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저스 점핑 공략 - keullojeoseu jeomping gonglyag

일단 시작하기 전에, 이 공략은 점핑 캐릭터를 생성한 신규/복귀 유저를 위한 가이드라인임.

점핑 캐릭터를 생성할건데 무슨 캐릭터를 하는 게 좋을까요? 또는 생성은 했는데 이제 뭘 하는 게 좋을까요? 등에 대한 것임.

여기에 있지 않은 세부적인 것들은 갤 공지에 있는 공략글(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closers&no=6617847&exception_mode=notice&page=1 )을 참고 바람.

사진 첨부 제한때문에 두 편으로 나눔.

본 글인 1편에서는 점핑 캐릭터 선택, 기본적인 점핑템 세팅, 점핑 캐릭터에 접속하고 나서 해야할 일들을 다룰 거고 2편에서는 파밍 및 레벨업 방법과 뉴비 및 복커들에게 도움이 되는 진행중인 이벤트 등에 대해서 다룰 거임.

1. 점핑 캐릭터로 뭘 받는 게 좋은가요?

현재 클로저스에는 검은양, 늑대개, 사냥터지기 총 3개의 팀에 각각 5캐의 캐릭터로 총 15캐가 있음.

위에서부터 검은양, 늑대개, 사냥터지기 순임.

캐릭마다 성능 차이가 없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이 겜에서 제일 약한 건 캐릭이 아니라 차원종임.

제일 구린 캐릭터를 한다고 해도 파티에서 소외되거나 안 껴주는 일은 절대로 없으니 원하는 캐릭터를 하는 게 제일 정답임.

특히 점핑 캐릭터의 경우에는 최신 장비템을 파밍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한 아이템을 거의 모두 주기때문에 뉴비/복커에게는 본캐가 될 확률이 높으니 더더욱 하고 싶은 캐릭을 하는 게 맞음.

그래도 뭘 하는 게 좋을 지 답을 내리지 못하는 뉴비들이 있을 수 있으니 주관적인 추천 캐릭터들을 적어봄.

어디까지나 주관적인 추천이고, 정답은 꼴리는 캐를 하는게 마즘.


1-0. 팀 별 육성 편의성의 차이와 팀버프 캐릭터

절대로 무시할 수 없는 기준인게, 사냥터지기에 비해서 검은양과 늑대개는 육성 편의성이 정말로 떨어짐.

67레벨에 할 수 있는 특수 전직을 통해 배우는 ex스킬이나 대정화 장비를 통한 각성 스킬이 아니면 몇몇 스킬은 사용하기 힘들 정도로 구린 캐릭터들이 모두 검은양, 늑대개에 분포되어있음. 육성 시에 드는 피로도도 검은양/늑대개가 더 많이 들고, 오래 걸림. 때문에 육성 구간을 스킵할 수 있는 점핑 캐릭터는 편의성이 구린 캐릭터들을 육성하는 데에 큰 메리트가 될 수 있음.

그리고 클로저스에는 팀버프라는 게 있는데, 캐릭터를 육성할 시 20레벨부터 육성한 캐릭터에 따라 버프를 줌.

이 팀버프가 필요도 없을 정도로 구린 캐릭터가 있고 여유가 있으면 무조건 키우는 게 좋다고 할 정도로 좋은 캐릭터가 있음.

팀버프가 좋은 캐릭터는 이세하(물리/마법 공격력), 티나(물리/마법 치명타 피해량), 루나(물리/마법 공격력+물리/마법 치명타 피해량), 소마(에어리얼 시 치명타 피해량)임.

하지만 뉴비의 경우 편의성이면 모를까 팀버프까지 고려할 필요는 없다고 봄. 그래도 알아두는 편이 좋을 것 같아서 먼저 써봤음.

1-1. 성능충

현재 성능 3탑은 세트, 볼프강, 이세하임. 제일 약한건 미스틸테인, 바이올렛이고 그 다음으로 약한 건 나타.

3탑 중에서는 세트가 트루 데미지(몹의 데미지 감소율을 무시함), 우월한 조건부로 다른 캐릭터들의 종전 100만 정도는 가뿐히 씹어먹을 정도로 사기캐임. 스킬 범위도 넓어서 일반 던전에서도 좋고 보스전에서도 좋은 캐릭임.

세트 다음으로 좋은 캐릭터인 볼프강, 이세하는 일단 남캐라는 가장 큰 단점이 있음.

볼프강의 경우에는 세트가 출시되기 전에는 원탑으로 꽤 오래 군림했던 캐릭으로 세트를 빼면 넘사벽으로 쎔. 세트와 마찬가지로 스킬 범위가 넓어서 일반 던전, 보스전에서도 좋은 캐릭터임.

하지만 남캐 중에서는 비교적 최근에 출시된 캐릭터고 유저수도 최하에 가까워서 룩템이나 레어 아바타 매물을 찾아보기가 힘듬. 볼나홀 도배나 념글 주작같은 일들 때문에 갤 인식도 구리고.

이세하의 경우에는 조금 특이한 캐릭터인데, 위에 말했던 트루 데미지가 태스크포스 스킬을 제외하면 모든 스킬에 적용되는 캐릭터임. 클로저스의 보스 몬스터는 대부분 데미지 감소율이 50% 이상인데, 이 50%를 무시하고 캐릭이 넣을 수 있는 딜을 모두 넣을 수 있는 캐릭터라는 뜻임.

때문에 일부 보스전에서는 볼프강보다 좋은 캐릭터가 될 수 있지만 범위가 좁은 스킬이 많고, 데미지 감소율이 거의 없는 일반 던전에서는 제일 구리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음. 초기 캐릭터라서 룩템 종류는 많지만 모델링이 안 좋은 편이고.

나는 일단 사기캐가 좋다고 하면 당장은 세트를 하는 게 제일 좋은 선택일거임. 남캐가 괜찮다면 볼프강도 괜찮고, 일반 던전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이세하도 괜찮음.

성능 원탑은 싫은데 남캐도 싫다면 다른 여캐를 하면 됨.

보편적으로 사냥터지기 캐릭터들이 검은양, 늑대개보다 조건부나 무적기가 우월해서 좋다고 평가되는 편임.

하지만 올해 있었던 밸런스 패치에서 검은양/늑대개 캐릭터들이 많이 상향되어서, 편의성이나 무적기의 갯수는 딸리더라도 성능적으로는 다른 캐릭터들도 많이 꿇리지는 않는다고 생각함.

의견이 갈릴 수도 있지만 일부 캐릭터들은 사냥터지기 캐릭터들보다 성능 자체는 좋은 캐릭터들도 있음.

지금 제일 구린 캐릭인 미스틸테인, 바이올렛을 빼면 뭘 하든 성능에 있어서 불만은 크게 없을 거임. 사실 저 둘도 겜을 처음 해보면 뭐가 약하단 건지 모를 정도로 이겜에서는 몹이 제일 약함.

1-2. 모델링/룩딸러

의견이 많이 갈릴 수 있는 부분이지만, 주관적으로 클저에서 제일 모델링이 좋은 여캐는 파이, 루나, 세트라고 생각함.

그중에서도 파이가 가장 예쁘다는 의견이 많고, 그래서 지금은 거품이 좀 빠지긴 했어도 파이의 룩템 가격이 15캐릭 중에서는 아직도 가장 비싼 편임.

루나, 세트도 모델링이 예쁜 편이라서 다른 캐릭터에 비해서 몇몇 룩템 가격은 비싼 편이고.

하지만 위 세 캐릭터는 가장 최근에 출시된 사냥터지기 팀 캐릭터라서 검은양/늑대개에 비해서는 룩템 양이 부족함. 특히 사이버네틱 레어아바타는 아예 출시도 안 되어있고.

아예 없는 정도는 아니고 최근에 코스튬이 우르르 출시되면서 파이 루나 세트도 룩템 양이 많은 편이지만 검늑에 비교하자면 부족한 편임.

조금 덜 예쁘더라도/다소 모델링이 구리더라도 희귀한 룩템 수집이나 여러가지 옷이 있는게 좋은 사람이라면 검은양, 늑대개(특히 검은양)을 하는 게 좋고 모델링 좋은 게 최고라면 파이, 루나, 세트를 하는 게 좋을 거임.

1-3. 스토리

보편적으로 미스틸테인을 제외한 남캐들이 스토리가 좋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음. 그중에서도 나타, 제이가 스토리가 좋은 편이라고 생각함.

하지만 오트슨이 뿌려놓은 똥의 잔재들 때문에 시즌 1은 몰라도 시즌 2는 대부분의 캐릭터들이 다 구림. 시나리오 라이터가 바뀌면서 구린 스토리에서 많이 탈피된 캐릭터는 소마, 파이, 세트 셋이지만 이 캐릭들에도 저 잔재 때문에 다소 구린 요소들이 많이 남아있음.

하지만 점핑 캐릭터의 경우에는 시즌 1, 2 스토리가 작전 일지에서 볼 수는 있어도 진행으로는 스킵되기 때문에 점핑캐 선택에 있어서는 그닥 고려되는 요소는 아니라고 생각함.

그래도 나는 시즌 1, 2 스토리를 작전 일지로 다 볼거고 남캐도 괜찮다고 한다면 나타나 제이 스토리를 보는 걸 추천함.

시나리오 라이터가 바뀌면서 집필한 시즌 3의 경우에는, 챕터마다 각 챕터의 주인공으로 느껴지는 캐릭터가 다른 느낌임.

사냥꾼의 밤 챕터 1의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사냥터지기 캐릭터들의 스토리가 좋고, 챕터 2의 경우에는 나타를 제외하면 거의 고만고만함.

최근 나온 부산 챕터 1의 경우에는 제이, 이슬비의 스토리가 가장 좋은 편이고.

시나리오 라이터가 바뀌면서 무슨 캐릭터를 키우든 스토리의 질은 많이 나아졌다고 생각함.

거기에 더해서 스토리의 좆같았던 요소 중 하나인 평행세계가 사라지면서 한 캐릭터의 스토리만 봐서는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생기게 됐음.

그러니까 점핑 캐릭터를 고르는데에 있어서 스토리는 고려요소로 생각하지 말고, 스토리가 궁금한 캐릭터가 있다면 점핑캐 육성 이후에 새로 키워보던가 유튜브에 검색해서 보는 걸 더 추천함.

1-4. 아이템 가격

클로저스는 대부분의 장비 아이템이 제작 아이템이라서 제작에 필요한 가격은 같고, 여기서 말하는 아이템 가격은 스펙업에 필수적인 요소인 강화 어댑터 시스템의 칩 가격 차이임. 이것도 누군가에게는 고려사항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아서 적어놓음.

수가 많은 물리 공격력 캐릭터의 칩이 비싸고, 마법 공격력 캐릭터의 칩은 싼 편임. 하이브리드 캐릭터는 때문에 보통 마공 칩을 많이 사용하고.

조건부에 있어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에어리얼 칩이 비싸고, 백어택 칩은 딱 중간, 체이스 칩이 가장 싸게 거래됨.

물공/마공의 차이는 그리 크게 나지 않더라도 에어리얼/백어택/체이스의 경우에는 가격 차이가 몇천만 크레딧 정도 나긴 해서, 이를 고려할 거라면 고려해도 됨.

물리 공격력 캐릭터 : 이세하, 제이, 나타, 하피, 티나, 루나, 소마

마법 공격력 캐릭터 : 이슬비, 미스틸테인, 레비아, 볼프강, 세트

하이브리드 캐릭터 : 서유리, 바이올렛, 파이

에어리얼 캐릭터 : 티나를 제외한 전체 캐릭터가 에어리얼을 가장 기본적인 조건부로 사용함.

백어택 주력 캐릭터 : 나타, 파이

백어택을 주력 조건부로 사용해도 되는 캐릭터 : 서유리, 바이올렛, 볼프강, 루나, 세트(백어택 칩의 가격이 에어리얼보다 싸게 형성되어 있어서, 대부분의 스킬이 확정 백어택인 세트의 경우 백어택 칩이 더 선호되지만 기본적으로는 에어리얼이 주력 조건부임.)

체이스 주력 캐릭터 : 티나, 소마

내가 알기로는 위와 같고, 백어택을 사용해도 되는 캐릭터는 더 있을 수도 있음. 이건 다른 썩은물들이 댓글에 적어줄 수도 있으니 댓글을 참고해주셈.

사실 체이스 캐릭터를 제외하고는 모두 백어택 칩을 사용해도 괜찮지만 확정 백어택이 딸리는 캐릭터의 경우 수동으로 백어택을 잡아줘야 해서 상당히 번거로울 거임. 듀얼 플래티넘 칩을 제외하고 일반 에어리얼 칩의 경우 싼 가격으로 거래되고, 썩은물들이 남는 에어칩을 많이 가지고 있기도 하니까 백어택 주력 캐릭터를 제외하면 모두 에어리얼 칩을 사용하는 걸 추천함.


추천을 좀 길게 적어놨는데 그냥 꼴리고 재밌어보이는 캐릭을 하는 게 이 겜에서는 정답임.

꼴리는 캐가 여럿이라면 유튜브에 검색해서 최신 보스전 영상을 보는 게 좋을 거임. 스킬 이펙트나 대략적인 스타일을 파악할 수 있으니까.

재미에 대해서는 케바케의 영역이라고 생각해서 적어놓지 않았음.

2. 점핑 캐릭터는 어떻게 생성하나요?

제대로 안 보고 생성하면 점핑캐가 아니라 레벨 1 캐릭터로 생성되는 경우가 잦음. 썩은물들도 이거때매 머임?? 한 사람들이 많음. 망겜이라 그럼...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공홈 공지 http://closers.nexon.com/news/notice/View.aspx?noticearticlesn=127131 < 이쪽을 참고해주셈.

3. 점핑캐 생성은 했는데 어떤 장비를 껴야 하나요?

점핑캐를 생성하고 거점 지역에 들어와서 인벤토리 소모품 탭을 열어보면 이 상태일거임.

상자 두 개는 모두 까고 상자 옆에 있는 것들도 모두 사용하면 됨. 순서대로 토큰 스킬/PNA/이모션 티켓임.

상자를 까면 여러가지 장비랑 소모품들을 주는데, 장비탭을 누르면 이렇게 나올 거임.

본 이미지는 이세하 캐릭터 기준으로, 다른 캐릭터를 생성했다면 아이템 아이콘이 다를 수 있음.

코어나 실드는 마우스 우클릭으로 모두 착용이 된다고 쳐도, 모듈이나 리시버는 종류가 여러개라 뭘 껴야할 지 모르는 뉴비들이 대부분일 거임.

캐릭 별로 추천되는 대정화 모듈/리시버는 아래와 같음.

이에 맞게 코어, 모듈, 리시버, 실드를 모두 장착하면 됨.

4. 지급되는 코스튬은 어떻게 하나요?

신규/복귀 보상을 제외하고, 점핑 캐릭터로 지급되는 코스튬은 총 4종류임. 모두 점핑 캐릭터에 사용하는 걸 추천함.

지고의 날개 풀세트 / 3성 유니온 아카데미 C타입 / 징벌자 위광 / 3성 트렌치 헤어 C타입

지고의 날개는 레어 아바타로, 10세트 착용 시 효과가 쓸만하지만 룩용으로는 별로인 캐릭터가 대부분임. 보이스나 모션도 호불호가 갈리고.

대신 팩 설정 시 광원이라고 하는 반짝거리는 효과가 적용되는데, 이건 룩딸에 필수적인거나 다름 없는 요소라서 메인 팩으로 보이스, 모션을 안쓰더라도 서브팩에 적용해서 광원만은 쓰는 걸 추천함.

착용하는 경우에는 옵션을 적용받을거면 10세트 모두 착용하고, 룩이 너무 보기 힘들 정도면 그냥 착용하지 말자. 꼭 있어야 하는 옵션은 아님.

3성 유니온 아카데미 C타입은 룩용 아이템인데, 여캐는 괜찮지만 남캐는 그닥임.

지고의 날개 아바타를 착용해봤는데 너무 별로면 이쪽을 착용해도 괜찮음. 어떤 캐든 지고보단 룩용으로는 나을거임.

징벌자 위광은 보통 절대위광으로 착용되는 위광 아이템으로, 점핑 캐릭터에 지급되는 건 30일 기간제고 AAA 옵션으로 줘서 절대위광은 아님.

그래도 없는 것보단 있는 게 낫고, 위광 중에 그나마 제일 나은 룩으로 줬으니 끼고다니는 게 좋음.

3성 트렌치 헤어 C타입(쓰여있는대로 세트는 신강고 체육복 헤어로 지급됨)은 여캐 룩은 괜찮지만 남캐 룩은 정말 구림. 껴보면 암.

맘에 들면 껴도 좋고 아니면 그냥 인벤에 넣어두셈.

5. 신규/복귀 보상은 어떻게 할까요?

일단 EV 버튼을 눌러보면 이걸 찾을 수 있을 거임.

현재 진행 중인 신규 유저 이벤트임. 복귀 유저의 경우에도 똑같은 출석 캘린더를 EV 버튼을 눌러보면 찾을 수 있음.

2일~10일차 출석 아이템은 집중적으로 육성하게 될 점핑 캐릭터에 받아도 괜찮지만, 1일차 2019 신규/복귀 유저 환영상자는 내용물을 잘 보고 사용해야 함.

2019 신규/복귀 유저 환영 상자를 열었을 때 지급되는 아이템 목록임.

1. 드래고니안 풀세트 상자 : 점핑으로 지급된 지고의 날개와 마찬가지로 레어아바타임. 지고의 날개에 있는 광원 효과는 없기 때문에 만약에 점핑 외에 다른 캐릭터도 육성할거라면 계정 창고에 넣어서 다른 캐릭터에 사용하는 걸 추천함. 지고 광원과 드고 보이스/모션을 같이 쓰고 싶다면 점핑 캐릭터에 사용해도 무관함.

2. 신규/복귀 클로저 성장 지원 상자 : 레벨을 높일 수록 상자를 계속 깔 수 있는데, 40레벨 상자까지는 점핑 캐릭터로 사용해도 괜찮음.

하지만 50레벨 상자에는 '진' 풀세트 12강 상자가 있는데, 이 아이템은 중반 육성때 사용하는 아이템임.

점핑 캐릭터에는 훨씬 좋은 아이템이 무기한으로 지급되어있으니 다른 육성할 캐릭터에 개봉하는 게 더 좋음. 소비 아이템은 점핑캐릭터로 옮겨와도 괜찮고.

60레벨 상자의 '극' 풀세트 12강 상자 또한 다른 육성할 캐릭터에 개봉하는 게 좋음.

75레벨 상자의 대정화 실드 풀세트 상자는 절대로 점핑 캐릭터에 개봉하면 안 됨. 점핑캐릭터에는 이미 저 실드가 모두 지급되어 있음.

당장 육성할 캐릭터가 없다면 창고에 넣어놓고, 나중에 육성할 캐릭터가 생겼을 때 그 캐릭터로 까는 게 좋음.

80레벨 상자의 인피니티 대정화 모듈 풀 세트 또한 절대로 점핑 캐릭터에 개봉하면 안 됨. 마찬가지로 점핑 캐릭터에는 모두 지급되어 있음.

육성할 캐릭터가 없다면 창고에 넣어놓고, 나중에 육성할 캐릭터가 생겼을 때 그 캐릭터로 까도록 하자.

이후 83, 85, 86레벨 상자는 점핑 캐릭터로 개봉하고 사용해도 됨. 하지만

85레벨 상자의 릴리즈 백귀야행 풀세트 상자의 경우, 점핑 캐릭터로 개봉은 하되 실드가 6개인 당장은 사용하지 말자.

백귀야행 실드의 경우에는 6개의 실드를 3개로 압축한 후에 빈자리에 착용하는 실드이기 때문임. 자세한 건 2편에서 설명함.

86레벨 상자의 13코스, S확정 D 컴포넌트는 당장 사용하지는 말고 창고에 넣어둔 후에 현재 최종 장비인 폭식 장비에 사용하도록 하자.

그럼 다시 신규/복귀 환영 상자로 돌아가서

3. 인피니티 코어 상자 : 절대로 점핑 캐릭터에 개봉하면 안 됨. 점핑 캐릭터에 지급된 코어가 이거라서, 위의 다른 장비 풀 세트와 마찬가지로 다른 육성할 캐릭터에 개봉하도록 하자.

4. 시련의 증거 모듈 상자 : 계륵같은 아이템임. 대정화 모듈 2세트(포식자/감시자/불멸자)를 착용하고 남은 한 자리에 끼기 좋은 아이템이지만, 대정화 모듈 단일과 비교해서 크게 좋지는 않음. 나는 다른 육성 캐릭터에 개봉하는 걸 추천함.

5. 위광 : 신규는 그레모리, 복귀는 거울잡이 위광인데 점핑에 지급되는 징벌자 위광과 같은 옵션으로 15일 기간제로 지급됨. 징벌자 위광 기한이 모두 끝나면 개봉해 사용하거나, 다른 육성 캐릭터에 개봉하는 걸 추천함.

6. 인벤토리 슬롯 확장 세트 : 절대로 점핑 캐릭터로 개봉하면 안 됨. 점핑 캐릭터는 마지막 두줄을 제외한 모든 인벤토리가 이미 열려있음. 세트 상자 째로 계정 창고에 옮겨서, 다른 육성 캐릭터에 개봉하도록 하자.

7. 비주얼 슬롯 5종 상자 : 점핑 캐릭터를 본캐로 육성할거라면 꼭 점핑 캐릭터에 개봉해 사용하도록 하자. 대부분 별로인 레어 아바타의 룩을 다른 예쁜 아바타로 덮어씌울 수 있게 해주는 아이템임.

나머지 아이템들은 모두 점핑 캐릭터로 개봉하고 사용해도 무관함.

6. 이제 뭘 해야하나요?

점핑 캐릭터를 생성하고 장비까지 모두 착용했다면, 이젠 육성을 시작해야함. 지급된 점핑 캐릭터는 시즌 1~2에 속하는 스킬 포인트 퀘스트 및 메인 퀘스트, 서브 퀘스트가 모두 클리어 되어있는 상태임. 일단 점핑 캐릭터로 해야할 건 아래와 같음.

6-0. 스킬 및 퀵슬롯 세팅

점핑 캐릭터의 경우 스킬 포인트도 몇개 빼고 모두 주고, 스킬도 찍혀있고, 퀵슬롯에도 넣어주지만 조금 부족한 점이 있음.

지급은 해주지만 직접 사용해야 하는 토큰 스킬이 안 찍혀있고 캐릭마다 버리는 스킬들, 레벨을 조정하는 스킬들이 있어서 스킬 세팅을 조금 손봐줘야 함.

어떤 스킬을 주로 사용하고 어떤 스킬을 버리고 내리는지는 캐릭마다 다르기때문에 본갤이나 나딕 마이너 갤러리, 클로저스 공홈 공략게시판에서 캐릭터 스킬 공략을 본 후에 퀵슬롯에 세팅을 하도록 하자. 포션도 퀵슬롯에 넣고.

숫자 키패드에도 스킬 및 포션이 올라가니까 꼭 모두 넣어줘야 함.

6-1. 서클(길드) 가입, 서클 버프 받기

채팅창에 뭔가 올라오는 게 싫어서, 그냥 혼자 게임하고 싶어서 등의 이유로 서클 가입을 꺼리는 사람들도 분명히 있을 거임.

하지만 이 겜이 아무리 라이트한 편이라고 해도 혼자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그래도 혼자 하겠다고 해도 서클 버프가 아주 많이 좋은 편이라서 받고 하는 게 좋음.

묵언 서클도 있고 뉴비복커들을 도와주려고 항시 대기중인 썩은물들이 많은 서클도 있으니까, 일단 서클 가입은 무조건 하는 걸 추천함.

갤에다가 갤서클 추천해달라고 글을 쓰면 수많은 갤서클 완장들이 와서 자기 서클로 데려가려고 할거고, 맘에드는 곳을 찾아서 들어가면 됨.

갤서클이 성향에 안 맞을거 같으면 네트워크에서 홍보하는 8레벨 서클을 골라서 들어가도록 하자. 묵언 서클을 원하면 구피가 묵언 서클이니까 거기로 들어가면 되고.

거르는 서클들도 있으니 꼭 제대로 물어보고, 갤에 검색도 해본 후에 들어가도록 하자.

가입 방법은, L키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서클 검색창이 뜰거임.

저기다가 원하는 서클의 이름을 검색하고 가입 신청을 하면 됨.

신청이 왔을 때 알림이 완장들에게 따로 뜨지 않으므로 꼭 갤에 글을 쓰거나, 서클 공지사항에 쓰여있는 완장들에게 친추 혹을 우편을 보내줘야 바로바로 가입시켜줄 수 있음.

서클 가입을 했다면 완장들도 설명을 해주겠지만 여기에도 적어놓겠음. 서클 버프 받는 방법임.

가입 신청을 했을 때처럼 L키를 누르면 가입 후에는 현재 가입된 서클의 정보를 볼 수 있는 UI가 출력됨.

위 이미지에 있는 아지트 이동 버튼을 누르면 서클룸으로 이동이되고, 서클룸에서 다시 L키를 누르면 아래 이미지처럼 기부하기 버튼이 있을 거임.

기부하기 버튼을 눌러서 10만 크레딧을 기부하거나, 5분 동안 서클룸에서 대기하면 서클 버프를 받을 수 있음. 꼭 받고 하는 게 좋음.

갤서클이 일반 서클보다는 여러모로 복지가 더 좋은 곳이 많아서, 10만 크레딧을 기부하려고 해도 기부금이 꽉 차있다며 기부가 안 되고 버프만 들어오는 경우도 있으니 그냥 ㄷㄷ 하고 거점으로 나가서 겜하면 됨.

6-2. 플레인게이트 심층, 연무 극장의 개방 및 해당 지역의 퀘스트 진행

사냥꾼의 밤 맵의 지역 이동 NPC에게 말을 걸면 위와 같은 지역 이동 UI가 출력됨. 검은양 캐릭터 기준으로, 사냥터지기 캐릭터는 조금 다를거임.

일단 좌측과 우측 하단에 있는 플레인 게이트 : 심층과 몽환세계 : 연무극장 맵을 열어야 함.

플레인 게이트 : 심층의 경우 점핑 캐릭터가 착용하고 있는 대정화 장비의 파밍 장소로, 점핑 캐릭터에 지급된 6실드를 압축 실드로 압축하기위해 가야하는 장소임.

몽환세계 : 연무극장의 경우 특수 이후의 전직인 태스크포스 전직이 진행되는 장소이자 트리거 오픈 퀘스트 진행 장소, 현재 최종 장비 파밍 지역인 몽환세계 : 연무 극장(이면)에 가기 위해서 꼭 들러야 하는 장소임. 뉴비는 아직 몰라도 되지만 디바인 배틀이라는 컨텐츠가 진행되는 장소이기도 함.

1) 플레인 게이트 : 심층 개방

일단 플레인게이트로 이동을 해야함. 플레인게이트로 이동 후 왼쪽으로 가보면 최보나라는 NPC가 있음.

얘임. 퀘스트를 많이 들고있는데, 일단 다 받아놓도록 하자.

대정화 작전 - 신규 작전 시동 퀘스트를 시작하면, 뉴비는 알아들을 수 없는 설명을 해대고 오세린이라는 NPC에게 가보라고 할 거임.

최보나 옆에 있는 워프게이트에서 Z를 누르면 분리되어 있는 맵으로 이동이 됨. 거기서 우측으로 이동하면 오세린이 보일거임.

얘임. 얘한테 말을 걸어서 또 뉴비는 알아들을 수 없는 설명을 듣고 나면 컷씬이 뜨고, 오른쪽 위에 포탈이 열림.

오세린한테 다시 퀘스트를 받고 그 포탈로 이동하면 플레인게이트 : 심층으로 이동하게 됨.

이동 후에 서지수에게 퀘스트를 받고 대정화작전 퀘스트 및 실드 파밍을 진행하면 됨. 실드 파밍에 대해서는 2편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음.

2) 몽환세계 : 연무 극장 개방

일단 티어매트 대책실로 이동해야 함. 티어매트 대책실의 정도연에게 말을 걸어서 몽환의 지배자 - 니콜렙시 퀘스트를 진행하면 됨.

심층 개방과 마찬가지로 뉴비는 알아들을 수 없는 설명을 다 듣고 나면 몽환세계 : 연무 극장이 개방되며 연무 극장으로 이동할 수 있음.

연무 극장에는 D백작이라는 NPC가 있는데,

이 축음기처럼 생긴 놈임. 진행할 수 있는 퀘스트는 모두 진행하자.

신규 전술 배치 - 몽상가들의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4차 전직 태스크포스를 진행하는 퀘스트임. 5일이나 걸리는 퀘스트니까 꼭 점핑 캐릭터를 생성한 당일부터 5일동안 매일매일 완료할 때까지 진행해야함. 태스크포스 전직에 대해서는 2편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음.

6-3. 시즌 3 사냥꾼의 밤 퀘스트 진행

점핑 캐릭터가 처음 위치하게 되는 거점이 바로 사냥꾼의 밤임. 여기서는 시즌 3 스토리를 시작할 수 있음.

이 게임에서 주된 레벨링 수단은 스토리를 진행하는 거임. 스토리를 보기 싫다고 해도 꼭 메인 스토리를 진행해야한다는 말임.

읽기 싫으면 zxz를 해도 괜찮지만, 시나리오 라이터가 바뀌면서 스토리의 질이 괜찮아졌으니 시간이 넉넉하다면 보는 걸 더 추천함.

만약 클로저스 스토리를 아예 모르는 뉴비라면 시즌 1, 2 스토리를 검색해서 스포라도 찾아보도록 하자. 아무리 그래도 이어지는 스토리라서 모르면 이해가 안 될 거임.

zxz를 하든, 스토리를 보든 메인 퀘스트를 진행하면 여러가지 소비템이랑 장비템을 주는데 장비템은 모두 무시하면 됨. 그것보다 니가 지금 끼고있는 장비들이 훨씬 좋음.

사냥꾼의 밤 퀘스트를 진행하면서 대정화 압축 실드 파밍, 태스크포스 승급 등을 같이 진행해주면 됨.


여기까지가 가장 기본적인 정보들만 적어놓은 가이드라인 1편이고, 2편은 맨 위에서 말했듯이 파밍 방법이나 레벨업을 위한 던전, 뉴비/복커가 알아두면 좋은 이벤트등에 대해서 설명할거임.

사실 2편에 들어갈 내용들은 서클에 들어가거나 갤에 물어보면 금방 얻을 수 있는 정보들이니까, 뭐든 궁금한 게 있으면 서클 썩은물들한테 물어보거나 갤에 물어보도록 하자. 갤 공지의 가이드글도 꼭 읽어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