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관누수 보수방법 - baegwannusu bosubangbeob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도관의 누수차단 보수방법은,

수돗물을 공급하는 송수관이 서로 연결된 플랜지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보수 방법으로서, 송수관을 서로 연결하는 플랜지부에 볼트 홀과 통하도록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단계에서 형성된 구멍에 체결부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플랜지부들 사이에 개재된 개스켓 외측으로 감겨져 그 내부의 압력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면서 플랜지부들 사이를 완전히 밀폐시키는 보강부재 설치공정, 상기에서 형성된 체결부에 어댑터를 연결하고 개스켓 외측으로 누수 차단제를 주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수도관의 누수차단 보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돗물을 공급하는 송수관에 설치된 밸브에서 누수가 발생 할 경우의 무단수 보수 방법으로서, 송수관을 개폐하는 밸브를 작동 가능한 상태로 감싸는 스터핑 박스(stuffing box)에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단계에서 형성된 구멍에 체결부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체결부에 어댑터를 연결하고 스터핑 박스 내부로 누수 차단제를 주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수도관의 누수차단 보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돗물을 공급하는 송수관에 제공되어 관로가 일정길이 만큼 서로 삽입된 신축이음관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의 무단수 보수 방법으로서, 외측으로 위치한 관로에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공정에서 형성된 구멍에 체결부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에서 형성된 체결부에 어댑터를 연결하고 관로와 관로 사이에 개재된 개스켓 외측으로 누수 차단제를 주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수도관의 누수차단 보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수관이 서로 연결된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 누수를 차단하여 보수한 구조에 있어서, 송수관을 서로 연결하는 플랜지부와, 송수관을 개폐하는 밸브와, 송수관이 서로 연결된 신축이음관에 각각 제공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개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개스켓의 외측으로는 이 개스켓을 통하여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개스켓을 감싸는 실링층을 형성한 수도관의 누수차단 보수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플랜지부들 사이에는 보강부재가 더욱 제공되고 이 보강부재는 와이어 또는 클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 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도관의 누수차단 보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송수관의 연결부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송수관의 연결부위 단면도로서, 수돗물을 공급하는 송수관(100)은 일정한 길이마다 플랜지부(200)로 서로 연결하게 되며, 이 연결부위에는 관로의 점검 및 유지보수를 위하여 맨홀이 설치되고 이 맨홀 내부에는 송수관(100)을 개폐하는 밸브(미도시) 및 계절의 변화에 따른 송수관의 수축을 감안하여 신축이음관(미도시) 등이 설치된다.

상기 플랜지부(200)에는 원주 방형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의 홀(210)이 형성되고, 이러한 플랜지부(200)들 사이에는 연결부위의 기밀을 유지하는 개스켓(300)을 개재한 상태로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다수의 연결부(220)를 홀(210)에 체결하는 방법으로 송수관(100)을 연결한다.

이러한 송수관(100)은 대부분이 지중에 매설되는데, 지반의 침하나 온도변화로 인한 관로 및 연결부위의 수축과 팽창, 또는 관로의 노후 등과 같은 요인으로 인하여 누수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송수관의 누수 발생시 단수를 시키지 않고 누수 부위를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누수 발생은 송수관의 연결부위 즉, 플랜지, 밸브 그랜드, 신축이음관 부위에서 발생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는 연결부위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공된 개스켓이 시간이 지나면서 물성이 변하여 탄력성이 저하되거나 파손되는 경우 에 기인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송수관의 플랜지부(200)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 무단수 상태에서 수도관의 보수방법 및 보수구조를 나타낸다.

먼저, 송수관의 누수 상태를 파악하여 누수 부위가 플랜지부(200)로 확인되면, 드릴 등을 이용하여 플랜지부(200)의 외둘레면에 구멍(230)을 뚫는다.

이때 구멍(230)의 위치는 연결부(220)가 체결된 홀(210)과 통하도록 천공한다. 그리고 이 구멍(230)은 연결부(220)가 체결된 위치마다 천공할 수도 있고 하나씩 건너뛰어 천공할 수도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뒤에서 설명되는 누수 차단제의 주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연결부(220)가 체결된 부위마다 천공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구멍(230)은 본 실시예 에서는 개스켓(3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는 상태로 위치하는 플랜지부(200)에 각각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느 일측의 플랜지부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부(200)에 구멍(230)이 형성되면 이 구멍(230)에 누수 차단제 주입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체결부(240)를 형성한다. 이 체결부(240)는 예를 들면 테핑(tapping) 가공공정을 통하여 구멍(230)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플랜지부(200)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230)에 체결부(240)가 모두 형성되면, 플랜지부(200)들 사이에 개재된 개스켓(300) 외측으로 보강부재(400)를 감아 고정시켜 플랜지부(200)들 사이의 갭을 완전히 밀폐시킨다.

상기 보강부재(400)는 연결부(220)의 볼트에 응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약간의 간격을 띄우고서 감아 그 끝단부를 서로 결속하는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강부재(400)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와이어 또는 클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부재(400)가 설치되면 도 3에서와 같이 플랜지부(200)의 구멍(230)에 형성된 체결부(240)에 어댑터(500)를 나사 체결하고,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누수 차단제 주입장치를 연결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누수 차단제(600)를 강제로 주입한다.

상기 누수 차단제(600)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공기와 접촉되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경화되는 액상이나 겔 상태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컴파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컴파운드는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통상적인 것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누수 차단제(600)가 구멍(230)을 통하여 주입되면, 플랜지부(200)들 사이에는 보강부재(400)가 체결되어 있으므로 주입되는 누수 차단제(600)는 공간인 플랜지부의 연결부(220)가 체결된 홀(210)을 따라 흐른 다음 개스켓(300)의 외측면을 따라서 채워진다.

누수 차단제의 주입은 누수 부분의 반대편 쪽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구멍을 시작으로 주입한 후, 인접된 그 다음번 대각선 방향의 구멍에 주입하는 방법으로 지그재그 방향으로 주입하면 된다.

이때 주입 포인트 주위의 누수 상태의 변화 및 주입압력을 관찰하면서 다음 포인트(구멍)로 옮길 것을 결정하면서 주입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구멍(230)을 따라서 누수 차단제(600)를 주입하면 되는데, 이때 보강부재(400)는 누수 차단제(600)의 주입압력을 견뎌내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누수 차단제(600)가 플랜지부(200)를 따라서 주입하면 되는데, 최초 주입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서 주입된 순서대로 누수 차단제(600)가 경화되면서 개스켓(300) 외측으로 일정한 두께의 실링층이 형성되므로 누수를 멈추게 한다.

그리고 경화된 누수 차단제(600)는 그 외측을 감싸고 있는 보강부재(400)로 인하여 누수 차단제(600)가 수압을 받더라도 이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송수관을 폐쇄하지 않고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태로 누수부위를 완벽하게 보수하여 수돗물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 연결부위의 볼트 및 너트를 해체하지 않고 누수를 차단 할 수 있으므로 작업을 간단하고 빠르게 끝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송수관로 중에서 플랜지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에서는 송수관에 설치된 밸브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무단수로 보수하는 것을 설명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송수관을 개폐하는 밸브는 밸브를 작동 가능한 상태로 감싸는 스터핑 박스(stuffing box)(700)를 통하여 밸브를 개폐하는 스핀들(710)이 설치되며, 이 스핀들(710)은 스터핑 박스(700)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스핀들(710)의 주변을 감싸며 스터핑 박스(700) 내부에는 기밀을 유지하는 개스켓(720)이 설치되어 밸브 개폐시 스핀들(710)이 회전하여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개스켓(720)은 스터핑 박스(700)의 내부 일측으로 스핀들(710)을 감싸며 위치하고, 그 하부에는 약간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밸브는 개스켓(720)에 문제가 발생하여 누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먼저 스터핑 박스(700)에 드릴 등을 이용하여 구멍(730)을 뚫는다. 이때 구멍(730)은 중심선이 개스켓(720)의 하부로 위치하도록 다수개를 뚫을 수 있다.

이렇게 스터핑 박스(700)에 구멍(730)이 형성되면, 이 구멍(730)에 제1실시예 에서와 같은 테핑 가공공정을 행하여 암나사부로 이루어진 체결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체결부가 형성된 구멍(730)에 어댑터(740)를 연결하고 스터핑 박스(700) 내부로 누수 차단제(750)를 주입하는데, 이 누수 차단제 및 주입장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에서와 같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스켓(720)의 하부측으로 일정량의 누수 차단제(750)가 채워진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누수 차단제(750)가 스핀들(710)을 감싸면서 경화되어 실링층을 형성하므로 누수를 차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송수관의 누수 차단 방법으로서 송수관의 연결부위인 신축이음관 부위에서 누수될 경우 무단수로 보수하는 방법을 설명한 다.

신축이음관은 도 5에서와 같이 송수관(800)의 단부에 각각 연결된 플랜지부(810)의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정길이의 서로 다른 직경의 연장관로(820)(830)를 각각 연결하고 이들 관로(820)(830)를 서로 일정길이 겹쳐지도록 끼우고 관로(820)(830)들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시키는 개스켓(840)이 개재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장관로(820)(830)들로 인하여 계절의 변화에 따른 송수관(800)의 수축에도 관로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면서 연장관로(820)(830)에서 감당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이들 연장관로(820)(830)중에서 어느 하나의 관로에는 플랜지부(850)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850)를 매개로 개스켓(840)이 관로 외부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지지부(860)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신축이음관에서 누수가 발생되면, 먼저 개스켓(840)이 위치한 부분의 외측관로(830)에 구멍(870)을 형성한 다음, 이 구멍(870)에 제1실시예 에서와 같은 테핑가공을 하여 체결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멍(870)에 어댑터(880)를 연결한 후, 개스켓(840) 표면으로 누수 차단제(890)를 소정의 압력으로 강제 주입한다.

그러면 누수 차단제(890)가 개스켓(840) 외측을 감싸면서 퍼지면서 경화된 후, 이것이 실링층의 역할을 수행하여 누수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 에서는 구멍(230)(730)(870)을 형성한 다음, 이 구멍에 체결 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멍(230)(730)(870)에 어댑터(500)(740)(880)를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하거나 어댑터(500)(740)(880)를 가압한 상태에서 누수 차단제(600)(750)(890)를 주입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