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동기 COP 기준 - naengdong-gi COP gijun

책에서 보면 냉동능력이란 냉동기가 단위시간 동안 증발기에서 흡수할 수 있는 열량이라고 하고 단위로는 kcal/h 및 냉동톤(RT)을 사용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증발온도가 고온(공조용)이면 1RT를 미국기준으로 증발기에서 흡수하는 열량이 3,024kcal/h 라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실무 현장에서는 압축기 1마력 (HP)를 사용하여 냉동기를 만들면 증발기에서 흡수하는 열량이 3,024kcal가 된다고 듣었습니다. 그런데 이것은 또 무엇인지 ?? 무척 이해하기기 힘든 부분이었습니다.ㅠㅠ

냉동기 COP 기준 - naengdong-gi COP gijun

냉동기 COP 기준 - naengdong-gi COP gijun

그래도 무식한 실무라서 무식하게 무작정 바라보옵니다.ㅠㅠ 위의 녀석은 물건너온 아주 고급진 녀석입니다. 예전에는 미국제품이 대세이였는데요?? 요즈음은 유럽제품도 기술수준이 성장하여 거의 뭐 대등하다고 합니다,^^ 아무튼 무슨 반폐압축기라고 하는듯 싶습니다. 그런데 애는 도대체 몇마력일까요?? 아무리 못해도 대충 최소 10마력 이상은 되는듯 합니다.

아참 부디 국내제품도 기술수준이 많이 성장하여 국산말로 설명하여 주시는것을 바래보옵니다.^^

다만 지금은 고급진것은 필요없고요?? 일단은 단위환산부터 하면 1HP를 KW로 환산하여 주면 0.75KW가 나옵니다. 그런데 압축기 초기 기동부하가 많이 소요되는 관계로 한전에서는 안전율을 고려하여 1KW을 권장합니다. 아참 압축기관련해서 전자접촉기(MC) 선정방법은 한전보다는 LS산전 농형유도전동기 직입기동 기종선정조견표를 참고하면 도움이 됩니다. 공조냉동도 전기를 사용하니 어쩔수 없이 겁나 어렵지만 기초적인 전기적인 사항도 알고는 있어야 됩니다. 이런썩을ㅠㅠ 세상은 아주 넓어요ㅠㅠㅠㅠ

냉동기 COP 기준 - naengdong-gi COP gijun

그럼 1마력(HP)은 1KW가 되는데요 이것을 열량값으로 다시 환산하여 주면 860kcal/h 됩니다. 요로코놈하면 완벽하게 단위환산이 되었습니다. 그럼 1마력을 사용하면 손실율 없이 100% 효율이 발생된다고 해도 최대 860kcal/h가 나옵니다.,

그런데 왜 3,024kcal가 나오지 ㅠㅠ 이것이 무척 궁금했습니다. 아참 설계하시는 분에 따라 1마력당(R/T) 최대3,320 ~최소 2,500kcal/h 까지 선택적으로 결정하신다고 듣었습니다. 그럼 국제표준인 SI 단위는 또 무엇인지 ?? 너무너무 복잡하구나 ㅠㅠ

냉동기 COP 기준 - naengdong-gi COP gijun

이쪽 동네는 "사람이 하고 마음이 해서 다른점이 있는지" 어이구야 쥐뿔도 모르겠다 ㅠㅠ 그래서 자존심은 조금 상하지만 "사람이 하고 마음이 하면 어떻게 다른지 ??" 기초부터 차근차근 살펴보기로 하옵니다.^^

냉동기 COP 기준 - naengdong-gi COP gijun

에어컨 증발기입니다. 흔히 증발온도가 저온(냉동) 중온(냉장)에 비해 비교적 높아 고온이라고 하고 보편적으로 공조용이라고 말을 합니다. 어떤분들은 공조를 아주 우습게 아시는분도 계시는듯 합니다.ㅠㅠ 냉동 냉장도 무섭다면 공조도 동일하게 겁나 겁나 무섭습니다.ㅠㅠ 이것은 본인이 직접 당해보면 왜 무서운지 압니다. 세상은 겁나 넓습니다.ㅠㅠ

냉동기 COP 기준 - naengdong-gi COP gijun

냉동기 COP 기준 - naengdong-gi COP gijun

압축기가 보이고 있네요 밀폐 압축기인데요?? 제조사가 COPELAND입니다. MODEL 이라고 있죠 ZR160KC 이 녀석을 보고 암호 해석하듯이 마력수를 계산합니다. 실무도 그렇게 만만하지 않아요 ㅠㅠ 아참 마력수가 RT랑 실무상에서는 동일개념으로 활용되니 아주 중요합니다.^^ ZR160는 과연 13마력일까요?? 아니면 15마력일까요?? 어떻게 보면 산수문제인데 본인들이 무슨 수학을 하고 과학을 한다고 살다살다 공칭마력 호칭마력 운운하고 ㅠㅠ 그럼 우리나라에서 나름 공신력이 있는 국과수에 의뢰하여 팩트체크를 해야 될듯 싶습니다.^^

그전에 한번 확인을 하여 보시는것도 도움이 될듯 싶습니다. 눈물콧물 흘려가면 간신히 찾았습니다.ㅠㅠ 그저 과학도 아니고 수학도 아닌데요?? 그저 산수문제답게^^

아참 모델명이 쓰여져 있는 녀석을 명판이라고 하는데 조금은 상태가 좋지 않습니다. 바로 책에서 무수하게 들었던 압축기가 과열운전되어 정신줄을 놓았습니다. 쉽게 압축기가 저 세상으로 ㅠㅠ 그래서 명판종이가 누렇게 되었습니다.

오른쪽 사진은 비교대상으로 다가 액압축사진입니다. 왼쪽은 과열운전압축기 오른쪽은 액압축 압축기입니다. 과연 어떤쪽이 무서울까요?? 과열운전보다 액압축이 더욱더 무섭습니다. 액압축은 압축기가 그대로 한방에 갑니다.ㅠㅠ

냉동기 COP 기준 - naengdong-gi COP gijun

과열운전시 압축기오일 색상도 위의 사진처럼 상태가 완전히 멍멍이 판이 됩니다.^^ 아참 COPELAND 제조사에서 압축기소손(고장)이유를 책자를 통해 소통하여 주셨는데요 참으로 실무적으로 고급진말씀을 여러번 반복하여 읽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선진국은 (미국)은 연구하시는분도 직접 공구를 가지고 압축기소손의 이유를 점검하시는구나 ^^ 내용이 고급진 내용이라 지가 이해가 조금 난해해서 그래서 여러번 반복해서 읽었습니다.ㅠㅠ

냉동기 COP 기준 - naengdong-gi COP gijun

냉동기 COP 기준 - naengdong-gi COP gijun

정상적인 압축기 명판입니다. 이런 색상이 정상적인 압축기 명판색깔입니다. 증발기랑 압축기를 살펴본것은 다름이 아니라 성적계수(COP)는 구하는 식은 증발기흡수열량 / 압축기소요동력이랍니다. 요것을 아주 단순무식하게 입력 대비 출력이라고 말을 하는듯 싶습니다.^^

냉동기 COP 기준 - naengdong-gi COP gijun

사진상에 보이고 녀석있죠?? 정격 표시 냉방능력(증발기능력) 가운데 기준으로 10,000 W 아래쪽으로는 정격표시 냉방소비전력(압축기소요동력) 가운데 기준으로 3,250W 그럼 성적계수 계산식에 의거하여 10,000 / 3,250 =3.07이 나옵니다.

성적계수가 소요동력대비 3배이상이 나와주는 관계로 1HP를 사용해도 대략적으로3,024kcal/h의 열량을 얻을수 있는것 같습니다. 단순히 저만의 생각이므로 틀릴수도 있답니다.ㅠㅠ

그런데 역시나 "사람이 하고 마음이 하면 요로코놈 달라지는듯합니다." 입력은 1인데요 어떻게 출력은 3이 나옵니다. 아주 대박인듯 합니다.^^ 그럼 무엇인가 아름다운 그들만의 리그가 숨어 있는듯 싶습니다.^^

고급진이론과 아름다운 실무가 함께하는 것이 그렇게 만만하지가 않네요 ㅠㅠ 어떤분 말씀에 의하면 머리로써 생각하면서 불러보는 단어는 "어머니"라고 하고요 진정 가슴으로 가슴으로 울면서 불러보는 단어는 "엄마"라고 하더군요 ㅠㅠ 고급진이론과 아름다운 실무를 진정 가슴으로 가슴으로 울면서 불러보면 언제가는 "엄마"의 따뜻한 손길처럼 저에게 아름다운 손을 내밀어 주실것 같습니다.

냉동기 COP 기준 - naengdong-gi COP gijun

아참 아래쪽은 쬐금은 전문적으로 다가 작성되었습니다. 참고하시면 될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