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가인터넷 속도 100mbps - gigainteones sogdo 100mbps

지식인에 보면 기가인터넷인데 속도가 안나온다는 글이 많다.

왜 속도가 안나오는지 알아보자.

인터넷은

  1. 인터넷 제공업체 (KT,SKT,LG 등)
  2. 해당 회사의 회선
  3. 해당 회사의 기기(모뎀 등)
  4. 공유기 (공유기를 쓰는경우)
  5. 랜 선
  6. 컴퓨터

로 여러 선들을 거쳐 연결된다.

기가인터넷을 쓰는데 100Mbps 라면 어디에 문제일까?

기가인터넷 속도 100mbps - gigainteones sogdo 100mbps
100Mbps

보통

  1. 공유기 (공유기를 쓰는경우)
  2. 랜 선
  3. 컴퓨터

이 세가지에서 문제이다.

공유기

공유기의 사양을 알아보면 최대 유선속도 라는 부분이 있다.

이 부분이 100Mbps 라면 최대속도가 100Mbps 로 제한된다.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하는 ipTIME의 경우 모델명의 숫자로 기가비트 공유기인지, 100메가 공유기인지 알수있다.

예를들어 ipTIME N604 공유기는 100Mbps 모델이고 ipTIME N6004 공유기는 1Gbps(1000Mbps) 모델이다.

ipTIME은 000 모델은 100Mbps, 0000 모델은 1000Mbps 라는 이름 규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회사의 경우 모델명을 검색해보시면 제품 정보에 1Gbps인지 100Mbps인지 알수있습니다.

랜 선

랜 케이블에도 규격이 있다.

  Cat 5 Cat 5E Cat 6 Cat 6E Cat 7
속도 100Mbps 1Gbps 1Gbps 10Gbps 10Gbps
대역폭 100MHz 100MHz 250MHz 500MHz 600MHz

이러한 규격중 Cat 5 를 쓴다면 최대속도가 100Mbps 로 제한된다.

컴퓨터 (랜 카드)

랜카드가 최대 100Mbps 라면 최대속도가 100Mbps 로 제한된다.

보통 메인보드의 내장 랜카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메인보드 규격을 알아보면 된다.

인터넷 속도 측정은? (설치 없이 간단히)

스피드 테스트 닷넷을 이용하시거나.. https://speedtest.net 

Speedtest by Ookla - The Global Broadband Speed Test

Test your Internet connection bandwidth to locations around the world with this interactive broadband speed test from Ookla

www.speedtest.net

기가인터넷 속도 100mbps - gigainteones sogdo 100mbps

넷플릭스에서 제공하는 속도 측정 해보시면 됩니다. https://fast.com

인터넷 속도 테스트

회원님의 다운로드 속도는 얼마나 될까요? FAST.com의 간편한 인터넷 속도 테스트로 몇 초 안에 ISP 속도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fast.com

통신사에 문제가 있는 경우?

SLA(Service Level Agreement)테스트를 통해 최저 품질 기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KT speed.kt.com/sla/slatest/introduce.asp
  • SKT myspeed.skbroadband.com/mesu/internet_sla.asp
  • LG U+ www.uplus.co.kr/css/qlty/sped/RetrieveSpeedchkLink.hpi
기가인터넷 속도 100mbps - gigainteones sogdo 100mbps
본인 명의로 개통된 인터넷이 있어야 SLA측정 가능하다 - KT

3사 모두 품질측정시 로그인이 필요하고, 로그인한 명의자의 가입 회선정보를 선택하여 측정이 가능하다.

(부모 명의로 되어있거나, 집주인 명의로 인터넷이 개통된 경우 명의자 아이디로 로그인하여 테스트해야 됩니다.)

설치형 프로그램(정확한 측정을 위해 어쩔수 없다.)을 통해 측정이 지원되며, SLA테스트를 진행후 미달이면 3사 모두 기사를 부를 수 있습니다.

수회 미달시 요금 감면과 약정 위약금 없이 해지사유가 됩니다.

반드시 캡쳐하여 미달 내용을 저장해두세요.

SLA 품질 측정전 확인사항

  • 통신사 장비와 직접 연결되어있는 유선 컴퓨터인가?
    • 아닌경우.. 공유기가 통신사의 제공속도를 지원하는가?
  • 측정 컴퓨터의 랜카드가 제공속도만큼 지원하는가?
  • 통신사 장비와 연결된 컴퓨터의 랜선이 Cat5.E(1Gbps 기준) 이상인가?
  • 랜 케이블의 데이터 유실 가능성이 없는 100M(미터) 이하의 길이로 사용중인가?
  • PC내 다운로드/업로드를 측정시 사용하지 말 것
    • 다운로드 예시 : 유튜브 영상 시청, 웹 브라우저 이용, 게임 등
    • 업로드 예시 : 구글 드라이브 업로드, 유튜브 영상 업로드, 인터넷 사진 첨부 등
    • 측정시간 동안 와이파이도 사용하지 말 것
  • PC에 백신 방화벽에 의해 통신이 방해될 수 있음

측정 후 팁

1Gbps를 사용중인데 500Mbps 쯤 속도가 나온다면 최저 품질기준(50% 정도)를 넘길 수 있다..

이 경우 통신사에서 1기가에 가깝게 속도 제공을 못하는 환경일 수 있고, 요금제를 500Mbps로 바꿔서(약정이 없다면) 사용하는것을 추천함.

흔히들 사용하는 인터넷의 속도는 100Mbps로 사용하고 있다.

그럼 실제 100Mbps의 속도가 어느정도 인지 알아보자

100Mbps의 단위를 간단히 살펴보면 M(메가), bps(Bit per second)으로 1초당 전송할 수 있는 비트의 수를 뜻한다.

흔히를 우리에게는 바이트가(byte)가 익숙할 텐데

컴퓨터 저장 매체를 살펴보면 1000MB(1000메가 바이트), 1GB(1기가 바이트), 1TB(1테라 바이트)로 표시되다 보니 인터넷 속도도 같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다.

1Byte는 보통 8개의 bit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신속도에 있어서 100 Mbps는 1 나누기 8을 진행해야 한다.

즉, 100Mbps의 인터넷 속도는 초당 12.5MB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럼 초당 12.5MB는 얼마나 빠른 전송 속도를 가질까?

물론 통신 서비스마다 100% 성능을 보여주진 않지만 100Mbps의 속도로 3GB 영화를 다운로드한다고 가정해보자

저장용량(영화파일) 1GB는 1024MB이므로 1024*3 = 3072MB가 된다.

3072MB 나누기 12.5MB(100Mbps인터넷)를 하면 약 246초(4분)만에 3GB 영화를 모두 다운로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요즘은 인터넷 속도에 욕심이 있다 하시는 분들이 10G, 5G, 1G 등 기가 인터넷에 관심이 많을 텐데

기가 인터넷은 아직 안정화 중이라 속도가 제대로 안 나올 때가 많이 있다.(지역마다 차이는 있다)

우선 1G, 5G, 10G 속도를 살펴보면 

1G = 1024 Mbps, 5G = 5120 Mbps, 10G = 10,240 Mbps이다.

즉, 1G는 1024/8 하여 초당 128MB, 5G는 5120/8 하여 초당 640MB, 10G는 10240/8 하여 초당 1280MB를 가진다고 보면 된다.

정말 어마어마한 속도이지만 초고화질의 영상을 주로 다운로드&업로드하시는 분들이 아니라면

가정에서 사용하는 인터넷의 경우 100Mbps로도 충분히 사용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