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9급 공무원 경쟁률 - 2022 9geub gongmuwon gyeongjaenglyul

2022 9급 공무원 경쟁률 - 2022 9geub gongmuwon gyeongjaenglyul
지난 4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여자고등학교에서 국가직 공무원 9급 필기시험을 보기 위해 수험생들이 시험장으로 들어가고 있다. photo 뉴시스

취업준비생이 가장 선호하던 직업인 공무원의 인기가 하락하고 있다. 올해 9급 국가공무원 경쟁률은 21년 만에 최저수준을 기록했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낮은 연봉과 연금 제도 개편 등으로 공무원의 장점이 예전 같지 않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공무원 선호도가 주춤하고 있다.

8일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2022년도 7급 국가공무원 공채 경쟁률이 지난해의 47.8 대 1보다 낮아진 42.7대1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785명 선발에 3만3527명이 지원하면서 지원자 수가 지난해보다 5420명 감소한 것이다. 경쟁률 하락은 9급 공채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9급 공채 경쟁률은 22.5대1로 21년 만에 최저수준을 기록했다. 심지어 선발 인원이 최근 10년 내 최다임에도 경쟁률은 최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공무원 경쟁률 하락의 주 원인으로 공무원에 대한 인식 변화가 크다고 분석했다. 그간 공무원은 높은 직업 안정성과 정년퇴직 후 연금 수령 등의 장점으로 취준생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지만, 연금 제도 개편으로 2016년 이후 입직한 공무원은 기성세대 공무원만큼의 연금 수령이 어려워졌다. 합격 후에도 사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연봉에 회의를 느끼는 현직자들의 목소리도 높다. 실제 인사혁신처가 밝힌 올해 일반직 9급 공무원(1호봉)의 월급은 168만6500원이다. 여기에 각종 수당을 포함하면 실수령액은 월200만원 안팎으로 전해진다.

과거에는 안정적인 직장이 주는 긍정적 인식이 주를 이뤘다면 최근에는 공무원의 최대 강점인 안정성 역시 평생직장 개념이 흐려진 청년 세대에겐 큰 매력이 되지 못하고 있다.  

2022 9급 공무원 경쟁률 - 2022 9geub gongmuwon gyeongjaenglyul
지난 2019년 서울 동작구 노량진 학원가에 공무원 준비생들이 오가고 있는 모습. photo 뉴시스

9급 공무원 준비를 하다가 최근 IT 기업에 취직했다고 밝힌 20대 김 씨는 주간조선과의 통화에서 자신의 선택에 매우 만족한다고 밝혔다.

김 씨는 “부모님이 안정적인 직업을 바라셔서 대학 졸업 후 공무원 시험을 준비했다”며 “1년 정도 준비했는데 먼저 합격한 친구들이 낮은 연봉에 불만을 품었고, 딱딱한 조직문화가 숨 막혀서 힘들다는 이야기를 듣고 공부를 포기하고 취직했다”고 말했다. 이어 “요즘엔 평생직장이 없다 보니 연봉이 만족스러운 현 직장에서 일하다가 추후 관심이 생기는 분야로 이직을 고민해 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공무원 사회에서도 빠른 퇴사가 늘어나는 추세다. 공무원연금공단에 따르면 2017년에는 18~35세 공무원 가운데 4375명이 퇴사했는데 2020년에는 1586명이 늘어난 5961명이 떠났다고 밝혔다. 특히 5년 이하 재직 공무원 중 퇴직 비율은 2020년 9968명으로 전체 4만7319명 가운데 21%를 차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일각에서는 젊은 세대의 직업관에 대한 인식 변화가 진행될수록 향후 공무원의 인기는 더욱 떨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경쟁률 2011년 93대 1→ 2022년 29대 1
1992년 경쟁률 19대 1 이후 역대 최저

2022 9급 공무원 경쟁률 - 2022 9geub gongmuwon gyeongjaenglyul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채용 필기시험이 치러진 2일 서울 시내 한 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시험장 밖으로 나오고 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100대 1에 가까웠던 9급 국가공무원 공채시험 경쟁률이 3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2일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이날 치러진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채용 필기시험에는 16만 5524명이 지원해 29.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번에 선발하는 총 인원은 5672명이다.

다만 이날 시험의 실제 응시자는 77.1%인 12만 7686명에 그쳤다. 이 응시율은 지난해 78.9%보다 1.8%포인트 낮은 것이다. 코로나19가 확산을 시작했던 2020년 응시율은 70.9%였다.

이날 시험을 치른 응시자 중 코로나19 확진 인원은 1161명이었다.

인사혁신처는 9급 국가공무원 시험의 평균 경쟁률이 30대1 이하로 내려간 건 1992년(19.3대1) 이후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2011년에는 93.1대 1까지 치솟으며 안정적인 직장을 바라는 젊은이들에게는 꿈의 직장으로 여겨졌던 공무원은 매년 경쟁률이 하락했다.

최근 5년간 경쟁률은 2018년 41대1, 2019년 39.2대1, 2021년 35대1 이었다 .

인사처가 뽑는 경쟁률 하락 원인으로는 2030 세대 인구의 감소와 공무원 연금제도 개편 등으로 보고 있다. 자발적으로 퇴사하는 젊은 공무원도 늘고 있습니다.

공무원연금공단에 따르면 2020년 18~35세 공무원 가운데 5961명이 퇴직했다. 이는 2017년 4375명에 비해 크게 늘어난 수치이며 5년 이하 재직 중 퇴직자는 9968명으로, 전체 퇴직 공무원의 21%를 차지했다.

2021년 11월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사회조사결과'에서 만 13~34세가 가장 근무하고 싶은 직장은 대기업(21.6%)으로 나타났다. 2위는 공기업(21.5%), 3위는 국가기관(21%)이었다. 이 조사에서 공무원이 1위 자리를 내준 것은 2006년 이후 15년 만이었습니다.

[김승한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7급 공채 경쟁률 42.7 대 1

작년보다 지원자 5420명 줄어

올해 국가직 7급 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경쟁률이 지난해보다 10% 넘게 하락한 42.7 대 1로 집계됐다.

인사혁신처는 2022년도 7급 국가공무원 공채 경쟁률이 지난해의 47.8 대 1보다 낮아진 42.7 대 1로 집계됐다고 8일 밝혔다. 785명 선발에 3만3527명이 지원하면서 지원자 수는 지난해보다 5420명 감소했다.

2022 9급 공무원 경쟁률 - 2022 9geub gongmuwon gyeongjaenglyul

인사혁신처 제공.

최근 4년 사이 7급 공채 경쟁률은 46~48 대 1 안팎이었으나 올해는 다소 큰 폭으로 줄었다. 7급 공채 경쟁률은 2018년 47.6 대 1, 2019년 46.4 대 1, 2020년 46.0 대 1로 하락세를 보이다가 2021년에는 47.8 대 1로 다시 상승한 바 있다.

이 같은 국가직 공무원 경쟁률 하락세는 9급 공채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2013년 74.8 대 1이었던 9급 경쟁률은 올해 29.2 대 1까지 낮아졌다. 9급 공채 경쟁률은 2013년 이후 2016년에 소폭 반등했던 것을 제외하면 빠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인사처는 올해 7급 공채 지원자의 평균 연령은 29.7세로 지난해의 29.4세보다 약간 높아졌다고 밝혔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1만9824명(59.1%)로 가장 많았고, 30대 1만937명(32.6%), 40대 2505명(7.5%), 50세 이상 261명(0.8%)순이었다.

지원자 중 여성비율은 50.8%로 지난해보다 소폭 줄어들었다. 여성지원자 비율은 2018년 47.2%, 2019년 49.2%, 2020년 52.1%, 2021년 52.5%, 2022년 50.8%를 기록했다.

올해 1차 필기시험은 다음달 23일(토) 전국 5개 지역(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에서 실시될 예정이다. 시험장소는 다음달 15일에 사이버국가고시센터(gosi.kr)에 공고된다.

2011년 93대1 이후 하락세로
인구 감소-연금개편 등 영향
올해 9급 국가공무원 공채시험 경쟁률이 29.2 대 1로 최근 30년 동안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2022년 9급 국가공무원 시험 경쟁률은 5672명 선발에 16만5524명이 지원해 1992년(19.3 대 1) 이후 처음으로 30 대 1 이하로 내려갔다. 모집 분야별 경쟁률은 행정직군(4996명 모집) 28.4 대 1, 기술직군(676명 모집) 35.2 대 1 등이었다.

이 시험의 경쟁률은 2011년 93.1 대 1까지 치솟았지만 최근에는 2018년 41 대 1에서 2021년 35 대 1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해왔다. ‘2030세대’ 인구 감소와 공무원 연금제도 개편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사지원 기자

#9급#9급 국가공무원 공채 시험#공무원#공무원 공채#9급 국가공무원#경쟁률#2030세대#인구 감소#공무원 연금제도 개편

  • 2022 9급 공무원 경쟁률 - 2022 9geub gongmuwon gyeongjaenglyul
    사지원 기자 동아일보 사회부

  • 좋아요 이미지좋아요
  • 슬퍼요 이미지슬퍼요
  • 화나요 이미지화나요
  • 후속기사 원해요 이미지후속기사 원해요

기사추천 이미지기사추천

공유 이미지공유

Copyright ⓒ 동아일보 & donga.com