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미터 지지직 - boiseumiteo jijijig

Voicemeeter - 디스코드 소리 깨짐 문제 해결

보이스미터 지지직 - boiseumiteo jijijig
quadplus2020. 12. 13. 18:09

이 글은 아래의 영상을 통해 알게 된 해결법이다.

개인적으로는 그냥 아래의 영문 영상을 시청하는 것을 추천한다.

우선 작업관리자(Ctrl + Shift + ESC)로 들어간 뒤, 상단에 있는 버튼 중 Details(세부 설정)에 들어가도록 하자.

보이스미터 지지직 - boiseumiteo jijijig

audiodg.exe를 찾아 우클릭 - Set priority - High를 선택해주자.(리얼타임도 가능하긴 한데 High가 낫다.)

그리고 Set affinity를 클릭해주고, cpu를 하나만 선택해주고 나머지는 체크표시를 해제하도록 하자.(나는 영상에 나와있는대로 CPU2를 선택했다.

보이스미터 지지직 - boiseumiteo jijijig

OK버튼을 누르면 해결이다.

다시 디스코드에 들어가서 마이크 테스트를 해보도록 하자.

보이스미터 바나나 설정 잘해서 잘사용하고 있었는데

컴퓨터를 껐다 켜니 갑자기 ./...

A1 마이크에 연결한 이어폰으로 듣기

A2 외부 스피커로 듣기

이렇게 설정해 놓았습니다.

평소엔 괜찮더니 오늘은 A2 스피커로 들을 땐 멀쩡하다가 A1을 들으려하거나 A1,A2를 같이 들으려하면 

그 이후로 계속 괴물소리처럼 이상하게 들립니다 ㄷㄷ

(A1, A2 설정을 다시 해주면 괴물소리가 사라집니다) 

마이크에 연결된 이어폰에서는 계속 이상한 노이즈가 껴있구요....(A1을 꺼도 들립니다.)

중간에 오류문구가 하나 나왔는데 번역해보니 이런 내용이네요

주 출력 장치를 열지 못했습니다. 준비되지 않았거나 다른 프로세스에서 사용하는 장치 먼저 a1 출력 장치를 선택하십시오 기본 설정 유지 (기본 버퍼 크기) 장치 구성은 32 44.1 48, 88.2 또는 96khz 만 가능 pAudioClient-> 리턴 오류 초기화 -2147024895

혹시 조언가능하신분 계실까요..?!

보이스미터 지지직 - boiseumiteo jijijig

보이스미터 믹서를 사용하다보면 입/출력간의 오디오 처리 지연이 생기는데 실시간 모니터링, 예를 들어 마이크로 입력되는 자신의 목소리를 모니터링하는 경우 이러한 지연이 길면 상당히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글은 이러한 지연 시간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첫번째 해야할 것은 모니터링 장치를 하드웨어 출력의 A1에 지정할 것을 권장합니다.

보이스미터 지지직 - boiseumiteo jijijig
출력 A1 장치 선택

동일한 장치가 WDM, KS, MME, ASIO등 여러개 나올경우 ASIO나 WDM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지연시간이 짧습니다.

관련글 : 보이스미터 (Voicemeeter) 사용법

두번째는 입력 장치, 보이스미터, 출력 장치의 샘플 레이트를 동일하게 설정해야 합니다(예: 48000Hz).

보이스미터 지지직 - boiseumiteo jijijig
녹음 -> 마이크 -> 고급 -> 기본 형식
보이스미터 지지직 - boiseumiteo jijijig
재생 -> 스피커 -> 고급 -> 기본 형식

위와 같이 재생, 녹음의 모든 장치의 샘플레이트를 동일하게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보이스미터의 시스템 세팅(Menu – System settings)을 살펴봅니다.

보이스미터 지지직 - boiseumiteo jijijig

처음 확인해야 할것은 연결된 장치들의 샘플 레이트(이미지에서 빨간색 라인으로 표시)가 모두 동일한지 확인합니다(위와 같이 모두 48000hz로 되어 있어야 함). 그렇지 않다면 윈도우 사운드 설정을 다시 확인합니다.

바나나미터 시스템 세팅의 Preferred Main SampleRate도 동일하게 48000hz으로 변경합니다.

이제 버퍼링 값을 조금씩 줄여보면서 지연이 얼마나 줄어드는지 확인합니다(초록색 라인으로 표시. 제것은 입력 장치로 지정한 장치들이 WDM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WDM 버퍼값을 256까지 줄여 주었습니다).

지연이 가장 적은 버퍼값은 pc 마다 모두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직접 소리를 듣고 값을 조절하면서 찾아야 합니다.

오디오 입력 장치들이 모두 WDM만 사용하는 경우 WDM Input Exclusive Mode를 “Yes”로 설정하는 것도 지연을 상당히 줄이는 방법입니다.

이외 Virtual ASIO Type을 “Int32LSB”에서 “Float32LSB”로 바꾸어 주거나 Engine Mode를 기본 Normal에서 Swift로 바꾸어 보는 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이런 옵션들은 프로그램의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서 주의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