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nda 2022 간호진단 - nanda 2022 ganhojindan

< 과1. 건강 인식(Health awareness) >

- 여가 활동 참여의 감소(Decreased diversional activity engagement)

-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health literacy)

- 비활동적 생활양식(Sedentary lifestyle)

< 과2. 건강 관리(Health management) >

- 가출 시도의 위험(Risk for elopement attempt)

- 허약노인 증후군(Frail elderly syndrome)

- 허약노인 증후군의 위험(Risk for frail elderly syndrome)

- 운동 참여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exercise engagement)

- 지역사회 건강 부족(Deficient community health)

- 위험성 있는 건강 행위(Risk-prone health behavior)

- 비효과적 건강 유지 행위(Ineffective health maintenance behaviors)

- 비효과적 건강 자기 관리(Ineffective health self-management)

- 건강 자기 관리를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health self-management)

- 비효과적 가족 건강 자기 관리(Ineffective family health self-management)

- 비효과적 가정 유지 행위(Ineffective home maintenance behaviors)

- 비효과적 가정 유지 행위의 위험(Risk for ineffective home maintenance behaviors)

- 가정 유지 행위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home maintenance behaviors)

- 비효과적 보호(Ineffective protection)

< 과1. 섭취(Ingestion) >

- 영양 불균형: 신체 요구량보다 적음(Imbalanced nutrition: less than body requirements)

- 영양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nutrition)

- 불충분한 모유 분비(Insufficient breast milk production)

- 비효과적 모유수유(Ineffective breastfeeding)

- 모유수유 중단(Interrupted breastfeeding)

- 모유수유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breastfeeding)

- 비효과적 청소년 식생활 역학관계(Ineffective adolescent eating dynamics)

- 비효과적 유아 식생활 역학관계(Ineffective child eating dynamics)

- 비효과적 영아수유 역학관계(Ineffective infant feeding dynamics)

- 비만(Obesity)

- 과체중(Overweight)

- 과체중의 위험(Risk for overweight)

- 비효과적 영아 빨기-삼키기 반응(Ineffective infant suck-swallow response)

- 연하 장애(Impaired swallowing)

< 과2. 소화(Digestion) >

(현재 해당 과에 포함된 간호진단 없음)

< 과3. 흡수(Absorption) >

(현재 해당 과에 포함된 간호진단 없음)

< 과4. 대사(Metabolism) >

- 불안정한 혈당 수치의 위험(Risk for unstable blood glucose level)

-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Neonatal hyperbilirubinemia)

-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의 위험(Risk for neonatal hyperbilirubinemia)

- 간기능 장애의 위험(Risk for impaired liver function)

- 대사증후군의 위험(Risk for metabolic syndrome)

< 과5. 수화(Hydration) >

-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Risk for electrolyte imbalance)

- 체액 불균형의 위험(Risk for imbalanced fluid volume)

- 체액 부족(Deficient fluid volume)

- 체액 부족의 위험(Risk for deficient fluid volume)

- 체액 과다(Excess fluid volume)

< 과1. 비뇨기계 기능(Urinary function) >

- 장애와 관련된 요실금(Disability-associated urinary incontinence)

- 배뇨 장애(Impaired urinary elimination)

- 혼합성 요실금(Mixed urinary incontinence)

- 긴장성 요실금(Stress urinary incontinence)

- 긴박성 요실금(Urge urinary incontinence)

- 긴박성 요실금의 위험(Risk for urge urinary incontinence)

- 요정체(Urinary retention)

- 요정체의 위험(Risk for urinary retention)

< 과2. 위장관계 기능(Gastrointestinal function) >

- 변비(Constipation)

- 변비의 위험(Risk for constipation)

- 지각된 변비(Perceived constipation)

- 만성 기능성 변비(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 만성 기능성 변비의 위험(Risk for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 배변 참기 장애(Impaired bowel continence)

- 설사(Diarrhea)

- 기능이상을 유발하는 위장관 운동(Dysfunctional gastrointestinal motility)

- 기능이상을 유발하는 위장관 운동의 위험(Risk for dysfunctional gastrointestinal motility)

< 과3. 피부 기능(Integumentary function) >

(현재 해당 과에 포함된 간호진단 없음)

< 과4. 호흡기계 기능(Respiratory function) >

- 가스교환 장애(Impaired gas exchange)

< 과1. 수면/휴식(Sleep/Rest) >

- 불면증(Insomnia)

- 수면 박탈(Sleep deprivation)

- 수면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sleep)

- 수면 양상 장애(Disturbed sleep pattern)

< 과2. 활동/운동(Activity/exercise) >

- 활동 지속성 감소(Decreased activity tolerance)

- 활동 지속성 감소의 위험(Risk for decreased activity tolerance)

- 비사용 증후군의 위험(Risk for disuse syndrome)

- 침상 기동성 장애(Impaired bed mobility)

- 신체 기동성 장애(Impaired physical mobility)

- 휠체어 기동성 장애(Impaired wheelchair mobility)

- 좌위수행 장애(Impaired sitting)

- 기립수행 장애(Impaired standing)

- 이동 장애(Impaired transfer ability)

- 보행 장애(Impaired walking)

< 과3. 에너지 균형(Energy balance) >

- 에너지장 불균형(Imbalanced energy field)

- 피로(Fatigue)

- 배회(Wandering)

< 과4. 심혈관/호흡기계 반응(Cardiovascular/pulmonary responses) >

- 비효과적 호흡 양상(Ineffective breathing pattern)

- 심박출량 감소(Decreased cardiac output)

- 심박출량 감소의 위험(Risk for decreased cardiac output)

- 심혈관 기능 장애의 위험(Risk for impaired cardiovascular function)

- 비효과적 림프부종 자기 관리(Ineffective lymphedema self-management)

- 비효과적 림프부종 자기 관리의 위험(Risk for ineffective lymphedema self-management)

- 자발적 환기 장애(Impaired spontaneous ventilation)

- 불안정한 혈압의 위험(Risk for unstable blood pressure)

- 혈전증의 위험(Risk for thrombosis)

- 심장조직 관류 감소의 위험(Risk for decreased cardiac tissue perfusion)

-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Risk for ineffective cerebral tissue perfusion)

-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Ineffective peripheral tissue perfusion)

-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의 위험(Risk for ineffective peripheral tissue perfusion)

- 기능이상을 유발하는 호흡기 제거 반응(Dysfunctional ventilatory weaning response)

- 기능이상을 유발하는 성인 호흡기 제거 반응(Dysfunctional adult ventilatory weaning response)

< 과5. 자기돌봄(Self-care) >

- 목욕 자기돌봄 결핍(Bathing self-care deficit)

- 옷 입기 자기돌봄 결핍(Dressing self-care deficit)

- 음식 섭취 자기돌봄 결핍(Feeding self-care deficit)

- 용번 자기돌봄 결핍(Toileting self-care deficit)

- 자기돌봄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self-care)

- 자기 무시(Self-neglect)

< 과1. 집중(Attention) >

- 편측성 지각이상(Unilateral neglect)

< 과2. 지남력(Orientation) >

(현재 해당 과에 포함된 간호진단 없음)

< 과3. 감각/지각(Sensation/perception) >

(현재 해당 과에 포함된 간호진단 없음)

< 과4. 인지(Cognition) >

- 급성 혼동(Acute confusion)

- 급성 혼동의 위험(Risk for acute confusion)

- 만성 혼동(Chronic confusion)

- 불안정한 정서 조절(Labile emotional control)

- 비효과적 충동 조절(Ineffective impulse control)

- 지식 부족(Deficient knowledge)

- 지식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knowledge)

- 기억 장애(Impaired memory)

- 사고 과정 장애(Disturbed thought process)

< 과5. 의사소통(Communication) >

-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 hanced communication)

-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Impaired verbal communication)

< 과1. 자아개념(Self-concept) >

- 절망감(Hopelessness)

- 희망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hope)

- 인간 존엄성 혼란의 위험(Risk for compromised human dignity)

- 자아정체감 혼란(Disturbed personal identity)

- 자아정체감 혼란의 위험(Risk for disturbed personal identity)

-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self-concept)

< 과2. 자아존중감(Self-esteem) >

- 만성적 자존감 저하(Chronic low self-esteem)

- 만성적 자존감 저하의 위험(Risk for chronic low self-esteem)

- 상황적 자존감 저하(Situational low self-esteem)

- 상황적 자존감 저하의 위험(Risk for situational low self-esteem)

< 과3. 신체상(Body image) >

- 신체상 혼란(Disturbed body image)

< 과1. 돌봄제공자 역할(Caregiving roles) >

- 부모 역할 장애(Impaired parenting)

- 부모 역할 장애의 위험(Risk for impaired parenting)

- 부모 역할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parenting)

- 돌봄제공자 역할 긴장(Caregiver role strain)

- 돌봄제공자 역할 긴장의 위험(Risk for caregiver role strain)

<과2. 가족 관계(Family relationships) >

- 애착 장애의 위험(Risk for impaired attachment)

- 가족 정체성 혼란(Disturbed family identity syndrome)

- 가족 정체성 혼란의 위험(Risk for disturbed family identity syndrome)

- 기능이상을 유발하는 가족 과정(Dysfunctional family processes)

- 가족 과정 중단(Interrupted family processes)

- 가족과정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family processes)

< 과3. 역할 수행(Role performance) >

- 비효과적 관계(Ineffective relationship)

- 비효과적 관계의 위험(Risk for ineffective relationship)

- 관계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relationship)

- 부모 역할 갈등(Parental role conflict)

- 비효과적 역할 수행(Ineffective role performance)

-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Impaired social interaction)

< 과1. 성 정체성(Sexual identity) >

(현재 해당 과에 포함된 간호진단 없음)

< 과2. 성기능(Sexual function) >

- 성기능 장애(Sexual dysfunction)

- 비효과적 성적 양상(Ineffective sexuality pattern)

< 과3. 생식(Reproduction) >

- 비효과적 임신 및 출산 과정(Ineffective childbearing process)

- 비효과적 임신 및 출산 과정의 위험(Risk for ineffective childbearing process)

- 임신 및 출산 과정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childbearing process)

- 모아 관계 장애의 위험(Risk for disturbed maternal-fetal dyad)

< 과1. 외상후 반응(Post-trauma responses) >

- 복잡한 이민 전환의 위험(Risk for complicated immigration transition)

- 외상후 증후군(Post-trauma syndrome)

- 외상후 증후군의 위험(Risk for post-trauma syndrome)

- 강간-상해 증후군(Rape-trauma syndrome)

- 환경변화 스트레스 증후군(Relocation stress syndrome)

- 환경변화 스트레스 증후군의 위험(Risk for relocation stress syndrome)

< 과2. 대처 반응(Coping responses) >

- 비효과적 활동 계획(Ineffective activity planning)

- 비효과적 활동 계획의 위험(Risk for ineffective activity planning)

- 불안(Anxiety)

- 방어적 대처(Defensive coping)

- 비효과적 대처(Ineffective coping)

- 대처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coping)

- 비효과적 지역사회 대처(Ineffective community coping)

- 지역사회 대처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community coping)

- 가족 대처 손상(Compromised family coping)

- 가족 대처 불능(Disabled family coping)

- 가족 대처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family coping)

- 죽음 불안(Death anxiety)

- 비효과적 부정(Ineffective denial)

- 두려움(Fear)

- 부적응적 슬픔(Maladaptive grieving)

- 부적응적 슬픔의 위험(Risk for maladaptive grieving)

- 슬픔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grieving)

- 기분 조절 장애(Impaired mood regulation)

- 무력감(Powerlessness)

- 무력감의 위험(Risk for powerlessness)

- 파워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power)

- 회복력 손상(Impaired resilience)

- 회복력 손상의 위험(Risk for impaired resilience)

- 회복력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resilience)

- 만성 비탄(Chronic sorrow)

- 스트레스 과다(Stress overload)

< 과3. 신경행동적 스트레스(Neurobehavioral stress) >

- 급성 약물 금단 증후군(Acute substance withdrawal syndrome)

- 급성 약물 금단 증후군의 위험(Risk for acute substance withdrawal syndrome)

- 자율신경 반사이상(Autonomic dysreflexia)

- 자율신경 반사이상의 위험(Risk for autonomic dysreflexia)

- 신생아 금단 증후군(Neonatal abstinence syndrome)

- 비조직적 영아 행동(Disorganized infant behavior)

- 비조직적 영아 행동의 위험(Risk for disorganized infant behavior)

- 조직적인 영아 행동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organized infant behavior)

< 과1. 가치(Values) >

(현재 해당 과에 포함된 간호진단 없음)

< 과2. 신념(Beliefs) >

- 영적 안녕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spiritual well-being)

< 과3. 가치/신념/행동의 일치성(Value/belief/action congruence) >

- 의사결정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decision-making)

- 의사결정 갈등(Decisional conflict)

- 자주적 의사결정 장애(Impaired emancipated decision-making)

- 자주적 의사결정 장애의 위험(Risk for impaired emancipated decision-making)

- 자주적 의사결정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emancipated decision-making)

- 도덕적 고뇌(Moral distress)

- 신앙심 손상(Impaired religiosity)

- 신앙심 손상의 위험(Risk for impaired religiosity)

- 신앙심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religiosity)

- 영적 고뇌(Spiritual distress)

- 영적 고뇌의 위험(Risk for spiritual distress)

< 과1. 감염(Infection) >

- 감염의 위험(Risk for infection)

- 수술 부위 감염의 위험(Risk for surgical site infection)

< 과2. 신체적 손상(Physical injury) >

- 비효과적 기도 청결(Ineffective airway clearance)

- 흡인의 위험(Risk for aspiration)

- 출혈의 위험(Risk for bleeding)

- 치열 장애(Impaired dentition)

- 안구 건조의 위험(Risk for dry eye)

- 비효과적 안구 건조 자기 관리(Ineffective dry eye self-management)

- 구강 건조의 위험(Risk for dry mouth)

- 성인 낙상의 위험(Risk for adult falls)

- 아동 낙상의 위험(Risk for child falls)

- 상해의 위험(Risk for injury)

- 각막 손상의 위험(Risk for corneal injury)

- 유두-유륜 복합적 손상(Nipple-areolar complex injury)

- 유두-유륜 복합적 손상의 위험(Risk for nipple-areolar complex injury)

- 요로 손상의 위험(Risk for urinary tract injury)

- 수술 중 체위와 관련된 상해의 위험(Risk for perioperative positioning injury)

- 열손상의 위험(Risk for thermal injury)

- 구강점막 통합성 장애(Impaired oral mucous membrane integrity)

- 구강점막 통합성 장애의 위험(Risk for impaired oral mucous membrane integrity)

- 말초신경혈관 기능 장애의 위험(Risk for peripheral neurovascular dysfunction)

- 신체적 외상의 위험(Risk for physical trauma)

- 혈관 외상의 위험(Risk for vascular trauma)

- 성인 욕창(Adult pressure injury)

- 성인 욕창의 위험(Risk for adult pressure injury)

- 아동 욕창(Child pressure injury)

- 아동 욕창의 위험(Risk for child pressure injury)

- 신생아 욕창(Neonatal pressure injury)

- 신생아 욕창의 위험(Risk for neonatal pressure injury)

- 쇼크의 위험(Risk for shock)

- 피부 통합성 장애(Impaired skin integrity)

- 피부 통합성 장애의 위험(Risk for impaired skin integrity)

- 영아돌연사의 위험(Risk for sudden infant death)

- 질식의 위험(Risk for suffocation)

- 수술 후 회복 지연(Delayed surgical recovery)

- 수술 후 회복 지연의 위험(Risk for delayed surgical recovery)

- 조직 통합성 장애(Impaired tissue integrity)

- 조직 통합성 장애의 위험(Risk for impaired tissue integrity)

< 과3. 폭력(Violence) >

- 여성 생식기 손상의 위험(Risk for female genital mutilation)

- 타인에 대한 폭력의 위험(Risk for other-directed violence)

- 자신에 대한 폭력의 위험(Risk for self-directed violence)

- 자해(Self-mutilation)

- 자해의 위험(Risk for self-mutilation)

- 자살의 위험(Risk for suicidal behavior)

< 과4. 환경적 위험(Environmental hazards) >

- 오염(Contamination)

- 오염의 위험(Risk for contamination)

- 직업적 상해의 위험(Risk for occupational injury)

- 중독의 위험(Risk for poisoning)

< 과5. 방어과정(Defensive processes) >

- 요오드성 조영제 부작용의 위험(Risk for adverse reaction to iodinated contrast media)

- 알레르기 반응의 위험(Risk for allergy reaction)

- 라텍스 알레르기 반응의 위험(Risk for latex allergy reaction)

< 과6. 체온조절(Thermoregulation) >

- 고체온(Hyperthermia)

- 저체온(Hypothermia)

- 저체온의 위험(Risk for hypothermia)

- 신생아 저체온(Neonatal hypothermia)

- 신생아 저체온의 위험(Risk for neonatal hypothermia)

- 수술 중 저체온의 위험(Risk for perioperative hypothermia)

- 비효과적 체온조절(Ineffective thermoregulation)

- 비효과적 체온조절의 위험(Risk for ineffective thermoregulation)

< 과1. 신체적 안위(Physical comfort) >

- 안위 손상(Impaired comfort)

- 안위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comfort)

- 오심(Nausea)

- 급성 통증(Acute pain)

- 만성 통증(Chronic pain)

- 만성 통증 증후군(Chronic pain syndrome)

- 분만 통증(Labor pain)

< 과2. 환경적 안위(Enviromental comfort) >

- 안위 손상(Impaired comfort)

- 안위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comfort)

< 과3. 사회적 안위(Social comfort) >

- 안위 손상(Impaired comfort)

- 안위 향상을 위한 준비(Readiness for enhanced comfort)

- 외로움의 위험(Risk for loneliness)

- 사회적 고립(Social isolation)

< 과1. 성장(Growth) >

(현재 해당 과에 포함된 간호진단 없음)

< 과2. 발달(development) >

- 아동 발달 지연(Delayed child development)

- 아동 발달 지연의 위험(Risk for delayed child development)

- 영아 운동 발달 지연(Delayed infant motor development)

- 영아 운동 발달 지연의 위험(Risk for delayed infant motor development)

- T. Heather Herdman, Shigemi Kamitsuru & Camila Takao Lopes. (2021). NURSING DIAGNOSES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2021-2023 (12th). Thie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