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해킹 확인 cmd - keompyuteo haeking hwag-in cmd

반응형

* 시작

* 실행

* cmd 또는 CMD (대소문자 구분 없음)

컴퓨터 해킹 확인 cmd - keompyuteo haeking hwag-in cmd

* 확인

* 도스창이 하나 뜸

* netstat -a 또는 (NETSTAT -A)

* 엔터

쭉 뭐가 뜨죠?

Local Address(로컬 주소) 확인.

1046, 1900, 1025, 1659 등 숫자 보이죠?

숫자가 8084, 8085 -  8천번대 포트가 열려있다면, 해킹 의심!!!컴퓨터가 해킹이 되고 있는 중이거나, 인터넷 브라우저를 켤 때는, 위험을 알리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안전하지 않음’을 알리는 표시가 뜬다면, 보통 피싱 사이트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윈도우, 한글, 백신의 업데이트와 각종 비밀번호들은 모두 주기적으로 변경, 사이트 별로 암호를 모두 다르게 설정하고 백신 프로그램 설치로 주기적으로 검사해야 합니다.

반응형

'궁금증 >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루누리로 사회보험료(고용보험·국민연금) 지원 받으세요.  (0) 2020.03.10
온누리상품권 알아 보고 혜택 받으세요  (0) 2020.03.07
종합소득세 알아 보자  (0) 2020.03.06
청년구직활동지원금  (0) 2020.03.04
근로장려금·자녀장려금의 모든것  (0) 2020.03.03

사용자의 컴퓨터가 해킹을 당하고 있는지 확인 하는 방법입니다.

확인 하셔야 합니다.

정확치가  않습니다.

 1.윈도우 XP에서 시작을 누른 다음에 모든프로그램 →보조 프로그램 →명령 프롬프트를 선택합니다.

2.명령 프롬프트 창이 열리면,netstat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세요.

  Proto로 TCP를 사용하는 항목이 나타나지 말아야 합니다.

  Local Address 항목에는 netstat 명령을 실행한 PC의 이름이 나옵니다.

  숫자는 통신 포트를 카리킵니다.Foreign Address에는 인터넷으로 연결된 원격 PC의 목록이 나옵니다.

  PC와 연결된 서버나 PC의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도 모두 종료합니다.

4.명령프롬프트 창에서 netstat -ano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세요.

이는 시스템이 해킹당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스쿨버스는 54321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위해킹프로그램이 사용하는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6.PID 번호에 해당되는 실제 프로그램은 Tasklist 명령어를 실행하면 어떤 프로세스인지 알 수 있습니다.

4번을 알고 싶다면 tasklist /svc /fi "PID eq 4 "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됩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해킹은 

고난도 해킹이 아닌 이상 일반 개인의 경우

해킹 프로그램이  내 컴퓨터에 설치가  되어야  해킹이 가능 합니다.

해킹 프로그램은   첨부파일을  조심 하시고   유무선상에서 확인이 안되는 파일은

절대 열지 말고 삭제 하심이 좋은 방법  입니다.

웬만한  해킹 프로그램은   바이러스백신으로    검색이 가능 합니다.

 해킹이 염려 되시면 ,

우선 서비스팩2가 설치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설치를 권면 드립니다.

1.서비스팩2는    인바운드 만 가능 합니다.  즉   외부로 부터 내컴퓨터에  접근 하는  트래픽을 체크 합니다.  

최소한의   방어 기능 이며  기본  입니다.

 인바인더와   아웃바인더 가 되는 방화벽즉 내컴에서 나가는것과 들어오는 

모든 트래픽을 상시 감시 하는 기능과

스탤스 기능을 가진 방화벽으로 는   존알람  . 아웃 포스트.  시게이트 등이  두가지 기능이 되는 방화벽이     안전을   보장 하지만  게임을 할경우   포기를 해야 합니다.

2. 비번을  자주 바꾸심이  좋습니다.

3. 신뢰 할수 없는  무료 프로그램은   거의가  애드웨어가  심어져 있다고

보셔도   과언이 아닙니다.

공식적으로   무료 프로그램 사용시    동의가 되는것 입니다.

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다운이 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약관을 자세히  읽어 보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약관에   개인정보 사용이  기록이 된 경우가 많습니다.

4. 신뢰 되지 않은  엑티브 엑스 설치를 하지 않으셔야 합니다.

p2p나   야한 사이트 등에서   엑티브 엑스를 잘못 설치 하실 경우

개인 정보유출형의   악성코드 등이 유입 될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설치시 스폰서 프로그램 설치여부 확인을 하심이  중요 합니다.


자료실 또는 P2P 프로그램들을 이용해서 다운받은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약관을 주의깊게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또는 

설치 진행과정에서 다른 스폰서 프로그램(주로 애드웨어)을 같이 설치하는지 주의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특히 eDonkey 같은 P2P프로그램은 많은 애드웨어를 같이 설치하는데, 설치과정에서 약간의 주의만 기울여도 애드웨어 설치를 피할 수 있습니다. 


항상 약관을 읽고, 전혀 다른 기능의 프로그램(애드웨어)를 같이 설치하는지 살펴보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5.하드디스크의 쓰기 공유 해제 (Windows 95, 98, Me 사용자)

.바이러스는 공유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파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네트워크의 공유는 되도록 하지 않아야 하며 공유가 필요할 경우 읽기/쓰기 공유가 아닌 읽기 전용 공유를 이용하도록 해야합니다.


또한,

추가로 하드디스크 전체를 공유하여 쓰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암호를 지정한다고 해도 거의 소용이 없으며 보안상 대단히 취약하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6.관리자 암호의 설정 (Windows 2000, XP, 2003 사용자)


최근 바이러스의 경우 윈도우에서 관리목적으로 기본공유된 관리목적 공유폴더를 통하여 자신을 전파시키며 간단한 암호사전을 포함하므로 쉬운 암호가 설정된 경우 암호사전을 통해 관리자 권한을 획득한후 자신을 전파시키거나 악성행위를 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반드시 윈도우의 관리자 암호를 설정해 두어야 하며 암호설정시에는 영문,숫자 혼용된 7자리이상의 추측하기 어려운 것을 사용하기를 권해드립니다.

관리자 암호 설정 방법 .


시작-제어판-사용자계정에서 Administrator의 비밀번호를 6자리 이상, 영문,숫자혼용된 추측하기 어려운 것으로 바꾼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Administrator권한을 갖는 Guest, User 등의 계정이 있다면, 삭제한다.

7.인증서 없는 액티브X 프로그램을 실행할때 자동적으로 함께 설치되면서 개인의 중요한

정보를 상대방에게 알려려주도록 되어 있습니다

Active x 설치시 주의 점 입니다.


특정 사이트에 접속할 때 active x 설치창이 뜨면,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뭔가를 설치한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컴퓨터에 대한 조작 권한을 다른 사람에게 넘기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어떤 프로그램을 설치할 지 알 수 없기 때문에, active x를 설치하는 사이트의 신뢰성을 판단해서 설치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물론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라고 여겨지는 곳에서도 어떤 프로그램을 설치할 지 알 수는 없지만...)
스팸메일을 통해 접속한 사이트, 성인 사이트, 도박 사이트 등에서 배포하는 active x는 절대 설치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인증서가 없는 경우도 설치를 피하는 게 좋습니다. (인증서가 있다고 해도 안전한 것은 아니므로, 사이트 신뢰성을 중심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습니다)

아래 프로그램을 설치 하셔서  액티브엑스를    통한  트로이 목마를   차단해

보시기  바랍니다.

컴퓨터 해킹 확인 cmd - keompyuteo haeking hwag-in cmd

8.트로이 목마도  정보 유출형   입니다.

아래를 참고 하시어  해당 사항이 있을 경우  관련 패치를 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패치를 하시면   해킹관련  트로이 목마를  예방 하실수  있습니다.

61022

★참고 자료 답변 입니다★

1.해킹예방 노하우 사전.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1&dir_id=106&eid=7e5mTDeAcFgPQemiwK16AtPj72pMBlGU

2.해킹 확인 방법.

http://kin.naver.com/knowhow/entry.php?eid=1j+dLtKcC6KjKE+8NunAsmPHpcCXgjhq

보안전문가 정성원씨는 최근 펴낸 '인터넷 보안과 해킹'(영진닷컴 간)이라는 책을 통해 개인이 컴퓨터를 방어할 수 있는 7가지 방법을 알기 쉽게 제시했다. 첫째

컴퓨터에 방화벽과 해킹방지 SW를 설치하라. 개인방화벽은 네트워크 상에서 허가되지 않은 외부의 접근을 막고 내부에서 외부로의 접속을 제한한다.

트로이목마에 속지 마라. 트로이목마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메일에 첨부된 낯선 파일, 인터넷사이트나 PC통신 자료실에 올려진 의심가는 파일은 실행시키지 않는다.

개인정보를 쉽게 빼가는 외국 SW 평가판은 필요한 것만 설치하라. 외국산 평가용 무료 SW 제품중에는 '스파이웨어'를 내장한 제품이 많아 정보가 쉽게 빠져 나간다.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의 쿠키 요청은 거부하라. 접속시 번거롭게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넣지 않도록 특정정보를 저장하는 '쿠키'로 정보가 쉽게 빠져 나갈 수 있다.


다섯째

이메일은 암호화해서 전송하라. 인터넷을 통한 메일, 파일은 여러 서버와 경로를 통해 쉽게 노출되기 때문에 'PGP' 프로그램을 이용해 메일을 암호화하면 노출을 막을 수 있다.


여섯째

공용 PC에는 ID와 암호를 절대 저장하지 말라. 공용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자신의 아이디를 도용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암호 노출에 특별히 경계해야 한다.


일곱째

바이러스 검색은 컴퓨터 보안대책의 기본이다. 백신 제작업체 사이트를 자주 방문해 업데이트되는 백신을 다운로드받아 상시 점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고 말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