5-10mg을 10-15분 간격으로 정맥주사할수 있다. 그러나 총 양이 하루 30 mg을 초 과하지 않는것이 좋다. 4). Carbamazepine : 하루 800-1200mg을 사용할수 있다. Chelating agents Chelation 이라는 말은 히랍어의 hele 에서 유래한것으로 이는 새의 발톱 혹는 게의 집게발이 라는 의미이다. 대게 polyvalent metal과 결합하여 흡착할수있는 모든 물질을 통합적으로 의미한 다. 이때 결합 bond는 atom, ion, 혹은 molecule 일수 있는데 생체에서는 흔히 sulfur(-SH), nitrogen(-NH2), oxygen(-OH, -COO, -PO4H2) 등이다. 생체에서 자연적으로 존제하는 chelating agent로는 protoporphyrin lll(ferrous ion), vitamin B12(cobalt), cytochrome oxidase(iron and copper), Chlorophyll(magnesium) 등이 있다. Heavy metals의 독작용은 효소나 조직의 -SH group에 결합하여 유발되는데 chelating agent가 이들을 결합하면 배설이 그만큼 용이해진다. 제 제에 따라 흡착하는 물질이 약간씩 차이가 날수 있다 A. Domercaprol : BAL(British Anti-Lewisite) : 전쟁에서 사용되는 독가스인 b- chloroethyldichloroarsine(Lewisite)치료목적으로 1945년대에 개발되었다. Cysteine이나 glutathione처럼 thiol 기를 갖고있는 아미노산 group은 thioarsenites를 구성하여 arsenoxide 의 독성을 감소하는데에 착안하여 인위적으로 thiol기가 2개(dithiols 형태) 함유된 분자를 합 성한것이다. Calcium, Arsenic, mercury, gold, antimony, chromium, bismuth, nickel, copper 등의 중독에 효과가 좋으나 selenium, cadmium, iron 중독에 사용하면 는 효과가 없고 더욱 해롭 다. BAL 자체가 독극물일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실험동물에서 근육주사시 LD50은 약 50- 100 mg/kg이다. 보통 인체에서 치료목적으로는 2.5 mg/kg을 4 시간마다 2일간 중복 투여하는것 이 추천되고 있다. Mercury중독의경우에는 신장의 손상을 피하기 위하여 초기에 5mg/kg 를 주고 12시간마다 2.5mh/kg를 10일간 투여하는것이 좋다. 부작용으로 근육통, 허약감, 빈맥, 고혈압, 오심, 구토, 피부 이상감각, salivation등이 주사후에 발생할수 있으나 수시간 후에 소실되는것 이 보통이다. B. Edetate Calcium Disodium :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1935년부터 염색공장에서 분석시약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었는데 혈중 calcium농도가 떨어지는것이 알려지면서 chelating agents로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최근 흔히 사용되는 calcium disodium edetate(CaNa2 EDTA)는 혈중 calcium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임상적으로는 1952년도에 납중독치료에 사용된것이 처음이다. 현제에도 급 만성 납중독의 치료 에 가장 효과가 탁월한 chelating agents로 납의 배설을 40배까지 촉진한다. 납 이외에도 cadminum, chromium, copper, manganes, nickel, zinc등의 중독에도 유효하다. 성인에서는 1 gm 을 250ml의 5% D/S 혹은 생리적 식염수에 가하여 1 시간 이상에 걸쳐 하루 2회, 3-5일간 주입한 다. 부작용으로는 투여후 수시간내에 시작되는 malaise, 허약감, 목마름, 열, 오한, 근육통, 두 통, 오심, 구토 등이 있다. C. Dithiazone : Dithiazone diphenylthiocarbazone Cobalt, lead, mercury등에 효과적이다. D. Penicillamine Copper 제거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부작용으로 피부 발진, 과민반응 등이 있다. 250mg capsule을 하루 4회 복용하며 경우에 따라 하루 4-5 gm까지 사용할수 있다. 효과는 뇨중 copper를 측정하여 평가한다. Specific Antidotes : A. Cyanide 중독 1). Amyl nitrate : 휴발성이 강한 액체로 쉽게 부서지는 0.18-0.3ml 용기에 담겨서 공급된다. 사용시에는 이 용기 하나를 손수건으로 싸서 으깬다음 환자의 코에 대서 환자가 이를 흡입하도록 한다. 이 치료는 응급느로 사용할수있는 장점이 있으나 곧 이어 sodium nitrate를 혈관주사해야 한다. 2). Sodium Nitrite : 300 mg(10 ml 0f a 3 % solution)을 2.5-5 ml/min 의 속도로 정맥주사한 다. 주입이 끝나면 바로 이어서 sodium thiosulfate를 주입한다. 3). Sodium thiosulfate : Cyanide는 thiocyanate로 변화되어 해독된다. 조직중에도 미량의 sulfur기가 있으나 양이 적어 밖에서 공급해줘야 한다. 25% 용액 50ml를 분당 5분에 걸쳐 정맥주 사한다. 37.5 gm이상이 주입되도록한다. 4). Oxygen : 산소를 공급의 일반적인 의미는 저 산소증을 교정하는것이지만 antidote의 개념으 로 산소를 주입하는경우는 대표적인 경우가 일산화산소 중독증과 cyanide중독이다. 일산화산소 가 hemoglobin으로부터 해리되는 율은 혈장내 산소분압과 비례한다. 그뿐아니라 혈장내 산소분압 이 높으면 조직으로 산소의 전달이 증가하게된다. Cyanide의 중독증에 산소주입이 유효한 기전 은 확실치 않으나 동물실험에서 그 효과는 확실히 증명되어있다. B. Calcium Calcium은 혈중 농도가 감소되어있을때 이를 보충하여주는 의미가 있으나 DDT중독의 경우 혈중 농도가 감소되어있지 않은 상황에서도 DDT중독증세를 개선한다. 이는 아마도 신경절 표면의 안정 화(stabilize)에 기여하기 때문일것으로 추측된다. 다른 독극물의 중독에서는 얼마나 유효할지 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있지 않으나 일부 독극물학자들은 DDT 이외의 다른 chlorinated hydrocarbon계 약물에 효과가 있을것으로 믿고있다. Calcium Gluconate가 가장 흔히 사용된다. 10% solution 10 ml (1000mg)을 천천히 정맥주사한다. 총 양은 상태에 따라 다르며 경련이 조절 될때까지 40-50mg/kg를 주입한다. 후에는 혈중농도를 측정하면서 0.3% 용랙으로 점적 정맥주사한 다. 구강투여제가 있으나 응급치료에는 사용지 않는다. C. Vitamin K Dicoumarin, indanedione등의 항 응고제 중독과 salicylates, phenylbutazone, quinine, quinidine, sulfonamide, barbiturates등의 과다 투여에의하여 초래된 출혈 에 사용된다. Phytonadione 은 vitamin K 의 자연 형태로 5% D/W에 첨가하여 10-50 mg을 분당 5mg/min을 초과 하지 않는 속도로 정맥주사한다. 이후에는 prothrombin time을 기준으로 주입한다. D. Oximes : Acetylcholinesterase ("유기인제 중독 치료 " 참조) 농약 중독환자에서 발생하는 급성 호흡 부전의 치료 약물중독에서 호흡부전은 흔히 접하는 문제로 특히 농약 중독에서 호흡부전의 원인은 다음과 같 이 구별할수 있다. 1. 기도내 저항의 증가: 경련, 분비물 증가, 이물질 흡인등으로 인한 기도폐쇄 2. 폐 실질 손상에 따른 폐유순도 감소 : 흡인성 폐렴, 급성폐손상, 섬유화 3. 심폐 혈관 장애 : 심인성 폐부종, 폐전색증 4. 호흡 신경장애 : 호흡 중추신경, 호흡 말초신경 장애 5. 호흡근 마비 : 횡경막, 늑간 근육 장애 이를 기능적인 측면에서 구별하면 산소부전(oxygenation failure)과 환기부전(ventilation failure)으로 나눌수 있다. A. 산소부전(Oxygenation failure): 저산소증이 초래되는 병태생리적 기전은 다음과 같다. 1). 환기-관류 불균형(Ventilation-perfusion mismatch) 2). 우-좌 폐단락(Right-Left intrapulmonary shunt) 3). 확산능저하 (alveolar capillary membrane에서의 Diffusion 장애) 4). 폐포 저환기(Alveolar hypoventilation) *Alveolar oxygen tension(PAO2) = (PB-PH2O)(FIO2)-(PaCO2)/R PB= 대기압(760 mm Hg at sea level) PH2O = 수증기 분압(47 mm Hg) FIO2 = 흡기내 산소분압 R = 호흡상수(폐에서 O2 uptake 가 CO2 elimination 보다 정상적으러 많아 교환율이 0.8 이 되지만 혈액투석중이거나 섭취하는 음식의 성분상의 차나 열량소모정도에 따라달라질수 있다. 이 때는 배출되는 가스를 직접 채취하여 직접 측정하는것이 정확하다. *Alveolar-Arterial Oxygen Tension Difference : P( A-a)DO2 정상치는 15 mmHg 이하이나 고령 에서는 30 mmHg 까지 증가될 수 있으며 상기한 폐환기-관류 부조화나 폐확산능 저하 및 폐단락 에서는 이 수치가 증가하여 대기호흡중에 이값이 60 mmHg 이상이면 심각한 정도의 폐단락이 존재 하는 것을 의미하여 예후가 좋지 않다. B. 환기 부전( Ventilation failure) : 체내에서 형성된 이산화탄소가 적절히 배출하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산혈증 및 저산소증이 초래되는 상태로 다음과 같은 원인이 있다. 1). 호흡 사강(physiologic dead space)의 증가 : 폐실질이 광범위하게 손상되어 상대적으로 관 류가 환기에 비해 적어지거나 기능성잔기용량의 감소로 효율적인 폐포환기가 이루어지지 못할 때 볼 수 있다. 2). 분당환기량(Minute ventilation)의 감소 : 호흡 중추신경이나 혹은 호흡근의장애등에 의하 여 발생되거나 효율적인 폐포환기가 이루어지지 못할 때 볼 수 있다. 3). 조직에서의 이산화탄소 합성이 폐포환기를 통한 배출량보다 많을 때 일부 이산화탄소의 증가 를 볼 수 있으며 고열, 경련, agitation, irritability, fighting등이 심할 때 볼 수 있다. 자료제공 : 순천향천안병원 농약중독연구소

농약 먹으면 증상 - nong-yag meog-eumyeon jeungsang

ad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