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인칭 복수 동사변화 - 3inching bogsu dongsabyeonhwa

라틴어 불규칙 동사 변화: esse[편집]

  • 동사 원형: 현재 esse, 완료 fuisse
  • 현재형 어근: (e)s-
  • 완료형 어근: fu-
  • 명령형: 2인칭 단수: es ! 이인칭 복수: este! 2/3인칭 단수: esto! 2인칭 복수: estote! 3인칭 복수: sunto!
  • 파생어: absum, desum, intersum
 
능 동 태
직설법 현재 직설법 현재 완료
sum fui
es fuisti
est fuit
sumus fuimus
estis fuistis
sunt fuérunt
 
직설법 과거 직설법 과거 완료
eram fueram
eras fueras
erat fuerat
eramus fueramus
eratis fueratis
erant fúerant
 
제1 미래 제2 미래
ero fuero
eris fueris
erit fuerit
érimus fuérimus
éritis fuéritis
erunt fúerint
 
접속법 과거 접속법 과거 완료
sim fuerim
sis fueris
sit fuerit
simus fuerimus
sitis fueritis
sint fuerint
 
접속법 과거 접속법 과거 완료
essem fuissem
esses fuisses
esset fuisset
essemus fuissemus
essetis fuissetis
essent fuissent

주어 동사 일치 - 수일치/주동일치, 3인칭 주어일 때 단수 동사 [영어문법풀이 #14]

  • 2019.03.20 19:25
  • 문법풀이

3인칭 복수 동사변화 - 3inching bogsu dongsabyeonhwa

한 문장 안에는

기본적으로 주어와 동사가

항상 존재합니다.

명령문에서도 원래는 주어가 있는 건데

주어를 생략한 거 뿐이죠.

그래서 주어와 동사는 짝꿍이라고

생각을 하시면 돼요.

주어의 정신 활동이나 육체활동을

표현해주는 게 바로 동사니까요.

수일치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숫자를 일치 시킨다는 뜻인데요

어떤 숫자를 일치 시키냐 하면

주어를 보고 동사의 모습을 결정짓는 거예요.

주어가 하나인지 아닌지

그 수를 보고

동사의 모습을 정한다고

수를 일치시킨다고해서

'수일치'

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그리고

그래서 주어와 동사를 일치시킨다고

'주동일치'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주어에 따라서

동사의 모습이 조금 변하게 되는데요.

변하게 되는 경우는 딱 하나?

라고 하기에는 좀 아니지만

하나의 계열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단 주어에 뭐가 있는지부터 간단히 볼게요.

, I / , you, / 우리, we

/쟤네, they / 이거, it

/ 그 남자, he그 여자, she

/사람이름, 동물, 건물물건

등등이 있겠죠.

이렇게 주어는 이름이 있거나,

눈에 보이거나,

지칭할 수 있는 것

명사 또는 대명사입니다.

품사에 관해서 잘 모르시면

문법풀이 #2 보시면 도움이 될 거 같네요

(문법풀이 #2 보러가기)

여기서 대부분의 주어는

동사를 변형시키지 않는데요.

주어가

(1인칭) (2인칭)을 제외한

3(3인칭)인 경우에

그리고 3인칭이면서 하나일 때

다시 말해서

3인칭 단수일 때

동사의 모습이 조금 변합니다.

바로

동사에다가

's, es, ies'

를 붙이게 돼요.

반대로

1인칭, 2인칭, 3인칭 복수일 때는

's, es, ies'를 안 붙이는 거죠.

이렇게 주어가 3인칭이면서 하나일 때

3인칭 단수일 때

동사에 's/es/ies'를 붙이게 됩니다..

왜 쓸데없이 동사에

's/es/ies'를 붙이냐 하면

그 이유는 그냥...ㅎㅎ

대충 알아보자면

역사로 봤을 때

고대 시대 때부터

이런 규칙이 이어져 왔다고 합니다.

영어는 다른 언어로부터 파생이 된 언어고

현대까지 이어져 오면서

규칙이 정해지게 된 건데요.

규칙은 규칙이니까 맞게 쓰는 수밖에 없네요.

3인칭 단수일 때 동사에 's'

이 규칙은

현재 시제에서

일반문, 평서문에서만 적용됩니다.

'Present Simple tense'

예를 들어서

'ㅁㅁ가 차를 운전한다.'

'ㅁㅁ drive a car.'

주어에 따라서 동사 'drive'

's'를 붙이고 안 붙이게 되는 겁니다.

예를 들어서

내가, 너가, 쟤네가 운전을 하면

그대로

I/You/They drive a car.

이렇게 drive는 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She/A dog 등등

3인칭 단수가 주어로 오면

She/A dog drives a car.

drives를 붙이게 되는 겁니다.

간단한 규칙이죠.

주어에 따라서 s/es/ies를 붙인다.

주어가 3인칭 단수인지 아닌지만

파악하면 되는 겁니다.

그냥 이겁니다.

그런데

이렇게 3인칭 단수일 때

어떤 동사에는 s만 붙이는데

어떤 동사는 es

그리고 ies를 붙이기도 합니다.

동사에 따라

 s/es/ies 붙이는 게 달라지는데

이거에 대해서는

다음 시간에 알아보도록 할게요.

그런데 이렇게 3인칭 단수가 주어로 와도

동사에 s를 안 붙이는 경우도 있어요.

그게 언제냐 하면

과거 시제(과거 상황)에서는

주어에 상관없이

동사에 s를 붙이지 않습니다.

그냥 동사의 과거형 하나로

통일시켜서 사용합니다.

아까 문장을 다시 들면

'I drive a car.'

'나는 운전한다.'

과거형은

'I drove a car.'

'나는 운전했다.'

여기서 주어 'I' 대신에

3인칭 단수가 와도

'He/she drove a car.'

이런 식으로 그냥 과거형으로

s를 붙이지 않는 겁니다.

그리고 또 조동사가 사용되면

s 규칙이 사라집니다.

조동사에는

s를 붙일 수 없어요.

can, will, should, may

등등은 이 상태 그대로 사용합니다.

(단, do만 does가 됩니다.)

그리고

조동사 + 동사 원형

이라는 말도 있잖아요.

주어가 3인칭 단수라고 해도

조동사 뒤에 오는 동사의 모습에도

s를 붙이지 않습니다.

조동사 뒤에 오는 동사 원형의 모습은

사실 동사가 아니기 때문이죠.

조동사에 관한 간략한 내용은

문법풀이 #10 참고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문법풀이 #10 보러가기)

다음 글에서는

동사에 s/es/ies 붙이는 규칙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문법풀이 교재 #14] 다운로드

(이전 글) [문법풀이 #13] 2-5. 완전 동사와 불완전 동사
(다음 글) [문법풀이 #15] 2-7. 주어 동사 일치 2(s, es, 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