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12/21 차트 분석 l 주요 구간에 총집결12월 21일 차트 분석 주요 구간에 총집결한 코인들. 설명은 하단에서 계속. - (1시간봉) 🔴 직전 좁은 박스권 모든 시간봉 캔들이 해당 박스권 내부에서 종가 마감을 했었습니다. 이후 종가 이탈은 추가 하락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현재는 다시 직전 박스 저항을 돌파하고 박스의 상단에서 머물고 있습니다. (직전 분석에서 설명했듯, rsi 4시간봉 상승 다이버전스에 의한 급등이었습니다) 🔵 좁은 상승 채널 급락 구간을 제외한 모든 시간봉 캔들 종가가 해당 채널 내부에 들어가 있는 모습입니다. 이것 역시 마찬가지로 종가의 돌파/이탈 여부를 살필 필요가 있겠습니다. 해당 채널 이탈 전에는 우선 상방을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채널이 좁기 때문에 오래 지속하기 어렵습니다. 길어봤자 하루이틀 안으로 결판이 날 것으로 생각합니다. ⚫ 지지선 직전 박스의 하단부이자 단기 상승폭의 0.5 레벨입니다. 해당 구간 이탈 시 위험 감지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1시간봉) 🟢 0.382 레벨 또한 이번 저항은 과거 분석에서 설명했던 17.0k 0.382레벨 저항이었습니다. 명확하게 저항받고 떨어진 모습입니다. (좌측 차트 : 토탈3 주봉 - 우측 차트 : 토탈3 주봉 확대 화면) ⚫ 3개의 주요 추세선 토탈3 시총 차트상의 3개의 주요 추세선이 교차하고 있는 모습. 모든 캔들이 교차점 사이에서 형성되고 있습니다. 빠르면 이번주, 혹은 늦어도 다음주에는 돌파 및 이탈 여부 판가름이 나겠습니다. (트론 주봉) 🔴 주요 하락 추세선에 도달한 트론 (이더리움클래식 주봉) 🔴 장기 상승 추세선과 만난 이더리움클래식 (파일코인 주봉) 🔴 하나의 하락 추세선을 타고 계속 내려가기만 하는 파일의 모습. 추세선 하나가 약 500일 가까이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 중 (샌드박스 주봉) 🔴 바이낸스 선물차트상 최저점 상승 추세선에 도달한 샌드박스. (비트코인캐시 일봉) 🟣 6개월 규모의 하락쐐기형 패턴을 형성 중인 비캐 (루나클래식 일봉) 🟣 3개월 규모의 하락쐐기형 패턴을 형성 중인 루나클래식 lunc. - 이 외에도 대부분의 코인들이 약속이라도 한 듯이 주요 구간에 도달했거나, 혹은 거대한 패턴의 막바지에 돌입했습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시총 차트마저 갈림길에 놓여있는 상태입니다. 이러한 것들을 보았을 때 우리는 지금 어쩌면 큰 추세의 시작점에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상방일지 하방일지는 모르겠으나, 방향을 잘못 걸렸을 때 손절 판단을 미룬다면 작은 손해로 끝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제 생각입니다. 그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에디터즈 픽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basically98의

1158

[비트코인] 'R의 공포' (2022.12.17.토) ⭐ 서 론 ⭐ 안녕하십니까?!!😊 차티스트랩 팀입니다.🚀 '내년에도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에 '글로벌 회계법인 마자르의 암호화폐 거래소와 거래 중단 소식'까지 더해지면서 비트코인은 다시 하락했습니다. 오늘은 기존 브리핑을 복기하며 R(Recession)의 공포 속에 후퇴하고 있는 비트코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차트복기 비트코인 실시간 브리핑 제2차 (2022.12.14.수) 1. 비트코인 4시간 봉입니다. 2. 비트코인은 RSI 과매수를 유지한 채 4시간봉 저점을 올리며 횡보하고 있습니다. 3. 미국 CPI 예상치 하회에 비트코인은 4% 상승했지만 FOMC까지 지켜봐야 합니다. 4. 일각에서는 "만일 FOMC 회의 내용 중 시장에 부정적인 전망이 전해질 경우 5. 남은 상승분을 반납할 수 있다"고 분석했으며 선물거래는 변동성 확대 노출 리스크가 있습니다. 6. 캔들 관점으로는 바로 장대양봉으로 반등하기 보다는 하방으로 각도를 주어 저점을 낮춘 후 반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7. 이에 단기적으로 하락 하더라도 재빠르게 반등하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8. 금일 저녁 비트코인 관찰 포인트는 "하락 시 빠르게 반등하는지?"가 되겠습니다. 비트코인 실시간 브리핑 제1차 (2022.12.15.목) 1. 비트코인 4시간 봉입니다. 2. 비트코인은 오늘 새벽 4시 급락이 나왔고 17.5K까지 덤핑이 발생했습니다. 3. 거래량을 볼 때 급락으로 많은 롱포지션이 청산되어 반대매매가 이루어 졌다고 추측해볼 수 있습니다. 4. 4시간봉 과매수는 상당부분 해소가 되었으며, 저점을 낮출 시 빠른 반등을 위해서는 17,435달러를 지켜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연준이 내년 금리 전망치를 기존 4.6%에서 5.1%로 올리고 파월 의장이 기자회견을 통해 매파적 견해를 밝히자 상승폭이 줄었습니다. 6. 파월 의장은 "물가 상승률이 확실히 내려가는 증거가 보일 때까지 금리 인하를 고려하지 않을 것"이라며 "아직 갈 길이 좀 더 남았다"고 말했습니다. 7. 한편, 미국 기준금리는 15년만에 최고치에 달했고 금리가 계속 올라간다면 위험자산군인 암호화폐는 계속 충격을 받을 확률이 높습니다. 8. 올해 금리인상은 모두 마무리 되었기에 이제는 시장 내 빅플레이어들이 어떠한 포지션를 구축하며 가격변화를 이끌지 주목해야합니다. 9. 금일 비트코인 관찰 포인트는 "17,435달러를 사수하는지?"가 되겠습니다. 비트코인 실시간 브리핑 제1차 (2022.12.16.금) 1. 비트코인 4시간 봉입니다. 2. 비트코인은 연준의 긴축 기조에 따라 2.56% 하락한 1만7371달러 수준에서 가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3. 시장에서는 연준이 금리인상 기조가 적절하다는 입장을 밝히자 비트코인은 상승세를 반납했다"고 분석했습니다. 4. 17.6K 위로 올라가고 다시 내려오지 않을 때 반등이 진행되겠으며 그 전까지는 약보합을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5. 올해 금리인상 등 이슈가 마무리 되었기에 다소 지루한 횡보가 이어질 수 있고 6. 오늘을 포함해서 이번주까지는 4시간봉 저점을 높이며 17.6K 위로 올라가는지 관찰이 필요합니다. 7. 17,050달러 아래로 내려갈 시 16.6K까지 추가 조정 가능성이 커지기에 선물거래는 해당 가격을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미국 기준금리는 15년만에 최고치에 달했고 금리가 계속 올라간다면 위험자산군인 암호화폐는 계속 충격을 받을 확률이 높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또한, 17,050달러 아래로 내려갈 시 16.6K까지 추가 조정 가능성에 대해서 안내드렸습니다. ⭐ 본 론 ⭐ • 차트분석(일봉) 비트코인 일봉입니다. 비트코인은 18.4K 부근(일목구름 음운대 상단)에서 강한 저항으로 윗꼬리가 길게 달린 캔들로 종가를 마감했고 이틀째 하락하고 있습니다. 현재 평행채널 중단(빨간선) 부근에서 가격을 형성하고 있으며 크립토시장 전체적으로 시총이 급감하고 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를 비롯한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공격적인 통화긴축이 경기침체를 초래할 것이란 공포에 하락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연준은 내년 최종 금리전망 중위값을 5.1%로 제시하였으며 강경한 긴축기조 유지를 예고 했습니다. 또한, 연준에 이어 유럽중앙은행(ECB)도 기준금리를 0.5% 인상했고 ECB 총재는 일정한 속도로 금리를 상당히 올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미국 소비세는 하락세로 돌아섰고 소비 부진이 수치로 들어나면서 경기침체 공포가 커졌습니다. 즉, 시장 내 반등을 촉발할만한 모멘텀이 보이지 않는 상황입니다. • 차트분석(4시간봉) 다음으로 4시간 봉입니다. 상위 차트 첫 번째 보조지표는 RSI이며 두 번째 보조지표는 스토캐스틱 입니다. RSI 및 스토캐스틱 모두 바닥권을 암시하고 있기에 선물거래 매매의 관점에서는 어제 저점에 손절가를 잡고 롱포지션을 취하는 전략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 추가 하락 시 다음 지지구간은 16.3K이며 장대음봉이 발생한다고 할지라도 15.8K는 지켜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한편, 개인적인 관점으로 자산군은 세 가지 부문으로 구분된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있어야 하는 자산(부동산 등) 둘째, 있으면 좋은 자산(주식 등) 셋째, 없어도 되는 자산(암호화폐 등) 의식주는 기본적인 사항이기에 주거용 부동산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주식이나 금 등은 기본적인 요건이 어느 정도 충족되면 그 이후에 관심을 갖게 되는 자산입니다. 암호화폐는 아직까지 용처를 찾고 있는 과정이기에 시장 내에서 없어도 되는 자산군으로 분류되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경기침체 우려가 발생하면 ‘없어도 되는 자산(암호화폐 등)’이 가장 먼저 가장 크게 타격을 받고 그다음으로 ‘있으면 좋은 자산(주식 등)’ 타격을 받고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 마지막으로 ‘있어야 하는 자산(부동산 등)’이 타격을 받게 됩니다. 경기침체 진폭을 가늠하기는 어렵지만 내년 상반기까지 크립토시장은 약세기조가 이어질 확률이 높기에 마음의 준비를 해야겠습니다. 비트코인이 주요 고점(21.4K)을 높이기 전까지는 관망이 좋아 보이며 선물거래 일중매매는 수익을 발생시키기 어려운 구간이라 생각하며 자산보호를 위해 단기적인 접근(단타)이 유리해 보입니다. ⭐ 결 론 ⭐ ① 비트코인은 R(Recession)의 공포 속에 후퇴하고 있습니다. ② 미국의 소비 부진이 수치로 들어나면서 경기침체 공포가 커졌습니다. ③ 현재 시장 내 반등을 촉발할만한 모멘텀이 보이지 않는 상황입니다. ④ 지지구간은 16.3K이며 장대음봉이 발생한다고 할지라도 15.8K는 지켜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⑤ 개인적인 관점으로 자산군은 세 가지 부문으로 구분된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있어야 하는 자산(부동산 등) 둘째, 있으면 좋은 자산(주식 등) 셋째, 없어도 되는 자산(암호화폐 등) ⑥ 따라서 경기침체 국면에서는 암호화폐가 가장 먼저 가장 크게 타격을 받는다고 생각합니다. ⑦ 내년 상반기까지 크립토시장은 약세기조가 이어질 확률이 높기에 마음의 준비를 해야겠습니다. ⑧ 주요 고점(21.4K)을 높이기 전까지는 관망이 좋아 보이며 선물거래는 단기적인 접근(단타)이 유리해 보입니다. ※ 본 포스팅의 정보는 투자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에디터즈 픽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Master_Chartistlab의

655

BTCUSDT(22.10.31) FOMC를 앞둔 시장과 거시경제 상황에 대하여안녕하세요 👋 WansT 입니다. 😀 오늘은 차트를 풀어나가고 그 이후에 FOMC와 일본과 영국 그리고 미국국채에 대한 채권 자경단까지 무거운 얘기를 조금 첨가하여 최대한 쉽고 이해하기 저의 아이디어를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비트코인 주봉 입니다. 지난주 강한 양봉과 함께 주봉에 20ma를 돌파시도 하였습니다. 급락이후 20ma에 대한 첫 돌파시도 이며 시장의 강세와 약세를 나누는 가장 가시적인 지표인만큼 주봉의 20ma를 이번주에 돌파하는지 돌파 실패가 되어 다시 바닥을 확인하는지 체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비트코인 일봉 입니다. 먼저 일봉 20ma 돌파 이후 지지 그리고 강한 양봉과 함께 100ma에 대한 돌파시도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비트코인 4시간 작도 입니다. 비트코인은 빨간 대각선 하락추세를 강하게 돌파하였고 상승채널을 작도해볼수있으며 주봉의 20ma가 겹치는 21k 초반구간의 저항을 받으며 약간의 시간조정을 거치고 있는 상황 입니다. 비트코인 1시간 봉입니다. 상승채널의 중단과 지속저항으로 작용되었던 20.5k 구간이 돌파된이후 지지구간으로 R->S flip 이 진행되었으며 지지구간으로 변한 20.5k의 하방이탈이 될시에는 초록색 박스구간 직전 저점구간인 20.1k~20k 구간이 단기 지지구간으로 활용될수 있습니다. ⭐ 지지라인 1차 지지 : 20.5k (채널 중단+4시간봉 종가라인 수평지지구간) 2차 지지 : 20.1k~20k (초록 박스구간+ 직전 저점) 3차 지지 : 19.6K~19.5k ⭐(무적 사수필요 구간) + (10월봉의 시가라인) + (20k가 하방이탈하면 터치할 가능성이높고 19.5k에 대한 하방이탈이 크게 일어날경우에 롱포지션의 강제청산이 가장 많을 구간) 4차 지지 : 19.2K~19k 5차 지지 : 18.7K~18.5K ⭐직전 박스권 하단구간 -> ⭐ 하향 이탈시 아래에는 상대적으로 비어있는 매물대구간이기때문에 패닉셀에 대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6차 지지 : 17.6K~17.3K (2022년 연내저점구간) 지지라인에서는 2차 구간과 3차구간에서의 액션이 가장중요하다고 보여지며 ⭐ 3차 구간을 콕 찍으며 개미털기 이후 상승하는 패턴을 조심해야합니다. (일봉급프레임에서 19.5K 하향이탈시 본전으로 도망칠 예정) (현재 포지션은 비트코인 롱 불타기하여 19k 평단 / 이더리움 1500 / 알트 현물 다이소매매로 몇개 보유중) (지난 몇번의 아이디어에서 롱관점으로 패왓기에 평단이낮음) ⭐저항라인 1차 저항 : 21K~21.2K ⭐돌파시 강한양봉이 없고 흐지부지하다면 4h 다이버젼스 조심 현재 시간조정중인데 추가적인 ABC 조정없이 수렴이후 올라갈경우 (20K 하방이탈없이 바로올라갈경우) 4H 다이버젼스를 한번에 찢어올리는 일봉급 강한 양봉이 필요 2차 저항 : 22K (노란채널의 상단)(시간이 지남에따라 가격변화할수있음) 3차 저항 : 22.6K~22.8K ⭐빨간 박스매물대 4차 저항 : 23.2K~23.6K 5차 저항 : 24.2K 감사합니다. 👋 차트분석은 이만큼 마치고 비트코인에게 영향을 줄만한 시장상황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몇가지 적어보겠습니다. 😀 1.일본의 yield curve control - 제로금리정책이 슬슬 한계가 오고 있습니다. 엔달러 약세 심화가 더 진행중 실제로 일본이 지난달 엔저를 방어하기위해 52조원의 미국채권 던져서 엔저를 방어하려 했지만 실패 2. 그로인해 월가에서 일본과 미국국채시장에 주시중 3. 영국도 위기를격엇고 일본도 겪는상황인데 일본은 더 이상 할수있는것이 없습니다. 제로금리유지를 멈추고 금리를 올린다면 일본국채를 가지고잇는 일본은행들 파산위험 즉 일본은 현재 상황에서 제로금리를 그만 둘 수없는데 엔저를 해소하려면 미국채를 계속 던져야합니다. 미국 국채던지면 미국국채시장에 위협이 생깁니다. 실제로 지난주 3개월물과 10년물 첫금리역전현상이 나타남 - 빨강 10년물 - 주황 2년물 - 노랑 3개월물 4. bond market vigilantes 은 미국채권을 충분히 공격할 명분이 생깁니다. 연준에서 긴축을 강하게 해야된다 라는 표현의 기자회견을 한다면 미국채권 시장금리는 급등하게 될것이고 채권을 보유한 기관들의 로스컷이 생길수도 있는 위험한 상황입니다. 5. 연준 부의장 브레이너드가 금리인상속도에 대해서 위험성을 강조하기시작했습니다. 6. 75bp는 기정 사실화입니다. 점도표대로 갈것입니다. 금리인상을 줄이지 않을 것 / 하지만 곧 금리인상 한계점이 얼마 안 남은것은 사실이라고 생각하고있습니다. 7. 연준이 금리인상에 대해 지금까지와 다르게(매파) -> 스탠스를 좀 낮추어 비둘기적 측면을 보여주는 계기는 인플레이션 감속이 눈에 보여야합니다. 미국 부동산은 아직 크게 떨어지지 않앗지만 10월 발표된 지표로 미루어 볼때 슬슬 하락이 시작되는 느낌이 들기시작했습니다. 8. 미국 부동산하락은 cpi지표에 직접적으로 큰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즉 연준의 금리정책에 대해 브레이크를 줄수잇는 직접적 핑계거리가 생깁니다. 위에서 설명햇듯이 연준은 현재 위기상황에 대해서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승냥이 처럼 달려들 채권자경단에게 먹이를 던져주진 않을것 9. 결론은 일본이 금리를 내릴수 있나? X 연준이 금리를 내릴수있나? X 하지만!! 주택시장 하락과 기타 상황을 보았을때 이번 FOMC 기자회견에서 스탠스 변화를 생각해볼수있다. 10. 그이후 장기적 그림에서의 달러하락이 시작 되어야합니다. 조금은 무거운 이야기 까지 읽어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굵직한 차트 분기점에 또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

에디터즈 픽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Kswan_T의

751

12/16 차트 분석 l 흐름이 안 좋다낌새가 좋지 않은 비트코인? 설명은 하단에서 계속. (일봉) ⚫ 직전 최저점 이탈 후 저항을 받으며 그동안 한 번도 돌파하지 못했던 모습 그러나 12월 13일에 종가 돌파 완료 추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었지만 (한국 시간) 12월 15일 새벽 4시 fomc를 기점으로 하락 진행 중 🔴 재이탈 구간 재이탈함으로써 불트랩 가능성이 생겼습니다. 불트랩은 추가 하락으로 작용합니다. (4시간봉) 🔵 삼각수렴 과거 삼각수렴의 상단부에서 지지를 받고 있는 상태입니다. 그러나 겨우 이 정도로 추세를 다시 돌릴 수 있을지 저는 의문스럽습니다. 마찬가지로 삼각수렴의 하단부도 지지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다시 18k 이상을 보여줄 수 있을지는 회의적입니다. (fomc 점도표) 좌 : 그 전 점도표 우 : 이번에 새로 나온 점도표 - 이번 금리 인상을 빅스탭 50bp로 했습니다. 그 전에 4차례 연속으로 자이언트스탭 75bp 인상을 했던 것에 비하면 비교적 완화되었다고 할 수 있겠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 반응은 하락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왜 그런 것인가?'에 대해서 생각을 해볼 수 있겠죠. 저는 점도표에서 그 힌트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점도표 : 연준 의원들이 생각하는 전망을 점으로 나타낸 것) 그동안 '2023년 말부터는 금리 인하를 할 수 있다', '5% 이상으로 금리를 인상할 필요는 없다'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그 의견과 대조되는 점도표가 나왔습니다. '2023년에 5% 이상의 금리 인상을 할 필요가 있다'라는 의견이 대세가 되어버렸죠. 상당히 매파적인 관점입니다. 그로 인해 시장에 단기 하방 충격이 있었다고 해석을 해볼 수 있겠습니다. 그 전까지는 앞으로 1년 정도면 금리 인하를 할 수도 있다는 기대감이 있었으나, 이제는 그것과 완전히 상반된 의견이 대세가 되었습니다. - (잡코인 도미넌스 주봉) ⚫ 상승 추세선과 하락 지지 추세선 잡코인들만 모아서 도미넌스로 나타낸 것입니다. 잡코인이 차지하는 도미넌스 비중은 현재 약 10.4% 정도네요. 그리고 지금 잡주 도미넌스에서 이중적인 지지 추세선을 이탈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만약 추세선 이탈로 인해 추가 하락이 이어진다면, 잡주 매수로는 수익을 얻기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지속적으로 하는 말이지만 저는 이번 하락장에서는 잡주를 존버하는 건 상당히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매 하락장은 상폐 시즌이었습니다. 하락장에 신규 종목을 상장 시켜서 괜히 사람들을 물리게 해서 돌아서게 할 필요는 없겠죠. 그리고 거래량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락장 초반에는 거래량이 크지만, 하락장이 지속될수록 거래량은 낮아집니다. 지금도 딱 그렇습니다. 거래량이 매말라가고 있죠. 그래서 종목이 많으면 많을수록 더 재미가 없습니다. 소수의 종목에 최대한 거래량을 집중 시키는 게 낫죠. 이런 이유로 저는 하락장 동안 추가적인 상폐를 진행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만약 그러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잡주들이 다음 상승장에 큰 상승을 보여줄 거라는 보장도 없습니다. 왜냐면 늘 큰 상승을 보여준 종목은 기존 종목이 아닌, 새로 나타난 종목이었습니다. 기존 종목들은 배척되었죠. 과거의 코인들이 지금 어떻게 되었는지를 보세요. 새로운 상승장에는 새로운 종목이 새로운 왕좌를 차지하게 됩니다. 이게 제가 잡주 존버를 극구 말리는 이유입니다. 단타는 상관없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에디터즈 픽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basically98의

1258

[비트코인] 혼조세(混潮勢) (2022.12.11.일)⭐ 서 론 ⭐ 안녕하십니까?!!😊 차티스트랩 팀입니다.🚀 차주 FOMC를 앞두고 비트코인은 혼조세(混潮勢)를 보이고 있습니다. 오늘은 12월 주요일정을 포함하여 큰 변동 없이 가격을 유지하고 있는 비트코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본 론 ⭐ • 일정안내(12월) 주요일정 입니다. - 12.13.(화) : FTX 청문회 및 미국 CPI(11월) - 12.15.(목) : FOMC 기준금리 결정 이번 달 투자자들의 관심은 FTX 청문회 및 FOMC 입니다. FTX 창업자 샘 뱅크먼 프리드가 청문회에서 증언하게 된다면 FTX 파산보호 신청 후 처음으로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내는 것입니다. 다만 그가 영상을 통해 증언할지, 직접 출석할지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FTX 붕괴와 관련하여 어떠한 답변을 하는지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겠습니다. 다음으로 올해 마지막 기준금리 결정인 FOMC 입니다. FOMC에서 연준이 '최종금리를 어느 수준까지 올릴지 또한 얼마나 유지할지'가 관찰 포인트입니다. 한편, 미국 기준금리는 올해 1월 0.25% 이었지만 12월 현재는 4% 입니다. 즉, 약 11개월 동안 금리는 16배 상승했고 이는 국내•외 경제에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시장에서는 이번 FOMC에서 빅스텝(0.5%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사실 빅스텝 전망은 시장 내 이견이 별로 없는 상황이며, 오히려 물가 상승률이 어떻게 나오는지에 주목해야합니다. 물가 상승률이 시장 예상치(7.3%) 하회 시 긴축태도 완화 기대에는 탄력이 붙겠지만 반대로 이를 상회하면 긴축태도는 내년에도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차트분석(일봉) 다음으로 일봉입니다. 비트코인은 반등 추세의 기준인 주황색 추세선 위에서 가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지난 12월 1일부터 현재까지 적은 변동성을 보이며 횡보하고 있고 현재 하락채널 중단(빨간색 점선) 위로 올라왔습니다. 주요 지지구간은 16.9K 이며, 다음 저항구간은 17.6K ~ 17.7K 입니다. 17.7K 부터는 일목구름 음운대로 들어가는 구간이며, 한번에 18.5K까지 장대양봉을 뽑아내지 못하면 올라가더라도 복잡한 움직임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때 선물거래는 15분봉 짧은 프레임으로 과매도에 매수, 과매수에 매도 전략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4시간 봉입니다. • 차트분석(4시간봉) 이전고점(21,470달러)과 이전저점(15,460.5달러)을 기준으로 피보나치를 측정 했을 때 0.382 되돌림 구간은 17,756달러입니다. 즉, 아직까지 비트코인은 최소 반등구간인 0.382(17,756달러)까지 반등하지 못한 상황입니다. 피보나치, 매물대, 일목구름 등을 고려할 때 17.7K 부근은 강한 저항구간이 될 것이라 생각하며 해당 구간을 유의미하게 돌파하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한편, 상승중인 추세에서는 고점을 낮추는지에 주목하며, 하락중인 추세에서는 고점을 높이는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보았을 때 '17,425.5달러 이상 올라가는지?', '단•중기적으로 보았을 때 21,470달러 이상 올라가는지?' 관찰이 필요합니다. 크립토시장을 바라보는 개인적인 관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현재 경기침체가 진행되고 있고 내년 상반기까지는 어려울 수 있을 것 둘째, 15.4K가 저점이 아닐 수 있으며 10.5K ~ 12.5K까지 폭락할 가능성도 열어둘 것 셋째, ‘침체국면’ → ‘매집국면’ → ‘상승국면’로 순환한다고 가정하면 포트폴리오를 조정(구상) 할 것 ※ (예시) 현재구간 20% 매수 / 내년 1~2분기 30% 매수 / 내년 3~4분기 50% 매수 ⭐ 결 론 ⭐ ① 12월 주요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2.13.(화) : FTX 청문회 및 미국 CPI(11월) - 12.15.(목) : FOMC 기준금리 결정 ② FOMC 빅스텝 전망은 이견이 별로 없는 상황이며 물가 상승률이 어떻게 나오는지에 주목해야합니다. ③ 물가 상승률 예상치 상회 시 연준의 긴축태도는 내년에도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④ 17.7K는 일목구름 음운대로 들어가는 구간이며, 18.5K까지 장대양봉 미출현 시 복잡한 움직임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⑤ 17.7K 부근은 강한 저항구간이기에 해당 구간을 유의미하게 돌파하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⑥ 크립토시장을 바라보는 개인적인 관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현재 경기침체가 진행되고 있고 내년 상반기까지는 어려울 수 있을 것 - 15.4K가 저점이 아닐 수 있으며 10.5K ~ 12.5K까지 폭락할 가능성도 열어둘 것 - ‘침체국면’ → ‘매집국면’ → ‘상승국면’로 순환한다고 가정하면 포트폴리오를 조정(구상) 할 것 ※ (예시) 현재구간 20% 매수 / 내년 1~2분기 30% 매수 / 내년 3~4분기 50% 매수 ※ 본 포스팅의 정보는 투자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에디터즈 픽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Master_Chartistlab의

464

변화된 흐름을 따라 움직일지... 17.1K 이상 상승하라... (7일차)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1D 차트) (USDC 1D 차트) USDT, USDC의 갭 상승이 계속 발생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BTC.D 1D 차트) 40.44 이상에서 유지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USDT.D 1D 차트) 8.11-8.22 에서 저항을 받고 7.86 이하로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BTCUSDTPERP 1D 차트)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기 시작하였으므로,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 지점인 1.27(16984.9)-17170.0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16422.6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MS-Signal 지표 부근에 위치해 있으므로 사실상 포지션 진입을 하기에 애매한 위치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포지션 진입에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11월 27일을 기준으로 BTC의 흐름이 바뀐 것이라고 보여집니다. 따라서, 현재 위치의 의미가 달라졌기 때문에 11월 27일 이전의 흐름과 같은 하락 추세를 보이기 위해서는 16422.6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을 받아야 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2월 10일경입니다. (1h 차트) 차트에 표시된 원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입니다. 1D 차트의 M-Signal선 이상, 17170.0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주 포지션은 'LONG' 입니다. 따라서, 'SHORT' 포지션으로 진입시 빠른 대응이 필요합니다. MS-Signal 지표, 16984.9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17170.0 이상 상승하기 위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17170.0 이상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하므로, 지지 받는지 확인하는 필요합니다. 또한, 하락하게 되면, 16422.6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도 중요하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최소 범위 17170.0-16580.6, 최대 범위 16422.6-17670.0 에서 벗어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단기적, 스캘핑적 대응에 미숙하다면, 포지션 진입에 신중할 필요가 있는 구간에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17170.0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한다면, 1차 : 17670.0 2차 : 18374.1-18741.7 부근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때,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 필요한 건 신규 자금이 코인 시장으로 들어오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것 입니다. 16422.6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을 받게 되면, 1차 : 15908.2 2차 : 15328.7 3차 : 14824.3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어째되었든 17170.0 이상 상승하는 움직임으로 이어져야 이번 상승세을 이어갈 수 있게 될 것 입니다. ------------------------------ - 큰 그림 상승의 힘을 얻기 위해서는 13K-15K 구간에서 지지 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현재 위치에서 상승하든 하락하든 모두 단기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SR_R_C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에디터즈 픽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readCrypto의

1045

[비트코인] 시장의 침체 (2022.12.04.일)⭐ 서 론 ⭐ 안녕하십니까?!!😊 차티스트랩 팀입니다.🚀 FTX 붕괴 후 크립토시장에서는 여진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다우이론을 활용하여 크립토시장의 현재 국면에 대해서 살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 본 론 ⭐ • 차트분석(주봉) 비트코인 주봉입니다. 비트코인은 2021년 11월 8일을 기점으로 오늘까지 총 385일 동안 조정을 받고 있으며 고점대비 하락폭은 -77.5% 수준입니다. 2017년 ~ 2018년 침체기에 조정일은 364일 이었으며 고점대비 하락폭은 -84.3% 수준입니다. 2017년 ~ 2018년과 2021년 ~ 2022년의 경제적 상황은 다르기에 단순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과거사례를 통해 충분한 조정기간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은 인지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일봉입니다. • 차트분석(일봉) 비트코인은 현재 평행채널에서 지지 및 저항을 받으며 움직이고 있습니다. 최근 17.4K까지 반등은 급락 후 자율반등으로 평행채널 중단을 터치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평행채널 힘의 균형이 되는 빨간색 점선 위로 올라가서 내려오지 않을 때 비로소 반등의 시작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캔들의 무게중심이 하방으로 쏠려있기에 반등 모멘텀은 적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이동평균선을 살펴보겠습니다. • 지표분석(일봉) 빨간색 선은 20EMA(단기) / 파란색 선은 60EMA(장기) 입니다. 단기 및 장기 이동평균선 데드크로스가 진행되고 있고 이동평균선을 자세히 살펴보면 각도는 하방입니다. 회색 동그라미 구간처럼 두개의 이동평균선이 골든크로스가 되었을 때 유의미한 상승이 진행됩니다. 현재는 데드크로스가 진행되고 있어 선물거래 외 현물거래를 하시는 분들은 충분한 시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4시간 봉입니다. • 차트분석(4시간봉) 비트코인은 평행채널 중단에서 윗꼬리가 길게 달린 캔들로(2022.12.01. 21:00) 종가 마감이 되었습니다. 다시 말해 저항이 확인되었고 이는 반등에 있어 매수세를 약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방 시 지지구간은 16.8K 및 16.4K(주황색 지지선)입니다. 특히, 16.4K 아래에서 4시간 봉이 종가마감이 되면 다시 저점(15.4K)에 대한 리테스트가 예상되며 15.4K 부근에서 지지받고 반등한다고 할지라도 평행채널 중단을 못 넘기고 하락하면 저점갱신 가능성이 생깁니다. 따라서 비트코인 하락 시 15.4K는 단기적인 매수영역이 될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기에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음으로 다우이론입니다. • 다우이론 다우이론은 주가의 움직임과 주식시장의 추세를 기술적으로 분석한 이론으로 추세분석의 고전입니다. 주식시장 추세를 매일 변동하는 단기추세, 수개월간 지속되는 중기추세, 1년 ~ 10년에 걸쳐 나타나는 장기추세로 구분하고, 강세시장과 약세시장을 각 3국면으로 설명했습니다. 다음으로 장기추세 진행과정 및 국면별 특징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강세시장> 1) 매집국면 : 어두운 전망, 거래량 증가 2) 상승국면 : 경제여건 및 기업 영업이익 호전, 일반투자자 관심 고조, 주가 상승과 거래량 증가 3) 과열국면 : 시장과열 기미, 주식투자 경험이 없는 사람도 투자 시작, 신문 등에서 주식내용 톱뉴스 <약세시장> 1) 분산국면 : 강세3국면 이후 전문투자자들의 수익실현단계, 주가 하락과 거래량 증가, 상승추세의 어려움 2) 공황국면 : 경제 전반의 악화에 따른 일반투자자의 매도, 주가 수직하락, 거래량 급감 후 긴 회복이나 보합 3) 침체국면 : 투매양상, 주가는 하락하지만 하락폭은 작아짐, 부정적 정보 다수, 악재소멸 전 주식시장 반전 개인적인 관점으로 올해 7월 테슬라의 수장 일론 머스크가 비트코인을 매도한 시점이 분산국면 마지막이었다고 생각하며 이후 공황(공포)국면이 도래했고 현재 크립토시장은 침체국면(초기)이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즉, 다우이론을 바탕으로 할 때 강세장 중 상승국면까지는 침체 및 매집국면이 남아있기에 기술적분석을 이용한 투자자 이익 극대화 되는 상승국면까지는 시간이 다소 필요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우이론에서 투자행위는 일반투자자와 전문투자자가 반대로 나타납니다. - 일반투자자 : 매집국면(공포심), 상승국면(공포심), 과열국면(확신), 분산국면(확신), 공황국면(확신), 침체국면(공포심) - 전문투자자 : 매집국면(확신), 상승국면(확신), 과열국면(공포심), 분산국면(공포심), 공황국면(공포심), 침체국면(확신) 즉, 전문투자자는 공황국면부터 점차 매수를 진행하며, 침체국면과 매집국면에서는 확신을 가지고 매수를 진행합니다. 한편, 크립토시장에는 상장폐지의 큰 리스크가 있기에 침체국면 및 매집국면에서 확신을 가지고 큰 금액을 매수하기에는 부담스러운 측면이 있습니다. 그러나 시장은 다시 또 순환하는 바 비트코인이나 암호화폐 생태계에 확신이 있으신 분들은 순환주기를 잘 활용하여 유망종목을 선별하고 보유하면 향후 많은 수익 또한 거양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 결 론 ⭐ ① FTX 붕괴 후 크립토시장에서는 여진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② 작년 11월을 기점으로 총 385일 동안 조정을 받고 있으며 고점대비 하락폭은 -77.5% 수준입니다. ③ 비트코인은 평행채널 중단에서 저항을 받고 있고 반등 모멘텀은 적은 상황입니다. ④ 20일 EMA 및 60일 EMA 데드크로스가 진행 중이기에 현물거래를 하시는 분들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⑤ 지지구간은 16.8K 및 16.4K(주황색 지지선)입니다. ⑥ 그러나 16.4K 아래에서 4시간봉 종가 마감 시 특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⑦ 다우이론은 주식시장의 추세를 기술적으로 분석한 이론으로 추세분석의 고전입니다. ⑧ 다우이론 상 現 크립토시장은 침체국면(초기)이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⑨ 따라서 상승국면까지는 침체 ~ 매집국면이 남아있기에 시간이 다소 필요합니다. ⑩ 시장은 순환하기에 침체국면부터 매집국면까지 관심을 가지면 좋은 수익 또한 거양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 본 포스팅의 정보는 투자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에디터즈 픽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Master_Chartistlab의

1263

[2022-12-02 BTC PUBLIC IDEA] REBOUND (반동 : 상승 그리고 기회에 대하여)- Make a Move ※ PC 사용간 선행되는 Chart 가 정상적으로 노출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Mobile 정상 출력 확인) ※ 반갑습니다. Crypto Makumup 입니다. 지난 공매도 관점인 "FINAL DESTINATION 2" 퍼블릭(공개) 아이디어의 종료 이후 오랜만에 다시 찾아뵙습니다. 먼저 최근 FTX 사태로 직접 또는 간접적인 피해를 입으신 투자자 분들에게 위로의 말씀을 전해드립니다. 마켓의 공포감과 상실감이 만연한 가운데, 공교롭게도 가장 알맞으며 보람 있는 고비에 대해 이야기를 함께 나눠 보고자 합니다. 많은 분들이 체감 하시듯, 크립토마켓 뿐만 아닌 글로벌 비지니스 제반 환경 또한 다소 긴 약세장이 꾸준히 전개되고 있습니다. 2021년 말부터 본인은 COVID19 발 양적 완화의 부작용으로 인플레이션 우려와 이에 따른 긴축 도구의 사용으로, 금융 전통 시장 및 크립토마켓의 약세와 붕괴를 꾸준히 과거 아이디어를 통해 시사하며 우려 해 왔습니다. 현재 일각에서는 제로에 가까운 저 성장과 침체기를 대표하는 뉴 노멀(New Normal)이 될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많습니다. <뉴 노멀 : 저성장, 규제강화, 소비위축, 미국시장영향력 감소 등의 주요 흐름 속에 적응 된 저성장의 시대> 정확한 규정은 없지만 한계가 있거나, 한계가 그어지지 않은 기간을 시대라고 표현합니다. 지금 우리에게 직면한 이 시기들을 시대라고 표현 한다면, 잠시 붕괴된 시대에 적응과 순응이 공존하는 시기에 맞물려 있음을 안내하고 싶습니다. 역사적으로 어떤 표준에 의하여 구분 지은 특정한 구간에 우리가 무너지고 깨어지는 붕괴의 구간을 경험하고 있다면 붕괴의 반대 즉, 마켓의 재건을 위한 회복 가능성에 대해 여러분과 함께 확인하고자 기 아이디어를 개진하게 되었습니다. 해당 아이디어의 제목 "REBOUND"는 체육학에서 "반동"을 의미합니다. 통상 마켓에서의 "반등" 은 한시적인 상승을 일컫습니다. 하지만 "반동" 이라는 표현은 볼(공) 등이 튀어서 되돌아 오는 사물의 움직임을 표현한 것이며, 또한 되돌아 온 그 이후 까지의 상황을 유추하거나,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향후 마켓의 시가를 암묵적으로 여러분께 표현 하고자 해당 아이디어의 제목을 마켓의 가격에 비유하게 되었습니다. 마켓의 약세는 작년 11월 이후 오늘날까지 370날 이상 지속 되고 있습니다. 사실 약세장이 되면 실패한 투자자는 어떠한 조언도 듣기 싫게 되는 포기 상태에 이르게 됩니다. 그래서 비 자발적인 장기 투자자가 되는 경우가 매우 드물게 발생 합니다. 진부한 얘기가 될 수 있지만, 이런 상황에서 한번 쯤 지나간 역사를 되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조건부 확률에 대입하여 과거 가장 오래 기록된 하락장은 400여일간 진행되었습니다. 이러한 이벤트가 상호 베타적일 경우 두 가지의 조건이 공집합이 되어 다소 사전적인 확률 기반을 시장에서는 갖게 됩니다. 물론 통계와 확률을 기반으로 마켓의 모든 상황을 대변 할 순 없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도구들은 결정을 하기 위한 근거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전통적인 금융 이론에만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이러한 통계 기반이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투자자의 위험과 손익을 계산하는 최초의 텍스트가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COVID19에 적응 되어있습니다. 약세장 또한 적응되어 스스로 선택적 추상화를 하고있는것은 아닌지, 스스로 되돌아 봐야 할 시기입니다. 선택적 추상화란 상황이나 사건의 주된 내용은 무시하고 자신의 실수나 단점, 부정적인 이미지 등 사상의 특정 일부 정보에만 주의를 기울여 전체의 의미를 해석하고 결론을 내리는 오류를 일컫습니다. A. 선택적 추상화의 일반적인 오류 = "값비싼 물건은 가격에 상응하는 가치를 지닌게 확실" B. 마켓의 선택적 추상화의 오류 = "물가는 여전히 높고 경제는 잿빛, 하락장이 길게 지속됨으로 크립토마켓은 꾸준히 붕괴될 것 이 확실" 이러한 선택적 추상화의 오류는 대부분 마켓의 상승 / 하락에 따른 이분법적 사고에서 비롯됩니다. 양극단으로만 생각하고 중간이나 타협점이 없는 사고방식이 이에 해당합니다. 지속되는 약세장으로 인하여 크립토 마켓만의 단일이슈 Terra(LUNA), 3AC, Celcius, FTX 파산 등 다양한 사건의 형태로 마켓의 재앙화 / 파국화가 심화 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사건들을 지나치게 걱정하고, 또 과장하여 항상 최악을 우선으로 수리하게 되며 이러한 두려움으로 인하여 아무것도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태 즉, 폭락장에서 흔히 겪는 인지오류인 파국화의 오류에 우리는 직면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또한 선택적 추상화의 과잉 일반화, 정서적 추론의 오류에 골고루 빠진 잘못된 생각에 이를 수 있음을 인지 해야 합니다. 중요한 것은 폭락장에도 패닉에 빠지지 않으며, 항상 유연한 사고를 가지고 마켓에 적응해야 한다는 것이 주요 쟁점이 되겠습니다. <약세장의 지속 원인 : 불 확실성 구성요소> 과거 퍼블릭(공개) 아이디어를 통하여 약세장의 원인에 대해 꾸준히 점검하고, 반복적인 수리를 통해 마켓의 상황을 여러분과 함께 조립하여 왔습니다. 현재 약세장의 가장 주 된 원인은 "COVID19 발 무제한 양적완화" 에 따른 부작용입니다. 양적완화의 부작용으로 높은 인플레이션이 점진적으로 대두 되며, 인플레이션은 일시적(Transitory)이라는 표현 아래 미국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정책의 실패를 공식적으로 작년 말 발표 하였습니다. 이후 경제의 안정화 연착륙을 목표로 점진적 금리인상을 시도하였으나, 지정학적 리스크(러,우 전쟁) 발발 등 추가 대 내외 변수로 인플레이션(물가)은 결국 해결되지 못했습니다. 마켓약세의 촉매 작용을 하는 해당 이슈들은 과거 약세를 예상했던 아이디어에서 헤아릴 수 없이 다루던 내용입니다. 2022년 4월경 개진된 "FINAL DESTINATION" 퍼블릭 아이디어 중 코멘트 내용을 첨언하여 현재의 상황과 대조 해 보겠습니다. <2022-06-14 AM 10:20 Comment> 현재 미국의 인플레이션 문제는 작년부터 지속적으로 말씀드린 바 와 같이 심각한 상황입니다. 모든 전개가 달러로 측정 되고 전세계로 확장 중 이며,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 식료품 관련 섹터에서 높은 인플레이션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8.6% 수준이며, 기준금리 인상을 여러 차례 단행한다고 하나 종국에는 인플레이션을 2% 까지의 수준으로 되돌리기 힘들것이라 진단하고 있으며 해당 수준까지 인플레이션률이 하락 한다면, 심각한 경기 침체를 맞이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가 인지하고 있는 연준(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현재 진퇴양난의 상황에 놓여져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을 해소 할 만큼의 금리인상과 강도 높은 긴축을 시행하면서 경제를 침몰 시키거나, 포기하는 마음으로 금리를 동결 시키는 것. 2가지의 조건밖에 남지 않기 때문입니다. 한 세기에 걸쳐 발행된 30% 수준의 통화가 양적 완화를 통해 팬더믹 선포 이후 단기간 발행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부작용을 현재 겪고있는 것이며, 경기 침체는 잠정적으로 확정 되어있습니다. 해당 코멘트 이후로 5개월 정도의 시간이 흘렀습니다. 실제 연준은 강도높은 긴축을 진행하기위한 금리인상을 인플레이션 해소 도구로 적극 활용 했으며, 4차례의 자이언트스텝(Giant Step) 0.75bp(YoY)의 고강도 금리인상을 진행하는 동안 주식 외환 제반 시장뿐만 아닌 크립토 마켓 또한 급진적인 붕괴를 함께 맞이 해야 했습니다. (A)높은 인플레이션, (B)러,우 전쟁관련 지정학적 리스크, (C)고 강도 금리인상, (D)리세션(recession) 경기침체 여전히 약세에 머무를 수 밖에 없는 구성 요소들이 해결 되지 않고 있는 것 처럼 느껴만 집니다. 하지만, 동이 트기전 가장 어두운 오늘. 불을 밝히기 위해 사용했던 등잔 밑을 함께 확인해야 할 시기가 도래함을 안내하고 싶습니다. <글로벌 비지니스 제반 환경 : 등잔 밑을 확인해야 할 때> 본인의 모든 퍼블릭 아이디어는 매크로적(거시경제) 연계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지난 9월경 "FINAL DESTINATION2" 종료를 고지드리며 끝 맺음 말씀으로, 미국의 공격적인 금리인상기조는 결국 완화기조에 들어서는 국면이 있을 것 이라 안내 드렸습니다. 한시적으로 크립토마켓의 단일이슈(FTX 11장 파산 절차) 이후 글로벌 증시와 탈 동조화 된 양상을 보여준 반면, 실제 고강도 금리 인상을 4차례 진행하며, 최근 미국 인플레이션을 대표하는 소비자물가지수는 8.2%(YoY)->7.7%(YoY) 하락 하였습니다. 현재 마켓의 주요 이슈 메인스트림인 "금리 인상" 의 명목이 잠시 뚜렷함에서 흐릿함으로 전환되는 구간에 돌입한 것 입니다. 증시를 비롯하여 자산 시장은 급진적인 상승세를 보여주며, 회복 국면 즉, 숨고르기 장세의 양상을 꾸준히 지니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가오는 12월 진행되는 연중 마지막 금리 인상은 속도 조절이 진행 된 기조(0.5bp)가 잠정 확정되어 있음으로 진단 하고 있으며, 잠정 확정된 금리 인상의 속도 조절이 종국에는 비단 증시 뿐만 아닌, 기타 동조화가 진행되었던 마켓 또한 상승을 견인할 요소로 작용 하며, 긴 약세장에서 투자자들이 숨을 고를 수 있는 상승의 구간이 머지 않아 마련 될 것으로 판단 됩니다. 팬더믹 이후 크립토 마켓과 글로벌 비지니스 제반환경은 동조화 현상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동조화 현상을 등잔에 비유하였으며, 지금 여러분과 함께 확인하였습니다. 비트코인 마켓은 최근 FTX 사태관련 자체 이슈로 추가 약세의 국면에서 회복이 더딘 양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이슈는 단일 이슈에 국한 되며, 그간 모든 자산 시장과 동조화 된 크립토마켓의 섭리와 이치를 쉽게 위배 할 수 없을 것 입니다. 금번 사태로 인하여 중장기적으로는 규제 확립과 제도 보완의 자양분으로 활용되어, 암호 자산 생태계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 합니다. BTC 전략을 노출 할 시간입니다. 하기의 구조 및 대응을 참고하시어 보다 큰 변동성에 대해 대비하며, 여러분과 함께 좋은 기회를 맞이할 수 있기를 기대 합니다. - 구조 및 대응 - 1. 현 시간부로 BTC 16K~17K 부근에서의 보다 큰 상승 국면을 확인하십시오. 2. "1의" 조건에 충족한다면 차트에 표기된 상승 구간 중 가까운 매물 구간부터 순차적인 상승 점거 확인을 도모합니다. 3. 1의 조건과는 달리 "15K" 를 장시간 확정 이탈한다면, 방향성에 대한 괴리로 인지하시어 시장을 보다 보수적으로 바라보시며, 추가 구조 업데이트를 위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코멘트를 기다려 주십시오. 모든 관점은 Black Sheep Wall Trading(Scenario)에 기반하여 상기 차트에 도출, 매매 전략을 구상합니다. 기 아이디어의 종료 시점까지 실시간 추가 코멘트로 지속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하며 끝까지 여러분과 함께하고 있습니다. 분석이 도움 되신다면 자주 찾아주시고(좋아요/팔로우/댓글), 생산적인 대화는 요청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 Makumup -

에디터즈 픽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Makumup의

5068

상승 파동의 끝인가. 건강한 조정인가안녕하세요. 하루모닉 입니다. 트뷰에 두번째 글을 올립니다. 정확히 어젯밤 10시 30분. PCE(소비지출물가지수) 발표와 함께 비트코인의 경우 고점을 약간 갱신하며 조정 파동이 조금 크게 나왔습니다. 파동 이론을 바탕으로 보신 분들은 아마 많은 분들이 17.3k ~ 17.6k 정도를 보고 계셨을 거라 생각됩니다. 15.4에서 올라온 파동을 복합 파동으로 보고 있는 제게는 단순하고 크게 보면 ABC 파동 중 C 파동의 끝인지. 또는 상승이 더 남았는지에 대해 아직까지 확실하게 말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위 차트를 보시면 아주 예쁜 비율의 나비 패턴과 BAT 패턴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매물대와 지지저항, 피보나치 비율로 보면 16.8k 부근에 우주의 기운이 몰려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해당 구간을 지켜주며 재차 상승을 이어간다면 우선 앞에 있는 나비 패턴의 PRZ를 향해 나아갈 것 같습니다. 만약 16.8k 부근을 지켜주지 못하고 재차 하락을 한다면 저는 다시 한번 전저점인 15.4k를 갱신하러 가는 파동의 시작으로 볼 것 같습니다. 그렇기에 아직까지는 중립 기어를 잡고 있습니다만.. 17.3k부근은 저처럼..아마 모두 잡으셨겠죠..? 만약 16.8k 부근에 도착하여 어떠한 무빙이 나온다면 다시 업데이트를 하겠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모든 분들 리스크 관리와 함께 잃지 않는 매매 하시기를 바랍니다. (저 포함ㅠㅠ)

에디터즈 픽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harumonic의

2378

비트코인(BTC) 하락 채널 돌파 가능성비트코인(BTC) 채널 저항 돌파 가능성 - (비트코인 1시간봉) 🔵 작은 하락 채널 27일에 저항부 근처에서 횡보했던 모습 이후 돌파하지 못하고 급락 그리고 현재 돌파 재시도 중 이제는 해당 하락 채널을 인지하고 숏 진입을 했을 개미들이 많을 것으로 추측 그러나 또 다시 이렇게 쉽게 숏을 먹여준다는 건 확률상 낮다는 생각 수 시간 내 2차 장대양봉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함 ⚫ 장대양봉 중심값 (16,350$) 장대양봉 중심값을 이탈할 시 돌파 속임수 확정으로 판단하고 손절 (비트코인 4시간봉) 🔴 큰 하락 채널 약 2주일 동안 지속되고 있는 큰 하락 채널 수일에 걸쳐서 채널 상단부에서 지속 저항을 받았던 모습. 작은 하락 채널과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숏을 먹여줄 거라고 생각하기 어려움 - 장대양봉 중심값 이탈 시 롱 관점 폐기

에디터즈 픽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basically98의

948

트레이딩'인터'뷰- 나만의 코인 분석 방법텔레그램, 유튜브, 트위터 등을 통해 활발히 활동 중이신, '코인하는 해달'님을 초대하여, 나만의 코인 분석 방법 노하우를 접해보고, 장/단기 투자로 나누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에디터즈 픽

52:08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TradingView의

5

Trading'Inter'View블랙프라이데이를 맞아, 트레이딩뷰 유저들을 위한 특별한 이벤트와 함께 트레이딩뷰에 특별한 분을 초대하였습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가 댄님과 함께 온체인 데이터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보겠습니다.

에디터즈 픽

55:12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TradingView의

13

산타 할아버지 오늘 오시는거 맞나요..☞ BTC 흐름 ☞ TSLA 흐름 ☞ 오늘의 아이디어 - BTC

40:20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readCrypto의

2

HA-High 선 이상 상승할 수 있을까...☞ NAS100USD, DXY, XAUUSD 흐름 ☞ 코인 시장의 대략적인 자금 흐름 ☞ BTC, ETH 흐름 ☞ 오늘의 아이디어 - BTC

01:13:39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readCrypto의

2

단기 상승세 시작 지점 : 17108.7 (BTCUSDTPERP)☞ NAS100USD, DXY, XAUUSD 흐름 ☞ 코인 시장의 대략적인 자금 흐름 ☞ BTC, ETH 흐름 ☞ ADA 흐름 ☞ 오늘의 아이디어 - BTC - ADA

01:10:55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readCrypto의

2

이번 주에 새로운 흐름을 이어갈 수 있을까...☞ NAS100USD, DXY, XAUUSD 흐름 ☞ 코인 시장의 대략적인 자금 흐름 ☞ BTC, ETH 흐름 ☞ XRP, THETA 흐름 ☞ 오늘의 아이디어 - BTC - XRP

01:03:35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readCrypto의

2

단기 급등선을 타고 상승할 수 있을까...☞ NAS100USD, DXY, XAUUSD 흐름 ☞ 코인 시장의 대략적인 자금 흐름 ☞ BTC, ETH 흐름 ☞ BNB ☞ 오늘의 아이디어 - BTC

01:10:12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readCrypto의

4

포지션 진입 기준 : 1D 차트의 흐름에서 찾아야...☞ 코인 시장의 대략적인 자금 흐름 ☞ BTC, ETH 흐름 ☞ 오늘의 아이디어 - BTC

01:15:39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readCrypto의

4

새로운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16.4K를 사수해야...☞ NAS100USD, DXY, XAUUSD 흐름 ☞ 코인 시장의 대략적인 자금 흐름 ☞ 코인생태계 확장 (14개 코인) 흐름 ☞ BTC, ETH 흐름

01:34:47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readCrypto의

4

새로운 흐름 이후 새로운 추세 변화 시점은...☞ NAS100USD, DXY, XAUUSD 흐름 ☞ 코인 시장의 대략적인 자금 흐름 ☞ BTC, ETH 흐름 ☞ NEAR ☞ 오늘의 아이디어 - BTC

56:47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readCrypto의

4

BTC매매전략안녕하세여. 오랜만에 글을 적네요. 저번 LINK 매매전략 이후 약간의 조정 이후 상승을 하였고, 현재는 수렴을 하고 있습니다. 비트의 움직임이 지금 크게 ABC 움직임 중에 A 파동 이후 B 파동 중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비트가 17.3~5까지 반등이 나오고 재차 하락하는 그림을 보고 있고, 이 움직임이 과연 어떻게 움직이는지가 중요할 꺼 같습니다. 혹여나 임펄스로 나온다면 반등모습 이후 재차 하락일지 아니면 상승일지 움직임이 보일꺼 같고, 지금은 눈에 보이는 타점은 위에 올라왔을 때, 숏 포지션을 한번 진입 하는거 말고는 보이지가 않습니다. 추후 파동이 진행됨에 따라 코맨트를 남기겠습니다.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부스트와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gugbabtrader의

2

2022. 12. 24. 메리 크리스마스안녕하세요?! 매매하는 전업투자자 Eco 입니다. 메리 크리스마스입니다 일단 스윙 관점은 그대로입니다 스캘핑 관점에서는 큰 조정은 없으며, 16,630에 로스를 걸고 추격롱을 잡을 수 있다고 보입니다 메인 스윙 관점은 아니라 리스크 관리가 필요합니다 크리스마스에 큰 무빙이 나온다고 확정 할 수는 없지만, 무빙이 나온다면 횡보 하다가 급반등으로 보고 있습니다 19.8k 밑에서 큰 저항은 없다고 보입니다 좋은 크리스마스 보내세요~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Eco_trading의

27

MS-Signal 을 돌파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1D 차트) (USDC 1D 차트) USDT나 USDC의 갭 상승은 코인 시장으로 신규 자금이 들어오는 신호라 보고 있습니다. (BTC.D 1W 차트) 가능하면, 43.40-45.68 구간으로 상승하였다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때, USDT 도미넌스가 상승하는지 하락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USDT.D 1D 차트) USDT 도미넌스의 상승은 코인 시장의 하락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7.86 이하로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월 5일경 입니다. ----------------------------------------- (BTCUSDT 1W 차트) 중장기적인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20050.02-20862.47 이상 상승하여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17880.71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15475.10 이하로 하락한다면, 13500.0 부근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종합해 보면, 15475.10-17880.71 구간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추세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1D 차트) 큰 박스 구간인 15475.10-17880.71 구간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그렇게 형성된 추세에서 하락 채널을 벗어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작은 횡보 구간인 16428.78-17115.96 구간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 구간은 15475.10-17880.71 구간 중에서 핵심적인 횡보 구간이기 때문에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17115.96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16428.78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새로운 흐름이 깨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일 새로운 흐름이 깨지게 되면, 중장기 하락 채널을 따라 하락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16740.64 부근에서 지지 받은지 3일 이상 되었기 때문에 매수가 가능해 졌습니다. 첫번째 매도 지점 : MS-Signal 선에서 저항 받을 때나 17115.96 터치시 Stop loss 지점 : 16428.54-16590.54 구간에서 저항 받을 때 거래 전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거래할 자산의 투자 기간을 정하는 것 입니다. 그에 따라서, 투자 규모를 비롯한 거래 방식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거래 방식을 결정할 때 중요한 것은 첫번째 매수와 매도 지점, stop loss 지점을 모두 선정해야 합니다. 이 중 하나라도 결정하지 못하다면, 거래 자체를 시작해서는 안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2월 28일경 입니다. 원으로 표시된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을 표시해 둔 것 입니다. 이 구간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에 따라 추세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움직임을 잘 관찰하여야 합니다. 이번 상승세가 단발성 상승으로 끝나게 된다면, 1차 : 17880.71 2차 : 19176.93-20050.02 부근을 터치하고 하락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새로운 흐름이 깨지게 된다면, 즉, 16428.78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1차 : 15475.10 2차 : 14.8K 3차 : 13500 부근을 터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BTCKRW 1D 차트) HA-Low 선이 새롭게 생성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21990000 이상 상승하여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 큰 그림 상승의 힘을 얻기 위해서는 13K-15K 구간에서 지지 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현재 위치에서 상승하든 하락하든 모두 단기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HA SRRC 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 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readCrypto의

8

BTC (technical rebound) 형태가 .. 반등쪽에 가깝다고 보이며 매도 볼륨도 3회 밸런스 있게 발산 됐고 .. 앞선 분석처럼 매도볼륨을 쏟아 낼 수도 있으니 손절라인 잘 지키는 게 중요하며 ... long!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GoldenAnts의

3

비트코인(BTC) 시황 및 매매플래닝* 바이낸스 현물 BTC/USDT 페어 차트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지난 11월 12일 차트상 range high 를 fake out 하는 SFP(swing failure pattern)으로부터 매크로 수치에서 비롯된 soft landing을 위한 피봇 기대감으로 강한 랠리가 시작됨. 2. 해당 랠리는 랠리 과정 중 다소 과장된 내부 패턴들을 만들며 강하게 진행된 이후, 12월 15일 fomc 연준의 단호한 매파적 스탠스 이후 빠르게 식어버린 이후 EQ level에서의 횡보중 3. 현재 차트 외적으로 인지하기 쉽진 않지만 상방의 모멘텀 또한 분명 만들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만 매크로와 더불어 끝나지않는 USDT, binance, SBF, genesis trading 등등 온갖 해소되지 않는 fud들에 의해 코인씬에는 하락에의 모멘텀이 우세하다고 보는 편이 합리적임. 4. 차트상 Bearish bat 이후 리액션에서 종가상 0.618 레벨(16.5k)을 지키는 듯 하지만 추세 스퀴징 성향이 다분한 빠른 되돌림이 식별됨. 4-1. 해당 하락은 range high에 미달한 채 적은 수의 캔들로 빠르게 고점을 형성 후 내려온 모습을 보임. 4-2. 이에 근거하여 bearish bat의 type 1 reaction에서 down trend가 직결될 수 있다고 판단함. 4-3. 현재 하늘색 박스구간에서의 accumulation 진행 이후 ltf상의 liquidity (17.5k) 부근까지의 manipulation phase 진행, 이후에는 range low를 타겟으로하는 distribution이 진행 될 것으로 판단함. 5. harmonic 에 기반하여 17.9k - 18.5k 구간 retest를 한번 더 거친 후 reversal이 진행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함. 6. 19.2k 돌파시 찐반인가? 시전가능 (trading plan) 7. 상기의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accumulation zone low 부근 liquidity가 있는 레벨에서의 롱포지션 -> manipulation phase 에서의 롱 포지션 청산 이후 숏 포지션을 구축하여 range low 및 HTF의 L/L을 타겟으로 가져가는 트레이딩 플래닝 7-1. 5번의 내용에 기반하여 manipulation phase에서 up thrust 발생으로 상승이 깊을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stop loss 설정이 필수로 동반되어야 함. 상단의 19.2k를 돌파하여 20k 터치 시에는 더 큰 TF의 랠리가 지속될 가능성이 시사됨. 8. 성투하세요~ 메리크리스마스^^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Popeye_H의

5

S&P 500 내가 죽거든 90%의 자산을 이 곳에 투자 하라, 과연 지금도?미국 s&p 500 침체형 박스 국면 지난 과거 역사에서 s&p지수는 우상향을 그려 왔습니다 2013년 워렌버핏은 주주 총회에서 그의 아내에게 한 말이 있는데요 워렌버핏이 죽거든 10%의 자산을 국채에 넣고 나머지는 s&p500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라고 말했습니다. 그 정도로 s&p의 지위는 과거 역사에서 폭발적인 우상향을 그려왔습니다 - 딱 여기까지만 본다면 s&p지수는 무적이고 지금부터 꾸준히 투자한다면 엄청나게 높은 수익률을 안겨줄것 같지만 사실 과거 역사속에서 두 차례나 10년이라는 기간의 박스권 횡보 장세가 있었습니다. - 차트를 함께 보시게 되면 멀리서 볼때는 하나의 작은 박스에 불과하지만 위 하래 폭이 50%에 달하는 높은 변동성으로 위 기간에 투자를 진행했다면 대다수는 기나긴 시간을 버티지 못하고 손절 주문을 냈을 것이라 생각되네요 - 1970년~ 1980년도 박스권 기간이 형성된 이유 먼저 보시면 1964년도 부터 1973년까지 발생된 베트남 전쟁으로 인한 미국의 양적완화와 달러 불신으로 인한 금본위제 폐지 사건이 있었고 이 시기에 세계적으로 원유 소비량이 급증하여 물가가 오르게 되고 원자재 가격이 인상되었으며, 1973년도에 오일쇼크로 유가가 무려 4.5배나 단기간에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니프티 피프티 주가 폭락 사태로 주식 시장은 큰 침체기를 맞이하게 되었고 1976년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15%까지 치솟게 되며 그 당시 연준의장 폴볼커는 기준금리를 20%까지 올리게 되며 시장의 유동성을 효과적으로 회수하였고 혼돈의 스테그 시기를 끝으로 S&P 500 지수는 10년만에 이전 고점을 돌파하게 됩니다. - 1980년도부터 2000년도까지 약 1500%의 상승 이후에 두 번째 박스권 장세가 나오게 되었는데요 위 박스권 기간에도 고점대비 약 52%의 하락으로 박스권 침체국면이 발생하게 됩니다. 다들 잘 아시겠지만 2000년도 초반 IT버블의 붕괴와 2008년도 미국의 금융위기로 글로벌 무역 불균형과 세계화 진행에 따른 국제 소득 불평등의 심화가 있었고, 유럽의 구조적 불안정이 국제 경제에 불확실성을 증폭하는 시기였습니다. - 특히나 미국은 20년간의 주식시장 상승으로 신용 버블이 커진 상태였고, 2005년부터 판매된 부실 모기지 상품은 금융위기까지 번지며 마이클버리의 빅쇼트가 탄생하는 시대적 배경이 되겠습니다. - 위 두 가지 S&P 500 주가지수 큰고 긴 박스권 국면에서는 공통적으로 안전자산인 금과 은이 폭발적인 상승을 하였는데요 이번에도 금과 은에서 미국의 주가지수와의 탈동조화 현상이 보이고 있습니다. - 개인의 선택이겠지만 혹여라도 고층에 물려 강제적인 장기투자를 해야하는 경우, 주식을 추가적으로 매수하기보다는 안전자산인 금과 은에 포트폴리오를 분산시켜 금과 은의 수익금이 발생되는 미래 시점에 리밸런싱을 통해 주가 손실분을 만회하여 다시금 재도약 하는 전략도 있습니다. - 미국 S&P 500 뿐만 아니라 국내도 신용사이클의 정점에서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으로 인해 유동성이 축소되는 과정에 있음으로 앞으로 발생될 부동산 , 주식시장 , 기업 부도 위기와 은행의 연쇄 부도 사태가 일어날 경우도 존재하니, 자산을 안전하게 방어 하신다면 큰 위기가 터졌을때 개인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과거와 현재는 다르지만, 과거 역사를 통해 배움이 없다면 미래가 없음은 분명합니다. 신용 사이클 관점에서 언젠가는 터져야 할 것이고 총 생산 대비 부채 비율이 높은 만큼 대비를 한다면 어떨까요 -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2차적 분석을 통해 접근하신다면 분명 좋은 결과 있으시리라 생각합니다. 올 한해도 고생 많으셨습니다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jaeil의

3

macd + stochastic 크로스오버/크로스다운 바이 앤 셀 전략BINANCE:ALICEUSDTPERP macd + stochastic crossover/crossdown buy and sell 전략입니다. 해당 전략을 위해 두 가지 보조 지표를 사용했습니다. 1.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MACD는 이동평균수렴 및 확산지수를 뜻하며 이동평균선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매매신호를 포착하는 기법입니다. 이 기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으나, 본 인디케이터에는 MACD선이 Signal 선을 상향/하향 돌파시 매매 신호가 발생하도록 했습니다. 2. Stochastic RSi StochRSI는 RSI의 Min-Max Normalization으로, 값의 범위를 0, 1로 만듭니다. StochRSI는 상승의 폭이 더 커지는 상승장으로 가는지, 하락의 폭이 커지는 하락장으로 가는지 알 수 있습니다. 0 ~ 100 사이의 값을 RSI에 비해 더 빠르고 더 가파르게 이동하기 때문에 단기적 추세의 변화에 적합합니다. 본 인디케이터는 Stochastic K선이 D선을 상향돌파하거나 D선의 위로 갈 경우 롱 매매 신호 발생, 역으로 K선이 D선을 하향돌파하거나 D선의 아래로 갈 경우에도 숏 매매 신호가 발생하도록 했습니다. 두 보조 지표의 쓰임새는 다르나 함께 결합이 될 경우 보다 더 빠르고 강하게 신호가 발생되기 때문에 결합을 시도해보았습니다.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sseccus777의

3

CP┃비트코인 파동분석※파동의 크기는 Ⅰ > 1 > (1) > ① 순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현시점 제가 보고 있는 비트코인의 단기적 파동을 공유코자 합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아직 추가적인 상승이 남아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단기상승 이후 더 큰 하락이 나올것이라 생각합니다. 그 하락의 크기에 따라 카운팅이 조금 나뉠것 같습니다. ■단기 상승(1H 차트) ■이후 나오는 하락(4H 차트) : 하락의 크기(반등의 위치)에 따라 카운팅이 나뉠 것 같습니다. ①16.1K 구간에서 반등 ②전저점 15.5K 하락 이탈 ■정리 : 추가적인 상승이 남아있다 생각합니다. (17.2K - 17.6K) : 이어서 더 큰 하락으로 연결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 16.1K 구간에서 반등하느냐, 15.5K를 하락이탈하느냐 지켜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글을 쓰는 현재(25일 19시) 의 수렴이 상방이탈이 아닌 하방이탈 한다면 현재의 아이디어는 무효화 됩니다.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CynicalPark의

111

[쇼빗] 221225 메리크리스마스! BTCUSDT 엘리엇파동이론으로 타점 잡기와썹요! 형들 느슨해진 국빗에 긴장감을 주는 쇼빗이야 오랜만에 관점 올리네 이번 크리스마스는 아쉽게도 산타할아버지의 선물 변동성은 없었어 주말과 크리스마스가 껴서인지 극악의 심정지를 보여주고있는 비트야 상단에 큰 추세선이 있어서 저항을 많이 받을거라고 예상되거든 그렇기에 시간조정이 길 수록 올라갈 수 있는 예상범위는 줄어들고 있어 당초 많은 사람들이 618 구간인 17500을 예상했지만 결국 위의 추세선 떄문에 382 부근인 200-300 정도 밖에 못가지 않을까 싶어 이는 이전 하락파동에서 약간이나마 4시간까지 상승다이버전스를 띄운 마당이라 다소 의심되긴 하지만 난 최종적으로는 장기적으로 메이저 파동의 엔딩다이아고날을 보고 있는 관점이라 지금 올리더라도 다시금 최종 하락파동을 보여 줄 거라고 생각하고 있어 앞단의 큰 하락파동은 임펄스 또는 ABC의 형태로 볼 수 있는데 이 후 차트에 표기해 둔 대로 임펄스로 올라왔다고 보여지거든 조정 첫파가 5파일 시 높은 확률로 535 직잭이 발생하는걸로 위의 관점을 추론 해 봤어. 임펄스로 볼 시 파동을 잘개 쪼개면 2파가 임펄스로 매칭이 되나 그렇기엔 1,2의 가격과 시간 조정이 너무 짧아서 1분봉 정도로 봐야 잘 보이거든 그래서 좀 의심이 되긴 해 만약 임펄스가 아니라면 위 2개차트 중 우측 차트의 임펄스 하락 관점은 등장하지 않겠지 ABC든 임펄스든 현재는 조정구간이라 보여지고 이 조정구간에 대한 가격대비 시간조정이 지금 어마어마하게 길기에 파동 파악에 어려움이 있어. 이게 wxy인지, 각 파동에 수렴이 등장한건지 명확하지가 않아 이럴 때일수록 많은 시나리오를 갖고 대비책을 마련해야할 것 같아 세부관점은 차트상에 표기 해 두었으니 참고 부탁해! 얘기할건 여기까지고 국빗은 쇼빗 선에서 정리되는거 알지? 그럼 형들 메리크리스마스 일요일 행복하게 보내고 내일도 홧팅 해! cya!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show_me_the_bit의

4

[비트코인] 크리스마스 분석크립토 시장에서 트레이더로 활동하고 있고 처음 아이디어를 작성해봅니다. 우선 제가 며칠간 보았던 차트 먼저 말씀 드리자면 5-3-5 이후에 ABC로 크게 내려왔고 강한 지지라인으로 해석하고 있었던 16.3k 부근에서 시간봉 상승다이버전스 출현으로 새로운 파동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먼저 주목해야될 포인트는 시간봉 이동평균선으로 보고 있으며, 이동평균선에서는 수렴 과정을 거친 이후에 발산 과정이 나오게 됩니다. 지금 현재 시간봉에서 이동평균선의 이격도가 전부 붙어있으므로 이동평균선의 수렴으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직접 단중장기 이동평균선을 체크해보시길 바랍니다.) 즉, 위아래로 큰무빙이 나올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 긴축 시즌으로 장의 심리가 바닥을 치고 있는 상태와 더불어 주말에는 기관을 포함한 여러 헤지펀드들은 거래를 하지 않습니다. 실제 CVD 상에서도 매수벽, 매도벽이 존재하기 때문에 보합 상태로 해석이 가능하고 이대로 주말 마감할 확률을 제일 높게 보고 있습니다. 조금 더 횡보를 거친 이후에 움직임이 나와줄 것으로 보이는데 위아래 슈팅 중 상방의 확률을 제일 높게 보고 있습니다. 전략으로는 현재 받쳐주고 있는 상승 추세선과 매물대를 참고하여 16.7 손절 라인으로 잡아두고 롱을 노려보는 전략을 가져갈까 합니다. 스토캐스틱 20 12 12 에서는 현재 골든 크로스를 바라보고 있으며, 해당 구간에서 상승 기류를 한번 타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합니다. 최종적으로 큰그림으로 19.2~3k 부근까지 열려있는 것으로 보고 있는데 큰그림인 만큼 퍼즐을 하나하나 대응하며 그림을 맞춰가야합니다. 지지라인으로는 16.3k 부근과 해당 부근이 깨지면 15.8~16k 부근이 강한 지지 라인으로 해석이 가능한데 16.3k 부근이 깨지고 아래에서 봉마감을 해준다면 다음 지지 구간인 15.8~16k를 지켜보셔야합니다.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cnssa의

28

Day Trading Booster by DGTTiming when day trading can be everything In Stock markets typically more volatility (or price activity) occurs at market opening and closings When it comes to Forex (foreign exchange market), the world’s most traded market, unlike other financial markets, there is no centralized marketplace, currencies trade over the counter in whatever market is open at that time, where time becomes of more importance and key to get better trading opportunities. There are four major forex trading sessions, which are Sydney , Tokyo , London and New York sessions Forex market is traded 24 hours a day, 5 days a week across by banks, institutions and individual traders worldwide, but that doesn’t mean it’s always active the entire day. It may be very difficult time trying to make money when the market doesn’t move at all. The busiest times with highest trading volume occurs during the overlap of the London and New York trading sessions, because U.S. dollar (USD) and the Euro (EUR) are the two most popular currencies traded. Typically most of the trading activity for a specific currency pair will occur when the trading sessions of the individual currencies overlap. For example, Australian Dollar (AUD) and Japanese Yen (JPY) will experience a higher trading volume when both Sydney and Tokyo sessions are open There is one influence that impacts Forex matkets and should not be forgotten : the release of the significant news and reports. When a major announcement is made regarding economic data, currency can lose or gain value within a matter of seconds Cryptocurrency markets on the other hand remain open 24/7, even during public holidays Until 2021, the Asian impact was so significant in Cryptocurrency markets but recent reasearch reports shows that those patterns have changed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U.S. trading hours is becoming a clear evolving trend. Unlike any other market Crypto doesn’t rest on weekends, there’s a drop-off in participation and yet algorithmic trading bots and market makers (or liquidity providers) can create a high volume of activity. Never trust the weekend’ is a good thing to remind yourself One more factor that needs to be taken into accout is Blockchain transaction fees, which are responsive to network congestion and can change dramatically from one hour to the next In general, Cryptocurrency markets are highly volatile, which means that the price of a coin can change dramatically over a short time period in either direction The Bottom Line The more traders trading, the higher the trading volume, and the more active the market. The more active the market, the higher the liquidity (availability of counterparties at any given time to exit or enter a trade), hence the tighter the spreads (the difference between ask and bid price) and the less slippag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ed fill price and the actual fill price) - in a nutshell, yield to many good trading opportunities and better order execution (a process of filling the requested buy or sell order) The best time to trade is when the market is the most active and therefore has the largest trading volume, trading all day long will not only deplete a trader's reserves quickly, but it can burn out even the most persistent trader. Knowing when the markets are more active will give traders peace of mind, that opportunities are not slipping away when they take their eyes off the markets or need to get a few hours of sleep What does the Day Trading Booster do? Day Trading Booster is designed ;   - to assist in determining market peak times, the times where better trading opportunities may arise   - to assist in determining the probable trading opportunities   - to help traders create their own strategies. An example strategy of when to trade or not is presented below For Forex markets specifically includes   - Opening channel of Asian session, Europien session or both   - Opening price, opening range (5m or 15m) and day (session) range of the major trading center sessions, including Frankfurt   - A tabular view of the major forex markets oppening/closing hours, with a countdown timer   - A graphical presentation of typically traded volume and various forext markets oppening/clossing events (not only the major markets but many other around the world) For All type of markets Day Trading Booster plots   - Day (Session) Open, 5m, 15m or 1h Opening Range   - Day (Session) Referance Levels, based on Average True Range (ATR) or Previous Day (Session) Range (PH - PL)   - Week and Month Open Day Trading Booster also includes some of the day trader's preffered indicaotrs, such as ;   - VWAP - A custom interpretaion of VWAP is presented here with Auto, Interactive and Manual anchoring options.   - Pivot High/Low detection - Another custom interpretation of Pivot Points High Low indicator.   - A Moving Average with option to choose among SMA, EMA, WMA and HMA An example strategy - Channel Bearkout Strategy When day trading a trader usually monitors/analyzes lower timeframe charts and from time to time may loose insight of what really happens on the market from higher time porspective. Do not to forget to look at the larger time frame (than the one chosen to trade with) which gives the bigger picture of market price movements and thus helps to clearly define the trend Disclaimer : Trading success is all about following your trading strategy and the indicators should fit within your trading strategy, and not to be traded upon solely The script is for informational and educational purposes only. Use of the script does not constitutes professional and/or financial advice. You alone the sole responsibility of evaluating the script output and risks associated with the use of the script. In exchange for using the script, you agree not to hold dgtrd TradingView user liable for any possible claim for damages arising from any decision you make based on use of the script

에디터즈 픽

파인 스크립트™ 인디케이터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dgtrd의

1202.1K

DR/IDR V1Defining Range DR and Implied Defining Range IDR for regular Session and overnight Session This script is showing the IDR and DR for the regular trading session and for the overnight session based on the rules from the creator of the DR/IDR concept. It works for all major Forex Pairs, BTC, ETH and the US Equity indices. This concept is based on rules and has a 80 % probability to be correct. It should be applied in the 5 Min. Timeframe. The timings for the RDR are from 09.30 - 10.30 am New York local time. The timings for the ODR are from 03.00 - 04.00 am New York local time. Rules: 1. If price in the 5 Min timeframe closes above the DR high after 10.30 am or 04.00 am then the DR low will be with 80 percent probability the low of the trading session. This is called confirmation. 2. If price in the 5 Min timeframe closes below the DR low after 10.30 am or 04.00 am then the DR high will be with 80 percent probability the high of the trading session. This is called confirmation. 3. If price closes above the IDR high after 10.30 am or 04.00 am it is an early indication that the low of the DR will be the low of the day and vice versa. Credits: This script imports the recently published (VisibleChart) library containing functions that return values calculated from the range of visible bars on the chart. bmistiaen helped me a lot with this script. Thank you a lot.

파인 스크립트™ 인디케이터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TheMas7er의

383.6K

Smart Money Concepts [LUX]This all-in-one indicator displays real-time market structure (internal & swing BOS / CHoCH), order blocks, premium & discount zones, equal highs & lows, and much more...allowing traders to automatically mark up their charts with widely used price action methodologies. Following the release of our Fair Value Gap script, we received numerous requests from our community to release more features in the same category. "Smart Money Concepts" (SMC) is a fairly new yet widely used term amongst price action traders looking to more accurately navigate liquidity & find more optimal points of interest in the market. Trying to determine where institutional market participants have orders placed (buy or sell side liquidity) can be a very reasonable approach to finding more practical entries & exits based on price action. The indicator includes alerts for the presence of swing structures and many other relevant conditions. Features This indicator includes many features relevant to SMC, these are highlighted below: Full internal & swing market structure labeling in real-time Break of Structure (BOS) Change of Character (CHoCH) Order Blocks (bullish & bearish) Equal Highs & Lows Fair Value Gap Detection Previous Highs & Lows Premium & Discount Zones as a range Options to style the indicator to more easily display these concepts Settings Mode: Allows the user to select Historical (default) or Present, which displays only recent data on the chart. Style: Allows the user to select different styling for the entire indicator between Colored (default) and Monochrome. Color Candles: Plots candles based on the internal & swing structures from within the indicator on the chart. Internal Structure: Displays the internal structure labels & dashed lines to represent them. (BOS & CHoCH). Confluence Filter: Filter non-significant internal structure breakouts. Swing Structure: Displays the swing structure labels & solid lines on the chart (larger BOS & CHoCH labels). Swing Points: Displays swing points labels on chart such as HH, HL, LH, LL. Internal Order Blocks: Enables Internal Order Blocks & allows the user to select how many most recent Internal Order Blocks appear on the chart. Swing Order Blocks: Enables Swing Order Blocks & allows the user to select how many most recent Swing Order Blocks appear on the chart. Equal Highs & Lows: Displays EQH/EQL labels on chart for detecting equal highs & lows. Bars Confirmation: Allows the user to select how many bars are needed to confirm an EQH/EQL symbol on chart. Fair Value Gaps: Displays boxes to highlight imbalance areas on the chart. Auto Threshold: Filter out non-significant fair value gaps. Timeframe: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timeframe for the Fair Value Gap detection. Extend FVG: Allows the user to choose how many bars to extend the Fair Value Gap boxes on the chart. Highs & Lows MTF: Allows the user to display previous highs & lows from daily, weekly, & monthly timeframes as significant levels. Premium/Discount Zones: Allows the user to display Premium, Discount, and Equilibrium zones on the chart Usage Users can see automatic CHoCH and BOS labels to highlight breakouts of market structure, which allows to determine the market trend. In the chart below we can see the internal structure which displays more frequent labels within larger structures. We can also see equal highs & lows (EQH/EQL) labels plotted alongside the internal structure to frequently give indications of potential reversals. In the chart below we can see the swing market structure labels. These are also labeled as BOS and CHoCH but with a solid line & larger text to show larger market structure breakouts & trend reversals. Users can be mindful of these larger structure labels while trading internal structures as displayed in the previous chart. Order blocks highlight areas where institutional market participants open positions, one can use order blocks to determine confirmation entries or potential targets as we can expect there is a large amount of liquidity at these order blocks. In the chart below we can see 2 potential trade setups with confirmation entries. The path outlined in red would be a potential short entry targeting the blue order block below, and the path outlined in green would be a potential long entry, targeting the red order blocks above. As we can see in the chart below, the bullish confirmation entry played out in this scenario with the green path outlined in hindsight. As price breaks though the order blocks above, the indicator will consider them mitigated causing them to disappear, and as per the logic of these order blocks they will always display 5 (by default) on the chart so we can now see more actionable levels. The Smart Money Concepts indicator has many other features and here we can see how they can also help a user find potential levels for price action trading. In the screenshot below we can see a trade setup using the Previous Monthly High, Strong High, and a Swing Order Block as a stop loss. Accompanied by the Premium from the Discount/Premium zones feature being used as a potential entry. A potential take profit level for this trade setup that a user could easily identify would be the 50% mark labeled with the Fair Value Gap & the Equilibrium all displayed automatically by the indicator. Conclusion This indicator highlights all relevant components of Smart Money Concepts which can be a very useful interpretation of market structure, liquidity, & more simply put, price action. The term was coined & popularized primarily within the forex community & by ICT while making its way to become a part of many traders' analysis. These concepts, with or without this indicator do not guarantee a trader to be trading within the presence of institutional or "bank-level" liquidity, there is no supporting data regarding the validity of these teachings.

파인 스크립트™ 인디케이터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LuxAlgo의

31613.5K

Volume composition (Buy & sell, active & passive)— Overview While net volume is useful information, it can be a blunt data point. Volume composition breaks down the content of volume, allowing a more detailed look inside each volume node. Volume composition consists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Total volume (buy and sell). By default gray node. Dominating volume (buy or sell). By default dark green/dark red node. Dominating active volume (buy or sell). By default light green/light red node. Dominating volume as percentage of total volume. Dominating active volume as percentage of total active volume. Buy and sell volume is defined by volume associated with lower timeframe up/down moves. This classification is further broken down to passive/active, standing for decreasing/increasing volume, e.g. a move up with volume higher than previous bar volume = active buy volume, a move up with volume lower than previous bar volume = passive buy volume. Volume data is fetched from a lower timeframe that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fit the timeframe you're using. By default, the following settings are applied: Charts <= 30 min: 1 minute timeframe Charts > 30 min & <= 3 hours : 5 minute timeframe Charts > 3 hours & <= 8 hours : 15 minute timeframe Charts > 8 hours & <= 1D: 1 hour timeframe Charts > 1D & <= 3D : 2 hour timeframe Charts > 3D: 4 hour timeframe Timeframe settings can be changed via input menu. The lower the timeframe, the more precision you get but with the cost of less historical data and slower loading time. Users can also choose which source to use for determining buy/sell volume, e.g. using close as source, a close that is higher than previous close would be considered as buy volume. This could be replaced with OHLC4 for example, resulting in a volume direction based on OHLC average. Volume composition of current chart can also be replaced with any other chart volume composition: — Visuals Breakdown of visual elements: 1. Symbol and timeframe used for volume composition calculations. By default the chart that is viewed and automatically selected lower timeframe. 2. Dominating volume threshold exceeded. Can be defined via input menu, 70% of total volume by default. 3. Dominating volume as percentage of total volume. Plotted below volume nodes, without % symbol. 4. Dominating active volume, + or - symbol, standing for buy and sell. Plotted below dominating volume percentage. When dominating volume and dominating active volume sides are in a disagreement (e.g. dominating volume is on buy side while dominating active volume is on sell side) this symbol will appear inside brackets, (+) or (-). 5. Dominating active volume as percentage of total active volume. Plotted below +/- symbol. 6. Dominating active volume threshold exceeded. Can be defined via input menu, 70% by default. Dominating volume & active volume percentages can be rounded to single numbers to avoid clutter caused by overlapping values. The percentage values will be rounded to closest single number value, e.g. dominating volume percentage at 54% = 5, dominating volume percentage at 55% = 6. Volume anomalies can be highlighted on the chart with a color for studying the events and their past implications in greater detail. Available anomalies for highlights are the following: Buy volume threshold exceeded Sell volume threshold exceeded Active buy volume threshold exceeded Active sell volume threshold exceeded Volume & active volume divergence — Practical guide Volume is arguably one of the most important data points as it directly relates to liquidity. High volume can be an indication of strength (price likely to continue moving) or absorption (price likely to halt/turn). Same applies to active volume, but with an element of aggression. High active volume serves as an indication of exuberance or otherwise forceful transacting, like stop losses triggering. With these principles in mind, the composition of volume allows distinguishing potentially important events. Example #1 : Identifying areas of trapped market participants Often when volume spikes distinctively, we can make the case that price has found sufficient liquidity to halt/turn. Since we know which side was absorbed, in what quantity and type (passive/active), we can identify areas of trapped market participants. In such scenarios, the higher the dominant active volume and volume spike itself, the better. Example #2 : Identifying a healthy trend A healthy trend is one that has an active and consistent bid driving it. When this is the case, it can be seen in consistently supportive active volume. Example #3 : Identifying inflection points When dominant side of volume and dominant side of active volume diverge, something is up. A divergence often marks an area of indecision, hinting an imminent move one way or the other.

에디터즈 픽

파인 스크립트™ 인디케이터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quantifytools의

251.2K

ZigZag█   OVERVIEW This library is a Pine Script™ programmer’s tool containing custom user-defined types and functions to calculate ​Zig Zag indicators within their scripts. It is not a stand-alone indicator. Pine Script™ libraries are publications that contain reusable code for importing into Pine Script™ indicators, strategies, and other libraries. For more information on libraries and incorporating them into your scripts, see the Libraries section of the Pine Script™ User Manual . █   CONCEPTS ​Zig Zag​ ​Zig ​Zag ​ is a popular indicator that filters out minor price fluctuations to denoise data and emphasize trends. Traders commonly use ​​Zig Zag​ for trend confirmation, identifying potential ​support and ​resistance​, and pattern detection​. It is formed by identifying significant local high and low points in alternating order and connecting them with straight lines, omitting all other data points from their output. There are several ways to calculate the ​Zig Zag​'s data points and the conditions by which its direction changes. This script uses ​pivots as the data points, which are the highest or lowest values over a defined number of bars before and after them. The direction only reverses when a newly formed ​​pivot​ deviates from the last ​​Zig Zag​ point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an amount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percentage. To learn more about ​Zig Zag​ and how to calculate it, see this entry from the Help Center. █  FOR Pine Script™ CODERS Notes This script's architecture utilizes user-defined types (UDTs) to create custom objects which are the equivalent of variables containing multiple parts, each able to hold independent values of different types . UDTs are the newest addition to Pine Script™ and the most advanced feature the language has seen to date. The feature's introduction creates a new runway for experienced coders to push the boundaries of Pine. We recommend that newcomers to the language explore the basics first before diving into UDTs and objects. Demonstration Code Our example code shows a simple use case by displaying a ​​Zig Zag​ with user-defined settings. A new ​ZigZag object is instantiated on the first bar using a Settings object to control its attributes. The fields for the Settings object are declared using variables assigned to input.* functions, allowing control of the field values from the script's settings. The `update()` function is invoked on each bar to update the ​​ZigZag object's fields and create new lines and labels when required. Look first. Then leap. █  TYPES This library contains the following types: Settings   Provides calculation and display attributes to ​ZigZag objects.   Fields:      devThreshold : The minimum percentage deviation from a point before the ​ZigZag will change direction.      depth : The number of bars required for ​pivot detection.      lineColor : Line color.      extendLast : Condition allowing a line to connect the most recent ​pivot with the current ​close.      displayReversalPrice : Condition to display the ​pivot ​price in the ​pivot label.      displayCumulativeVolume : Condition to display the cumulative ​volume for the ​pivot segment in the ​pivot label.      displayReversalPriceChange : Condition to display the change in price or percent from the previous ​pivot in the ​pivot label.      differencePriceMode : Reversal change display mode. Options are "Absolute" or "Percent".      draw : Condition to display lines and labels. ​Point   A coordinate containing time and price information.   Fields:      tm : A value in UNIX time.      price : A value on the Y axis (price). ​Pivot   A level of significance used to determine directional​ movement or potential support​ and resistance.   Fields:      ln : A line object connecting the `start` and `end` ​Point objects.      lb : A label object to display ​pivot values.      isHigh : A condition to determine if the ​pivot is a ​​pivot high.      vol : ​​Volume for the ​pivot segment.      start : The coordinate of the previous ​Point.      end : The coordinate of the current ​Point. ​ZigZag   An object to maintain ​Zig Zag​ settings, ​pivots, and ​volume.   Fields:      settings : Settings object to provide calculation and display attributes.      pivots : An array of ​​​Pivot objects.      sumVol : The ​​volume sum for the ​​​pivot segment.      extend : ​​Pivot object used to project a line from the last ​​​pivot to the last bar. █  FUNCTIONS This library contains the following functions: last​Pivot(this)   Returns the last ​​​Pivot of `this` ​​ZigZag if there is at least one ​​Pivot to return, and `na` otherwise.   Parameters:      this : (series ​​ZigZag) A ​​ZigZag object.   Returns: (​Pivot) The last ​​Pivot in the ​​ZigZag. update(this)   Updates `this` ​​​ZigZag object with new ​pivots, ​volume, ​lines, labels.   Parameters:      this : (series ​​ZigZag) a ​​ZigZag object.   Returns: (bool) true if a new ​Zig​ Zag​ line is found or the last Zig​ Zag​​ line has changed. newInstance(settings)   Instantiates a new ​ZigZag​ object with `settings`. If no settings are provided, a default ​ZigZag​​ object is created.   Parameters:      settings : (series Settings) A Settings object.   Returns: (​ZigZag) A new ​ZigZag​ instance.

파인 스크립트™ 라이브러리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TradingView의

18124

1-2-3 Pattern (Expo)█ Overview The 1-2-3 pattern is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formation in the market. Almost every great market move has started with this formation. That is why you must use this pattern to detect the next big trend. In fact, every trader has used the 1-2-3 formation to detect a trend change without realizing it. Our 1-2-3 Pattern (Expo) indicator helps traders quickly identify the 1-2-3 Reversal Pattern automatically. By analyzing the price action data, the indicator shows the pattern in real-time. When the pattern is discovered, the 1-2-3 Pattern (Expo) Indicator notifies you via its built-in alert feature! Catching the upcoming big move can't be that much simpler. █ How to use The 1-2-3 pattern is used to spot trend reversals. The pattern indicates that a trend is coming to an end and a new one is forming. ----------------- Disclaimer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my Scripts/Indicators/Ideas/Algos/Systems does not constitute financial advice or a solicitation to buy or sell any securities of any type. I will not accept liability for any loss or damage, including without limitation any loss of profit, which may arise directly or indirectly from the use of or reliance on such information. All investments involve risk, and the past performance of a security, industry, sector, market, financial product, trading strategy, backtest, or individual's trading does not guarantee future results or returns. Investors are fully responsible for any investment decisions they make. Such decisions should be based solely on an evaluation of their financial circumstances, investment objectives, risk tolerance, and liquidity needs. My Scripts/Indicators/Ideas/Algos/Systems are only for educational purposes!

파인 스크립트™ 인디케이터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Zeiierman의

161.3K

Electrocardiogram ChartThis is an attempt to develop alternative visualisation of financial charts. This script also makes use of new pine feature types which represents User Defined Object Types. You can refer to below documentation to understand more about this feature: www.tradingview.com www.tradingview.com 🎲 Structure of new chart components 🎯Instead of candles/bars, this type of chart contains Electrocardiogram blocks which resembles the heartbeat signals on electrocardiogram. Body color of the block is defined by the open and close prices of the bar. If close is greater than open, body is green. Otherwise, the body is painted red. Border color of the block is defined by the close prices of current and previous bar. If the close of current bar is greater than that of last bar, then the border color is green. Otherwise, border color is painted red. 🎯Inside each blocks there will be 5 connecting lines called the signal lines. open-open open-firstPeak(high or low of the bar whichever comes first) firstPeak-secondPeak(high or low of the bar whichever comes last) secondPeak-close close-close 🎯 Color of the signal lines are determined by which among the high/low of the bar comes last. If highest part of the bar reached after reaching the lowest part of the bar, then signal lines are coloured green signifying bullish sentiment towards the end of bar. If lowest part of the bar reached after reaching the highest part of the bar, then signal lines are coloured red signifying bearish sentiment towards the end of bar. Pictorial examples here: 🎲 Limitations with pinescript implementation Since, pinescript can only use maximum 500 lines and each block will take 1 box and 5 lines, it is not possible to display more than 100 bars. Each block of new Electrocardiogram chart will take the space of 7 bars of candlestick chart. Due to this, the alignment of regular OHLC candles is not inline with the new chart type. Background highlighting is done for the part of the OHLC candles where Electrocardiogram blocks are plotted so that it helps users to map the bars manually Thanks to @theheirophant for suggestion of name :)

에디터즈 픽

파인 스크립트™ 인디케이터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HeWhoMustNotBeNamed의

47470

RSI Candle ColorI manually made a 100 point gradient for this one. Its just smooth sensitive rsi but it colors your candles based on the level of the rsi. I hope you find this useful even as a utility for the gradient.

파인 스크립트™ 인디케이터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peacefulLizard50262의

14110

3-TP JaZYoN bot 2.0 [60min]Hello everyone This script is optimalized for -------------->>> BINANCE:BTCUSDTPERP 60MIN As always I recommend using this pair, becouse of the highest volume pair in the whole crypto space Higher volume made more reliable decisions of my indicators so I recommend using this . This bot is trend-following for 1h charts, using simple strategy logic. General stats are : TP-1 : 0.8% TP-2 : 1.2% TP-3 : 2.1% //// SL : 7% This bot has extremly high stop-loss, becouse its dedicated mostly for strong-trends. I set strategy,equity at 50%, this is equal to using 1.5x leverage each entry. How this bot works? - Bot only using 2 conditions to open long or short positions. Most important indicator is PKAMA PKAMA shows excatly when we start making serious moves, while PKAMA is moving, we are going with the trend so for the first conditions we are also using combine of indicators such as: - ADX - Basic Volume indicator - Actual Support and Resistance This combine is enough to not over-optimalized this bot While PKAMA is flat and dont move, we are using bollinger bands as the main conditions with combination of : - Bollinger Volume indicator - Centred Trend Indicator So with this kind of combinations these two main conditions, we are able to going with the trend and also we can be profitable without any trend This script is prepared mostly for strong trend movemments, be careful with leverage becouse of the extremly high stop-loss As always Enjoy guys ;)

파인 스크립트™ 스트래티지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wielkieef의

9336

Visualizing Displacement [TFO]An easy and basic way to visualize displacement (energetic moves) in single bars/candles. This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bar range (either from high to low, or from open to close) to its standard deviation over some specified length. The strength parameter applies some multiple to the standard deviation, which can help to filter out only the strongest indications of potential displacement. Displacement is a key concept in Inner Circle Trader (ICT) concepts, especially when anticipating potential changes in trend. Although it's fairly easy to see "displacement candles" with large ranges, the bar coloring in this script can help remind us of who is in control (buyers or sellers) based on what side is creating those energetic moves most recently. Once we see signs of displacement, we can then apply concepts like premium/discount, order blocks, optimal trade entries, etc. to look for reasonable trade opportunities i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trend. A lack of displacement can be just as telling - if an effort to displace through a key swing high/low has failed, it's possible that a reversal may be underway.

파인 스크립트™ 인디케이터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tradeforopp의

4845

볼륨 프로화일: 알아야 할 모든 것여러분 안녕하세요! 👋 여러분은 "볼륨 프로화일"이라는 툴에 대해 들어봤을 것입니다. 오늘은 이 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작동 방식을 설명하고 분석을 강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요령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볼륨 프로화일이란 무엇입니까? 🤔 볼륨 프로화일은 일정 기간 동안 특정 프라이스 레벨에서의 트레이드 액티비티 보여주는 고급 차트 툴입니다. 차트에는 상당한 거래량이 발생한 영역을 나타내는 가로 히스토그램이 표시됩니다. 기존 거래량과의 차이 👀 기존 거래량과 거래량 프로화일의 핵심 차이점은 시간 및 가격과 관련하여 거래량을 고려하는 방식입니다. 다시 말해, 기존 볼륨은 언제 볼륨이 발생했는지 알려주지만 볼륨 프로화일은 어디에서 볼륨이 발생했는지 알려줍니다. 볼륨 프로화일 용어 🔤 볼륨 프로화일 툴에는 알아야 할 몇 가지 고유한 구성 요소 및 용어가 있습니다. 포인트 오브 컨트롤 (POC) – 대부분 의거래량이 거래된 특정 기간의 단일 가격 레벨. 프로화일 하이 – 지정된 기간 동안 다다른 최고 프라이스 레벨. 프로화일 로우 – 지정된 기간 동안 다다른 최저 프라이스 레벨. 밸류 에어리어 (VA) – 해당 기간 동안 전체 거래량의 지정된 비율이 거래된 범위입니다. 일반적으로 이 비율은 70%로 설정됩니다. 밸류 에어리어 하이 (VAH) – 밸류 에어리어안 최고 프라이스 레벨. 밸류 에어리어 로우 (VAL) – 밸류 에어리어안 최저 프라이스 레벨. 팁과 요령 😎 대부분의 다른 툴 및 스터디와 마찬가지로 볼륨 프로화일은 많은 쓰임새가 있습니다. 일반적인 전략의 하나는 이전 기간의 밸류 에어리어와 현재 가격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현재 가격이 이전 기간의 밸류 에어리어를 벗어나면 자산이 추세를 타고 있다라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가격이 여전히 이전 기간의 밸류 에어리어 안에 있는 경우 일부는 해당 자산이 통합된 것으로 레이블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추세 결정 및 통합은 각각 추세 추종 및 평균 회귀 실행 전략과 함께 자주 사용됩니다. 또 다른 일반적인 전략은 "버진" 포인트 오브 컨트롤 (Virgin POC, VPOC) 을 자산의 키 레벨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VPOC는 형성된 이후 현재 프라이스 액션에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어 아직 리테스트되지 않은 레벨입니다. 여기서 아이디어는 특정 가격에 많은 액션이 있었다면 시장의 가장 큰 참여자들이 해당 레벨의 포지션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예리한 눈을 가진 트레이더가 활용할 수 있는 예측 가능한 행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치어스, 팀 트레이딩뷰 ❤️❤️

에디터즈 픽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교육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TradingView의

23

[ Wyckoff #3 ] Wyckoff’s Distribution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Wyckoff의 투자기술에 대한 연재 마지막 편입니다. Richard D. Wyckoff (1873-1934)는 기술적 분석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현재는 Dow, Gann, Elliott, Merrill과 더불어 기술적 분석의 5대 거장으로 불립니다. 거의 100년이 지난 지금, Wyckoff의 이론은 여전히 모든 마켓에 걸쳐 충분히 유효하다 볼 수 있습니다. 특히 큰 추세의 변화를 파악하거나 사이클을 읽는데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투자자라면 꼭 갖춰야 할 무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중요한 개념이기에 마지막까지 차근차근 자세히 알아볼 예정입니다. 그럼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편에서 알아보았던 Wyckoff’s Price Cycle 다들 기억하시나요? 모식도를 한 번 더 확인해보겠습니다. 오늘 다룰 내용은 Large Player들의 매도가 일어나는 지역인 Distribution Area 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과정들입니다. 다소 용어나 내용들이 복잡할 수 있으나, 시간 순서대로 일어나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이야기를 읽듯 읽어주시면 이해가 빠를 것으로 생각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목차 > I. Wyckoff's Distribution 모식도 II. Wyckoff's Distribution - Phase A III. Wyckoff's Distribution - Phase B IV. Wyckoff's Distribution - Phase C V. Wyckoff's Distribution - Phase D VI. Wyckoff's Distribution - Phase E VII. Wyckoff's Distribution 사례 정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 Wyckoff's Distribution 모식도 Wyckoff 가 설명한 Distribution area의 구성요소 를 담은 모식도입니다. 지난 강의에서 알아 보았던 Accumulation을 뒤집은 듯한 모양 이며, 구성 요소는 아주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지난 강의를 잘 이해하였다면, Distribution은 보다 쉽게 따라갈 수 있습니다. 가격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하락하는 과정으로, 그 과정에서 하락하게 되는 이유와 Large player들의 수익 실현 과정 을 떠올리면서 뒤의 내용을 읽어주세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I. Wyckoff's Distribution - Phase A 1. 용어 정리 1) PSY (Preliminary Supply) ; Large interests begin to unload shares in quantity after a pronounced up-move. 필요 이상의 가격 상승으로 인해 나타나는 공급 (Supply) , 즉 매도세. 주로 Market maker 등에 의해 상당한 양의 Selling order 가 나오게 됩니다. 대형 구매자들은 시장에 거품이 끼어 있다고 인식 합니다. 개인 투자자들은 지속된 상승으로 흥분한 상태 로 매수 포지션을 취합니다. Volume이 증가하고, 가격 변화 폭이 넓어집니다. 2) BC (Buying Climax) ; The force of buying reaches a climax, with heavy or urgent buying by the public at prices near a top. 대중들의 어리석은 매수가 일어납니다. Market maker들은 대중들에게 물량을 비싼 가격에 모두 넘기기 위해 뉴스 혹은 실적 보고 등을 동원합니다. 큰 거래량을 동반합니다. BC의 최고점은 Distribution 과정의 저항(Resistance)선으로 작용 합니다. 3) AR (Automatic Reaction) ; AR takes place with intense buying substantially diminished after BC and heavy supply continuing. Buying Climax 과정 이후, 과매수 상태에서 쏟아내는 매도 물량로 인해 하락 이 등장합니다. 공급(매도세)이 수요(매수세)를 넘어선 상태로, 큰 거래량과 큰 하락이 동반됩니다. 하락세를 조정으로 생각하고 진입하는 대중들에 의해 주가는 다시 회복됩니다. AR 과정에서의 저점은 Distribution 과정의 지지(Support)선으로 작용 합니다. 4) ST (Secondary Test) ; In secondary test, Price revisits the area of the BC to test the demand/supply balance at these levels. ST 과정에서 가격은 BC 영역까지 상승하게 됩니다. 이는 BC 영역에서 수요/공급의 균형을 테스트하는 과정 입니다. 가격의 상단이 확인되면 거래량과 가격 변화 폭은 줄어들게 됩니다. Market maker들의 물량 정리 과정이기도 합니다. 2. Phase A Phase A는 이전의 상승 추세의 마무리 를 의미합니다. Phase A는 상승 추세의 마무리 단계이기 때문에 매수세, 즉 수요 (Demand) 가 우세합니다. PSY와 BC 단계를 거치며, 수요의 감소가 조금씩 확인됩니다. 강한 매수 압력이 조금씩 해소되면 일반적으로 Market maker들의 공급 (Supply) 에 의한 AR 과정이 뒤따릅니다. PSY, BC, AR, ST 과정을 겪으며 거래량은 점차 감소합니다. BC와 ST의 고점, AR의 저점이 Trading Range(TR)의 경계를 형성 합니다. 극적인 가격 상승이 없이 매수세가 소진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Re-distribution 과정에서는 Phase A가 마치 Accumulation 과정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II. Wyckoff's Distribution - Phase B 1. 용어 정리 1) SOW (Sign of Wickness) ; A down-move to the lower boundary of the TR, usually occurring on increased spread and volume. TR의 하방을 향하는 하락의 형태 로 관찰됩니다. 통상적으로 가격폭과 거래량이 증가 합니다. AR과 초기 SOW는 시장의 분위기 전환을 의미합니다. 2) UT (Upthrust) ; Price moves above the resistance represented by the BC and possibly other STs Accumulation 과정에서의 ‘Spring’과 대비되는 개념 입니다. BC 과정에서 형성한 고점을 재차 돌파하는 상승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특징적인 상승에 대중들이 매도 물량을 받아내게 됩니다. 2. Phase B Wyckoff 분석에서 “Building a cause”, 즉 하락 추세로 전환되는 근거를 마련하는 시기 라고 볼 수 있습니다. Market maker 들은 서서히 물량을 정리하며 Short position 진입을 시작합니다. SOW 이후 Market maker들에 의한 가격의 재상승이 나타나는데, 이는 남은 물량까지 모두 매도하기 위함입니다. SOW와 UT를 반복하며 가격은 점점 수렴하게 되며, 이는 수요/공급의 균형이 점점 이동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V. Wyckoff's Distribution - Phase C 1. 용어 정리 1) UTAD Test (Upthrust after distribution) ; A UTAD is the distributional counterpart to the spring and terminal shakeout in the accumulation TR. Accumulation의 Spring & 최종 Shakeout과 상응하는 개념 입니다. TR에서 여겨졌던 저항선 (Resistance line) 을 돌파하며 새로운 매수세를 테스트하는 과정입니다. Spring과 shakeout과 마찬가지로 반드시 필요한 개념은 아닙니다. 2. Phase C (a.k.a. BULL TRAP!!) Phase C 는 남은 매수세에 대한 Test 과정입니다. UTAD 과정은 TR resistance를 돌파하지만, 가격은 빠르게 다시 TR 근처로 돌아오게 됩니다. 이를 “Bull Trap"이라고 부르며, 상승 추세가 다시 시작되는 것으로 착각하게 만듭니다. UTAD 과정에서 Market maker들은 마지막 물량을 Breakout trader들에게 넘겨줍니다. 또한 UTAD 과정에서 소액 투자자들의 Short position 청산도 많이 일어나게 됩니다. Phase C에서 Short position entry는 가능하지만, UTAD 과정이 여러 차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한 진입은 아닙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V. Wyckoff's Distribution - Phase D 1. 용어정리 1) LPSY (Last Point of Supply) ; LPSYs represent exhaustion of demand and the last waves of large operators’ distribution before markdown begins. Support를 계속 Test하며, 미약한 Rally가 일어납니다. Market의 상승여력은 거의 보이지 않게 됩니다. LPSY는 매수세의 소진을 의미하며, Distribution의 마지막 과정임을 의미합니다. 2. Phase D Phase D는 마지막 매수세가 발현되는 시점입니다. 여러 차례의 약한 LPSY를 동반하며 서서히 하락하게 됩니다. Phase D 동안 가격은 Trading Range 내에서 맴돌게 됩니다. Phase D가 조정이 아닌 하락의 시작임을 확인하는 방법 1. Support line을 명확히 허무는 움직임이 관찰됨. 2. TR의 중간선 아래로 점진적으로 하락하는 LPSY. LPSY는 Short position 진입에 좋은 구간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VI. Wyckoff's Distribution - Phase E 1. Phase E Phase E에서 가격은 Trading Range를 벗어나 바닥으로 하락하게 됩니다. Markdown이 확연하게 나타나는 시기입니다. Phase E에서는 Short position이 주를 이룹니다. Accumulation 과정에서의 계단식 상승과는 달리 Rally는 매우 미약하며, 급격하게 하락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VII. Wyckoff's Distribution 사례 정리 ATOMUSDT, 6h와 Wyckoff’s Distribution 모식도의 비교입니다. < 사례 설명 > 1. Phase A 이전의 상승 추세가 마무리되는 과정이며, 아직 매수세, 즉 수요 (Demand) 가 우세한 구간입니다. PSY (Preliminary Supply) 와 BC (Buying Climax) 단계를 거치며, 줄어드는 Volume이 확인 됩니다. Market maker들의 매도 공급 (Demand) 에 의한 AR(Automatic Rally) 과정이 뒤따릅니다. ST (Secondary Test) 가 확인되며, AR 위에서 형성된 가격, 줄어든 Volume이 확인됩니다. AR ~ BC = Trading Range(TR). 2. Phase B Distribution, 즉 Market maker들의 물량 소화 과정 입니다 Trading Range의 상방으로 UT (Upthrust) 형태의 움직임이 확인 됩니다. Phase B가 진행됨에 따라 거래량과 가격폭은 모두 감소하게 됩니다. (수렴) SOW와 Test를 반복하며 가격은 Trading range 내에서 움직입니다. 위 예시에서는 Phase B의 말미에 기존 Support line 보다 약간 높은 새로운 Support line의 형성이 관찰됩니다. 3. Phase C Phase C 는 "Bull trap" 이라고도 불리는 Test 과정입니다. UTAD 과정은 TR resistance를 돌파하지만 빠르게 하락합니다. 반드시 나타나는 과정은 아니지만, 이 단계에서 개인 투자자들이 잘못된 진입을 하기 쉽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4. Phase D Supply(매도세) > Demand(매수세) LPSY는 Resistance level을 넘지 못합니다. Phase C 부터 D까지 점진적인 가격의 하락이 관찰됩니다. 5. Phase E Markdown 이 확연하게 나타납니다. Markup 과정과 다르게 매우 급격하게 하락 합니다. 사례를 확인한 후 위 글을 한 번 더 복습해본다면 좋은 공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에디터즈 픽

교육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Yonsei_dent의

127

MACD는 딱 두가지 신호만 보면 됩니다!#토카데미 #MACD #보조지표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토미입니다. 오늘은 RSI와 더불어 전세계 트레이더들이 가장 많이 참고하는 기술적 지표인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차트 분석 입문하시는 분들에겐 왠지 뭔가 있어 보이고 간지가 나 보이는 녀석이죠. MACD는 두개의 이동평균선(이평선)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추세의 강도, 변곡점 및 타점을 도출할 수 있는 보조지표로 단기, 장기 이동평균선과 히스토그램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과연 이 MACD라는 지표를 활용하여 실질적으로 어떻게 트레이딩을 할 수 있을지 쉽고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산출 공식> 먼저 이 지표가 어떻게 산출되는지 아주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는 지표나 지수의 공식 및 산출법을 인지하는 것과 아예 모르고 것과는 실무에 활용하는 데에 있어 큰 차이가 있습니다. 깊이 이해한 만큼 실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중간중간에 나오는 노이즈 처리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하나도 어렵지 않으니 완벽하게는 아니더라도 대충이라도 정도껏 이해를 하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아래 비트코인 차트에 두개의 이동평균선이 있습니다. 하나는 단기(Fast, 민감한) 다른 하나는 장기(Slow, 둔감한) 이평선입니다. MACD의 디폴트 설정 값인 12와 26이 바로 이 두 이평선의 길이를 뜻합니다. 많은 분들이 12와 26이평선이 MACD지표 자체 내에 있는 두 곡선으로 착각하고 계시는데, 그게 아니라 이 둘 간의 이격도(벌어진 정도)를 가지고 MACD Line이라는 곡선이 만들어집니다. MACD Line = 단기(12) 이평선 – 장기(26) 이평선 MACD지표의 중간 값인 0을 기준선(Baseline)이라고 합니다. 해당 지표는 이 기준선을 매우 중요시하며 MACD 선과 오실레이터가 이 기준선 위에 혹은 아래에 있는지 항상 잘 보셔야됩니다. MACD선이 기준선 위에 있으면 주가의 단기 이평선이 장기 이평선 상단에 있다는 뜻(정배열)이며 보통 상승 추세라고 해석합니다. 반대로 MACD선이 기준선 아래에 있으면 주가의 단기 이평선이 장기 이평선 하단에 있다는 뜻(역배열)이며 보통 하락 추세라고 해석합니다. 12와 26 이평선가 크로스될 떈 MACD선이 기준선인 딱 중앙에 위치한 시점으로 추세의 잠재적 전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MACD선이 상대적으로 올라갈수록 과매수, 내려갈수록 과매도 상태라고도 의미를 둘 수 있습니다. 자, 주가의 두 이평선 간격을 시각화해준 MACD선에 이평선 하나를 또 갖다 붙여보겠습니다. 이 곡선을 우리는 Signal Line이라고 하며 통상적으로 9 이평선을 사용합니다. 결국 Signal 선은 주가의 두 이평선(12, 26)이 벌어진 정도를 나타낸 곡선(MACD Line)의 이평선이라고 풀이해볼 수 있겠네요. 아무튼 이 MACD 선과 Signal 선의 이격도를 오실레이터(Oscillator)라고 하며 보통 히스토그램 형태로 표시해줍니다. 그러면 이제 MACD 보조지표 완성! MACD Line = 단기, 민감한, Faster 선 Signal Line = 장기, 둔감한, Slower 선 MACD선이 Signal선 상단에 위치해 있으면 오실레이터가 위(양)로, 하단에 위치해 있으면 오실레이터가 아래(음)로 형성됩니다. 두 선들이 서로 벌어질수록(Diverging) 히스토그램 막대가 커지며 좁아질수록(Converging) 막대가 작아집니다. 다른 말로 MACD선이 Signal선보다 한참 밑에 있으면 히스토그램 막대가 아래로 커지고 (하락 추세) 한참 위에 있으면 히스토그램 막대가 위로 커집니다(상승 추세). MACD선이 Signal선을 골든 크로스를 하는 순간 음에서 양으로, 데드 크로스를 하는 순간 양에서 음으로 바뀌며 이때를 매우 유심히 봐야합니다. <활용법> 교과서적으로 MACD라는 지표는 매수세력과 매도세력의 힘의 크기를 보여주는 지표이네, 추세의 강도와 전환점을 알려주는 도구이네 등등 구글, 유튜브, 네이버에 찾아보면 뻔한 소리만 합니다. 아니 기술적분석 세계에서 어느 지표, 기법, 이론이 안 그럽니까? 본문에서는 제 경험과 연구를 토대로 해당 지표를 실질적으로 유용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법에 대해 낱낱이 파헤쳐드리겠습니다. MACD는 딱 두가지 신호만 주목하시면 됩니다. 1. MACD선과 Signal선의 크로스가 발생하는, 즉 오실레이터가 양에서 음으로 혹은 음에서 양으로 변환되는 시점 2. 오실레이터가 변곡점, 즉 고/저점(Peak out)을 찍고 추세가 전환되는 시작되는 시점 두 곡선의 크로스: MACD와 Signal 곡선들의 크로스가 나면 기본적으로 추세의 변곡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기준선 상단에서 MACD선이 Signal선을 데드크로스(위에서 아래로 하향이탈)하면 추세가 상승에서 하락으로 전환될 수 있다고 해석합니다. 반대로 기준선 하단에서 MACD선이 Signal선을 골든크로스(아래에서 위로 상방돌파)하면 추세가 하락에서 상승으로 전환될 수 있다고 해석합니다. 단, 여기서 한가지 기억하셔야 할 게 골든크로스는 비교적 위에서, 데드크로스는 아래에서 발생된 신호일수록 추세의 전환에 더 높은 가중치를 둘 수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기준선 근처에서 발생된 크로스들은 의미 있게 보지 않습니다. 히스토그램 Peak Out: 다음으로 우리가 포착해야 할 주요 시그널은 오실레이터의 변곡점입니다. MACD 선과 Signal 선 간의 격차가 벌어질수록 히스토그램 길이는 위 혹은 아래 방향으로 점점 증가합니다. 히스토그램이 증가한다는 건 추세(양은 상승, 음은 하락)가 더 강해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다가 히스토그램이 어느 순간 피크를 찍고 다시 줄어드는 시점이 오는데 이건 추세가 점점 약해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간혹 MACD선과 Signal선의 유의미한 크로스 출현 전에 히스토그램 변곡이 우리에게 미리 힌트를 주기도 합니다. 참고로 트레이딩뷰 기본 설정 상 오실레이터가 변곡점을 찍고 내려오는 순간 히스토그램 막대를 연한 색깔로 표기해줍니다. MACD를 사용하면서 가장 중요한 팁 하나 알려드리겠습니다. 어떠한 종류의 시그널이던 중간값(0)인 기준선에서 더 멀리 발생한 시그널일수록 의미성이 더해집니다. 참고로 본 지표는 수치의 범위가 무한합니다. 기준선인 0을 잣대로 최대치는 무한한 플러스, 최소치는 무한한 마이너스입니다. RSI처럼 딱 0과 100을 사이로 과매수/과매도 라인이 없기 때문에 MACD는 상대적인 성향이 강합니다. 때문에 제가 명확하게 딱 잘라 특정 구간에서의 시그널을 유의미하게 보라고 하기가 어렵네요. 이전 곡선들이 형성한 고/저점들과 비교를 하며 최대한 상대적인 추이를 기준으로 판단을 내려야 합니다. 다른 말로 상대적으로 더 위나 아래에서 출현한 시그널들을 주의 깊게 봐야 합니다. <다이버전스> 제가 이전 다이버전스 강의에서 커버 드렸듯이 MACD 지표에서도 다이버전스 이론을 접목해볼 수 있습니다. 본 지표는 크게 두개(MACD선과 오실레이터)의 다른 세부 지표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이버전스 역시 두 요소에 각각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아래 차트처럼 주가는 고점을 올렸는데 MACD선 혹은 히스토그램은 고점을 올리지 못했을 때는 하락 다이버전스겠죠. 반대로 주가는 저점을 내렸는데 MACD선 혹은 히스토그램은 저점을 내리지 못했을 때는 상승 다이버전스입니다. 다이버전스 개념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면 아래 링크/이미지를 클릭하십시오. <나만을 위한 MACD 만들기> 흔히 쓰이는 MACD의 기본(디폴트) 설정 값은 12, 26, 9이며 현재 트레이딩뷰에서 제공하는 MACD의 두 이평선, 즉 MACD선을 도출할 때 사용되는 주가의 12와 26 이평선의 종류는 EMA(Exponential Moving Average)입니다. 또한 저 설정 값에서 9는 Signal선의 길이를 의미하며 본 이평선 종류 역시 EMA입니다. MACD는 제럴드 아펠이라는 아저씨가 1970년대에 개발한 지표입니다. 하지만 여러분들도 알다시피 현대 금융 시장은 50년 전과 많이 다릅니다. 세상은 점점 더 빠르고 예측불가하게 변하고 있으며 금융 시장도 예외는 아닙니다. 기술적분석 관점으로도 이전에는 흔히 나오지 않았던 패턴, 경향성, 규칙, 그리고 흐름들이 지금은 비일비재하게 나오고 있습니다. 이쪽 시장은 정해진 답안지가 없으며 시시각각 변하는 시장에 맞게 우리가 참고하는 기법과 전략들을 항상 업데이트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MACD 역시 모든 사람들이 사용하는 12, 26, 9, EMA, EMA 보다 더 나은 설정 값이 분명 존재할 겁니다. 그래서 저희 팀은 여러분들이 CD지표의 파라미터 값과 곡선 산출법을 변경하여 더 요즘 시장에 그리고 여러분 트레이딩 성향에 최적화된 지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툴을 만들어봤습니다. 이름하여 I_MACD! 두 곡선과 Signal 선의 길이는 물론이고 타 이평선들을 포함 RSI, OBV, CCI, MFI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지표로도 CD선을 구할 수 있게끔 해 놨습니다. 차트 상단에 지표 클릭하신 다음에 I_MACD 검색하시면 나옵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아래 이미지 클릭) 예를 들어 조금 더 장기적인 추세를 반영하는 MACD를 만들고 싶다면 이평선 길이를 12, 26이 아닌 50, 100를 사용해볼 수도 있고 이평선의 민감도를 변경하고 싶다면 EMA가 아닌 HMA나 RMA 같은 종류로 설정해볼 수 있겠죠. 또한 이평선이 아니라 아예 다른 지표들을 가지고 MACD화(정확히 말하면 CD화죠) 시켜볼 수도 있습니다. 저도 이것저것 시도 중인데 꽤 흥미로운 셋팅 값들이 보이네요. 참고로 디폴트로 설정해 놓은 시고저종/4, 60, 140, 30, EMA, EMA 조합도 제가 현재 테스트하고 있는 나쁘지 않은 값입니다. 여러분들도 괜찮은 설정 값들을 찾으면 혼자만 쓰지 마시고 댓글에 공유 좀 부탁드립니다~ 또한 주요 시그널들을 쉽게 잡아낼 수 있게 아래와 같이 몇 가지 자동 기능들을 추가했습니다. 여러분들의 편의와 상황에 따라 사용하셔도 되고 거슬리면 끄셔도 됩니다. 1. MACD선과 Signal선의 크로스: 기준선 위에선 데드크로스, 아래에선 골든크로스를 표시해줍니다. 2. 다이버전스 민감도: MACD선의 다이버전스 출현 여부를 알려줍니다. 다이버전스 민감도를 내릴수록 더 작은 (단기) 단위 파동들의, 올릴수록 더 큰 (장기) 단위의 파동들의 다이버전스를 잡습니다. 3. 히스토그램 피크 아웃: MACD선이 기준선 위에 있을 때는 양, 아래에 있을 때는 음 히스토그램의 변곡점으로 의심되는 곳을 표기해줍니다. 제가 매번 강조 드리지만 지표는 보조로만 참고하는 도구이며 절대적으로 다 맞는 지표, 이론, 그리고 방법론은 세상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시장 상황에 따라 적절히 활용하고 본인이 사용하는 기술적분석 기법들 조합의 일부로 참고만 하시는 게 좋습니다. 그러면 오늘은 이만 마치겠습니다. 다들 즐거운 성탄절 보내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에디터즈 픽

교육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Tommy_Trader의

776

<엘리어트 파동 이론> - 충격파동의 절대법칙 3가지정답은 뭘까요? ⓒ 입니다. 정답을 맞추셨다면 오늘 아이디어는 그냥 안보셔도 됩니다. 충격파동에는 절대적인 세가지 법칙이 있습니다. 이 법칙이 깨지는 순간, 해당 파동은 충격파동으로 볼 수 없게 되죠. 충격파동으로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 조건을 이용해야 정확한 카운팅이 되고, 적절한 대응을 할 수가 있어요. 무조건 외우고 기억해야될 법칙입니다 (다행히 어렵지 않아요) ①. 2파는 1파 시작점 아래로 내려갈 수 없다 ②. 3파는 가장 짧을 수 없다 ③. 4파는 1파의 고점 아래로 내려갈 수 없다 본격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예전 아이디어에서 <엘리어트 파동하면 무조건 나오는 도식>을 참고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첫 번째 법칙부터 보겠습니다. 이런 형태인겁니다. 2파는 1파의 99.99999%를 되돌릴 수 있어도 절대 시작점을 깨선 안됩니다. 너무 당연한거겠죠? 두 번째 법칙입니다. 오해를 많이 받고 있는 법칙이죠. 1, 3, 5파의 가격차이(길이)를 막대기로 표시해서 그대로 오른쪽에 비교했습니다. 절대 조작 없습니다. 보시면 3파가 가장 짧죠? 이러면 임펄스는 꽝입니다. 3파는 가장 짧은 파동이 될 수 없습니다. 가끔 <3파는 가장 길어야 한다>라고 오해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가장 길 필요는 없습니다. 아마 3파 확장이 가장 일반적인 경우다보니 와전된 것 같아요. 1파나 5파 확장하는 경우도 있으니, 3파는 가장 짧지만 않으면 됩니다. 마지막 세 번째 법칙입니다. 4파는 어떻게 진행하던 상관은 없는데 1파의 영역 안으로 들어가면 안됩니다. 보통 1파 고점을 침범할 수 없다라고 합니다. 법칙이니 뭐니 말은 어렵게 했지만, 막상 그림으로 보면 그냥 <당연한> 겁니다. 일반적인 충격파동 모양을 생각해보시면 너무나 당연히 2파는 1파 저점 밑으로 갈 수 없고 4파는 1파 고점 아래로 내려가지 못합니다. 만약 세 법칙 중 단 하나라도 깨지면, 그 파동은 충격파동이 아닌겁니다(그냥 ABC로 보는게 속 편합니다) 다음 중 파동 법칙을 똑바로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A : 4파는 1파 고점을 침범할 수 없지만 2파 저점보다 낮을 수 있다 -B : 1파와 3파의 길이가 같은데 1파보다 5파가 긴 경우도 있다 -C : 1파는 100달러에서 시작해서 160달러에서 끝났고, 2파는 160달러에서 시작해서 90달러까지 갔다. ※혹시나 해서 덧붙이자면, 4파가 1파 고점을 깨도 되는 경우가 있긴 합니다. 우린 그런 경우를 다야고날이라고 불러요.

에디터즈 픽

교육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SukRyu-Chart의

561

타점 정확히 공략하여 수익내기 (분할매수/분할숏을 더하면 미친 승률!!)분할매수와 분할숏 은 승률을 높이고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영상은 지루할 수 있지만, 꼭 한번 참고 보세요! 정말 엄청난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모든 주식, 코인차트 그리고 모든 분봉, 시간봉, 일봉 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교육

04:36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CoinCurator2의

716

크립토 온체인 데이터 지표 사용법!안녕하세요, 여러분 😉 트레이딩뷰의 새소식 확인하셨나요? 저희 트레이딩뷰에서 이번에 2가지의 크립토 펀더멘탈 데이터 소스를 추가하였습니다. 여러분들께 다양한 온체인 데이터를 차트와 함께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차트뿐 아니라, 온체인 데이터와 함께 분석을 한다면 더욱 좋은 분석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번에 새로 추가된 회사는 총 2군데 입니다. 첫번째로는 , INTOTHEBLOCK 입니다. 이 곳은 암호화 시장에 실행 가능한 인텔리전스를 제공하기 위해 AI에 대한 최첨단 연구를 적용하는 데이터 과학 회사이며, Intotheblock 팀은 900개가 넘는 코인, 디파이 프로토콜 및 NFT에 대한 온체인 및 분석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두번째는 DEFILLAMA 입니다. DefiLlama는 DeFi (Decentralized Finance)를 위한 가장 큰 TVL 회사입니다. 이 회사의 데이터는 완전히 오픈 소스이며 수백 개의 프로토콜에서 열정적 인 개인과 기여자로 구성된 팀에 의해 유지 관리되며, 초점은 정확한 데이터와 투명한 방법론에 있다고 합니다. 이 모든 데이터를 트레이딩뷰에서 알 수 있다는 사실이 너무 멋지지 않나요? 새로 나온 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크립토 시장에 대한 시각을 넓혀 나가 보세요. ☺️ 도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아울러 새로나온 소스를 이용한 트레이딩뷰 아이디어 많이 많이 올려주세요 .^^ 감사합니다. 팀 트레이딩뷰 ❤️

에디터즈 픽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교육

02:29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TradingView의

435

2022년 10월 11일 DOG SHEEP 스캠 대깨숏 폰지사기 온라인 분석 - 끝까지 롱자리를 찾아본다.무빙이 확실하게 매수자에게 공격적인 파형만 등장하고 있습니다. 초단기, 단기 파동 모두가 하방으로 드럽게 꽂으면서 기사가 대놓고 매수 잡지 말라고 고장을 피우는군요 드러우니 알아서 골리는 대로 운전하라고 내버려 둡시다. 는 아직도 매도 지속 피보나치 박스 내부입니다. 끝점에서 돌리는 관점은 여전히 유지하나 이런식으로 지속적인 바닥 때리기는 큰 의미가 없기에 고집할 필요는 없다는 판단입니다. 주 매수는 여전히 박스를 상, 하방으로 이탈하고 나서 접근해야 바람직합니다. 봉이 튀어 오르는대로 봇이 두더지 게임을 진행할 박스 내부이므로 그냥 내버려 두시는 것이 상책입니다. 매수 희망자 : 하락 이탈 후 패턴을 만드는 곳을 확인 후 접근하거나 23~25k 돌파 후 눌림을 보고 접근하는 것이 정석입니다. 현재구간은 뜬금포 빅롱으로 봇들을 다 찢어발기는 새로운 시장의 도전자가 나타날 때 까지는 일단 대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영웅이여 돌아오세요

19:47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PowerTank의

24

파동과 하모닉패턴으로 보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안녕하세요 소울트리 입니다. 저번 이더리움 숏 포지션은 다행히 손절가를 터치하지 않아 본절가 근처에서 약손절로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영상내용에 대해 요악해서 말씀드리면 Bat패턴에서 상승반전에 성공할 시 어센딩 트라이앵글의 형태로 수렴을 가지다가 전고를 넘어 위로 한 파동 더 올라갈 수 있다고 보고있고, Butterfly 패턴에서 상승반전에 성공하는 경우 플랫 형태의 조정을 끝내고 전고점을 넘어서는 상승이 나올 수 있다고 보고있습니다. 각 패턴에 도달한다면 각자 가지고 계신 반전근거를 찾아 포지션을 진입해야 합니다. 만약 69k부터 내려온 검은추세선을 이탈해 아래로 내려간다면 대하락 추세선을 위로 뚫었다는 기대감에 들어온 매수세가 매도물량으로 나오며 크게 밀릴수도 있기때문에 이 부분은 염두에 두고 매매하시면 좋겠습니다. 개인매매에 참고하시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5:11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Soultree7의

4

2022.10.03 영국 파운드화 방어위해 환율시장개입2007년 미국발 금융위기 주택담보 부실대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터지면서 코로나때와 마찬가지로 전세계증시가 단기간에 폭락했었습니다.이를 해결하고자 미국에서 펼친정책이 금리를 내리면서 시중에 돈을 무한대로 풀어내는 양적완화 정책을 실행했으며 이때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은 잘못된 정책이며 언제가는 경제 위기로 다가올것이다 반대급부하에 사토시나카모토에 의해서 탄생한게 비트코인 입니다 이말은 다시말해서 현재 비트코인의 존재이유 자체만으로도 기축통화인 달러를 압박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인겁니다.코로나19사태가 터지면서 전세계증시가 급락하자 미국에서는 2007년때와 마찬가지로 금리를 내리면서 시중에 돈을 무한대로 풀어내는 양적완화 정책을 실행했으며 증시를 살리는데는 성공했지만 무한대로 풀어냈던 화폐로 인한 화폐가치 하락으로 인한 물가상승 인플레이션이라는 부작용에 직면했기 때문에 풀었던 통화량을 거둬들이는 금리인상 정책을 펼치면서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겠다는 명분하에 지속적인 금리인상 정책을 펼치고 있는 상황입니다.만약 미국의 금리인상 정책으로 현재의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게 된다면 비트코인은 상승명분을 완전히 잃어버리게 될것입니다.양적완화 반대급부하에 만들어진 비트코인 이기때문에 미국이 현재의 인플레이션을 금리인상으로 해결하게 된다면 결국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 이 맞았다는 결론이 나오기 때문입니다.하지만 미국에서 지속적인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인플레이션을 해결하지 못하게 되면 세계경기는 스태그플레이션에 접어들게 되며 이말은 다시말해 양적완화의 완전한 실패를 의미하며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져들게 만든 미국의 달러 기축통화는 힘을 잃게 될것이며 기축통화인 달러가 힘을 잃으면서 비트코인은 지속적인 우상향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국이 지속적인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힘든이유는 현재의 인플레 이션이 화폐가치 하락으로 인한 인플레이션도 있지만 지구온난화 그로인한 전체농산물 작황감소로 인하 물가상승 인플레이션도 동시에 내재되어 있다는 겁니다 가축들또한 농산물 사료를 먹고 자라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물가가 상승할수 밖에 없는 구조이며 다른 투기상품과 틀리게 농산물은 한방향 으로 움직이는 성향이 강합니다 옥수수 하락하는데 밀이 상승하는 그런 디커플링 흐름이 아니라 밀/콩/쌀/옥수수등 한방향으로 움직입니다 전체농산물 가격은 현재 2020년 중반부터 급등하기 시작 해서 신고가 부근까지 도달후 현재 조정중에 있으며 현재 갈수록 지구온난화 기후변화가 심해지는 상황으로 기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농산물의 작황은 갈수록 안좋아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미국에서 현재의 인플레이션을 금리인상으로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농산물 가격이 상승하면 서 물가가 상승하게 되면 미국에서 아무리 금리를 올린다고 하더라고 현재의 인플레이션을 해결하 지 못하게 되며 경기는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진입하게 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습니다. 또한 농산물은 다른 투기상품과 틀리게 철저히 수요공급의 원칙에 의해서 움직이며 다른 투기상품인 화폐,골드,가스,석유 같은 경우는 수급조절로 인해서 가격을 임의적으로 조정할수 있지만 농산물은 수급조절로 가격을 조정할수 없습니다.그만큼 사람이 살아가면서 절대적으로 중요한 상품이며 단적으로 재난영화에서도 많이 봤겠지만 사람이 10일을 굶고 눈앞에 1조원 옥수수1개 2가지중 택일하라고 하면 식량인 옥수수를 선택할수 밖에 없습니다 그만큼 중요할수 밖에 없다는 겁니다 앞서도 말씀 드렸지만 양적완화 반대급부하에 탄생한게 비트코인 이기 때문에 비트코인 존재이유 자체만으로도 달러를 압박할수 밖에 없으며 양적완화 부작용인 인플레이션으로 인해서 금리인상을 실행하고 잇는 시점이며 전세계 증시가 하락하는 상황에서 비트코인이 상승하게 되면 달러를 더욱더 압박하기 때문에 현재 미국에서 각종규제로 비트코인을 강압적으로 커플링으로 끌어내리고 있는 상황으로 보여지는 시점입니다.단적인 예로 페이스북에서 코인을 만들려다가 미국당국으로 규제를 맞고 철수했으며 뭐 미국 당국에 찍힌거겠죠 그뒤로 메타(전 페이스북)의 주가가 사상 최대로 폭락하였습니다. 하루 사이에 26% 넘게 폭락하였는데요. 시가총액은 하루 만에 2513억달러 (한화 약 302조원)나 감소하였습니다. 메타의 이번 하루 시가총액 감소액은 미국 증시 사상 최대 규모입니다.뭐 다른 기타적인 요소도 있겠지만 타이밍이 코인발행을 시도한 직후라는 겁니다 2022년9월20일 현재 비트코인의 가격은2700만원 선에 거래되고 있으며 시가총액은 510조원입니다 미국에 입장에서 기축통화인 달러를 압박하는 비트코인을 사실상 시장에서 사라지게 만드는게 가장좋겠지만 기업이라면 각종규제나 공매도로 상장폐지 시키는 거겠죠 하지만 실상은 그러지 못한다는 겁니다.아래 자산 시가총액을 보시게 되면 골드/은/팔라듐과 같이 특정국가나 기업이 소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물론 미국에서도 상당부분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지만 가격을 끌어내릴려고 보유하고 있는 비트코인을 전부 소진하게 되면 추후 가격통제를 하기 힘들기 때문에 미국에서도 비트코인의 가격통제를 하기위해서는 일정부분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어야 되는겁니다 비트코인이 가령 급등하게 되면 달러를 압박하기 때문에 급등하는 비트코인의 가격을 누루려면 비트코인 물량을 반드시 보유하고 있어야 됩니다 1위/골드/소유국가 없음(시가총액 14,954조원) 2위/애플/소유국가 미국 3위/사우디아람코/소유국가 사우디아라비아 4위/마이크로소프트/소유국가 미국 5위/구글/소유국가 미국 6위/아마존/소유국가 미국 7위/실버/소유국가 없음(시가총액 1700조) 8위/테슬라/소유국가 미국 9위/버크셔 해서웨이/소유국가 미국 10위/유나이티드 헬스/소유국가 미국 11위/존슨앤존스/소유국가 미국 12위/비자/소유국가 미국 13위/페이스북/소유국가 미국 14위/TSMC/소유국가 대만 15위/엑손모빌/소유국가 미국 16위/팔라듐/소유국가 없음(시가총액 530조원) 17위/비트코인/소유국가 없음(시가총액 510조원) 현재 시장에서 비트코인 가격을 크게 흔들수 있는 국가는 미국과 중국이며 미국과 중국은 적대국입니다 도널드트럼프 대통령 당시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전쟁으로 인해서 중국은 크게 곤욕을 치룬바 있습니다. 비트코인 존재이유만으로도 기축통화인 달러를 압박하고 이는곧 미국을 압박하는 좋은수단인데 적대국인 중국이 미국의 의도대로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하게 둘 가능성은 매우 적다고 보고 있습니다 중국 입장에서는 비트코인 가격을 통해서 미국을 두고두고 괴롭힐수 있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과도 같은 좋은 카드인데 현재는 미국과 중국 양측다 비트코인을 규제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중국은 언제 든지 180도 우호적으로 바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볼수 있습니다 지금부터는 비트코인 예상시나리오인데 11월8일 미국중간선거가 잡혀있는 상황입니다 현재 미국은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증시가 폭락한 시점이며 자국의증시는 지지율과도 직결되기 때문에 바이든이 중간선거 에서 확실히 승리하려면 중간선거 전에 증시를 어느정도 상승시켜야 되는 시점으로 보고있으며 현재 비트코인의 가격이 나스닥과 커플링으로 움직이는 흐름으로 나스닥을 상승시키면서 비트코인또한 커플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시점이며 중간선거 이후 미국연말 산타랠리 까지는 어느정도상승하지 않을까 보여집니다.이후에 스태그 플레이션에 접어들면서 전세계증시및 비트코인또한 빠른속도로 하락하면서 다시금 저점라인을 이탈한후에 스태그플레이션 발생하면서 다시말해 미국의 양적완화 완전실패와 동시에 기축통화인 달러가 시장의 신뢰를 잃어가면서 비트코인은 상승재료를 타고 중장기적으로 우상향해서 다시금 신고가 돌파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PS:스태그플레이션 재료를 타고 우상향 한다고 말씀 드렸지만 스태그플레이션 초기에는 시장의 자금이 순간적으로 빠지면서 비트코인 또한 단기쇼크는 어쩔수 없는 상황으로 보고있습니다 미국이 현재 시가총액이 불과 610조원인 비트코인을 각종규제로 계속 통제하고 있다는건 미자국도 향후 비트코인의 가격이 상승할걸 이미 알고 있고 상승의 속도를 현재 시행하고 있는 각종규제안으로 조절하겠다는 계획이 아닌가 보여집니다 비트코인의 가격이 상승할때 상승하더라도 급등으로 상승하게 되면 달러에 대한 압박이 심하게 가해지니 스태그플레이션 쇼크이후에는 급등이 아닌 변동폭이 줄어들면서 점진적 우상향해서 다시금 신고가를 돌파하지 않을까하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01:55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pass120325의

1

머프님 알람 세팅법알람 세팅 방법

02:28

메이저 1기 8화 다시보기 - meijeo 1gi 8hwa dasibogi

BitcoinDobby의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