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날 화 한자 - bichnal hwa hanja

語源

빛날 화 한자 - bichnal hwa hanja

華는“花”의 본래글자이다. 갑골문 華자는, 한 그루 나무에 무성한 꽃이 만발하는 모양이다.
고대에는 나무위에 피는 꽃을 “華”라 불렀고, 산과 들에 피는 꽃을“榮”이라 했다. 그래서 華의 본래 의미는 나무 위에 피는 꽃을 가리키는데, 후에 일반적으로 초목의 꽃을 나타내게 되었다.
'꽃이 만발하다', '아름다운 광채를 내다', '왕성하게 번영함'을 상징하며, 과거의 華자는 또한 '보기 좋다', '화려하다'와 '번영하다' 등의 의미를 나타낸다.

文化

중국에는 국화가 없다. 다만 각 성(省)을 대표하는 꽃들이 있다. 그중에서 매화, 모란, 국화 등이 중국을 대표할만한 꽃이다. 먼저 매화를 보면, 역사가 3000여년이나 되며, 가장 오래된 기록은 <詩經>으로 전해진다. <詩經>에서의 매화는 대부분 과실로서 식용되는 것이었고 관상용은 아니었다. 국화 역시 3000년이 넘는 재배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주로 식용으로 사용되었다.[1]
한자는 활화석으로 표현될 만큼 중국문화를 잘 표현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식물 관련 글자는 중국인과 긴 역사를 함께하며 그들의 모든 것이 그대로 투영되어 나타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대 중국인들에게 꽃은 배고픔을 달래주는 식량이며, 약재 등으로 사용되었다. 현재에도 물론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지만, 꽃이라는 단어가 지니는 첫 이미지가 ‘식용’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꽃이라는 글자는, 식물에 관련된 글자는 인간에게 어쩌면 가장 가까운 곳에 있으면서 수많은 시간이 지나는 동안 그 의미가 변용되어 왔다. 하지만 3000년 전 첫 재배가 시작되었을 때나 현재에도 그 본질은 변하지 않았다.

  1. 이혜정(2008), 「식물관련 중국 성어의 문화의미 연구」,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p.15

믿거나말거나한자

믿거나 말거나 내맘대로 한자(빛날 화 華 , 마칠 필 畢 , 코 비 鼻 , 줄 비 畀 )

빛날 화 한자 - bichnal hwa hanja

2011. 10. 25. 21:53

나뭇가지의 풀이 화려하게 빛나다(빛날,화려할 화 華)

->단풍든 모습

[난이도]중학용, 읽기 4급, 쓰기 3급

나뭇가지의 꽃잎이 떨어지고 열매(田)를 맺다(마칠 필 畢)

[난이도]고등용, 읽기 3급II, 쓰기 2급

두손(받들 공 廾)으로 열매(田)를 들고 있으니 저절로(自)로 향이 코를 찌른다(코 비 鼻)

[난이도]중학용, 읽기 5급, 쓰기 4급

책상(책상 기 丌)위의 열매(田)를 주다(줄 비 畀 )

[난이도]읽기 특급

열매 과 果

http://blog.naver.com/videoboy1/40129121951

▹ 華 한자 풀이

🍬 빛날


  • 빛나다 , , , 아름답다 , 맛이 좋다
  • 나무에 달린 가지, 잎 등을 상세하게 표현해서 화려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발전됨

▹ #華 에 관한 한자 모두 29 개

  • 巨族(경화거족) : 번화한 서울에서 권력 있고 번성한 집안.

    京: 서울 華: 빛날 巨: 族: 겨레


  • 官膴職(화관무직) : 이름이 높고 봉록이 많은 벼슬.

    華: 빛날 官: 벼슬 膴: 職: 벼슬


  • 子弟(경화자제) : 번화한 서울에서 곱게 자란 젊은이라는 뜻으로, 주로 부잣집 자녀들을 이르는 말.

    京: 서울 華: 빛날 子: 아들 弟: 아우


  • 而不實(화이부실) : 꽃은 화려하나 열매를 맺지 못한다는 뜻으로, 겉모습은 그럴 듯하지만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말이다.

    華: 빛날 而: 말 이을 不: 아닌가 實: 열매


  • (산화) : (1) 꽃같이 진다는 뜻으로 꽃다운 목숨이 전장(戰場) 등(等)에서 죽는 것 (2) 부처에게 공양(供養)하기 위(爲)하여 꽃을 뿌리는 일.

    散: 흩을 華: 빛날


  • 不再揚(화불재양) : 꽃은 다시 매달 수 없다는 뜻으로, 한 번 떨어진 꽃을 다시 붙일 수 없듯이 흘러간 세월은 다시 돌아오지 않음을 이르는 말.

    華: 빛날 不: 아니 再: 揚: 오를


  • 榮耀榮(영요영화) : 권력(權力)이나 부를 얻어서 번성(繁盛)한다는 뜻으로, (1) 사치(奢侈)를 다함 (2) 호화(豪)롭고 화려(麗)함.

    榮: 영화 耀: 빛날 榮: 영화 華: 빛날


  • 萬代榮(만대영화) : 여러 대를 이어 가며 누리는 영화.

    萬: 일만 代: 대신 榮: 영화 華: 빛날


  • 菅茅束(화관모속) : 솔새를 물에 적셔 왕골자리를 짤 때는 띠로 묶어야 한다는 뜻으로, 부부(夫婦)는 서로 떨어져서는 안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華: 빛날 菅: 골풀 茅: 束: 묶을


  • 首之老(화수지노) : 흰머리의 노인이라는 뜻으로, 백발노인(白髮老人)을 이르는 말.

    華: 빛날 首: 머리 之:


  • 都邑夏(도읍화하) : 도읍(都邑)은 왕성(王城)의 지위(地位)를 말한 것이고, 화하(夏)는 당시(當時) 중국(中國)을 지칭(指稱)하던 말임.

    都: 도읍 邑: 고을 華: 빛날 夏: 여름


  • 甲(화갑) :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

    華: 빛날 甲: 갑옷


  • 洞房燭(동방화촉) : 동방에 비치는 환한 촛불이라는 뜻으로, 혼례를 치르고 나서 첫날밤에 신랑이 신부 방에서 자는 의식을 이르는 말.

    洞: 房: 華: 빛날 燭: 촛불


  • 之怨(백화지원) : 사랑을 잃은 여성(女性)의 슬픔.

    白: 華: 빛날 之: 怨: 원망할


  • 燭洞房(화촉동방) : 첫날밤에 신랑 신부가 자는 방.

    華: 빛날 燭: 촛불 洞: 房:


  • 秋實(춘화추실) : 봄꽃과 가을 열매라는 뜻으로, 문조(文藻)나 덕행(德行) 혹은 문질(文質)이 뛰어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春: 華: 빛날 秋: 가을 實: 열매


  • 胥之國(화서지국) : 잘 다스려진 태평(太平)한 나라.

    華: 빛날 胥: 서로 之: 國: 나라


  • 貴客(경화귀객) : 번화한 서울에서 온 귀한 손님.

    京: 서울 華: 빛날 貴: 귀할 客:


  • 子弟(호화자제) : 호화로운 집안에서 자란 젊은이.

    豪: 호걸 華: 빛날 子: 아들 弟: 아우


  • 亭鶴唳(화정학려) : 화정에서 들은 학의 울음소리.

    華: 빛날 亭: 정자 鶴: 唳:


  • 燭之典(화촉지전) : 부부 관계를 맺는 서약을 하는 의식.

    華: 빛날 燭: 촛불 之: 典:


  • 婚(축화혼) : 결혼(結婚)을 축하(祝賀)함. 경조사(慶弔事)의 서식(書式).

    祝: 華: 빛날 婚: 혼인할


  • 之期(번화지기) : 번화(繁)스러운 시기(時期).

    繁: 많을 華: 빛날 之: 期: 만날


  • (부화) : (1)실속은 없고 겉만 화려함. (2)남녀 관계가 도덕적으로 타락하여 건전하지 못함.

    浮: 華: 빛날


  • 胥之夢(화서지몽) : 낮잠 또는 좋은 꿈을 이르는 말. ≪열자≫의 <황제편(黃帝篇)>에 나오는 말로, 고대 중국의 황제가 낮잠을 자다 꿈을 꾸었는데 화서라는 나라에 가서 그 나라의 어진 정치를 보고 깨어나 깊이 깨달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華: 빛날 胥: 서로 之: 夢:


  • 富貴榮(부귀영화) :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귀하게 되어서 세상에 드러나 온갖 영광을 누림.

    富: 가멸 貴: 귀할 榮: 영화 華: 빛날


  • 微笑(염화미소) : 말로 통하지 아니하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일. 석가모니가 영산회(靈山會)에서 연꽃 한 송이를 대중에게 보이자 마하가섭만이 그 뜻을 깨닫고 미소 지으므로 그에게 불교의 진리를 주었다고 하는 데서 유래한다.

    華: 빛날 微: 작을 笑: 웃을


  • 燭(화촉) : (1)빛깔을 들인 밀초. 흔히 혼례 의식에 쓴다. (2)그림을 그리는 데 쓰는 밀초.

    華: 빛날 燭: 촛불


  • 示衆(염화시중) : 말로 통하지 아니하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일. 석가모니가 영산회(靈山會)에서 연꽃 한 송이를 대중에게 보이자 마하가섭만이 그 뜻을 깨닫고 미소 지으므로 그에게 불교의 진리를 주었다고 하는 데서 유래한다.

    華: 빛날 示: 보일 衆: 무리


빛날 화 한자 - bichnal hwa han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