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쉐어 금지 - nespeulligseu sweeo geumji

생존 이야기/시사, IT, 생활정보

넷플릭스 공유 금지? 따로 떨어져사는 가족도 해당될까?

곰같은 남자 2022. 3. 23. 15:07

넷플릭스는 하나의 계정으로 최대 4인까지 공유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최근 플랫폼의 수익과 구독자 수가 증가가 둔화되면서 넷플릭스 계정의 공유 금지를 준비하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친구 사이는 물론, 떨어져 사는 가족도 해당될 것으로 보이는데 관련 내용에 대해서 적어보려 합니다. 아래 글의 원문 출처는 하단에 링크로 첨부하도록 하겠습니다. 

넷플릭스 공식 블로그 내용

공유 금지 관련 발표는 22년 3월 16일 Paying to Share Netflix Outsid Your Household라는 제목으로 넷플릭스 블로그에 게재되었습니다. 가족 간의 공유는 허용할 것 같은 제목이지만 세부 내용을 보면 그렇지는 않습니다.

블로그 내용에 따르면 칠레와 코스타리카, 페루의 스탠더드(2인 동시 청취 가능), 프리미엄(4인 동시 청취 가능) 멤버십 회원은 함께 살지 않는 최대 2명의 계정을 추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원문은 Members on our standard and premium plans will be able to add sub accounts for up to 'two people they don't live with'라고 표현되어있네요.

따로 거주하더라도 가족 간은 공유 금지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이야기는 없었습니다. 즉 가족이어도 따로 살면 추가 계정 금액을 지불해야 하고, 친구라도 함께 살면 추가 계정 비용을 낼 필요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계정 추가 시 금액은?

칠레, 코스타리카, 페루에서 시범적으로 운영을 시작했는데, 하나의 계정을 추가할 때마다 칠레와 코스타리카는 2.99달러, 페루는 7.9 솔(페루 화폐단위 약 2.09달러)을 추가로 지불해야 합니다. 기존 구독 비용 대비 어느 정도 상승한 것인지 확인하고 싶어 구글링을 해보니 2022년 3월 15일 comparitech라는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칠레 넷플릭스 구독료 : 스탠더드 9.91달러, 프리미엄 12.74달러

코스타리카 넷플릭스 구독료 : 스탠더드 12.99달러, 프리미엄 15.99달러

페루 넷플릭스 구독료 : 스탠더드 8.55달러, 프리미엄 11.00달러 

위의 구독료를 기준으로 계산을 해보니 하나의 계좌를 추가하면 스탠더드 기준으로 약 30%의 비용을 추가로 지불해야 하며, 두 개의 계좌를 추가하면 60%의 비용이 추가됩니다. 적지 않은 인상률입니다.

위의 비율을 적용하여 넷플릭스가 대한민국 추가 계정 비용을 받는다면 비슷하게 올린다고 가정하면 스탠더드는 계좌 하나 추가 시 약 17,500원, 계좌 두 개 추가 시 21,500원 수준입니다.

계정 공유 금지는 어떤 방식으로 할까?

어떠한 방식으로 계정 공유를 방지할지는 정확하게 확인되지 않았지만,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본인 인증이나, 메일을 통한 인증번호 방식을 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많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단순한 방법으로 할까 싶습니다. 이용자들에게 반감은 반감대로 사고, 효과는 별로 없을 것 같으니까요.

일단 메일 인증번호 방식은 공유자끼리 공동으로 사용하는 메일 주소를 사용하면 쉽게 봉쇄를 피해 갈 수 있습니다. 회원 가입 시 휴대폰을 통한 본인 인증 방식은 효율적이지 못합니다. 핸드폰 사용을 하지 않는 사람이나 핸드폰 보급률이 낮고 인터넷 인프라망이 완벽하게 구축되지 않은 나라의 잠재 고객은 모두 포기를 한다는 뜻이 될 수도 있으니까요. 

넷플릭스가 단순히 영화의 판권을 사 와 재생해주는 플랫폼이 아닌, 빅 테크 기업 중 하나이기 때문에 자신들이 개발한 알고리즘을 통해 계정 공유를 방지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넷플릭스 공유 방지 의도는 무엇일까?

결국은 수익률 개선과 성장이겠지요. 넷플릭스 서비스에 가입할 사람은 대부분 가입을 했기 때문에 점차 성장 동력이 둔화되면서 수익성 개선도 되지 않고 있습니다. 최근에 서비스 가격을 인상시켰지만, 투자자들은 아직도 구독 서비스를 통한 성장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최근 넷플릭스 주가도 크게 하락했습니다. 

넷플릭스 쉐어 금지 - nespeulligseu sweeo geumji
넷플릭스 주가

공유를 방지하여 유료 가입자를 늘리고 수익성을 늘린다는 아이디어는 좋지만, 기존의 방식에 적응한 사람들이 과연 얼마나 넷플릭스의 의도대로 따를지도 의문입니다. 요즘같이 OTT 시장과 스트리밍 서비스의 대체제가 많은 상황에서 말이지요. 또한 아무리 넷플릭스에서 공유 방지 알고리즘을 강화한다고 하여도 사람들은 분명 해결법을 찾아낼 것이라 생각합니다.

구독 서비스 모델로 성장해 온 많은 기업들 역시 한계점에 대한 고민을 갖고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현재 한계점에 봉착하여 문제의 최전방에 서있는 넷플릭스가 어떠한 방식으로 수익성을 개선하고 고객들의 반감을 사지 않으면서 헤쳐나갈지 기대가 됩니다. 

자료 출처 :

넷플릭스 공식 블로그 

About Netflix - Paying to Share Netflix Outside Your Household

Netflix is launching two new features to enable our members who share outside their household to do so easily and securely.

about.netflix.com

넷플릭스 쉐어 금지 - nespeulligseu sweeo geumji

넷플릭스 국가별 요금

Which countries pay the most and least for Netflix? - Comparitech

Over the last few years, we’ve regularl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library sizes and monthly costs of Netflix subscriptions around the world, often finding a huge disparity. The Swiss, in particular, have always had a raw deal. They pay more for their

www.comparitech.com

넷플릭스 쉐어 금지 - nespeulligseu sweeo geumji

넷플릭스 쉐어 금지 - nespeulligseu sweeo geumji

e글중심

가입자 감소와 주가 하락을 겪고 있는 넷플릭스가 계정 공유 제한을 예고했습니다. 넷플릭스는 월 1만7000원짜리 프리미엄 이용권 구매 시 최대 4명이 동시에 시청할 수 있도록 해왔습니다. 본래 같은 가구원끼리만 가능하지만, 이용자들은 지인이나 계정 공유만을 위해 모인 타인과도 함께 이용했습니다. 넷플릭스도 충성 고객을 잡기 위해 이를 암묵적으로 허용해왔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계정 공유가 제한될 전망입니다. 넷플릭스는 주주 서한에서 “콘텐트가 세계적으로 인기가 있지만 계정 공유 등으로 역풍을 만났다”고 밝혔습니다. 넷플릭스는 이미 지난 3월부터 페루·칠레·코스타리카 등 일부 국가에서 시행한 공유 제한 정책을 전 세계로 확대한다는 입장입니다. 해당 국가에선 동거인이 아닌 이들끼리 넷플릭스 계정을 공유해 사용할 경우 2~3달러의 추가 요금을 부과하고 있습니다.

# “공유되니 매달 사용한 건데….”

“넷플릭스 보는 이유가 계정 공유였는데 이거 없으면 이제 진짜 볼 이유가 없어지는 거지. 생각 잘해야 할걸?”

“계정 공유가 되니까 비싼 값에도 보려던 것이었는데 이젠 공유도 안 되니 볼 이유가 사라져버렸구나.”

# “최고 요금에 가족도 안 된다고?”

“넷플릭스 끊고 싶어도 공유한 친구들 때문에 안 끊고 유지하는 건데….”

“계정 공유하는 사람들이 다 모르는 사람과 1/n 하는 줄 아나 봄? 제일 높은 요금제 가입해서 주소 다른 가족과 공유하는 사람들은 내가 안 봐도 다른 사람들 보라고 계정 유지하는데 이러면 유지할 필요가 없는 거지.”

# “이랬다저랬다 피곤”

“처음부터 이렇게 홍보를 하지 말았어야지…. 화장실 들어갈 때 다르고 나올 때 다르다더니…. 사업 참 이상하게 하네.”

“뭔 회사 서비스 정책이 이렇게 왔다 갔다 해. 대안이 없으면 모를까….”

e글중심(衆心)은 ‘인터넷 대중의 마음을 읽는다’는 뜻을 담아 온라인 여론의 흐름을 정리하는 코너입니다. 인터넷(https://www.joongang.co.kr)에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