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0 국민오버 - 3200 gugmin-obeo

DDR5가 출시되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DDR4 생산이 막바지에 이르면서 대부분의 램 오버클럭을 위한 램 타이밍이 공개되어 있습니다.

과거 B-Die에서 가능하던 극한 수율의 오버클럭이 이제는 양산형 C-Die에서도 종종 보일 정도 입니다.

일반적으로 다이가 변경되면서 후기로 갈수록 램 오버 수율은 떨어질 수 밖에 없지만, DDR4세대의 경우 C다이에서도 괜찮은 오버 수율을 보여주기 때문에 오버클럭 매력이 충분하다고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특히 메모리 오버클럭에 따라 성능이 크게 좌우되는 AMD의 라이젠 (3600 CPU 시스템등)의 경우에는 오버 클럭이 필수적입니다.

최근 삼성에서 3200MHz 메모리도 출시 하였지만, 생각보다 오버 수율이 떨어지면서 오히려 양산형 마지막 세대인 DDR4-2666MHz 메모리가 결국 최고의 가성비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3200 국민오버 - 3200 gugmin-obeo

오늘은 오버클럭 가성비 끝판왕 DDR4-2666MHz (PC4-21300) 제품의 메모리 오버클럭 방법과 성능 비교를 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메모리 오버클럭 준비

삼성램 오버클럭시에는 DDR4 2666MHz PC-21300 제품 사용을 추천 드립니다.

수많은 램 제품을 오버클럭 시도 해 보았지만, 가성비 측면에서는 C 다이의 DDR4 2666MHz제품이 감히 최고라고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3200 국민오버 - 3200 gugmin-obeo

오버클럭 구성 시에는 8GB DDR4 제품 2개 사용을 기본으로 합니다.

대부분의 고사양 게임 및 무거운 인코딩 프로그램도 16GB를 모두 사용하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메인보드의 인식 방법 (데이지체인->램 2개 오버 유리, 티-토폴로지->램 4개 오버 유리)에 따라 오버 효율이 달라지는데요, 대부분의 메인보드는 데이지체인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듀얼램 (램 2개)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유리 합니다.

메모리가 준비되었다면, 지금부터 가이드에 따라 램타이밍, 램 전압 두가지를 조정해서 메모리 오버 클럭을 진행 하시면 됩니다.

▶ 메모리 오버클럭 가이드

먼저 메모리 램타 및 전압 조정이 필요합니다.

각각 아래와 같이 BIOS (바이오스)에서 설정 변경을 진행 합니다.

먼저 메모리 클럭과 세부 램타 및 인가 전압을 조정을 합니다.

메모리 클럭 : 3600MHz

인피니티패브릭 : 1800MHz

CL : 16

tRCD : 22

tRD : 22

tRAS : 46

Voltage : 1.39V~1.4V

3200 국민오버 - 3200 gugmin-obeo

메모리 클럭과 세부 램타 변경은 바이오스를 통해야 하며, 각각의 메인보드 마다 다르므로 별도로 소개를 해드리지는 않습니다.

주의할 점은 인피니티 패브릭이 클럭의 절반으로 설정되어야 하며 제대로 설정이 되었다면 위 그림에서와 같이 NB Frequency와 DRAM Frequency가 같게 출력 됩니다.

3200 국민오버 - 3200 gugmin-obeo

각각 메모리 클럭과 세부 램타 인가 전압을 변경한 모습입니다.

라이젠 시스템에서는 인피니티패브릭이 메모리 클럭의 절반 (3600MHz오버라면 1800MHz로 설정)으로 설정 되어야 합니다.

▶ 메모리 오버클럭 벤치 및 안정성 검토

메모리 오버클럭의 성능 향상은 Latency 라는 값으로 가장 민감하게 나타납니다.

3200 국민오버 - 3200 gugmin-obeo

라이젠 3600 기준 기본 Latency가 93.0ns 정도인데, 오버 클럭 후 69.7ns 까지 향상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200 국민오버 - 3200 gugmin-obeo

클럭과 램타도 정상 작동 합니다.

오버클럭이 되었다면, 실사용 전에 안정성 검토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memtest adv4를 사용하며, error 없이 최소 10주기 통과를 한다면, 실사용에 문제 없다고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MemtestAdv4_오버클럭안정성.mp4

8.12MB

3200 국민오버 - 3200 gugmin-obeo

No Error 로 3600 MHz CL16-22-22-46 삼성램 오버 클럭에 성공한 모습입니다.

▶ 결론

1년 전만해도 램 오버가 쉽지 않았기 때문에 포기하고 이미 오버클럭이 되어있는 튜닝램을 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최근의 경우 메모리 수율이 상향 안정화 되어서 2666MHz 삼성 시금치 램의 경우 극강의 가성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굳이 비싼 튜닝램을 구매하기 보다는 시금치 램을 구입하여 오버에 도전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3200 국민오버 - 3200 gugmin-obeo

초기 국민 메모리 오버클럭을 이야기 할때엔 3,200MHz 메모리 오버클럭 셋팅이 널리 사용되고는 했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현재엔 순정 3,200MHz 메모리가 보급되고 있으며 메모리의 오버클럭 수율이 어느정도 자리잡은 현 시점에는, 3,200MHz 보다 소폭 더 높은 3,600MHz의 메모리 오버클럭 셋팅이 새로운 국민 램오버 셋팅으로 조금씩 자리잡고 있다.

일전 XMP 메모리를 통해 최대 4,200MHz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는 내용을 전해드린 바 있는데, 금번 R5 5600X와의 DDR4 3,200MHz 순정 메모리를 3,600MHz로 오버클럭 한다면 어느 정도의 추가 성능향상이 가능할까?

■ 새롭게 PC구매하는 소비자, 기존 사용자 모두 활용 가능

3200 국민오버 - 3200 gugmin-obeo

금번 준비해온 메모리는 DDR4 3,200MHz 기반의 JEDEC 규격 CL22에 따르는 메모리를 준비해 봤는데, 그 중에서 금번 기사에선 마이크론 크루셜 모델을 기준으로 진행했다는 점 참고하길 바란다.

기사의 진행에 있어서는 3,200MHz 메모리를 기준으로 진행했으나, 메모리 오버클럭 자체에 있어서는 기존 2,666MHz의 클럭을 가진 메모리도 오버 클럭이 가능하다.

다만 메모리의 수율에 오버클럭의 실질적인 안정화에 있어서는 큰 편차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하길 바라며, 각자의 안정화 및 다양한 실사용을 통한 안정성 검증도 필히 체크한 후 진행하길 바란다.

■ 국민 메모리 오버클럭, 이젠 3,200MHz 아닌 3,600MHz?

3200 국민오버 - 3200 gugmin-obeo

필자의 경우 금번 메모리 오버클럭 셋팅을 3,600MHz을 목표로 잡았는데 거기에 사용한 메모리 타이밍으로는, 준비해온 사진과 같이 CL18-22-22-22-54-72에 1.35V를 기준으로 진행했다.

이 외의 바이오스 설정이나 세부 램타이밍은 건들지 않았다.

3200 국민오버 - 3200 gugmin-obeo

오버클럭 안정화에 있어서는 CPU 연산 및 오버클럭 안정화 테스트로 사용하는 Prime95를 진행했으며, 만약 메모리 오버클럭이 실패했거나 메모리 오버클럭이 불안정할 경우 해당 Prime95에서 워크 스탑이 뜨거나 블루스크린 현상이 발생하곤 한다.

필자의 경우 해당 Prime 95에서 Smallest FFTs로 최대 전력 및 CPU 부하 테스트와, Large FFTs를 통해 메모리 안정화 테스트 위주로 1시간 통과한 후 진행했다.

3200 국민오버 - 3200 gugmin-obeo

마지막으로 본격적인 게이밍 벤치마크에 들어가기에 앞서서 Aida64를 통한 메모리 대역폭 및 레이턴시 등의 벤치마크를 진행해 봤다.

게임 벤치마크 이전 아이다 64 메모리 벤치마크를 기준으로는 읽기/복사/쓰기 값에 있어 평균적으로 10%이상 성능향상 확인되었으며, 레이턴시에 있어서도 소폭 더 빨라진 지연시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서 언급했듯 일반적인 메모리 1차 타이밍을 중점으로 셋팅 한 결과값인 만큼 별도의 오버클럭에 대한 지식이 있는 사용자라 한다면, 추가적인 메모리 타이밍 다이어트 및 세부 램타이밍을 조절하여 필자 보다 더 높은 성능향상이 가능하다는 점도 참고하길 바란다.

■ 3,200 vs 3,600 CL18 메모리 오버클럭, 성능 차이는?

3200 국민오버 - 3200 gugmin-obeo
 

먼저는 순정 상태에서의 게이밍 성능인데 준비해온 게임 벤치마크로는 메모리 오버클럭의 영향이 비교적 큰 편에 속하는 온라인 게임 위주로 선택하여 준비해 봤다.

일단 순정상태에서의 성능인데 LOL을 포함하여 오버워치 배틀그라운드 그리고 최근 글로벌 런칭을 통해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여주는 로스트아크로 준비해 봤는데, 전반적인 게이밍 성능에 있어서 RTX 3070Ti FE와의 조합 때문인지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그리고 3,200MHz CL22 메모리를 3,600MHz CL18로 오버클럭 하였을때에는 3,200MHz CL22 순정 메모리 대비 평균 2% 높게는 6%이상 성능향상을 보여주어, 더욱 쾌적한 게이밍 플레이를 기대해 볼 수 있었다.

3200 국민오버 - 3200 gugmin-obeo

앞선 벤치마크가 메모리 오버클럭으로 인해 얻는 평균 프레임의 상승치였다면 금번 벤치는 동일한 게임에 있어서 1% Low FPS를 체크하여 비교해 봤다. 일부 게임의 경우 자체 벤치마크를 통해 진행되어 별도의 1% Low FPS를 체크하지 못하여 금번 1% Low 벤치마크 데이터에서 일부 제외되었다.

1% Low FPS에 있어서도 앞서 살펴본 평균 프레임과 같이 확실한 성능 향상을 보여주는데 배틀그라운드의 경우엔 평균 4%가까운 성능 향상을, LOL과 로스트 아크는 3~4% 가량의 성능 향상을 보였으며 오버워치의 경우엔 10%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즉 순정 메모리를 기준으로 약간의 메모리 오버클럭을 겸하면 평균 프레임은 물론, 순간적인 프레임 드랍을 체감하는 1% Low FPS에 있어서도 상당히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메모리 오버클럭이 어렵다면? XMP 제품을 노려보는것도 좋은 방법

3200 국민오버 - 3200 gugmin-obeo

금번 기사에서는 다양한 PC 성능 향상 방법 중에 R5 5600X를 통해 순정 3,200MHz 메모리를 가지고 3,600MHz CL18로 오버클럭하여 성능 비교를 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본문의 벤치마크 내용을 짧게나마 정리해 보면 3,200MHz 순정 메모리 대비 3,600MHz로 메모리 오버클럭을 적용했을 경우, 평균 프레임에 있어서 2~3% 추가 성능 향상을 그리고 Low 1% 프레임에 있어서는 평균 4%에 게임에 따라서 높게는 7% 이상의 성능 향상을 노려볼 수 있었다.

물론 오버클럭이라는 요소에 있어서 다소 부정적이거나 또는 어려워하는 소비자들도 있으리라 생각되는 만큼, 그러한 사용자 또는 소비자라 한다면 최근 저렴해진 DDR4 3,600MHz XMP 메모리를 구입하여 활용해 보는 것도 좋으리라 생각된다.

끝으로 AMD 플랫폼의 경우 A320부터 X570에 이르는 모든 칩셋에서 메모리 오버클럭을 지원하는 만큼 필자가 소개한 R5 5600X뿐 아니라 R7 5800X 또는 5900X와 같은 CPU를 사용하는 소비자라 한다면, 이러한 내용을 잘 확인한 후 한번쯤 메모리 오버클럭에 도전해보거나 또는 XMP 메모리의 활용을 노려보는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