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현대어 풀이 - hunminjeong-eum hyeondaeeo pul-i

부가기능

훈민정음의 현대어 번역 (3)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단체저자명국립한글박물관.연구교육과[편]
서명/저자사항훈민정음의 현대어 번역 (3) /국립한글박물관 연구교육과[편]
발행사항서울:국립한글박물관,2019
형태사항359p.:삽화,사진,표;30cm
총서사항연구보고서.
부분표제2019. 12.
일반주기 국립한글박물관 연구교육과 이관: 2020.3.11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1. 이 책은 국립한글박물관 누리집(http://www.hangeul.go.kr)에서 [소장자료]-[발간자료]에서 서명'훈민정음의 현대어 번역 (3)' 검색, 원문(PDF파일) 열람가능 2. [URL]참고 이용.
비통제주제어국립한글박물관 연구교육과,연구보고서,연구보고,한글박물관 연구,훈민정음 해례본,훈민정음 해례본 번역,훈민정음 해례본 현대어 번역,훈민정음 연구모임,훈민정음 제자해,훈민정음 번역,훈민정음 해례,한글자원,훈민정음의 현대어 번역,어제서문,정음편,정인지서문,정음해례편,
바로가기
훈민정음 현대어 풀이 - hunminjeong-eum hyeondaeeo pul-i

소장정보

소장정보
No.등록번호청구기호자료 위치예약
1 EM015997 발간자료 710.6 한글17보 [2019-12-3] 발간자료 서가
2 EM015998 발간자료 710.6 한글17보 [2019-12-3] c.2 한글길잡이 서가
3 EM015999 발간자료 710.6 한글17보 [2019-12-3] c.3 별관 서고 서가

목차

  • 목차

목차 일부

목 차

1. 서론

2. 연구의 목적과 방법

  2.1. 연구 목적 및 방향

  2.2. 연구 내용과 방법

3.『훈민정음』 번역의 실제

 3.0. 『훈민정음』이해를 위한 길잡이

 3.1. 『훈민정음』해례본 해설

 3.2. 『훈민정음』번역 지침

 3.3. 정음편

 3.4. 정음해례편

4. 결론

  4.1. 연구의 ...

훈민정음 현대어 풀이 - hunminjeong-eum hyeondaeeo pul-i
더보기

목차 전체


유열이 『훈민정음(訓民正音)』(1446) 원문을 현대어로 풀이하고 한갑수가 글씨를 쓰고 그림을 그려 보신각(普信閣)에서 단행본으로 펴내었다.

『풀이한 훈민정음』의 내용은 ‘「세종 임금님의 글씨」, 이극로의 「머리말」, 최현배의 「머리말」, 「훈민정음(訓民正音)」(상단), 「훈민정음」(우리말로 풀이, 하단), 유수의 「풀이한 『훈민정음』 뒤에」, 유열의 「꼬리말─간단한 해제를 아울러」, 『석보상절(釋譜詳節)』 서문 앞에 있는 『훈민정음언해』에서(1ㄱ, 4ㄴ, 15ㄱ, 15ㄴ 수록)’로 구성되어 있다.

전형필이 소장하고 있던 『훈민정음』 원본을 빌려 조선어학회에서 『훈민정음』 영인본을 내게 되었는데 한문 원본이 어려운 순한문으로 씌어 있어서 그 내용을 파악하기 어려웠으므로 한문으로 기술된 『훈민정음』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우리말로 풀어서 옮긴 것이다. 저자의 꼬리말에 따르면, 정인승의 가르침과 유수의 도움이 이 책의 편찬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의 핵심은 『훈민정음』 원본을 상단에 제시하고 하단에 이를 우리말로 옮긴 것에 있다. 어제 서문과 예의의 아음(牙音)을 우리말로 옮긴 양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훈민정음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서로 잘 트이지 않으므로,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은지라. 내 이를 위하여 딱하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노니, 사람마다 하여금 쉬이 익혀서 날로 씀에 편하게 할 따름이니라. ㄱ은 어금닛소리니, 군ㄷ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고, 갋아 쓰면 ·뀨ᇢㅸ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ㅋ은 어금닛소리니 ·쾡ㆆ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ㆁ은 어금닛소리니, ·ᅌᅥᆸ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이렇게 되어 있을 뿐 기술 내용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전혀 없다. 따라서 한문으로 기술된 원본 자체의 의미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에 이 책이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

『훈민정음』의 기술 내용에 관한 설명은 비록 간단하기는 하지만 6쪽에 걸친 「꼬리말─간단한 해제를 아울러」에 제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한문본 『훈민정음』의 기술 내용이 항목별로 간단히 소개되어 있고, 언해본 『훈민정음』에 추가된 내용, 훈민정음 창제 연도와 『훈민정음』의 제작 및 발간 연도와 관련한 내용이 소개되어 있다.

훈민정음 언해문 현대어 풀이와 분석

  • 상세정보
  • 자료후기 (1)
  • 자료문의 (0)
  • 판매자정보

소개글

본 자료는 훈민정음 언해문을 현대어로 풀이하고 형태소 분석 및 해석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훈민정음 예의 서문 - 언해문, 현대역, 분석
Ⅱ. 훈민정음 예의본 (자음 17자) - 언해문, 현대역, 분석
Ⅲ. 훈민정음 예의본 (모음 11자) - 언해문, 현대역, 분석
Ⅳ. 훈민정음 예의본 - 언해문, 현대역, 분석

본문내용

(1) ᅵ와 ᅡ와: ㅣ(한글 모음) + 와(접속 조사) + ㅏ(한글 모음) + 와(접속 조사)
‘ㅣ(이)’는 단모음이며, 전설 평순 고모음이다. 단모음은 발음하는 도중에 시작과 끝부분에서 입술이나 혀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모음이다. 또한, 입천장의 중간점을 기준으로 하여 혀의 최고점이 앞쪽에 있으므로 전설모음(前舌母音)이고, 발음할 때에 입술의 모양이 둥글게 오므려지지 않으므로 평순모음(平脣母音)이며, 발음할 때에 입이 조금 열리므로 폐모음(閉母音)이고, 또한 혀의 위치가 높으므로 고모음(高母音)이다.
‘ㅏ(아)’는 단모음이며, 후설 평순 저모음이다. 단모음은 발음하는 도중에 시작과 끝부분에서 입술이나 혀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모음이다. 또한, 입천장의 중간점을 기준으로 하여 혀의 최고점이 뒤쪽에 있으므로 후설모음(後舌母音)이고, 발음할 때에 입술의 모양이 둥글게 오므려지지 않으므로 평순모음(平脣母音)이며, 발음할 때에 입이 크게 열리므로 개모음(開母音)이고, 또한 혀의 위치가 낮으므로 저모음(低母音)이다.

(2) ᅥ와 ᅣ와: ㅓ(한글 모음) + 와(접속 조사) + ᅣ(한글 모음) + 와(접속 조사)
‘ㅓ(어)’는 단모음이며, 후설 평순 중모음이다. 단모음은 발음하는 도중에 시작과 끝부분에서 입술이나 혀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모음이다. 또한, 입천장의 중간점을 기준으로 하여 혀의 최고점이 뒤쪽에 있으므로 후설모음(喉舌母音)이고, 발음할 때에 입술의 모양이 둥글게 오므려지지 않으므로 평순모음(平脣母音)이며, 발음할 때에 입이 더 열리므로 반개모음(半開母音)이고, 또한 혀의 위치가 중간이므로 중모음(中母音)이다.
‘ㅑ(야)’는 전설 평순 반모음계 이중모음이다. 이중모음은 반모음과 단모음이라는 두 개의 모음 요소로 이루어져 있어 발음 도중 입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변화되면서 나는 모음이다. 또한, 전설 평순 반모음계 이중모음은 혀의 위치가 ‘ㅣ’의 자리에서 시작되는 모음이다.

(3) ᅧ와란: ᅧ(한글 모음) + 와(접속 조사) + 란(보조사)
‘ㅕ(여)’는 전설 평순 반모음계 이중모음이다. 이중모음은 반모음과 단모음이라는 두 개의 모음 요소로 이루어져 있어 발음 도중 입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변화되면서 나는 모음이다. 또한, 전설 평순 반모음계 이중모음은 혀의 위치가 ‘ㅣ’의 자리에서 시작되는 모음이다. 또한 보조사 ‘란’은 ‘는’의 이형태이며, 받침 없는 체언류나 ‘ㄹ’받침으로 끝나는 체언류 뒤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4) 올녀긔: 올녁(체언) + 의(처소격 조사)
‘올녁’은 ‘오른쪽’의 옛말이다. ‘올녀긔’는 ‘올녁’에 방향을 나타내는 처소격 조사 ‘의’가 결합한 뒤에 연철 표기된 형태이다. 이 부분의 현대어 풀이는 ‘오른쪽에’이다.

태그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