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논문 실적 - gyosu nonmun siljeog

페이지 정보

작성자 skills 댓글 0건 조회 649회 작성일 20-09-20 10:53

  • 목록
  • 답변
    • 수정
    • 삭제

본문

오늘 공저자 논문 한 편이 최종 게재되면서 국제 학술지 논문실적 100편을 달성했습니다.

석사 2학년이었던 2000년에 첫 SCI 공저자 논문이 게재되었으니까, 20년 만에 100편입니다. 앞으로도 매년 5편 내외를 게재하면 아마도 정년퇴직할 때는 200편을 넘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상대적으로 다작이 가능한 오염물질 처리 분야 연구는 거의 하지 않고, 대부분 모니터링 연구만으로 그것도 대기오염을 주력으로 연구하면서 이 정도 실적을 냈다는 것에 의미가 있습니다. 물론 모든 논문을 주저자와 교신저자로 작성한 것은 아니지만, 타 연구자들과 협업을 하는 과정이 고스란히 반영된 실적입니다.

국문 학술지 논문은 38편 게재를 했는데, 아마도 연구중심대학의 환경 전공 교수 중에서는 가장 많이 국문 논문을 작성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연구중심대학에서는 국문논문을 거의 실적으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UNIST에서도 승진, 정년보장 심사에 반영하지 않음), 국제 학술지 논문만 작성하는 교수들이 대부분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문학술지의 역할이 있고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라도 졸업 전에 국문학술지 논문을 작성해 보는 것도 필요합니다.

UNIST 부임 후 꽤 오랜 기간 온갖 행정 업무를 하면서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이 되지 못했습니다. 2013년 부임 후 4년 만에 부교수로 승진할 때는 우리 연구실 학생이 쓴 SCI 논문이 단 한 편도 없었습니다. 대부분 제가 직접 논문을 쓰거나 포항공대 후배들과 함께 작업한 논문으로 부교수가 되었습니다. 신생 대학이 아닌 기존 연구중심대학에 부임해서 연구에만 집중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정교수인데 이제 논문 안 써도 되지 않냐며 쉬엄쉬엄 하라는 얘기도 듣습니다. 논문 편수는 이제 의미가 없긴 합니다. 그런데 학생 입장에서는 박사 졸업을 위해서는 학과에서 요구하는 최소 논문편수도 필요하고 완결된 졸업논문을 위해서는 개별논문 4-5편 분량의 연구결과가 있어야 합니다. 박사졸업 후에 학계로 진출하기 위해서도 여러 편의 논문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지도교수는 멈출 수가 없습니다. 한 번 발사되면 목적지까지 쉼 없이 날아가는 로켓에 타고 있습니다.

  • 이전글환경오염 현장경험의 중요성 20.10.06
  • 다음글대학원 입학전형 전 진학희망 연구실 교수에게 연락해야 하는 이유 20.08.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수 논문 실적 - gyosu nonmun siljeog

����=���ý�

���� �ӿ� ��� ���� ������ �ٸ��� ǥ���� �ӿ��� ��ҵ� ��ȿ��� ���� ���� �ӿ� ������ ���� ���� ���� ������ ��Ȯ�ϰ� �������� �ʾҴٸ� �ӿ� ��Ұ� �����ϴٴ� �ǰ��� ���Դ�.

  ������������ ��4��(������ ���̿�)�� ���� 8�� 14�� Z���б� ������ A���� ������û�ɻ�����ȸ�� ������ ���� ��� �Ҽۿ��� A�� �ӿ� ��Ұ� �����ϴٰ� ���� ���� ���� �����.

  A���� ���� 2017�� 11�� Z���б� ������������ ���� ������ ������ 2018�� 3�� �������� �ӿ�ƴ�. �׷��� ���� �� 11��, �״� �ӿ� ���� ������ ���������� ��ǰ� �ٸ��� �����ߴٴ� ������ �ӿ� ��� ó���� �޾Ҵ�. A���� �ӿ� ��� ���� �������� ������ ���� �� �ϳ��� �߸� �����ߴ� ��. A���� �ش� ���� ��ǥ �ñ⸦ 2017�� 9���̶�� ������ ������ �߰��� �ñ�� 2017�� 12���̾���.

  A���� ������ Z���б��� ���� ������ �����϶�� ���������� ����� �������� �����ؾ� �ϴ��� ��ü���� ������ �������� �ʾҴ�. ���� A���� ���簡 Ȯ���� ��ǥ���� �������� �����ϰ� �� ���̴�. ��� �ش� ������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 ���� �ĺ���)�� �ο��� �������� ���簡 Ȯ���� ��Ȳ�̾���.

  �б��� ��� �ӿ� ������ ���ǵ� �������� �����϶�� ���������� �ʾ����� �м��� ���� ǥ��, ��(ȣ), ���࿬��, ���� ���� ������ �� ������ �䱸�ߴ�. Z���б��� "�� �������� ������ ����� �м����� ���ǵ����� ������ �ϴ� ������ ������ �߰��� �������� �����Ѵٴ� ������ ������ �� �ִ�"�� �����ߴ�.

  �̿� ������û�ɻ�����ȸ�� A�� ������ �����ϴٰ� �ô�. ����ȸ�� "A���� ���� ������ ������ ��� ���� ���� 4���� �ش��� �ӿ��ϰ��� �ϴ� ���� �ȿ� �ش���� �ʾ� �ӿ�� �� ������ ������ ���δ�"�� �Ǵ��ߴ�.

  �׷��� ������ ����ȸ�� ������ ����ߴ�. ������ "������ ���� �ֱ� 3�Ⱓ�� ������ �����϶�� �����ϰ� ���� �� ������ ���ǵž� �ϰų� ���� ���� ������ �����ȴٴ� ���� �����ϰ� ������ �ʴ�"�� "�ٸ� ���б������� ���� ���� ������ �������� �������� ���� ��� �� ����� ��Ȯ�ϰ� �����ϰ� �ִ�"�� Z���б��� ������ ��ô�ߴ�.

  ����, "�� ��� ������ ���� ��� �̹� ���� ���� �м���, ��(ȣ), ���࿬��, ������ ���� ������ ��� Ȯ�������� �߰����� �յΰ� �־��� ������ ���δ�"�� "(������ ����� �м����� ���ǵ����� ������ �ϴ� ������ �䱸�ߴٴ�) ���������δ� �� ��� ������ ���� ���� ���� ������ �������� �����ȴٴ� ���� ��Ȯ�� �巯���ٰ� ������ �ʴ´�"�� �Ǵ��ߴ�.

  ������ "A���� �� ��� ���� �ܿ��� 7���� ������ �������� �߰� �����ߴ�"�� "A���� ���б������μ� ���� �� �ɷ��� �����ϴٰ� ������ �� ����"�� �ô�. ���Ǻδ� "�� ��� ������ �߰� ���ΰ� Z���б��� �ӿ� ���θ� �����ϴ� �� �߿��� ��Ұ� �ƴٰ� ���⵵ ��ƴ�"�� Z���б��� �ӿ� ��� ó�а� ����ȸ�� ������ ��� �����ϴٰ� �����ߴ�.

������ ����

연구실적 심사 개요

  • 연구실적 심사는 질적심사(정성평가)
  • 국제A급(SCI급) 주저자 대표논문 위주로 300%를 초과하지 않도록 엄선
    (주저자 대표논문 200% 미달시 공저자 논문 선정도 가능하나, 연구실적 심사 시 공저자 실적임을 심사위원에게 안내))
  • 초빙응모시 전산상에 입력된 최근 3년 이내의 심사대상기간 실적물에 한함
  • 대상기간 초과(후/전), 또는 본인이 입력하지 않는 실적물은 추가로 심사대상에 포함할 수 없음

저자별 환산율

  • 일반저자(공동저자): 1인 100%, 2인 70%, 3인 50%, 4인 30%, 5인이상 20%
  • 책임 또는 제1저자(주저자): 1인 100%, 2인 80%, 3인 70%, 4인 60%, 5인이상 50%

국제A급 환산율 : AHCI, SSCI, SCI, SCIE

  • 인문사회계 : 2배
  • 이학,공학 : 1.5배(SCIE도 포함됨)
    • 예 : SCI 1인 주저자 논문의 경우 논문 2편만 제출해도 됨: 환산율 100% * 1.5배 * 2편 = 300%

심사용 연구 실적물 본인이름 삭제

  • 본인을 알 수 있는 인적사항 관련 부분 전체 삭제 필요: 이름, 소속기관 등
  • 출력본 수정시 인적사한 부분 칼로 도려내거나 검은색 매직을 칠한 후 수정펜으로 덧칠하여 주시기 바람
  • PDF 파일 수정시 제3자가 수정개체를 선택/이동 또는 삭제하여 인적사항이 노출되지 않도록 유의

본인이름, 인적사항이 비치지 않도록 하시기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